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677B1 -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 - Google Patents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677B1
KR101257677B1 KR1020117004334A KR20117004334A KR101257677B1 KR 101257677 B1 KR101257677 B1 KR 101257677B1 KR 1020117004334 A KR1020117004334 A KR 1020117004334A KR 20117004334 A KR20117004334 A KR 20117004334A KR 101257677 B1 KR101257677 B1 KR 10125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node
traffic
monitor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468A (ko
Inventor
마틴 비고우뢰
마르크 로렛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1005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47Transmissio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34Signalling channels for net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 H04L41/344Out-of-band transf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MPLS형의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은,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6)을 확립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의 제 1 노드(B)로부터 제 2 노드(D)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제 1 및 제 2 노드들은 트래픽 접속의 경로에 배치되고, 접속 확립 메시지는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을 재-확립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노드(B)로부터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A)로 단절-전-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1 노드에서,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5)을 모니터링 접속(6)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인입 노드에 의해 전송된 재-확립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METHODS FOR ESTABLISHING A TRAFFIC CONNECTION AND AN ASSOCIATED MONITORING CONNECTION}
본 발명은 접속-지향 스위칭 기술들(connection-oriented switching t)을 구현하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통해 트래픽-엔지니어링 능력들을 제공하는 통합된 제어 플레인을 구현하기 위해 표준 MPLS 및 다양한 확장들, 예를 들어, MPLS 전송 프로파일 및 일반화된 MPLS와 같은 멀티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기술들(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techniques)이 개발되어 왔다.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고장 관리 또는 성능 관리 기능들은 일반적으로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으로서 서술된다. MPLS OAM에 대한 표준들은 여전히 개발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MPLS형의 접속-지향 네트워크에서 OAM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트래픽 접속의 확립을 개시하기 위해 트래픽 접속의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ingress node)로부터의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접속 확립 메시지는 접속 경로의 제 1 및 제 2 노드를 지정하는 모니터링 접속 요청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접속 경로의 지정된 제 1 노드에서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를 인터셉트하는(intercepting) 단계,
접속 경로의 지정된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접속 경로를 따라, 지정된 제 1 노드로부터의 제 2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트래픽 접속의 확립을 재개하여 완료하기 위해, 접속 경로를 따라, 지정된 제 1 노드로부터의 제 1 접속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트래픽 접속은 접속 경로의 지정된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의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되는, 상기 제 1 접속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추가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은 레이블-스위칭 경로들(label-switched paths)이고, 트래픽 접속은 레이블 스태킹(label stacking)을 통한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된다.
- 모니터링 접속을 통해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서 OAM 플로우를 전송하는 단계. OAM 플로우는, 모니터링 접속단 지점들, 즉,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 위치된 접속 경로의 세그먼트를 통해 고장 관리 또는 성능 관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또는 메시지들의 세트와 관련된다.
-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은 동일한 대역폭 및/또는 동일한 트래픽 엔지니어링 파라미터들에 의해 확립된다. 이 측정은 모니터링 접속 및 연관된 트래픽 접속 사이에 배타적 연관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 제 1 및 제 2 접속 확립 메시지들은 RSVP-TE 프로토콜에 따른다.
- 모니터링 접속 요청은 RSVP-TE 경로 메시지에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는 제 1 노드의 식별자 및 제 2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용 노드 제어기를 제공하고, 제어기는:
수신된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를 처리하고,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는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는 모니터링 접속 요청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접속 요청이, 노드 제어기가 설치되는 네트워크 노드를 지정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모니터링 접속 요청에서 지정된 접속 경로의 또 다른 노드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경로를 따라 제 2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고,
트래픽 접속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모니터링 접속 요청에서 지정된 다른 노드 사이의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되는 방식으로, 트래픽 접속의 확립을 재개하기 위해 접속 경로를 따라 제 1 접속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그널링 모듈을 포함한다.
