KR101259610B1 - 에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10B1
KR101259610B1 KR1020120015652A KR20120015652A KR101259610B1 KR 101259610 B1 KR101259610 B1 KR 101259610B1 KR 1020120015652 A KR1020120015652 A KR 1020120015652A KR 20120015652 A KR20120015652 A KR 20120015652A KR 101259610 B1 KR101259610 B1 KR 10125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hole portion
pipe member
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암
Original Assignee
조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암 filed Critical 조성암
Priority to KR102012001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Landscapes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치 고정된 상태로 이완과 수축을 통해 에어를 유입과 토출 가능하도록 제 1개방구를 갖는 제 1주름관부재, 위치 고정된 상태로 제 1주름관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수축과 이완되며 에어를 토출과 유입 가능하도록 제 2개방구를 갖는 제 2주름관부재, 일측이 제 1주름관부재에 접하고 타측이 제 2주름관부재에 접하여 왕복 이동됨으로써 제 1주름관부재와 제 2주름관부재를 각각 반복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키는 샤프트, 및 이 샤프트가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왕복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주름관부재를 강제로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에어를 반복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사용으로 인한 소음이나 열 발생 및 에어에 오일이 포함되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분사 장치{AIR SPRAY DEVICE}
본 발명은 에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관부재를 강제로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에어를 반복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축기 사용으로 인한 소음이나 열 발생 및 에어에 오일이 포함되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스프레이는 건(gun)의 형태를 지니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와 함께 도료 및 샌드 등의 소재를 분사하면서 도장 작업 및 샌드브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 중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은 건축용 인테리어 도장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탄성코트는 특수 수용성 수지와 고급 안료로 설계된 최고급 인테리어 도료로서 크랙이 커버되고 보수 도장이 용이하며 천연 대리석질감의 환경 친화적인 수성 특수 도료입니다
특히, 탄성코트는 벽면용으로 사용되어 시멘트의 부식방지, 내구성, 습기 방지 등에 쓰이게 된다.
탄성코트용 스프레이 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083270호(발명의 명칭:뿜칠형 엠보싱 무늬 시공 장치 및 방법)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탄성코트용 스프레이 장치는 에어를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해 압축기를 사용하는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에어가 데워진 상태로 탄성도료와 접촉함으로 인해 탄성도료의 변형을 초래하고, 압축기의 소음으로 인해 청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압축기에 사용되는 오일이 에어에 혼합되어 분사됨으로써 탄성도료의 뿜칠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으로 구비된 주름관부재를 반대되도록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에어를 반복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기존의 압축기 사용으로 인한 소음이나 열 발생 및 에어에 오일이 포함되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에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는: 위치 고정된 상태로 이완과 수축을 통해 에어를 유입과 토출 가능하도록 제 1개방구를 갖는 제 1주름관부재, 위치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수축과 이완되며 에어를 토출과 유입 가능하도록 제 2개방구를 갖는 제 2주름관부재, 일측이 상기 제 1주름관부재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주름관부재에 접하여 왕복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를 각각 반복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가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왕복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는 내구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판과 타측판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일측판과 상기 타측판을 호 궤적을 따라 절곡된 절곡부재로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는 포집되는 에어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에 수축과 이완되는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왕복작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장자리에 삽입돌부를 돌출 형성한 편심휠, 및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샤프트의 둘레면에 장방형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편심휠의 편심 회전으로 상기 샤프트를 왕복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는 위치 고정되기 위해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개방구에 대응되는 제 1노출홀과 상기 제 2개방구에 대응되는 제 2노출홀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개방구는 제 1유입홀부와 제 1토출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유입홀부와 상기 제 1토출홀부는 번갈아 가며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개방구는 제 2유입홀부와 제 2토출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유입홀부와 상기 제 2토출홀부는 번갈아 가며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와 상기 절곡부재는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왕복작동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별도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으로 구비된 주름관부재를 반대되도록 이완과 수축시킴으로써 에어를 반복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기존의 압축기 사용으로 인한 소음이나 열 발생 및 에어에 오일이 포함되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왕복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초기 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일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일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타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타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를 왕복 이동을 위한 실린더부재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주름관부재의다른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왕복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의 초기 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일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일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타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가 타측으로 이송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샤프트를 왕복 이동을 위한 실린더부재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에서 주름관부재의다른 형상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100)는 양측에서 번갈아 에어를 분사시키는 설비로서, 제 1주름관부재(210), 제 2주름관부재(220), 샤프트(300) 및 왕복작동부(400)를 포함한다.
