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171B1 -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 Google Patents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171B1
KR101258171B1 KR1020110075152A KR20110075152A KR101258171B1 KR 101258171 B1 KR101258171 B1 KR 101258171B1 KR 1020110075152 A KR1020110075152 A KR 1020110075152A KR 20110075152 A KR20110075152 A KR 20110075152A KR 101258171 B1 KR101258171 B1 KR 10125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ing portion
seat
separation groov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631A (ko
Inventor
이가연
Original Assignee
이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가연 filed Critical 이가연
Priority to KR102011007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1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석의 좌우 앉음부를 요홈형태의 분리홈부에 의해 이격되게 형성하고, 쿠션을 지닌 좌우 앉음부를 둥글게 솟은 형태로 형성하며, 방석의 하측을 자유롭게 구부려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착석감과 통풍성이 우수한 방석을 소파나 자동차의 시트 상면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진 부분에도 안정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두리(2)의 내측에 자체 탄성을 지닌 앉음부(4)가 형성된 방석(1)의 가운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분리홈부(3)가 형성되고, 분리홈부(3)의 양측에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앉음부(4)가 솟아오르게 형성되며, 양측 앉음부(4)의 하부에는 솟아오른 앉음부(4)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질 수 있게 하는 공간부(6)가 형성된 방석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2)의 하부에는 테두리(2)가 구부려질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8)가 하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Cushion with split sitting parts}
본 발명은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석의 좌우 앉음부를 요홈형태의 분리홈부에 의해 이격되게 형성하고, 쿠션을 지닌 좌우 앉음부를 둥글게 솟은 형태로 형성하며, 방석의 하측을 자유롭게 구부려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착석감과 통풍성이 우수한 방석을 소파나 자동차의 시트 상면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진 부분에도 안정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의 방석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13285호(통풍수단을 갖는 방석과 그것을 좌판구조로 하여 일체화한 의자 : 종래발명)의 발명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327호(방석의 쿳숀 : 종래고안)의 고안이 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
상기 첫 번째 기재의 종래발명은 굳고 딱딱한 바닥판위에 소프트한 재질의 쿠션체를 부착하여 방석 또는 의자의 좌판을 구성하되, 상기의 쿠션체는 전후부로 연결한 통풍로과 통풍로 중앙부에 형성하는 확대된 통풍로로 구성된 통풍수단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발명은 쿠션체에 형성하는 통풍로에 의해 의자 또는 방석에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 밑의 공기흐름이 자유로워 땀이 쉽게 차지 않으며, 공기 접촉에 의한 열 발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종래발명은 하측의 바닥판이 굳고 딱딱하게 제작되어서 사람이 앉게 되는 좌판부(앉는 면)가 평탄하지 않고 굴곡지게 형성된 의자류(소파의 굴곡진 시트 상면, 자동차의 굴곡진 시트 상면, 그리고 사무용의자의 굴곡진 상면)에는 올려놓고 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종래발명의 방석 하측의 바닥판이 굳고 딱딱하므로 부주의시 사람을 다치게 할 염려가 있어 실질적으로 방석으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 기재의 종래고안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기타 탄성재질로 된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연부측에 여러 개의 탄조를 프레임의 양측면으로 교호로 융출되게 병렬로 만곡 형성하여 쿳숀을 형성한 뒤에, 그 쿳숀음 방석 카버에 넣어서 방석을 형성함으로써, 방석의 내부에 공간을 두고 좌면에 여러 개의 탄조가 탄력성 있게 지지되어 보다 안락하게 앉을 수 있는 동시 통기성이 원활한 방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사람이 앉았을 때에도 완전히 찌그려 지지 않으면서 소정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으려면 종래고안을 형성하는 쿳숀의 외곽 프레임은 물론이고,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탄조를 금속이나 단단한 합성수지재로서 두껍게 제작해야 한다.