제어기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 OAM 모듈은 모니터링 접속을 통해 OAM 플로우를 다른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 시그널링 모듈은, 모니터링 접속 요청이, 접속 경로에 배치되지 않은 네트워크 노드를 지정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에러 메시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 시그널링 모듈은, 트래픽 접속의 인입 레이블을 모니터링 접속의 인출 레이블과 연관시키기 위해 스위칭 테이블을 구성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노드 제어기의 처리기에 의해 실행될 때 노드 제어기로 하여금,
수신된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를 처리하고,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는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제 1 접속 확립 메시지는 모니터링 접속 요청을 포함하고,
모니터링 접속 요청이, 노드 제어기가 설치되는 네트워크 노드를 지정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모니터링 접속 요청에서 지정된 접속 경로의 또 다른 노드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접속 경로를 따라 제 2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고,
트래픽 접속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모니터링 접속 요청에서 지정된 다른 노드 사이의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되는 방식으로, 트래픽 접속의 확립을 재개하기 위해 접속 경로를 따라 제 1 접속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제공하기 위한 머신-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예들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의 제 1 노드 및 제 2 노드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제 1 노드로부터 제 2 노드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제 1 및 제 2 노드들은 트래픽 접속의 경로에 배치되고, 접속 확립 메시지는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제 2 노드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make-before-break)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을 재-확립하도록 하기 위해 제 1 노드로부터 인입 노드로 단절-전-연결(make-before-break)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1 노드에서, 재-설정된 트래픽 접속을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인입 노드에 의해 전송된 재-설정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은 레이블-스위칭 경로들이고,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은 레이블 스태킹(label stacking)을 통해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된다.
- 모니터링 접속을 통해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 OAM 플로우를 전송하는 단계.
- 모니터링 접속은 트래픽 접속 및/또는 동일한 트래픽 엔지니어링 파라미터들과 동일한 대역폭으로 확립된다.
- 접속 확립 메시지 및 재-확립 시그널링 메시지는 RSVP-TE 프로토콜에 따른다.
- 단절-전-연결 요청은 제 1 노드의 식별자 및/또는 제 2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들 식별자들은 IP 주소들 또는 다른 것일 수 있다.
- 단절-전-연결 요청은 모니터링 접속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 단절-전-연결 요청은 RSVP-TE NOTIFY 메시지에 객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네트워크 노드용 노드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노드 제어기가 설치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노드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노드들은 통신 네트워크에 확립된 트래픽 접속의 경로에 배치되고, 접속 확립 메시지는 트래픽 접속의 경로를 따라 전송되고,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에 단절-전-연결 요청을 전송하여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을 재-설정하도록 하고,
재-설정된 트래픽 접속을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인입 노드로부터 수신된 재-설정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그널링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또한 노드 제어기의 처리기에 의해 실행될 때 노드 제어기로 하여금,
노드 제어기가 설치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노드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노드들은 통신 네트워크에 확립된 트래픽 접속의 경로에 배치되고, 접속 확립 메시지는 트래픽 접속의 경로를 따라 전송되고,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에 단절-전-연결 요청을 전송하여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접속을 재설정하도록 하고,
재-설정 트래픽 접속을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인입 노드로부터 수신된 재-설정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제공하기 위한 머신-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예를 들어, MPLS형의 접속-지향 네트워크에서 모니터링 접속, 즉, OAM 플로우들에 적합한 접속의 확립을 자동화하기 위해 분산 제어 플레인을 사용하는 사상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연관된 트래픽 접속과 동일한 시간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는 사상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연관된 트래픽 접속이 생성된 후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는 사상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모니터링 접속에 대한 필요성이 네트워크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발생하고 분명하게 될 수도 있다는 사상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이하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을 통해 MPLS형의 접속-지향 네트워크에서 OAM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도 있는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접속들을 확립하기에 적합한 시그널링 처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시그널링 메시지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는 트래픽 접속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1의 접속들을 확립하기에 적합한 시그널링 처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2 또는 도 5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노드 제어기의 기능도.
도 1을 참조하면, MPLS 네트워크(1)는 물리적 링크들(2)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노드들(A, B, C, D, E)을 포함한다. 도시된 노드들의 수, 링크들의 수 및 토폴로지는 순전히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MPLS 네트워크(1)는 하나 이상의 도메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플레인 기술(data plane technology)은, MPLS 제어 플레인들이 현재 지원하거나 또는 향후 지원할 임의의 종류, 예를 들어, 모든-광학, WDM, SONET, SDH, 이더넷, IP 및 다른 것들일 수 있다. 이하 기술되는 방법들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패킷형 데이터 플레인 기술에 의해 레이블들이 명시적인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된다.
노드들(A 및 E)은 MPLS 네트워크(1)의 가장자리 노드들이고, 클라이언트 장치들(3),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들, IP 라우터들 등과 트래픽을 교환할 수 있다. MPLS 기술에서 레이블-스위칭 경로(LSP)로서 구현되는 트래픽 접속(5)은 데이터 흐름,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3)로부터 오는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노드들 B, C 및 D의 순서로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노드들(A 및 E) 사이에 확립된다. MPLS 네트워크들의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LSP(5)는, 예를 들어, 예약된 대역폭,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들, 보호 등에 관하여, 트래픽 엔지니어링의 목적을 위한 특정 트래픽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 있다. LSP(5)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노드(A)로부터 노드(E)로의 흐름만을 참조할 것이다. 만약 있다면, 데이터 포워딩 기술들이 역방향에서 상당히 유사하다.
