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995B1 -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 Google Patents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995B1
KR101258995B1 KR1020100034225A KR20100034225A KR101258995B1 KR 101258995 B1 KR101258995 B1 KR 101258995B1 KR 1020100034225 A KR1020100034225 A KR 1020100034225A KR 20100034225 A KR20100034225 A KR 20100034225A KR 101258995 B1 KR101258995 B1 KR 10125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tile
jig
shaped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858A (ko
Inventor
류지현
Original Assignee
이현배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배쓰(주) filed Critical 이현배쓰(주)
Priority to KR102010003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9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025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the mould surface being made of or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mall elements, e.g. to create double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6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letters or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88Moulds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oulded article serves as mould surface, e.g. moulding articles on or against a previously shaped article, between previously 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지그판에 그 전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열의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과 그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행의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과 이들 전후측 및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의 내측에 다수 열 및 다수 행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을 형성하고, 이들 라이너 고정공에 1자형 라이너와 一자형 라이너와 十자형 라이너와 ㅗ자형 라이너와 ㅜ자형 라이너와 ㅏ자형 라이너 및 ㅓ자형 라이너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이들 라이너 사이에 장방형 타일, 정방형 타일, 자투리 타일 및 포인트 타일들을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타일 패널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지그판에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과 마이너스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을 구비하여 정타일을 이용한 정타일 패널과 마이너스타일을 이용한 마이너스타일 패널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Jig for manufacturing tile panel having various tile pattern}
본 발명은 조립식 욕실 등의 벽면이나 바닥면 등에 부착되는 타일 패널 제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그판에 천공된 라이너 고정공에 라이너를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타일 패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콘크리트로 시공된 건축물의 벽면에 타일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시멘트몰탈을 사용하여 습식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타일 부착 방법은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시공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일정 시간 경과해야 비로소 타일 부착이 완료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판체의 표면에 미리 타일을 부착한 타일 패널을 제작하여 현장 시공 시에는 건식으로 타일 패널을 벽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종래 타일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10-107577(이하, '선등록 발명'이라 함)의 '타일이 부착된 판넬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선등록 발명에서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되어 타일의 위치를 안내하는 다수의 크로스 라이너와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 한 쌍의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이 결합된 하부형틀과; 상기 하부형틀의 상측에 위치하며 소재공급수단으로부터 발포성 수지 등의 패널 소재를 공급받는 상부형틀로 이루어지는 타일 패널 제조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타일 패널 제조장치에 의해 타일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형틀의 크로스 라이너 사이에 타일을 표면이 밑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그 상측에 상부형틀을 위치시키고, 그 내측에 패널 소재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면 타일이 일체로 부착된 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크로스 라이너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십자형 가이드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형틀의 크로스 라이너 사이에 타일을 위치시켰을 때 크로스 라이너의 타일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크로스 라이너의 가이드판에 안내되어 원하는 타일 패턴이 구성된다. 또한 타일들은 크로스 라이너의 가이드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만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패널 소재를 주입하면 타일 사이의 틈새에 패널 소재가 충전되어 모눈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등록 발명에서는 크로스 라이너만을 사용하여 타일 패턴을 구성하는 것이므로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의 타일 패턴을 구성할 수 있을 뿐 다양한 형태의 타일 패턴을 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그판에 다양한 종류의 라이너를 복합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타일 패턴의 타일 패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규 규격의 정타일(正 tile)을 가지는 정타일 패널과, 정규 규격보다 작은 규격의 마이너스타일(minus tile)을 가지는 마이너스타일 패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라이너 고정공이 형성된 지그판과; 상기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다수의 라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라이너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ㅜ' 또는 'ㅗ' 자 형태 중 어느 하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라이너 고정공이 형성된 지그판과 상기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다수의 라이너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라이너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ㅏ' 또는 'ㅓ' 자 형태 중 어느 하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열의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과,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행의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 및 상기 전후측 및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 열 및 행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을 가지는 지그판과; 상기 라이너 고정공 중 좌우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이 대응하는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1자형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 고정공 중 전후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一자형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 고정공 중 상하좌우 4개의 타일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十자형 라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 중 좌우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과 하측 1개의 타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ㅗ자형 라이너와;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 중 좌우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과 상측 1개의 