위와 같이 프레임과 다수개의 탄조가 금속이나 단단한 합성수지재로서 두껍게 제작하게 되면 그 무게가 무거워 짐은 물론이고, 그 쿳숀이 단단하여 사용자를 다치게 할 염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13285호(통풍수단을 갖는 방석과 그것을 좌판구조로 하여 일체화한 의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327호(방석의 쿳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석의 좌우 앉음부를 요홈형태의 분리홈부에 의해 이격되게 형성하고, 쿠션을 지닌 좌우 앉음부를 둥글게 솟은 형태로 형성하며, 방석의 하측을 자유롭게 구부려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착석감과 통풍성이 우수한 방석을 소파나 자동차의 시트 상면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고 만곡진 부분에도 안정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소쿠리를 엎어놓은 형태에서 가운데에 도랑형태의 분리홈부를 형성한 새로운 방석을 제공하여 무더운 하절기에 통풍이 잘 되고 편안한 쿠션감을 주는 방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두리의 내측에 자체 탄성을 지닌 앉음부가 형성된 방석의 가운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분리홈부가 형성되고, 분리홈부의 양측에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앉음부가 솟아오르게 형성되며, 양측 앉음부의 하부에는 솟아오른 앉음부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질 수 있게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방석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하부에는 테두리가 구부려질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가 하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은, 방석의 좌우 앉음부를 요홈형태의 분리홈부에 의해 이격되게 형성하고, 쿠션을 지닌 좌우 앉음부를 둥글게 솟은 형태로 형성하며, 방석의 하측을 자유롭게 구부려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착석감과 통풍성이 우수한 방석을 소파나 자동차의 시트 상면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고 굴곡진 부분에도 안정되게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방석을 소쿠리를 엎어놓은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좌우 앉음부가 이격된 부분에서의 통풍이 잘 됨은 물론이고, 앉음부 전체에서 통풍이 잘 되는 효과가 있으며, 좌우 방석체가 분리 형성된 경우에 좌우로 분리 형성된 방석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간격을 조절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11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형상을 달리하는 각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스폰지나 솜, 연질 합성수지 발포체와 같이 소정의 쿠션을 지닌 쿠션체로 형성되는 방석(1)에 있어서, 상기 방석(1)은 가운데에 전후길이 방향으로 통풍을 위한 분리홈부(3)가 형성되고, 분리홈부(3)의 양측에 앉음부(4)가 솟아오르게 형성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스폰지나 솜, 연질 합성수지 발포체와 같이 소정의 쿠션을 지닌 쿠션체로 형성되는 방석(1)에 있어서, 상기 방석(1)은 좌우 방석체(1a)가 각기 개별적으로 분리 형성되며, 양측 방석체(1a)의 내향측 저면에는 수개의 연결구멍(10)이 형성되고, 양측 방석체(1a) 하측에는 양측 방석체(1a)의 연결구멍(10)에 끼워지는 돌기(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결대(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양측 방석체(1a)의 앉음부(4)가 상측으로 솟아오르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양측 엉덩이가 눌리는 부분을 상측으로 둥글게 솟아오르게 형성하여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쿠션력을 향상되게 하며, 양측 엉덩이 살을 내측으로 모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 이실시예에서 앉음부(4)는 상측으로 솟아오르게 형성되나, 저면은 평평하게 형성하여 평평한 바닥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혀둔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삼실시예로서, 이는 소재 자체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이나 대나무, 합성수지재로서 제작하게 되며, 테두리(2)의 내측 가운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분리홈부(3)가 형성되고, 분리홈부(3)의 양측에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지니는 앉음부(4)가 솟아오르게 형성된다.
이때, 앉음부(4)는 분리홈부(3)의 외측과 테두리(2)의 내측 사이에 형성되며, 이들 양측 앉음부(4)의 하부에는 솟아오른 앉음부(4)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져 내려갈 수 있는 공간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6)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방이 개방되어 앉음부(4)는 상측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6)에는 쿠션재(13)가 삽입 설치되어 솟아오른 앉음부(4)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져 내려갈 때, 하측으로 처지는 앉음부(4)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하고, 상기 분리홈부(3)의 저면은 테두리(2)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선상이 되게 형성하여 테두리(2)의 저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방석을 놓게 되는 바닥면에 접촉 지지하게 된다.
