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295B1 - 수용용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용용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295B1
KR101259295B1 KR1020110062990A KR20110062990A KR101259295B1 KR 101259295 B1 KR101259295 B1 KR 101259295B1 KR 1020110062990 A KR1020110062990 A KR 1020110062990A KR 20110062990 A KR20110062990 A KR 20110062990A KR 101259295 B1 KR101259295 B1 KR 10125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uide pin
guide groove
abra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014A (ko
Inventor
김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27D2003/105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using 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마모를 방지토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용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되어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고, 또한 수용용기 개폐장치의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에 따른 조업정지가 방지되어 조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용용기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NTAINER}
본 발명은 수용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의 노정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패킹부재의 국부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수용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하기 위해 고로 상부로 광석을 장입하는데, 고로 내부에는 일정한 압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광석을 장입하기 위해서는 광석을 노정호퍼 내부에 투입하고 고로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노정호퍼 상하부에 실링을 위한 목적으로 상부측에는 USV(UPPER SEAL VALVE)가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LSV(LOWER SEAL VALVE)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로 내에 광석을 장입하기 위해 우선 노정호퍼에 광석을 투입하는데, 이때 노정호퍼 내부에 압력을 완전히 배압하기 위해 LSV를 닫아 압력을 차단하고 배압장치를 이용하여 노정호퍼의 압력을 배출하고, 이후 USV를 열어 광석을 투입하게 된다.
또한, 노정호퍼에 투입된 광석을 노내로 장입하기 위해서 상하부측에 설치된 USV와 LSV를 닫은 후 고로 내부의 가스와 질소를 이용하여 고로 내부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한다. 이후 LSV를 열어 장입을 실시하며 장입을 완료한 후에 LSV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한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광종을 장입하기 위해 노정호퍼 내부의 압력을 배압장치를 이용하여 배압을 실시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고로 내부로 광석을 장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하루에 수백회 가량 반복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로의 상부에는 광석을 장입하기 위한 노정호퍼(10)가 2개가 설치되어 번갈아 가면서 장입하게 되는데 2개의 노정호퍼(10)의 광석을 장입하기 위해 노정호퍼(10) 하부에 집합슈트(20)가 구비된다.
이때, 집합슈트(20)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기 때문에 LSV(30) 하부에 분광이 누적되어 LSV(30)의 개폐가 반복됨에 따라 LSV(30)의 패킹부재(32) 하부가 마모 및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LSV(30)의 패킹부재(32) 하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장입 완료 후 노정호퍼(10)의 압력을 배압할 때 LSV(30)로 고로 내부의 가스가 새어 들어가 노정호퍼(10)의 압력을 완전히 배출하지 못하게 되어 노정호퍼(10)에 광석을 투입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이 경우에는 고로에 광석을 장입할 수 없게 되어 고로조업을 정지한 후 LSV(30)를 수리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조업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개구, 예컨대 고로의 노정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장치의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용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을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마모를 방지토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용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은,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에 대응토록 제공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와 상기 구동수단을 연결하면서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열거나 닫는 동안 개폐부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회전제공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는, 중공되어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회전제공부에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제공부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토록 제공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 일단이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중공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가 회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개폐부가 상기 중심축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홈부와의 간섭을 감소토록, 하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은,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핀의 진입이 용이토록, 진입부의 둔각의 모서리가 경사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제공부는, 하부에 상기 중심축보다 직경이 큰 베이스부와, 상기 개폐부와 상기 회전제공부의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용기 개폐장치는, 고로의 노정호퍼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상기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이 상기 배출구를 여는 동안 회전하여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에 의하면,수용용기의 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수용용기 개폐장치의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또한 수용용기 개폐장치의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에 따른 조업정지가 방지되어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노정호퍼의 배출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 및 이에 의해 수용용기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가 닫히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개폐장치에 의해 개구가 열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개폐장치를 상방에서 확대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에 의해 개구(310)가 닫히고 열리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에 의해 개구(310)가 열리고 있을 때 개폐부(210)가 회전하는 것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는 구동수단(100)과 구동수단(100)이 연결되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100)은 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300)의 