타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ㅜ자형 라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판의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 중 포인트 타일의 좌우측 가장자리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 주위에 형성되는 포인트용 라이너 고정공과;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중 우측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ㅏ자형 라이너; 및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중 좌측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ㅓ자형 라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열의 전후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과,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행의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과, 상기 전후측 및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 열 및 행의 내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및, 상기 전후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및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들보다 내측에 상기 내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마이너스타일용 내측 라이너 고정공을 가지는 지그판과; 상기 라이너 고정공 중 좌우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이 대응하는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1자형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 고정공 중 전후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一자형 라이너와; 상기 지그판의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 중 포인트 타일의 좌우측 가장자리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 주위에 형성되는 포인트용 라이너 고정공과;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중 우측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ㅏ자형 라이너; 및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중 좌측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ㅓ자형 라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1자형 라이너는 상기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1자형 간격유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一자형 라이너는 상기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一자형 간격유지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十자형 라이너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十자형 간격유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ㅗ자형 라이너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ㅗ자형 간격유지편로 구성되고, 상기 ㅜ자형 라이너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ㅜ자형 간격유지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ㅏ자형 라이너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ㅗ자형 간격유지편로 구성되고, 상기 ㅓ자형 라이너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단에 형성되는 ㅜ자형 간격유지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는 지그판에 그 전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열의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과 그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행의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과 이들 전후측 및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의 내측에 다수 열 및 다수 행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을 형성하고, 이들 라이너 고정공에 1자형 라이너와 一자형 라이너와 十자형 라이너와 ㅗ자형 라이너와 ㅜ자형 라이너와 ㅏ자형 라이너 및 ㅓ자형 라이너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이들 라이너 사이에 장방형 타일, 정방형 타일, 자투리 타일 및 포인트 타일들을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타일 패널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지그판에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과 마이너스타일용 라이너 고정공을 구비하여 정타일을 이용한 정타일 패널과 마이너스타일을 이용한 마이너스타일 패널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사용되는 라이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 및 타일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타일 패널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사용되는 라이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 및 타일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타일 패널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사용되는 라이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 및 타일의 분해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타일 패널의 사시도,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사용되는 라이너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 및 타일의 분해 사시도,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에 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타일 패널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 가능한 타일 패턴을 예시한 평면도,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26은 지그판의 평면도,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판에 정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판에 마이너스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판에 마이너스타일을 배열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장방형 타일(T1)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타일 패널 제조용 지그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과, 다수개의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 및 상기 전후측 및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1, 112)들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을 가지는 지그판(110)과;
상기 라이너 고정공(111, 112, 113)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 및 十자형 라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판(110)은 통상적인 타일 패널의 규격보다 전후좌우로 여유를 가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1자형 라이너(120)는 상기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 중 좌우 2개의 장방형 타일(T1)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장방형 타일(T1)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1자형 라이너(120)는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 중 하나 건너 하나씩에 고정된다.
상기 一자형 라이너(130)는 상기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 중 전후 2개의 장방형 타일(T1)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장방형 타일(T1)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一자형 라이너(130)는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1)에 모두 고정된다.
상기 十자형 라이너(140)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중 전후좌우 4개의 장방형 타일(T1)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는 장방형 타일(T1)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되는 예를 보인 것으로, 十자형 라이너(140)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중 하나 건너 하나씩에 고정된다.
상기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 및 十자형 라이너(140)는 각각 상기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과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 및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21, 131, 141)와, 상기 고정돌기(121, 131, 141)의 상단에 형성되는 1자형 간격유지편(122)과 일자형 간격유지편(132) 및 十자형 간격유지편(142)로 구성된다.