상기 쿠션재(13)는 앉음부(4)의 하부가 하측으로 처질 때 그 처지는 부분을 신축 또는 탄력적으로 받쳐주면 되는 것으로서, 압축스폰지나 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합성수지발포체, 솜, 스프링 등의 소재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사실시예의 경우도 소재 자체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이나 대나무, 합성수지재로서 제작하게 되며, 테두리(2)의 내측에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지니는 앉음부(4)가 상측으로 솟아오르게 형성되고, 양측 앉음부(4)의 하부에는 솟아오른 앉음부(4)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질 수 있게 하는 공간부(6)가 형성된 방석체(1a)가 좌우로 이격되게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양측 방석체(1a)의 내향측 테두리(2) 저면에는 수개의 연결구멍(10)이 형성된 연결부(9)가 형성되고, 양측 방석체(1a) 하측에는 양측 방석체(1a)의 연결구멍(10)에 끼워지는 돌기(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연결대(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6)에는 쿠션재(13)가 삽입 설치되어 솟아오른 앉음부(4)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져 내려갈 때, 하측으로 처지는 앉음부(4)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C-C선 단면도이나, 삼 및 사실시예에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테두리(2)의 하부나, 분리홈부(3)의 하부에 테두리(2) 및 분리홈부(3)가 구부려질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8)가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는 자동차나 소파, 그리고 의자의 시트부가 평탄하지 않고 만곡 또는 굴곡진 부분(이하, "만곡시트부" 라고 칭함)에 본 발명을 깔아두고 앉을 때, 본 발명의 방석(1) 저면이 만곡시트부의 형상에 맞게 만곡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삼 및 사실시예에서 앉음부(4)가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는 것은, 대나무 살을 바둑판무늬로 엮거나, 또는 합성수지재를 바둑판 모양으로 사출 형성하는 경우에 그 대나무 살을 엮은 것이나 합성수지재를 바둑판 모양으로 사출 형성한 것이 자체탄성을 지니게 되는데, 그 것들을 그물형태라고 칭한 것임을 밝힌다.
상기 대나무살이나 합성수지재의 살부분(그물눈 부분)을 반드시 바둑판 모양으로만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도 11의 (나)(다)와 같이 테두리가 원형이나 반원형인 경우에는 살부분(그물눈)의 모양을 그 테두리의 모양에 맞게 라운드나, 경사방향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1은 방석(1)의 모양이 사각형, 원형, 그리고, 일측은 반원형이면서 타측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방석의 모양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10은 좌우로 방석체(1a)가 분리 형성된 경우에 좌우 방석체(1a)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구멍(10)은 좌우방향으로 수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 및 이실시예는 방석(1)을 제작하는 소재가 압축스폰지나, 합성수지 발포소재, 솜 등의 쿠션재로서 제작 형성하게 되는데, 방석(1)의 외부에는 외피(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 이실시예는 양측의 앉음부(4)가 좌우로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양측 엉덩이(15) 사이의 골부분(일실시예에서는 분리홈부(3), 이실시예에서는 좌우 방석체(1a) 사이의 공간)이 통풍이 되어 의자 또는 방석에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 밑의 공기흐름이 자유로워 땀이 쉽게 차지 않으며, 공기 접촉에 의한 열 발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 습진 등을 예방하는 등 항상 쾌적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일, 이실시예의 양측 앉음부(4)가 상측으로 솟아오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양측 엉덩이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뼈가 있는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이 상측으로 솟아오르게 형성되어 그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되며, 그로인하여 그 두꺼운 부분의 쿠션이 가장 양호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에 뼈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엉덩이에 하측 방향으로 가장 큰 수직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그에 대응하는 앉음부(4)의 솟아올라 두꺼운 부분이 뼈가 있는 엉덩이 부분을 큰 쿠션력으로 지지하여 배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의 솟아오른 앉음부(4)에 의해 엉덩이(15)를 내측으로 모아주는 작용을 하여 엉덩이가 퍼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되는 효과를 아울러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석(1)의 양측 전방에는 허벅지의 하측이 배기지 않도록 호형으로 살 빼기한 요홈부(5)가 형성되어 허벅지 하측에 대한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작용설명과 동일한 작용을 함과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좌우측 방석체(1a)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그 개별적으로 형성된 방석체(1a)를 연결대(11)로 연결하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수개의 연결구멍(10)에 연결대(11)의 돌기(12)를 끼우면서 양측 방석체(1a)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대(11)에 의해 양측 방석체(1a)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체격이 작은 어린이부터 체격이 큰 성인까지 자기의 체격에 맞게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측 방석체(1a)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인데, 이는 마치 대나무살로 엮은 소쿠리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그 소쿠리의 둥글게 솟아오른 부분에 탄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삼실시예는 위와 같이 소쿠리를 엎어 놓은 상태에서 그 불룩하게 솟아오른 가운데에 도랑과 같은 분리홈부(3)를 형성한 것으로서, 양측의 불룩하게 솟아오른 부분에 탄력이 작용하고 가운데의 분리홈부(3)에서는 전후방향으로의 통풍이 되고, 앉음부(4)는 전체적으로 그물형태로 형성되어 앉음부(4) 전체가 통풍이 잘 되게 된다.