제 1주름관부재(210)는 위치 고정된 상태로 이완과 수축을 통해 에어를 유입과 토출 가능하도록 제 1개방구(2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2주름관부재(220)는 위치 고정된 상태로 제 1주름관부재(210)와 반대 방향으로 수축과 이완되며 에어를 토출과 유입 가능하도록 제 2개방구(222)를 구비한다.
특히,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제 1개방구(212)와 제 2개방구(222)는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수축과 이완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을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제 1주름관부재(210)의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은 번갈아 배열되고, 서로 대칭되는 기울기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2주름관부재(220)의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은 번갈아 배열되고, 서로 대칭되는 기울기로 이루어진다.
제 1주름관부재(210)를 이루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제 2주름관부재(220)를 이루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편의상,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도시한다.
이때,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모서리를 형성할 경우,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의 대응되는 단부에 집중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잦은 수축과 이완으로 인해 쉽게 찢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은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절곡부재(236)에 의해 연결된다. 즉, 번갈아 배치되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의 양단부 또는 어느 일단부는 절곡부재(236)에 의해 연결된다. 절곡부재(236)는 집중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절곡부재(236)는 양측에 연결되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에 연결될 수 있다. 편의상, 절곡부재(236)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의 대응되는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절곡부재(2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분출량과 분출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에어를 최대한 많이 유입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포집되는 에어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에 수축과 이완되는 요철부(238)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주름관부재(210)의 일측판(232)과 타측판(234), 및 제 2주름관부재(220)의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은 표면에 요철부(238)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이완되고, 더욱 수축됨으로써 에어의 분출량과 분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요철부(238)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에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가 외력에 의해 수축과 이완을 번갈아 할 수 있도록 샤프트(300)가 구비된다.
샤프트(300)는 일측이 제 1주름관부재(210)에 접하고, 타측이 제 2주름관부재(220)에 접하여 왕복 이동됨으로써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를 각각 반복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샤프트(300)의 일측은 제 1주름관부재(210)의 타측판(234)과 연결되고, 샤프트(300)의 타측은 제 2주름관부재(220)의 일측판(232)과 연결된다. 이때, 샤프트(300)는 일측판(232)과 타측판(234)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물론, 샤프트(3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와 절곡부재(236)는 잦은 수축과 이완으로 찢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리크(leak)가 발생됨에 따라 에어의 분출량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와 절곡부재(236)는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코팅층(239)을 형성한다. 코팅층(239)은 밀폐력을 갖는 액상 성분이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코팅층(239)은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와 절곡부재(236)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샤프트(300)는 자동적으로 왕복 이송되며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를 번갈아 수축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샤프트(300)가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왕복작동부(400)가 구비된다.
왕복작동부(400)는 구동모터(410), 편심휠(420), 및 가이드홈부(44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10)는 전기력을 받아 구동된다.
그리고, 편심휠(420)은 구동모터(410)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구동모터(410)가 구동하게 되면, 편심휠(420)은 중심에 대해 편심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편심휠(420)은 가장자리에 삽입돌부(430)를 돌출 형성한다. 편심휠(420)이 편심 회전됨으로써, 삽입돌부(430)는 타원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홈부(440)는 샤프트(30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샤프트(300)의 둘레면에 장방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삽입돌부(430)를 수용한다.
그래서, 삽입돌부(430)가 가이드홈부(440)에 수용된 채 타원 궤적을 따라 무한 이동함에 따라 샤프트(300)는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홈부(440)가 샤프트(30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장방형으로 함몰됨으로써, 삽입돌부(430)가 샤프트(30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샤프트(300)는 상부나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편의상, 가이드홈부(440)는 샤프트(300)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샤프트(30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왕복작동부(40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샤프트(300)의 미는 힘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로 수축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1주름관부재(210)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220)는 위치 고정되기 위해 케이싱(500)에 설치된다. 케이싱(500)은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를 각각 고정 설치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편의상, 하나 구비되어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를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케이싱(500)은 작업대와 같은 바닥에 고정된다.
이때, 케이싱(500)은 왕복작동부(400)를 샤프트(3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둘레면 일부가 절개되거나, 왕복작동부(4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500)은 제 1개방구(212)에 대응되는 제 1노출홀(510)과 제 2개방구(222)에 대응되는 제 2노출홀(520)을 통공한다. 이는, 케이싱(500)을 통해 에어를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에 출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 1개방구(212)는 제 1유입홀부(610)와 제 1토출홀부(620)로 이루어진다. 제 1유입홀부(610)와 제 1토출홀부(620)는 제 1노출홀(510)을 통해 노출된다. 제 1유입홀부(610)는 제 1주름관부재(210)가 축 방향을 따라 이완시 외부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는 통로이고, 제 1토출홀부(620)는 제 1주름관부재(210)가 축 방향을 따라 수축시 제 1주름관부재(210) 내부에 저장된 기체가 토출되는 통로이다.