개구(310)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100)은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연결되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를 개폐토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를 노정호퍼에 적용하는 경우, 노정호퍼 하부에 제공되는 집합슈트에 구동수단인 실린더가 고정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이 노정호퍼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은 마모되는 것을 방지토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수용물 등에 의해 국부적인 마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의 나머지 부분은 마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골고루 사용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은 개폐부(210)와 개폐부를 회전토록 제공되는 회전제공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210)는 수용용기(300)의 개구(310)를 폐쇄할 수 있도록 개구(310)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제공부(220)는 개폐부(210)와 구동수단(100)을 연결하면서 개폐부(210)가 개구(310)를 열거나 닫는 동안 개폐부(2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제공부(220)가 개폐부(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개구(310)와의 접촉 또는 수용물에 의해 개폐부(210)의 특정부분이 마모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210)의 회전은 개폐부가 개구(310)를 열거나 닫는 동안(또는 열거나 닫는 때) 또는 열고 닫는 동안 모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개폐부(210)는 개구(310)에 대응되게 제공되는데, 회전에 따라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개구(310)와 개폐부(2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폐부(210)는 중심에 중공되어 형성되는 중공부(212)와 회전제공부(220)에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21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마주하게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핀(214)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회전제공부(220)는 개폐부(210)의 중공부(212)에 삽입되어 이동토록 제공되는 중심축(230)과 상기 가이드핀(214)에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가이드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폐부(210)가 개구(310)를 열거나 닫으면서 가이드핀(214)과 가이드홈부(240)는 사이에 간섭이 선택적으로 일어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부(210)가 회전하지 않고, 간섭이 발생한 경우에만 개폐부(2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홈부(240)는 개폐부(210)의 중심축(230)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이드핀(21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홈(2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홈(242)은 중심축(230)의 외면에 중심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홈으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242)과 가이드핀(214)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면, 개폐부(210)가 중심축(230)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242)에 간섭되지 않아 개폐부(210)가 회전하지 않는다.
반면, 개폐부(210)가 중심축(230)을 따라 일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242)에 끼워져, 즉 간섭이 발생하여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24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핀(214)이 구비된 개폐부(210)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정도는 가이드홈(242)의 기울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개폐부(210)를 균등하게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10)는 원주를 따라 개구(310)와 접촉되도록 제공되는 패킹부재(216)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패킹부재(216)의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에는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부(240)에 선택적으로 간섭토록 구성되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가이드핀(214)과 가이드홈부(240)는 그 사이에 간섭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예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핀(214)은 개폐부(210)의 상면에 일단이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중공부(212)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핀(214)은 개폐부(210)의 상면에 중심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핀홈(218)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230)은 가이드홈부(240)의 상하부 각각에 가이드핀(214)이 안착되도록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핀 안착홈(232a)(232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개폐부(210)는 중심축(230)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핀 안착홈(232a)(232b)에서는 가이드핀(214)의 타단이 안착된다.
또한, 회전제공부(220)는 하부에 중심축(230)보다 직경이 큰 베이스부(250)와 개폐부(210)와 베이스부(250)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부(2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60)는 개폐부(210)를 상측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50)에 구동수단(10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에 의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닫히는 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수용용기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로서, 탄성부재(260)에 의해 개폐부(210)는 중심축(2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때 가이드핀(214)은 상부 가이드핀 안착홈(232a)에 안착되어 있다.
다음, 도 3은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닫혀지고 있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구동수단(100)이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개구(310)로 이동시켜 개폐부(210)를 개구(310)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계속하여 구동수단(100)이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개구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중심축(230)이 중공부(212)를 따라 수용용기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핀(214)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개폐부(210)와 개구(310)가 밀착되어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전이 억제되므로, 가이드핀(214)은 가이드홈(242)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242)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개폐부(21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개폐부(210)는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 도 4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한 수용용기(300)의 개구(310)의 닫힘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계속하여 구동수단(100)이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개구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중심축(230)이 중공부(212)를 따라 수용용기 내측으로 더욱 이동한다.