따라서, 일, 이실시예의 설명에서 뼈가 있는 부분의 엉덩이에 대응하는 위치가 불룩하게 솟아올라 앉음부(4)를 형성하는데, 그 부분이 상측으로 올라옴에 따라 그 부분에서부터 탄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앉음부(4)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눌리면서 처지게 되고, 그렇게 쳐지는 부분은 공간부(6)측으로 쳐지게 된다.
이렇게 상측으로 불룩하게 솟았던 앉음부(4)가 사용자가 앉음으로 인하여 하측으로 처질 때는 탄성이 계속적으로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엉덩이(15)에는 그 만큼의 탄력이 상측으로 작용하여 엉덩이를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되며, 일, 이실시예와 같이 양측 엉덩이를 모아주는 작용도 함께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앉음부(4) 하측의 하측이 개방된 공간부(6)에는 압축스폰지나 솜, 합성수지발포체, 스프링 등의 쿠션재(13)를 삽입 설치하였음에 따라 그 쿠션재(13)가 앉음부(4)의 하측을 탄력적으로 받쳐주어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앉음부(4)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보다 향상된 쿠션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방석(1)에 사용자가 앉으면 둥글게 솟아올랐던 양측 앉음부(4)가 엉덩이(15)에 눌려 하측으로 내려가는데, 그 동안에 하측으로 내려가는 앉음부(4)에는 탄력이 작용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그 방석(1)에서 일어서면, 눌리는 하중이 제거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앉음부(4)가 자체탄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게 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사실시예는 삼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함과 아울러 좌우측 방석체(1a)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그 개별적으로 형성된 방석체(1a)를 연결대(11)로 연결하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수개의 연결구멍(10)에 연결대(11)의 돌기(12)을 끼우면서 양측 방석체(1a)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대(11)에 의해 양측 방석체(1a)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체격이 작은 어린이부터 체격이 큰 성인까지 자기의 체격에 맞게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측 방석체(1a) 사이의 연결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삼, 사실시예는 금속판이나 대나무살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위에서 설명한 소쿠리형태로 쿠션이 작용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석(1)의 외곽이 단단한데, 이러한 단단한 방석(1)을 앉는 면이 평탄하지 않고 만곡 또는 굴곡진 만곡시트부에 본 발명을 깔아두고 앉을 때, 본 발명의 방석(1) 저면이 만곡시트부의 상면 사이가 들떠서 불안감이 있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두리(2)의 하측에 하방이 개방되는 다수개의 절개부(8)를 형성하여서 하중이 작용하는 부분에서의 절개부(8)가 구부려지면서 앉는 면이 평탄하지 않고 만곡 또는 굴곡진 만곡시트부의 상면과 방석(1)의 저면이 밀착되어 안정되게 방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개부(8)를 형성하는 부분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리홈부(3)의 저면에도 절개부를 형성하여 그 절개부를 형성하는 살부분에서도 구부려질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분리홈부(3)는 그 저면이 테두리(2)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 선상에 있도록 형성하여 테두리(2)와 분리홈부(3)의 저면이 바닥면에 접촉하며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바닥면이라 함은 본 발명에 의한 방석(1)이 놓여지는 부분을 칭한 것으로서, 방바닥은 물론이고 의자 및 소파, 자동차의 시트부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석(1)이 놓여지는 부분을 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삼, 사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4,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석(1)의 양측 전방에는 허벅지의 하측이 배기지 않도록 호형으로 살 빼기한 요홈부(5)가 형성되어 허벅지 하측에 대한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취약부(7)는 삼사실시예의 방석(1)을 금속판이나 특히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성형방식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엉덩이에 눌리어 하측으로 처지는 부분의 살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정해진 부분에서만 앉음부(4)가 하측으로 처질 수 있게 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사용자가 앉아다가 일어나면 눌림작용이 해제됨에 따라 눌릴 때 하측으로 처지면서 압축되던 앉음부(4)의 탄력에 의해 그 앉음부(4)가 상측으로 다시 둥글게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삼,사실시예의 경우에도 방석(1)의 외부에 외피를 씌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임을 밝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방석(1)에 등받이부를 연결하여 차량용 카시트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 의한 방석(1)을 옆으로 3∼4개를 연결하여 소파용 방석으로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1 : 방석 2 : 테두리 3 : 분리홈부
