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054B1 - 다이아프램밸브 - Google Patents

다이아프램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054B1
KR101116054B1 KR1020100044776A KR20100044776A KR101116054B1 KR 101116054 B1 KR101116054 B1 KR 101116054B1 KR 1020100044776 A KR1020100044776 A KR 1020100044776A KR 20100044776 A KR20100044776 A KR 20100044776A KR 101116054 B1 KR101116054 B1 KR 10111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flow
hole
shaft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320A (ko
Inventor
조성암
Original Assignee
조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암 filed Critical 조성암
Priority to KR102010004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054B1/ko
Priority to PCT/KR2011/001420 priority patent/WO2011142528A2/ko
Publication of KR2011012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7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the valve being an elastic body, the length thereof changing in the open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밸브에 관한 것으로, 중심홀을 양측으로 통공한 케이싱, 이 케이싱의 중심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중심축부재, 이 케이싱의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중심축부재에 연결되어 중심축부재의 이동에 따라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며 유체를 임시 저장 또는 외측으로 밀어내는 주름관부재, 및 이 케이싱에 형성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며 케이싱의 양측의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를 임시 저장하거나 외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유체를 공급받고 토출하는 부위를 확대함으로써 굵은 입자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에 주름관을 두고 서로 반복적으로 유체를 유입 및 토출시킴에 따라 탄성도료 토출시 맥동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주름관을 금속재질로 구비하여 내구성과 토출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아프램밸브{DIAPHRAGM VALVE}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받고 토출하는 부위를 확대함으로써 굵은 입자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에 주름관을 두고 서로 반복적으로 유체를 유입 및 토출시킴에 따라 탄성도료 토출시 맥동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주름관을 금속재질로 구비하여 내구성과 토출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아프램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스프레이는 건(gun)의 형태를 지니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와 함께 도료 및 샌드 등의 소재를 분사하면서 도장 작업 및 샌드브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 중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건축용 인테리어 도장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탄성코트는 특수 수용성 수지와 고급 안료로 설계된 최고급 인테리어 도료로서 크랙이 커버되고 보수 도장이 용이하며 천연 대리석질감의 환경친화적인 수성 특수 도료입니다
특히, 상기 탄성코트는 벽면용으로 사용되어 시멘트의 부식방지, 내구성, 습기 방지 등에 쓰이게 된다.
기존의 다이아프램펌프는 볼밸브를 사용하여 탄성도료의 흐름을 단속하는데, 이 탄성도료의 입자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볼밸브는 탄성도료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체를 공급받는 유입관련 홀과 토출하는 토출관련 홀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비교적 굵은 입자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아프램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싱의 양측에 주름관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케이싱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중심축부재의 이동 방향에 의해 서로 반복적으로 유체를 유입 및 토출시킴에 따라 유체의 토출시 맥동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이아프램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름관부재를 금속재질로 구비하여 내구성과 토출압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이아프램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는: 중심홀을 양측으로 통공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중심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중심축부재,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상기 중심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축부재의 이동에 따라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며 유체를 임시 저장 또는 외측으로 밀어내는 주름관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며 상기 케이싱의 양측의 상기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를 임시 저장하거나 외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관부재는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중심홀과 나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유입홀부, 상기 유입홀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축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를 유입 안내하는 유입작동축, 상기 유입홀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유출홀부, 상기 유출홀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축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의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작동축, 및 상기 