이때, 제 1유입홀부(610)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기체가 제 1주름관부재(210) 내부로 유입시, 제 1토출홀부(620)는 닫혀짐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1토출홀부(620)가 개방되어 제 1주름관부재(210) 내부의 기체가 토출될 시, 제 1유입홀부(610)는 닫혀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유입홀부(610)와 제 1토출홀부(620)는 번갈아 가며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제 1유입홀부(610)와 제 1토출홀부(620)는 개폐가 자동 제어되는 개폐밸브(650)를 구비한다.
아울러, 제 2개방구(222)는 제 2유입홀부(630)와 제 2토출홀부(640)로 이루어진다. 제 2유입홀부(630)와 제 2토출홀부(640)는 제 2노출홀(520)을 통해 노출된다. 제 2유입홀부(630)는 제 2주름관부재(220)가 축 방향을 따라 이완시 외부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는 통로이고, 제 2토출홀부(640)는 제 2주름관부재(220)가 축 방향을 따라 수축시 제 2주름관부재(220) 내부에 저장된 기체가 토출되는 통로이다.
이때, 제 2유입홀부(630)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기체가 제 2주름관부재(220) 내부로 유입시, 제 2토출홀부(640)는 닫혀짐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토출홀부(640)가 개방되어 제 2주름관부재(220) 내부의 기체가 토출될 시, 제 2유입홀부(630)는 닫혀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2유입홀부(630)와 제 2토출홀부(640)는 번갈아 가며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제 2유입홀부(630)와 제 2토출홀부(640)는 개폐가 자동 제어되는 개폐밸브(650)를 구비한다.
물론, 개폐밸브(650) 대신에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서처럼, 다른 예로서, 왕복작동부(400)는 실린더부재(450)와 브라켓(460)을 포함한다.
실린더부재(450)는 샤프트(300)의 외측에 별도로 고정 즉 케이싱(5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전후진 작동된다. 실린더부재(450)는 공압이나 유압 또는 전기력에 의해 전후진되는 것을 한다.
그리고, 브라켓(460)은 샤프트(300)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실린더부재(450)의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실린더부재(450)와 동일 방향으로 전후진된다.
또한, 도 10에서처럼, 제 1주름관부재(210)와 제 2주름관부재(220)는 모서리 부위의 집중 응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서처럼, 먼저, 구동모터(410)가 구동됨에 따라, 편심휠(420)이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삽입돌부(430)는 가이드홈부(440)에 삽입된 채 샤프트(30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샤프트(300)는 제 1주름관부재(210)를 압축시키게 된다. 샤프트(300)가 제 1주름관부재(21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주름관부재(220)는 샤프트(300)에 의해 이완된다.
이때, 제 1주름관부재(210)는 제 1토출홀부(620)를 통해 내부의 기체가 토출된다. 제 1유입홀부(610)의 개폐밸브(65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제 2주름관부재(220)는 제 2유입홀부(630)를 통해 외부의 기체가 유입된다. 제 2토출홀부(640)의 개폐밸브(650)는 닫힌 상태가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처럼, 구동모터(410)가 계속 구동됨에 따라, 편심휠(420)이 소정각도로 더 회전하게 되면, 삽입돌부(430)는 가이드홈부(440)에 삽입된 채 샤프트(300)를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샤프트(300)는 제 2주름관부재(220)를 압축시키게 된다. 샤프트(300)가 제 2주름관부재(220)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주름관부재(210)는 샤프트(300)에 의해 이완된다.
이때, 제 2주름관부재(220)는 제 2토출홀부(640)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기체가 토출된다. 제 2유입홀부(630)의 개폐밸브(65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제 1주름관부재(210)는 제 1유입홀부(610)를 통해 외부의 기체가 유입된다. 제 1토출홀부(620)의 개폐밸브(65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 후, 삽입돌부(430)가 더 회전되면서 상술한 동작이 반복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에어 분사 장치 210,220: 제 1,2주름관부재
212,222: 제 1,2개방구 232: 일측판
234: 타측판 236: 절곡부재
238: 요철부 300: 샤프트
400: 왕복작동부 410: 구동모터
420: 편심휠 430: 삽입돌부
440: 가이드홈부 500: 케이싱(500)
510,520: 제 1,2노출홀 610,630: 제 1,2유입홀부
620,640: 제 1,2토출홀부 650: 개폐밸브

Claims (9)

  1. 위치 고정된 상태로 이완과 수축을 통해 에어를 유입과 토출 가능하도록 제 1개방구를 갖는 제 1주름관부재;
    위치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수축과 이완되며 에어를 토출과 유입 가능하도록 제 2개방구를 갖는 제 2주름관부재;
    일측이 상기 제 1주름관부재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 2주름관부재에 접하여 왕복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를 각각 반복적으로 이완과 수축시키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가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왕복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작동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별도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전후진 작동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는 내구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판과 타측판이 번갈아 배치되며, 상기 일측판과 상기 타측판을 호 궤적을 따라 절곡된 절곡부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는 포집되는 에어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에 수축과 이완되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는 위치 고정되기 위해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 1개방구에 대응되는 제 1노출홀과 상기 제 2개방구에 대응되는 제 2노출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방구는 제 1유입홀부와 제 1토출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유입홀부와 상기 제 1토출홀부는 번갈아 가며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개방구는 제 2유입홀부와 제 2토출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유입홀부와 상기 제 2토출홀부는 번갈아 가며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름관부재와 상기 제 2주름관부재와 상기 절곡부재는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분사 장치.