LSP(5)의 경로의 세그먼트, 즉, 세그먼트 B-C-D에 관한 OAM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세그먼트의 2개의 종단-노드들, 즉, 노드(B) 및 노드(D)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6)이 확립된다. 모니터링 접속(6)의 종단 노드들은 유지 종단 지점들(MEP, Maintenance End Points)로서 언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접속(6)은 또한 LSP이다. 모니터링 접속(6)은 접속(5)에 의해 전달된 트래픽과 동일한 데이터 경로를 따르는, 즉, 동일한 데이터 플레인 성분들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OAM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작용한다. 이것은 접속(6)에 의해 전달된 OAM 패킷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네트워크 성능 또는 네트워크 고장들에 관한 정보가, 그 세그먼트를 따라 접속(5)에 의해 전달된 트래픽이 경험하는 네트워크 성능 또는 네트워크 고장들을 정확히 반영하는 것을 보장한다. 그 요건을 달성하기 위해서, LSP(5)는 세그먼트 B-C-D를 따라 LSP(6)내에서 캡슐화된다(즉, LSP(6)를 통해 터널링된다). LSP(5)가 양방향이면, LSP(6)는 또한 바람직하게 두 방향들에서의 성능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양방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LSP(6)는 LSP(5)에 배타적으로 연관된다. 즉, LSP(5)의 트래픽 이외에는 어떠한 다른 트래픽도 터널링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LSP(6)는 하나 또는 2개의 MEP들에 의해 삽입된 OAM 패킷들을 전달한다. MPLS와 관련하여, 그 특징들을 갖는 LSP(6)는 텐덤 접속 유지 엔티티 LSP(TCME-LSP, Tandem Connection Maintenance Entity LSP)로서 언급될 수 있다.
MEP들(B 및 D)은 모니터링 접속(6)에 OAM 패킷들을 삽입할 수 있고 및/또는 모니터링 접속(6)으로부터 OAM 패킷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각각은 OAM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그의 OAM 패킷들을 처리하는 OAM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OAM 기능들은, 예를 들어,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 의해 규정된 다음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연속성 체크(Continuity Check): 연속성 체크(CC)는 MEP들 간의 연속성의 손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CC는 고장 관리, 성능 모니터링 및 보호 스위칭과 같은 응용들에 유용하다.
접속성 검증(Connectivity Verification): 접속성 검증(CV)은 단일 유지 도메인에서 MEP들 간의 접속성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알람 억제(Alarm Suppression): 알람 억제는 서버층에서의 실패 조건의 결과로서 클라이언트층의 유지 도메인들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알람들을 억제하기 위해서 실패 조건을 그의 클라이언트층 MEP(들)에 통지하기 위해 서버층 MEP에 의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잠금 표시(Lock Indication): 잠금 표시는 데이터 트래픽을 기다리고 있는 클라이언트층 MEP(들)로의 데이터 트래픽 포워딩의 중대한 중단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는 서버층 MEP의 관리상의 잠금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잠금 표시의 수신은 MEP로 하여금 결함 조건과 서버층 MEP에서의 관리상 잠금 동작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패킷 손실 측정(Packet Loss Measurement): 패킷 손실 측정은 한 쌍의 MEP들 사이에서의 패킷 손실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패킷 손실률은 설정된 시간 간격 동안 전송된 서비스 패킷들의 총 수에 대한 전달되지 않은 서비스 패킷들(예를 들어, OAM 패킷들)의 비율이다. 전달되지 않은 서비스 패킷들의 수는 소스 노드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패킷들의 수와 목적지 노드에서 수신된 서비스 패킷들의 수 사이의 차이이다. 패킷 손실 측정들은 단방향 접속들에서의 근단(near-end) 패킷 손실과 양방향 접속들에서의 근단 및 원단(far-end) 패킷 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MEP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근단 패킷 손실은 인입 데이터 패킷들과 연관된 패킷 손실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하여, 원단 패킷 손실은 인출 데이터 패킷들과 연관된 패킷 손실을 나타낸다.
진단 테스트: 진단 테스트는 대역폭 스루풋, 패킷 손실, 비트 에러들 등을 검증하기 위해 MEP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기능이다.