중심축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유입작동축과 상기 유출작동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유체의 유입과 유출을 반복적으로 동시에 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작동축은 내부에 유입공간을 갖고, 둘레면에 상기 유입공간과 연결되는 유입연결홀을 통공함과 아울러 일측에 제 1유입개방홀을 형성하며 타측에 제 2유입개방홀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입연결홀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항상 노출하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입노출홀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작동축은 내부에 유출공간을 갖고, 상기 유출공간과 연결되도록 둘레면에 유출연결홀을 통공함과 아울러 일측에 제 1유출개방홀을 형성하며 타측에 제 2유출개방홀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출연결홀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항상 노출하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출노출홀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부와 상기 유출홀부를 분기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중심을 힌지 연결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작동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중심에 대해 시소 운동 조작하는 조작부재, 상기 샤프트의 일측과 상기 유입작동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작동시 상기 유입작동축을 번갈아 이완측의 상기 주름관부재 내부로 이동시켜 맥동을 줄이면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밀거나 당기는 유입커넥팅로드,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과 상기 유출작동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유출작동축을 상기 유입작동축의 반대방향으로 번갈아 수축측 상기 주름관부재 내부로 이동시켜 맥동을 줄이면서 유체를 유출하기 위해 밀거나 당기는 유출커넥팅로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는 종래 기술과 달리 탄성도료를 공급받는 유입관련 홀과 토출하는 토출관련 홀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비교적 굵은 입자로 인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싱의 양측에 주름관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케이싱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중심축부재의 이동 방향에 의해 서로 반복적으로 탄성도료를 유입 및 토출시킴에 따라 탄성도료 토출시 맥동현상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름관부재를 금속재질로 구비하여 내구성과 토출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평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는 케이싱(10), 중심축부재(20), 주름관부재(32,34) 및 작동부(100)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작업대 등 임의의 고정체에 고정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0)은 축 방향을 따라 중심홀(12)을 통공한다.
그래서, 중심홀(12)은 케이싱(10)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중심축부재(20)는 케이싱(10)의 중심홀(12)에 축 삽입되고, 외력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중심축부재(20)는 실린더 등 다양한 외력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물론, 중심축부재(20)의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주름관부재(32,34)는 중심축부재(20)의 축 방향에 대해 케이싱(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주름관부재(32,34)는 한 쌍 구비된다.
특히, 주름관부재(32,34) 각각은 일측을 케이싱(10)의 측면에 연결하고, 타측을 중심축부재(20)에 연결한다.
그래서, 주름관부재(32,34) 각각의 내부는 케이싱(10)의 중심홀(12)과 연결되어 동일한 내부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주름관부재(32,34)는 용접이나 밀봉된 상태로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케이싱(10)과 중심축부재(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축부재(20)가 케이싱(1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주름관부재(32,34)는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주름관부재(32,34)는 어느 하나가 이완될 경우 다른 하나가 수축된다.
여기서, 주름관부재(32,34)는 이완됨으로써 유체를 내부로 유입하여 임시 저장하고, 수축됨으로써 저장된 유체를 밀어내어 분출 유도한다.
편의상, 유체는 유동성을 갖는 탄성도료로 한다.
한편, 작동부(100)는 케이싱(10)에 형성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며 케이싱(10)의 양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2,34) 각각에 번갈아 가며 탄성도료를 임시 저장하거나 외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주름관부재(32,34)는 각각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기 때문에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주름관부재(32,3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축시 내부에 저장된 탄성도료를 밀어내는 토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작동부(100)는 유입홀부(110), 유입작동축(120), 유출홀부(140), 유출작동축(150) 및 안내부(170)를 포함한다.
유입홀부(110)는 케이싱(10)의 내측에 형성된다.
특히, 유입홀부(110)는 중심홀(12)과 나란하도록 케이싱(10)의 양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작동축(120)은 중심축부재(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유입홀부(110)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축 삽입된다.
아울러, 유입작동축(120)은 케이싱(10)의 양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2,34) 각각에 번갈아 가며 탄성도료를 유입 안내한다.
이에 따라, 유입작동축(120)과 유입홀부(110) 사이의 틈새는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홀부(140)는 유입홀부(110)와 나란하면서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케이싱(10)에 형성된다.
그리고, 유출작동축(150)은 유출홀부(140)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축 삽입된다.