상기 라이너 고정공(111, 112, 113)과 상기 고정돌기(121, 131, 141)는 각각 하나 구멍과 돌기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지그판(110)에 대한 라이너(120, 130, 140)의 결합 자세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예와 같이, 각각 2개의 구멍과 2개의 돌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과 이에 대응하는 1자형 라이너(120)의 고정돌기(121)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멍과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과 이에 대응하는 一자형 라이너(130)의 고정돌기(131)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멍과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과 이에 대응하는 十자형 라이너(140)의 고정돌기(141)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멍과 2개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라이너(120, 130, 140)의 간격유지편(122, 132, 142)은 통상적인 타일의 눈금 간격에 상당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91, 192, 193, 194는 지그판(110)의 전후좌우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이고, 201, 202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193, 194)의 내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프레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를 사용하여 타일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판(110)의 가장자리에 프레임(191, 192, 193, 194)과 슬라이드 프레임(201, 202)을 설치한다.
상기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 중 2개의 장방형 타일(T1)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에 고정돌기(121)를 삽입하여 1자형 라이너(120)를 지그판(110)에 고정하고, 상기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의 모두에 각각 고정돌기(131)를 삽입하여 一자형 라이너(130)를 지그판(110)에 고정하며,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중 4개의 장방형 타일(T1)의 구석부분에 대응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고정돌기(141)를 삽입하여 十자형 라이너(140)를 지그판(110)에 고정한다.
즉, 상기 1자형 라이너(120)는 상기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에 고정돌기(121)를 하나 건너 하나씩 고정하고, 一자형 라이너(130)는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 모두에 각각 고정하며, 十자형 라이너(140)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하나 건너 하나씩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1자형 라이너(120), 一자형 라이너(130), 十자형 라이너(140)와 프레임(191, 192, 193, 194) 및 슬라이드 프레임(201, 202) 사이에 장방형 타일(T1)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한다. 상기 장방형 타일(T1)은 표면이 밑을 향하고 이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열한다.
도시예에서는 표준규격의 타일 패널(P)을 제조하는 예를 든 것으로, 그 규격 상 모두 장방형 타일(T1)로 배열하지 못하고 우측에 장방형 타일(T1)보다 좌우 폭이 좁은 타일, 즉 장방형 타일(T1)을 절단한 자투리 타일(T2)을 배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장방형 타일(T1)과 자투리 타일(T2)들은 각 라이너(120, 130, 140)의 간격유지편(122, 132, 142)에 그 가장자리가 밀착되면서 각 장방형 타일(T1) 사이에는 간격유지편(122, 132, 142)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
장방형 타일(T1)과 자투리 타일(T2)이 모두 배열되면, 그 위에 상부형틀(미도시)을 조립한다. 상부 형틀은 종래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장방형 타일(T1)과 자투리 타일(T2)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프레임(191, 192, 193, 194) 위에 조립되는 상부판(미도시)과 이 상부판을 통과하여 패널소재를 주입하는 패널소재주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패널소재주입수단으로부터 상부판을 관통하여 상부판과 장방형 타일(T1)과 자투리 타일(T2)과 프레임(191, 192) 및 슬라이드 프레임(201, 202)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에 패널 소재를 주입한다.
상기 캐비티에 주입된 패널 소재가 경화되면 상부형틀을 분해하고, 프레임(191, 192, 193, 194)과 슬라이드 프레임(201, 202)을 분해함으로써 패널본체(B)에 장방형 타일(T1)과 자투리 타일(T2)이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부착된 타일 패널(P)이 완성된다.
상기 패널 소재는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정방형 타일(T3)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타일 패널 제조용 지그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판(110)과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 및 十자형 라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정방형 타일(T3)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 모두에 1자형 라이너(120)를,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에 一자형 라이너(130)를,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十자형 라이너(140)를 각각 고정하고, 정방형 타일(T3)을 통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여 타일 패널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며, 여타 구성과 제조과정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장방형 타일(T1)을 막힌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타일 패널 제조용 지그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는 지그판(110)과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장방형 타일(T1)을 막힌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중 좌우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과 하측 1개의 타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고정되는 ㅗ자형 라이너(150)와,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중 좌우 2개의 타일의 구석부분과 상측 1개의 타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고정되는 ㅜ자형 라이너(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방형 타일(T1)을 프레임(191, 192, 193, 194)과 슬라이드 프레임(201, 202),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와 ㅗ자형 라이너(150) 및 ㅜ자형 라이너(160) 사이에 막힌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타일 패널(P)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ㅗ자형 라이너(150)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51)와, 상기 고정돌기(15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ㅗ자형 간격유지편(152)로 구성되며, ㅜ자형 라이너(160)는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61)와, 상기 고정돌기(16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ㅜ자형 간격유지편(162)로 구성된다.