그리고, 중심축(230)이 이동하다가 개폐부(210)의 가이드핀(214)이 하부 가이드핀 안착홈(232b)에서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핀(214)은 수평한 상태가 되어 하부 가이드핀 안착홈(232b)에 안착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핀(214)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힌지축에 힌지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완전히 닫혔을 때, 개폐부(210)와 개구(310) 사이에서 가스가 새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250)는 개폐부(210)와 마주하는 면이 개폐부의 하면에 대응되도록 예컨대 베이스부는 개폐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완전히 닫혔을 때, 베이스부(250)가 개폐부(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의 상면 또는 개폐부의 하면에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열리고 있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구동수단(100)이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이동시켜 수용용기(300)의 개구(310)로부터 분리시키면, 탄성부재(260)에 의해 개폐부(210)는 중심축(23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핀(2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핀 안착홈(232b)에 수평하게 안착된 상태였고, 개폐부(210)는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가이드핀(214)은 가이드홈부(240)에 걸려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이드핀(214)은 수평한 상태에서 가이드홈(242)의 진입부(244)에 진입하여 가이드홈(2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핀(214)이 구비된 개폐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6은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의 가이드핀(214)과 하나의 가이드홈(242)만을 도시한 것이다.
다음, 다시 도 2에 도시된 수용용기의 개구가 열려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과정 중에서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를 닫는 과정에서는 개폐부(210)가 회전하지 않고, 여는 과정에서만 개폐부(21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핀(214)은, 중심축(230)이 개폐부(210)의 중공부(21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에 가이드홈부(240)와의 간섭을 감소토록, 하부 모서리(215)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열려 있다가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닫힐 때 개폐부(2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부(240)에 영향을 덜 받게 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핀(214)의 타단의 하부 모서리(215)를 라운드지게, 즉 곡면을 이루게 형성하여, 가이드핀(214)이 상부 가이드핀 안착홈(232a)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중심축(230)이 상측으로 이동시 가이드홈부(240)와 접촉하는 가이드핀(214)의 하부 모서리(215)가 모나지 않고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홈(242)에 걸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열려 있다가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닫힐 때, 가이드핀(214)과 가이드홈부(240)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켜, 개폐부(21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42)은 하부에서 가이드핀(214)의 진입이 용이토록 진입부(244)의 둔각의 모서리(245)가 경사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수용용기(300)의 개구(310)가 닫혀 있다가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에 의해 열릴 때, 개폐부(21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242)을 따라 이동하여야 한다.
즉, 이때에는 가이드핀(214)이 가이드홈(242)의 진입부(244)에 진입하여 가이드홈(24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가이드홈와 이에 인접한 가이드홈 사이가 막혀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핀(214)이 이에 걸려 가이드홈(242)에 진입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개폐부(210)가 중심축(23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는 가이드핀(214) 등의 부품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홈(242) 간의 사이에 막혀 있는 부분이 가능하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홈(242)의 진입부(244)의 양측 모서리 중 둔각을 이루는 모서리(245)를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홈(242)의 진입부(244)들이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가이드홈(242) 간의 막혀 있는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핀(214)이 하부 가이드핀 안착홈(232b)으로부터 가이드홈(242)의 진입부(244)에 쉽게 진입하게 되어,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는, 고로의 노정호퍼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개폐토록 제공될 수 있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정호퍼의 배출구가 기울어져 형성되어 배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는 LSV는 하부에 집중적으로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용용기 개폐장치(1)를 적용하여, LSV가 배출구를 여는 동안 회전토록 구성함으로써, LSV 하부의 집중적인 마모 및 손상이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SV를 전체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LSV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LSV의 마모 및 손상에 따른 조업중단 문제가 방지되어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수용용기 개폐장치 100 ... 구동수단