특히, 유출작동축(150)은 케이싱(10)의 양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2,34) 각각에 번갈아 가며 탄성도료의 유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유출작동축(150)과 유출홀부(140) 사이의 틈새는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입작동축(120)과 유출작동축(150)은 케이싱(10)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안내부(170)는 중심축부재(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유입작동축(120)과 유출작동축(15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탄성도료의 유입과 유출을 반복적으로 동시에 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유입작동축(120)은 탄성도료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내부에 유입공간(122)을 형성하고, 둘레면 특히 축방향에 대해 중앙부위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유입공간(122)과 연결되는 유입연결홀(124)을 통공한다.
이 유입연결홀(124)은 외부 특히, 탄성도료를 저장한 탱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탄성도료를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입작동축(120)은 일측에 제 1유입개방홀(126)을 형성하고, 타측에 제 2유입개방홀(128)을 형성한다.
제 1유입개방홀(126)과 제 2유입개방홀(128)은 유입공간(122)과 연결된다.
그래서, 제 1유입개방홀(126)과 제 2유입개방홀(128)은 각각 유입연결홀(124)을 통해 유입되는 탄성도료를 번갈아 가며 대응되는 주름관부재(32,34) 내측으로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입작동축(120)은 케이싱(1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됨으로써 유입연결홀(124)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10)은 유입연결홀(124)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항상 노출하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입노출홀(130)을 통공한다.
즉, 탄성도료는 케이싱(10)의 유입노출홀(130)과 유입작동축(120)의 유입연결홀(124)을 통해 유입공간(122)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유출작동축(150)은 탄성도료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내부에 유출공간(152)을 형성하고, 둘레면 특히 축방향에 대해 중앙부위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유출공간(152)과 연결되는 유출연결홀(154)을 통공한다.
이 유출연결홀(154)은 주름관부재(32,34) 내부에 각각 저장된 탄성도료를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건(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분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출작동축(150)은 일측에 제 1유출개방홀(156)을 형성하고, 타측에 제 2유출개방홀(158)을 형성한다.
제 1유출개방홀(156)과 제 2유출개방홀(158)은 유출공간(152)과 연결된다.
그래서, 제 1유출개방홀(156)과 제 2유출개방홀(158)은 대응되는 주름관부재(32,34)에 저장된 탄성도료를 번갈아 가며 외측으로 토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출작동축(150)은 케이싱(10)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됨으로써 유출연결홀(154)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10)은 유출연결홀(154)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항상 노출하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출노출홀(160)을 통공한다.
즉, 탄성도료는 유입공간(122)과 유출연결홀(154) 및 케이싱(10)의 유출노출홀(160)을 통해 외측으로 토출된다.
한편, 유입작동축(120)과 유출작동축(150)은 외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유입작동축(120)과 유출작동축(150)은 안내부(17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일례로서, 안내부(170)는 공간부(171), 샤프트(172), 조작부재(174), 유입커넥팅로드(175) 및 유출커넥팅로드(176)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간부(171)는 케이싱(10)의 내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그래서, 유입홀부(110)와 유출홀부(140)는 공간부(171)에서 분기 형성된다.
편의상, 공간부(171)는 케이싱(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샤프트(172)는 공간부(171)에 형성된다.
이때, 샤프트(172)는 중앙 부위를 공간부(171)의 바닥에 해당되는 케이싱(10)의 내측에 힌지핀(173)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샤프트(172)는 시소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샤프트(172)는 케이싱(10)과 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물론, 샤프트(17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재(174)는 샤프트(172)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진 작동됨으로써 샤프트(172)를 중심에 대해 시소 운동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조작부재(174)는 실린더 등 다양한 요소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샤프트(172)는 케이싱(1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171) 각각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조작부재(174)는 어느 하나의 샤프트(172)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작부재(174)는 대응되는 주름관부재(32,3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주름관부재(32,34)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중심축부재(20)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케이싱(10)의 외측으로 항상 노출되는 중심축부재(20)의 둘레면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작부재(174)는 중심축부재(20)와 다양한 방식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주름관부재(32,34)에 삽입되는 부위를 밀봉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커넥팅로드(175)는 일측을 샤프트(172)의 일측에 힌지 연결함과 동시에 타측을 유입작동축(120)에 힌지 연결한다.