트레이스-루트(Trace-route): 트레이스-루트는 MPLS 전송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는 접속의 루트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지연 측정(Delay Measurement): 지연 측정은 한 쌍의 MEP들 사이에서의 패킷 송신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단방향 패킷 지연은 소스 노드에 의한 패킷의 제 1 비트의 송신의 시작으로부터 목적지 노드에 의한 패킷의 제 1 비트의 수신까지의 경과된 시간이다. 양방향 패킷 지연은, 패킷의 목적지 노드에서 루프백(loopback)이 수행될 때, 소스 노드에 의한 패킷의 제 1 비트의 송신 시작으로부터 동일한 소스 노드에 의한 루프백된 패킷의 마지막 비트의 수신까지의 경과된 시간이다.
원격 결점 표시(Remote Defect Indication): 원격 결점 표시(RDI)는 MEP와 그의 피어 MEP(Peer MEP) 사이의 양방향 접속의 결점의 검출을 피어 MEP에게 통지하기 위해 MEP에 의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클라이언트 신호 실패(Client Signal Fail): 클라이언트 신호 실패(CSF) 기능은, 클라이언트층에서 알람 억제가 지원되지 않을 때, 클라이언트 실패 표시를 원단 싱크(sink)로 전파하기 위해 사용된다. CSF 정보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면, MEP는 클라이언트층 실패 조건을 검출하고 그의 클라이언트층에 통지한다. 그의 클라이언트층으로부터 신호 실패 표시를 수신하면, MEP는 CSF 정보를 갖는 패킷들의 주기적 전송을 즉시 시작해야 한다. MEP는 클라이언트층 실패 표시가 제거될 때까지 CSF 정보를 갖는 패킷들의 주기적 패킷들의 전송을 계속해야 한다.
모니터링 접속(6)은 트래픽 접속(5)의 임의의 두 노드들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도 1은 그 점에 있어서는 완전히 예시적이다. 주어진 트래픽 접속의 각각의 비-중첩 세그먼트들을 따라 몇 개의 모니터링 접속들이 확립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들에서, 몇 개의 모니터링 접속들, 예를 들어, TCME-LSP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다양한 토폴로지 레벨들에서 모니터링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전체 경로, 경로 세그먼트, 단일 홉(single hop), 단일 관리 도메인, 다수의 관리 도메인들) 및/또는 대응하는 상호간에 끼워 넣어진 트래픽 접속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서로에게 끼워 넣어진다.
트래픽 접속, 즉, LSP(5)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 즉, LSP(6)를 구현하기 위해 네트워크(1)에서 사용되는 레이블-스위칭 기술이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라인(10)은, 접속 경로 B-C-D의 각 홉에서 나타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노드(B)로부터 노드(D)로 이동하는 OAM 패킷을 나타낸다. 라인(20)은, 접속 경로 A-B-C-D-E의 각 홉에서 나타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노드(A)로부터 노드(E)로 이동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레이블들은 다음과 같은 표기법으로 표시된다: D(C)는 노드(C)에 의해 목적지가 노드(D)인 LSP에 할당된 레이블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10)의 OAM 패킷에서, 가장 위쪽의 레이블 필드(11)는 접속 경로 상에 위치된 노드들에 의해 LSP(6)에 할당된 레이블들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종래의 RSVP 시그널링을 통해 할당된 레이블들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각 노드가 다음 홉에 의해 할당된 레이블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 2 레이블 필드(12)는 데이터 트래픽으로부터 OAM 패킷들을 식별하도록 작용하고 LFU로 표기된 특정 OAM 레이블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전체에서 예약된 레이블 값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13 또는 14). 필드(13)는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는 OAM 패킷의 나머지를 나타낸다. 이는 IETF RFC(Request For Comment) 43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연관된 채널 헤더(ACH, Associated Channel Head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라인(20)의 데이터 패킷에서, LSP(6)에 의해 다루어지는 세그먼트(즉, B-C-D)를 따라, 가장 위쪽의 레이블 필드(21)는 OAM 패킷들과 동일한 레이블들, 즉, LSP(6)에 할당된 레이블들과 동일한 레이블들을 포함한다. 이 세그먼트를 따라, LSP(5)에 할당된 레이블들을 포함하는 필드(22)는 레이블 스택에서 두 번째 위치에 있다. 모니터링되는 세그먼트의 밖에서, 필드(22)는 가장 위쪽의 위치에 있다. 다시 말해서, 레이블 스태킹은 노드(B)에서 발생하고, 레이블 포핑(label popping)은 LSP(5)의 패킷들에 대한 노드(D)에서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RSVP 시그널링을 통해 할당된 레이블들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필드(22)에서는, 각 노드가 다음 홉에 의해 할당된 레이블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필드(23)는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 패킷의 나머지를 나타낸다. 필드(23)는, 예를 들어, LSP(5)가 클라이언트 접속들을 위한 터널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추가의 LSP들 또는 가상 회선들(Pseudowires)과 같은 추가의 레이블 필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패킷들의 레이블 스택은 2개 이상의 레벨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1의 네트워크에서 LSP들(5 및 6)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방법들은 RSVP-TE 프로토콜에 대해 및 모니터링 접속이 TCME-LSP인 경우들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다른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RSVP-TE를 사용하는 LSP들의 셋업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RSVP-TE 메시지들에 의해 전달되는 객체마다 상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특히, 트래픽 파라미터들은 노드들에서 자원들을 예약하고 할당하기 위해 종래의 방식으로 명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제 1 방법은, 트래픽 접속(5)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6)에 대한 필요성이 그들 접속들 중 임의의 접속을 확립하기 전에 인입 노드(A)에서 알려지게 될 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Network Management System)은 임의의 적절한 언어의 명령들, 예를 들어,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공통 개방 정책 서비스(Common Open Policy Service) 또는 명령어 라인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에 따라 그러한 필요성을 노드(A)에 통신시킬 수도 있다.