  9. 삭제
KR1020120015652A 2012-02-16 2012-02-16 에어 분사 장치 KR10125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52A KR101259610B1 (ko) 2012-02-16 2012-02-16 에어 분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652A KR101259610B1 (ko) 2012-02-16 2012-02-16 에어 분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610B1 true KR101259610B1 (ko) 2013-04-30

Family

ID=4844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652A KR101259610B1 (ko) 2012-02-16 2012-02-16 에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6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8362C2 (ru) * 2015-10-13 2017-05-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НИТУ")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
RU2636949C1 (ru) * 2016-11-30 2017-1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КАИ" (КНИТУ-КАИ)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дозатор - регулятор расхода
WO2020004760A1 (ko) * 2018-06-28 2020-01-02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유체공급장치
KR20200001688A (ko) * 2018-06-28 2020-01-07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7177A (ja) * 1990-10-24 1992-10-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We> 二軸可撓性ベロー
JP2000179464A (ja) * 1998-12-16 2000-06-27 Nhk Spring Co Ltd ベローズの取付構造
KR20110115261A (ko) * 2010-04-15 2011-10-21 박종칠 온수매트용 벨로우즈펌프
KR20110125320A (ko) * 2010-05-13 2011-11-21 조성암 다이아프램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7177A (ja) * 1990-10-24 1992-10-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We> 二軸可撓性ベロー
JP2000179464A (ja) * 1998-12-16 2000-06-27 Nhk Spring Co Ltd ベローズの取付構造
KR20110115261A (ko) * 2010-04-15 2011-10-21 박종칠 온수매트용 벨로우즈펌프
KR20110125320A (ko) * 2010-05-13 2011-11-21 조성암 다이아프램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8362C2 (ru) * 2015-10-13 2017-05-0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НИТУ")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
RU2636949C1 (ru) * 2016-11-30 2017-1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КАИ" (КНИТУ-КАИ)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дозатор - регулятор расхода
WO2020004760A1 (ko) * 2018-06-28 2020-01-02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유체공급장치
KR20200001688A (ko) * 2018-06-28 2020-01-07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KR102073119B1 (ko) * 2018-06-28 2020-02-04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610B1 (ko) 에어 분사 장치
CN101018620B (zh) 平面清洗设备
US20100133358A1 (en) Spraying device
US20060065765A1 (en) Fluidic nozzle for trigger spray applications
KR200428831Y1 (ko) 분사기
CN104125862A (zh) 喷漆器
US11541432B2 (en) Cleaning machine
KR101116054B1 (ko) 다이아프램밸브
JPH06506868A (ja) 圧縮空気用噴射器
US20180104854A1 (en) Flat fan spraying apparatus for the dispensing of ultra-high fast set two component materials
US20220226844A1 (en) Pneumatic rotary actuated spray gun
JP7441216B2 (ja) 流体噴霧設備および関連する流体を移動させるための方法
US5842638A (en) Flanged swirl valve with relieved elastomer seal
WO2014003024A2 (ja) 表面処理装置
US5667144A (en) Paint gun with co-molded swirl valve
US20210129291A1 (en) Sand source selecting structure for a sandblasting gun
CN113622670A (zh) 一种装配式施工用的高压灌浆装置
JP4190051B2 (ja) 小型携帯用高粘度材料吐出装置
KR20120073062A (ko) 직관 및 곡관의 2액형 도장장치
KR100462002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화기의 발사관 내부 청소장치
KR101535290B1 (ko)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JP4621066B2 (ja) 粉体定量供給装置
KR101049855B1 (ko) 다중 분사각을 갖는 실러건
KR20200058116A (ko) 이동형 폴리우레아 도장 장치
KR101471659B1 (ko) 에어리스 펌프의 맥동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