그래서, 유입커넥팅로드(175)는 조작부재(174)의 전후진 작동시 유입작동축(120)을 밀거나 당기면서 번갈아 이완측의 주름관부재(32,34)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완측의 주름관부재(32,34)는 맥동을 줄인 상태로 탄성도료를 유입하게 된다.
아울러, 유출커넥팅로드(176)는 일측을 샤프트(172)의 타측에 힌지 연결함과 동시에 타측을 유출작동축(150)에 힌지 연결한다.
그래서, 유출커넥팅로드(176)는 조작부재(174)의 전후진 작동시 유입작동축(120)과 반대방향으로 유출작동축(150)을 밀거나 당기면서 번갈아 수축측의 주름관부재(32,34) 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축측의 주름관부재(32,34)는 맥동을 줄인 상태로 탄성도료를 유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밸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처럼, 중심축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케이싱(10)의 일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케이싱(10)의 일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2)는 중심축부재(20)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완되고, 케이싱(10)의 타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4)는 중심축부재(20)에 의해 밀리면서 수축된다.
이에 조작부재(174)는 중심축부재(20)에 연동하거나 독립적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샤프트(172)는 우상향(도면에서 봤을 때) 경사지게 기울어짐과 동시에 유입작동축(120)은 유입커넥팅로드(175)와 연동되면서 케이싱(10)의 일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입작동축(120)의 일측은 케이싱(10)의 일측에 위치한 이완측 주름관부재(32) 내부로 돌출된다.
그래서, 유입작동축(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유입개방홀(126)은 이완측 주름관부재(32) 내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유입작동축(120)의 타측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입작동축(12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유입개방홀(128)은 유입홀부(110) 내측면과 접하여 막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유출작동축(150)은 유출커넥팅로드(176)와 연동되면서 케이싱(10)의 타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출작동축(150)의 타측은 케이싱(10)의 타측에 위치한 수축측 주름관부재(34) 내부로 돌출된다.
그래서, 유출작동축(1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유출개방홀(158)은 수축측 주름관부재(34) 내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유출작동축(150)의 일측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출작동축(1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유출개방홀(156)은 유출홀부(140) 내측면과 접하여 막히게 된다.
이때, 이완측 주름관부재(32)는 이완됨으로써 흡입력이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료는 외부에서 유입노출홀(130), 유입연결홀(124), 유입공간(122) 및 제 1유입개방홀(126)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이완측 주름관부재(32) 내부에 임시 저장된다.
또한, 수축측 주름관부재(34)는 수축됨으로써 토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된 탄성도료는 제 2유출개방홀(158), 유출공간(152), 유출연결홀(154) 및 유출노출홀(160)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수축측 주름관부재(34) 외부로 토출된다.
이 토출되는 탄성도료는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건을 통해 뿜칠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6에서처럼, 중심축부재(20)가 외력에 의해 케이싱(10)의 타측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면, 케이싱(10)의 타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4)는 중심축부재(20)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완되고, 케이싱(10)의 일측에 형성된 주름관부재(32)는 중심축부재(20)에 의해 밀리면서 수축된다.
이에 조작부재(174)는 중심축부재(20)에 연동하거나 독립적으로 후진하게 된다.
그러면, 샤프트(172)는 좌상향(도면에서 봤을 때) 경사지게 기울어짐과 동시에 유입작동축(120)은 유입커넥팅로드(175)와 연동되면서 케이싱(10)의 타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입작동축(120)의 타측은 케이싱(10)의 타측에 위치한 이완측 주름관부재(34) 내부로 돌출된다.