4 : 앉음부 5 : 요홈부 6 : 공간부
7 : 취약부 8 : 절개부 9 : 연결부
10 : 연결구멍 11 : 연결대 12 : 돌기
13 : 쿠션재 14 : 외피 15 : 엉덩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테두리(2)의 내측에 자체 탄성을 지닌 앉음부(4)가 형성된 방석(1)의 가운데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분리홈부(3)가 형성되고, 분리홈부(3)의 양측에 그물형태로 형성되는 앉음부(4)가 솟아오르게 형성되며, 양측 앉음부(4)의 하부에는 솟아오른 앉음부(4)가 사용자의 체중에 눌려 하측으로 처질 수 있게 하는 공간부(6)가 형성된 방석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2)의 하부에는 테두리(2)가 구부려질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8)가 하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8. 삭제
KR1020110075152A 2011-07-27 2011-07-27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KR10125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152A KR101258171B1 (ko) 2011-07-27 2011-07-27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152A KR101258171B1 (ko) 2011-07-27 2011-07-27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631A KR20110091631A (ko) 2011-08-12
KR101258171B1 true KR101258171B1 (ko) 2013-04-26

Family

ID=4492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152A KR101258171B1 (ko) 2011-07-27 2011-07-27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193B1 (ko) * 2013-01-04 2014-09-22 이상철 기능성 방석
KR102158296B1 (ko) * 2019-04-19 2020-09-21 말랑하니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쿠션
KR102355050B1 (ko) * 2020-05-15 2022-01-21 박진한 통풍 방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5A (ko) * 1994-10-22 1996-05-22 임종근 통풍수단을 갖는 방석과 그것을 좌판구조로 하여 일체화한 의자
JP3136585U (ja) * 2007-08-20 2007-11-01 秀美 柳生 分割カバー及び分割カバー用連結具
KR20090005063U (ko) * 2007-11-22 2009-05-27 김찬환 통풍돌기가 형성된 의자의 등받이 및 좌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5A (ko) * 1994-10-22 1996-05-22 임종근 통풍수단을 갖는 방석과 그것을 좌판구조로 하여 일체화한 의자
JP3136585U (ja) * 2007-08-20 2007-11-01 秀美 柳生 分割カバー及び分割カバー用連結具
KR20090005063U (ko) * 2007-11-22 2009-05-27 김찬환 통풍돌기가 형성된 의자의 등받이 및 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631A (ko) 201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464C2 (ru) Набивка для мебели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JP7054016B2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材及び車両用シート
US20140183924A1 (en) Upholstered Seat with Flexible Pelvic Support
US20070257542A1 (en) Seat Portion for a Seat
KR101258171B1 (ko)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KR101053553B1 (ko) 의자용 좌판
EP3225460A1 (en) Cushion assembly
JP2007144100A (ja) 敷きマット
JP2015092949A (ja) 二層構造クッション体
KR200395763Y1 (ko) 등받이 분할형 의자
KR100401331B1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KR101043749B1 (ko) 이동식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소파
JP3233327U (ja) ソファ
JP3198118U (ja) 椅子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JP2018078921A (ja) 椅子の支持構造
JP3163626U (ja) 座布団
US10398232B2 (en) Seat cushion
JP3118927U (ja) ソファーのクッション辷止め構造
TWM511843U (zh) 提臀塑型墊
KR200473751Y1 (ko) 인체공학적 듀얼 히프 쿠션
KR101499796B1 (ko) 의자 시트용 쿠션재
JP2016106831A (ja) クッション体
JP2004057795A (ja) 臀部痛防止用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