여타 구성 및 타일 패널 제조 과정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장방형 타일(T1)과 포인트 타일(T4)을 통줄눈 및 막힌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타일 패널 제조용 지그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는 지그판(110)과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와 ㅗ자형 라이너(150)와 ㅜ자형 라이너(160) 및 十자형 라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며, 장방형 타일(T1)과 포인트 타일(T4)을 통줄눈 및 막힌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그판(110)의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중 포인트 타일(T4)의 좌우측 가장자리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 주위에 형성되는 포인트용 라이너 고정공(114)과;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4) 중 우측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4)에 고정되는 ㅏ자형 라이너(170); 및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4) 중 좌측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4)에 고정되는 ㅓ자형 라이너(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장방형 타일(T1)과 포인트 타일(T4)을 프레임(191, 192, 193, 194)과 슬라이드 프레임(201, 202),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와 十자형 라이너(140)와 ㅗ자형 라이너(150)와 ㅜ자형 라이너(160)와 ㅏ자형 라이너(170) 및 ㅓ자형 라이너(180) 사이에 통줄눈 및 막힌줄눈 길이배열 형태로 배열하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타일 패널(P)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ㅏ자형 라이너(170)는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71)와, 상기 고정돌기(17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ㅏ자형 간격유지편(172)로 구성되며, ㅓ자형 라이너(180)는 상기 포인트 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81)와, 상기 고정돌기(18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ㅓ자형 간격유지편(182)로 구성된다.
여타 구성 및 타일 패널 제조과정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원리에 따라 다양한 타일 패턴을 가지는 타일 패널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는, 상기 지그판(110)에 다수개의 전후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과,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6)과, 상기 전후측 및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116)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7)과, 상기 전후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 및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6)들보다 내측에 상기 내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7)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마이너스타일용 내측 라이너 고정공(118)을 구비하여 정타일 패널과 마이너스타일 패널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후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과 동일하며,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6)은 상술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에 비해 그 개수를 적게 한 것만 다르고 동일하다.
여기서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 사이의 간격과 마이너스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8)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다. 즉,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116)(117)는 정타일의 표준 규격에 따른 간격으로 설치되고, 마이너스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8)은 정타일의 표준 규격에 따른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5)(116)(117)에 1자형 라이너(120)와 十자형 라이너(140)를 설치하고, 이들 1자형 라이너(120)와 十자형 라이너(140) 사이에 정타일(T5)을 배열하여 정타일 패널을 제조하거나,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너스타일용 라이너 고정공(118)에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를 설치하고, 이들 1자형 라이너(120)와 一자형 라이너(130) 사이에 마이너스타일(T6)을 배열하여 마이너스타일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여타 제조과정 등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110 : 지그판 111 :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
112 :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 113 : 내측 라이너 고정공
114 : 포인트용 라이너 고정공 115 : 전후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116 : 좌우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117 : 내측 정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118 : 내측 마이너스타일용 라이너 고정공
120 : 1자형 라이너 130 : 一자형 라이너
140 : 十자형 라이너 150 : ㅗ자형 라이너
160 : ㅜ자형 라이너 170 : ㅏ자형 라이너
180 : ㅓ자형 라이너 T1 : 장방형 타일
T2 : 자투리 타일 T3 : 정방형 타일
T4 : 포인트 타일 T5 : 정타일
T6 : 마이너스타일

Claims (7)

  1. 다수의 라이너 고정공이 형성된 지그판과 상기 라이너 고정공에 고정되는 다수의 라이너를 포함하는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판은 전후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열의 전후측 라이너 고정공(111)과,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다수 행의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2) 및 상기 전후측 및 좌우측 라이너 고정공(111, 1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 열 및 행의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고정되는 상기 라이너의 형태는 'ㅜ', 'ㅗ', 'ㅏ', 'ㅓ' 또는 ‘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서,