200 ... 마모방지형 개폐수단 210 ... 개폐부
212 ... 중공부 214 ... 가이드핀
220 ... 회전제공부 230 ... 중심축
240 ... 가이드홈부 242 ... 가이드홈
250 ... 베이스부 260 ... 탄성부재

Claims (8)

  1. 삭제
  2. 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구동수단(100); 및 상기 구동수단(10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마모를 방지토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은,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에 대응토록 제공되는 개폐부(210)와, 상기 개폐부와 상기 구동수단을 연결하면서 개폐부가 상기 개구를 열거나 닫는 동안 개폐부를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회전제공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210)는, 중공되어 형성되는 중공부(212)와, 상기 회전제공부(220)에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214)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제공부(220)는, 상기 중공부(212)에 삽입되어 이동토록 제공되는 중심축(230)과, 상기 중심축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홈(242)이 구비된 가이드홈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214)은, 상기 개폐부(210)의 상면에 일단이 힌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중공부(212)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210)가 상기 중심축(23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핀(214)이 상기 가이드홈(24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개폐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214)은, 상기 중심축(230)이 상기 개폐부(210)의 중공부(21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홈부(240)와의 간섭을 감소토록, 하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42)은,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핀(214)의 진입이 용이토록, 진입부(244)의 둔각의 모서리가 경사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공부(220)는, 하부에 상기 중심축(230)보다 직경이 큰 베이스부(250)와, 상기 개폐부(210)와 상기 회전제공부(220)의 베이스부(2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8. 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구동수단(100); 및 상기 구동수단(10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용기의 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마모를 방지토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마모방지형 개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로의 노정호퍼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개폐토록 제공되되, 상기 마모방지형 개폐수단이 상기 배출구를 여는 동안 회전하여 국부적인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 개폐장치.
KR1020110062990A 2011-06-28 2011-06-28 수용용기 개폐장치 KR10125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90A KR101259295B1 (ko) 2011-06-28 2011-06-28 수용용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90A KR101259295B1 (ko) 2011-06-28 2011-06-28 수용용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14A KR20130002014A (ko) 2013-01-07
KR101259295B1 true KR101259295B1 (ko) 2013-05-06

Family

ID=4783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990A KR101259295B1 (ko) 2011-06-28 2011-06-28 수용용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7622B2 (ja) 2014-01-28 2016-07-27 日本板硝子環境アメニティ株式会社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14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592A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1259295B1 (ko) 수용용기 개폐장치
TW201343322A (zh) 離心桶研磨機及研磨方法
CN100574998C (zh) 双转台式抛丸强化清理机
CN102413938B (zh) 用于破碎物料的立轴冲击式破碎机、腔环及其安装方法
KR101969107B1 (ko) 원료 공급장치
KR20160067531A (ko)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CN103252703A (zh) 湿式流动滚磨装置
US3780890A (en) Furnace charging apparatus
KR101419392B1 (ko) 원료 편중 방지장치
KR20090033958A (ko) 낙광 방지를 위한 원료 이송 컨베이어의 스커트
CN216615197U (zh) 微粒子洗衣机中的微粒循环利用装置
KR100832963B1 (ko) 원료불출 리크레이머의 밀폐형 버켓트 장치
KR102096490B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밸브장치
CN2870986Y (zh) 磨机排渣装置
CN209127344U (zh) 骨料配料仓精度调节的仓门控制机构
JP4463964B2 (ja) 粉体供給装置
KR101207616B1 (ko)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2315241B1 (ko) 발전소 보일러의 밸브 시트용 랩핑장치
KR102352373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장치
CN110482052A (zh) 颗粒物及液体混合物储料仓的阀结构及储料仓
KR200234569Y1 (ko) 와류식 바렐연마기
KR101989231B1 (ko) 스커트 장치
JP5884391B2 (ja) リクレーマ
KR20130014804A (ko) 호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