그래서, 유입작동축(12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유입개방홀(128)은 이완측 주름관부재(34) 내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유입작동축(120)의 일측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입작동축(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유입개방홀(126)은 유입홀부(110) 내측면과 접하여 막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유출작동축(150)은 유출커넥팅로드(176)와 연동되면서 케이싱(10)의 일측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출작동축(150)의 일측은 케이싱(10)의 일측에 위치한 수축측 주름관부재(32) 내부로 돌출된다.
그래서, 유출작동축(1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유출개방홀(156)은 수축측 주름관부재(32) 내측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유출작동축(150)의 타측은 케이싱(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유출작동축(1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유출개방홀(158)은 유출홀부(140) 내측면과 접하여 막히게 된다.
이때, 이완측 주름관부재(34)는 이완됨으로써 흡입력이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료는 외부에서 유입노출홀(130), 유입연결홀(124), 유입공간(122) 및 제 2유입개방홀(128)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이완측 주름관부재(34) 내부에 임시 저장된다.
또한, 수축측 주름관부재(32)는 수축됨으로써 토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된 탄성도료는 제 1유출개방홀(156), 유출공간(152), 유출연결홀(154) 및 유출노출홀(160)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수축측 주름관부재(32) 외부로 토출된다.
이 토출되는 탄성도료는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건을 통해 뿜칠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12: 중심홀
20: 중심축부재 32,34: 주름관부재
100: 작동부 110: 유입홀부
120: 유입작동축 122: 유입공간
124: 유입연결홀 126,128: 제 1,2유입개방홀
130: 유입노출홀 140: 유출홀부
150: 유출작동부 160: 유출노출홀
170: 안내부 171: 공간부
172: 샤프트 174: 조작부재
175: 유입커넥팅로드 176: 유출커넥팅로드

Claims (6)

  1. 중심홀을 양측으로 통공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중심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중심축부재;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상기 중심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축부재의 이동에 따라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며 유체를 임시 저장 또는 외측으로 밀어내는 주름관부재;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직선 왕복 이동하며 상기 케이싱의 양측의 상기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를 임시 저장하거나 외측으로 배출 유도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부재는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중심홀과 나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유입홀부;
    상기 유입홀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축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를 유입 안내하는 유입작동축;
    상기 유입홀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양측으로 연통되는 유출홀부;
    상기 유출홀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축 삽입되어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주름관부재 각각에 번갈아 가며 유체의 유출을 안내하는 유출작동축; 및
    상기 중심축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유입작동축과 상기 유출작동축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유체의 유입과 유출을 반복적으로 동시에 행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작동축은 내부에 유입공간을 갖고, 둘레면에 상기 유입공간과 연결되는 유입연결홀을 통공함과 아울러 일측에 제 1유입개방홀을 형성하며 타측에 제 2유입개방홀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입연결홀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항상 노출하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입노출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밸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작동축은 내부에 유출공간을 갖고, 상기 유출공간과 연결되도록 둘레면에 유출연결홀을 통공함과 아울러 일측에 제 1유출개방홀을 형성하며 타측에 제 2유출개방홀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출연결홀의 이동 궤적을 따라 항상 노출하도록 둘레면에 형성되는 유출노출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밸브.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부와 상기 유출홀부를 분기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중심을 힌지 연결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작동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중심에 대해 시소 운동 조작하는 조작부재;
    상기 샤프트의 일측과 상기 유입작동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작동시 상기 유입작동축을 번갈아 이완측의 상기 주름관부재 내부로 이동시켜 맥동을 줄이면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해 밀거나 당기는 유입커넥팅로드;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과 상기 유출작동축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유출작동축을 상기 유입작동축의 반대방향으로 번갈아 수축측 상기 주름관부재 내부로 이동시켜 맥동을 줄이면서 유체를 유출하기 위해 밀거나 당기는 유출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밸브.