    상기 지그판 내에 거치되는 타일은 장방형, 자투리, 정방형, 포인트, 마이너스, 정 타일 중 서로 다른 2가지 형태 이상의 타일이어서 서로 다른 규격이 한판에 형성되거나,
    상기 지그판 내에 거치되는 타일은 라이너 사이에 배열되는 인접하는 열의 타일의 줄눈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ㅗ자형 라이너(150)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51)와 상기 고정돌기(15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ㅗ자형 간격유지편(1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ㅜ자형 라이너(160)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61)와 상기 고정돌기(16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ㅜ자형 간격유지편(16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ㅏ자형 라이너(170)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71)와 상기 고정돌기(17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ㅏ자형 간격유지편(172)으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ㅓ자형 라이너(180)는 상기 내측 라이너 고정공(11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181)와 상기 고정돌기(181)의 상단에 형성되는 ㅓ자형 간격유지편(18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7. 삭제
KR1020100034225A 2010-04-14 2010-04-14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KR10125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225A KR101258995B1 (ko) 2010-04-14 2010-04-14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225A KR101258995B1 (ko) 2010-04-14 2010-04-14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858A KR20110114858A (ko) 2011-10-20
KR101258995B1 true KR101258995B1 (ko) 2013-04-29

Family

ID=4502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225A KR101258995B1 (ko) 2010-04-14 2010-04-14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060A (ko) 2015-04-30 2016-11-10 이현배쓰(주) 타일 모서리 깨짐 방지 타일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타일패널
CN105149510A (zh) * 2015-09-30 2015-12-16 苏州新协力特种工业模板有限公司 一种多孔模板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444A (ja) * 1990-07-27 1992-03-18 Inax Corp タイル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0110324A (ja) * 1998-10-02 2000-04-18 Danto Corp ユニットタイルの製造方法
JP2000199327A (ja) * 1998-10-29 2000-07-18 Bunshiyoudou:Kk タイル整列用パレット
JP2000343517A (ja) * 1999-04-02 2000-12-12 Nobuyuki Hasegawa タ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5444A (ja) * 1990-07-27 1992-03-18 Inax Corp タイル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0110324A (ja) * 1998-10-02 2000-04-18 Danto Corp ユニットタイルの製造方法
JP2000199327A (ja) * 1998-10-29 2000-07-18 Bunshiyoudou:Kk タイル整列用パレット
JP2000343517A (ja) * 1999-04-02 2000-12-12 Nobuyuki Hasegawa タ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858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811B1 (ko) 장식판재 결합체를 구비한 옹벽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ITTO980424A1 (it) Modulo di finitura prefabbricato per la realizzazione di costruzioni edilizie e costruzioni edilizia cosi' ottenute.
KR101258995B1 (ko)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KR101203298B1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HRP20051012A2 (en) Panel for the production of a swimming pool
JP5185742B2 (ja) 柵および柵の施工方法
KR101124791B1 (ko) 거푸집 길이 가변장치
KR20170118625A (ko) 삼차원 프린터로 출력된 조립식 조형물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KR101247837B1 (ko)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JP2009179993A (ja) 壁構造体および壁の施工方法
KR20190000957A (ko) 거푸집 연결구 및 간격유지구를 이용한 거푸집패널 연결방법
KR101165775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제조방법
JP4056789B2 (ja) 外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90645B1 (ko) 타일몰딩장치
KR20160130060A (ko) 타일 모서리 깨짐 방지 타일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타일패널
JP6184135B2 (ja) 袖壁下地体、袖壁下地体を用いた袖壁の固定構造および袖壁下地体を用いた袖壁の施工方法
JP4199091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型枠における配筋装置及び配筋方法
KR101776200B1 (ko)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EP4063583A1 (en) Floor tile
KR101458717B1 (ko) 블록 형성 장치
JP6781471B2 (ja) 床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937229Y (zh) 地砖结构
CN104088379B (zh) 家装用背景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