KR1020100044776A 2010-05-13 2010-05-13 다이아프램밸브 KR101116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76A KR101116054B1 (ko) 2010-05-13 2010-05-13 다이아프램밸브
PCT/KR2011/001420 WO2011142528A2 (ko) 2010-05-13 2011-03-02 다이아프램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776A KR101116054B1 (ko) 2010-05-13 2010-05-13 다이아프램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20A KR20110125320A (ko) 2011-11-21
KR101116054B1 true KR101116054B1 (ko) 2012-02-22

Family

ID=4491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776A KR101116054B1 (ko) 2010-05-13 2010-05-13 다이아프램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6054B1 (ko)
WO (1) WO201114252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60A1 (ko) 2018-06-28 2020-01-02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유체공급장치
KR20200001689A (ko) * 2018-06-28 2020-01-07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KR20200001688A (ko) * 2018-06-28 2020-01-07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610B1 (ko) * 2012-02-16 2013-04-30 조성암 에어 분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663A (ja) 2003-06-09 2004-12-24 Hayakawa Sanki Kk ベローズポンプ
JP2005155677A (ja) 2003-11-20 2005-06-16 Iwai Kikai Kogyo Co Ltd ベローズバルブ
JP2006057611A (ja) 2004-08-24 2006-03-02 Nikkiso Co Ltd 往復動ポンプ軸シ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663A (ja) 2003-06-09 2004-12-24 Hayakawa Sanki Kk ベローズポンプ
JP2005155677A (ja) 2003-11-20 2005-06-16 Iwai Kikai Kogyo Co Ltd ベローズバルブ
JP2006057611A (ja) 2004-08-24 2006-03-02 Nikkiso Co Ltd 往復動ポンプ軸シ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760A1 (ko) 2018-06-28 2020-01-02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유체공급장치
KR20200001689A (ko) * 2018-06-28 2020-01-07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KR20200001688A (ko) * 2018-06-28 2020-01-07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KR102073119B1 (ko) * 2018-06-28 2020-02-04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KR102073127B1 (ko) * 2018-06-28 2020-02-04 조성암 압출 펌핑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다아이프램 도료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320A (ko) 2011-11-21
WO2011142528A2 (ko) 2011-11-17
WO2011142528A3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054B1 (ko) 다이아프램밸브
CN106930938B (zh) 用于泵的有凹槽的活塞部件
CN105026111A (zh) 具有同轴蓄能器和活塞的液压锤
KR101259610B1 (ko) 에어 분사 장치
CN101113730A (zh) 钻井泵缸套内外表面冷却装置
US20140322051A1 (en) Multi-functional modular pump
CN101720392B (zh) 用于分配染料、漆或类似产品的机器的往复式活塞泵
CN203803682U (zh) 大型设备清洗机
CN113167270A (zh) 喷射流体泵中的活塞杆旋转特征
CN206509487U (zh) 一种360°旋转喷壶装置
CN109028670B (zh) 制冷剂充注枪
KR101506261B1 (ko) 페인트 분사용 에어리스 펌프
CN109025199B (zh) 一种操作方便的节能环保腻子喷涂机
KR102062669B1 (ko) 유체 압송용 피스톤 펌프
KR101471659B1 (ko) 에어리스 펌프의 맥동방지장치
KR101535290B1 (ko)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CN103266750A (zh) 一种喷压机
CN203816818U (zh) 水汽混合冲洗设备
CN109332271A (zh) 一种用于发动机工件深孔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204716491U (zh) 有渐开线曲线喷嘴的园林浇灌器
CN211524831U (zh) 混凝土输料装置、混凝土喷涂系统、喷涂工程车及罐车
JPS5826028Y2 (ja) 多液エアレス塗装装置
CN212672453U (zh) 一种微小型内置档位式气控介质流量阀
KR20050055973A (ko) 시멘트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공법
JP2006297327A (ja) 粉体定量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