단계(30)에서, 노드(A)는 어떤 주어진 트래픽 파라미터들의 경로 A-B-C-D-E를 따라서 LSP를 확립하기 위한 및 접속 경로의 세그먼트 B-C-D를 따라서 연관된 TCME-LSP를 확립하기 위한 필요성을 알게 된다.
단계(31)에서, 노드(A)는 LSP, 예를 들어, LSP(5)를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PATH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이 정보는 표준 객체들에 놓일 수도 있다. 또한, PATH 메시지는 TCME-LSP에 대한 필요성을 TCME-LSP의 인입, 예를 들어, 노드(B)에 통신시키도록 하기 위한 객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입"은 시그널링 처리에 대하여 규정된다. TCME-LSP는 종단에서 두 방향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객체는 확립될 TCME-LSP의 인입 및 인출 노드들의 적어도 식별자들, 예를 들어, IP 주소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단계(31)의 PATH 메시지에 적합한 포맷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부가적인 객체(32)는 TCME_DESIRED라고 하고, 기존의 RSVP-TE 표준들에 대한 확장으로서 제공된다. 상이한 객체명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LSP 루트는 EXPLICIT_ROUTE(ERO)라고 하는 객체(34)에서 명시될 수도 있다. 객체들(32, 34)이 모두 사용될 때, 객체(32)에서 식별된 노드들은 또한 객체(34)에서 명명되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노드(A) 또는 임의의 다른 노드는 이러한 상황을 검출할 때 에러 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
단계(31)에서 발생된 PATH 메시지는 의도된 접속 경로를 따라 종래의 방식으로 라우팅된다. 보통의 RSVP-TE 처리에 부가하여, PATH 메시지를 수신하는 각 노드는 객체(32)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때, 노드는 소망의 TCME-LSP의 인입으로서 식별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렇지 않다면, 객체(32)를 변경하지 않고, 종래의 방식으로 메시지를 다음 홉으로 통과시킨다.
PATH 메시지를 수신하는 노드가, 그 노드가 소망의 TCME-LSP의 인입(즉, 도 2의 단계(33)에서 노드(B))으로서 식별된 것을 검출할 때, 메시지를 다음 홉으로 포워딩하지 않음으로써 LSP의 시그널링을 중단한다. 대신, 노드는 객체(32)에서 식별된 2개의 노드들 사이에 TCME-LSP를 확립하도록 진행한다. 따라서, 단계(35)에서, 노드(B)는 제 2 PATH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수신된 PATH 메시지에 명백한 루트가 명시되어 있다면, 노드(B)는 TCME-LSP 및 연관된 LSP가 동일한 경로를 따를 것이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대응하는 객체(34)를 제 2 PATH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 제 1 PATH 메시지에 명시된 다른 트래픽 파라미터들은 캡슐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 2 PATH 메시지에서 동일한 값으로 주어진다. 제 2 PATH 메시지는 소망의 TCME-LSP의 인출, 즉, 노드(D)에 대응하는 목적지를 명시한다. 객체(32)는 복제될 필요가 없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2 PATH 메시지에 명시된 대역폭 요건은 제 1 PATH 메시지에 명시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두 LSP들이 확립되어 캡슐화되면, TCME-LSP는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갖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어 플레인은 TCME-LSP를 통해 임의의 다른 접속을 터널링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그러나, TCME-LSP 및 연관된 LSP 사이에 배타적 연관을 일으키는 다른 방식들이 있다.
시퀀스(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RSVP-TE 시그널링 처리들은 TCME-LSP의 인입 및 인출 노드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된 레이블들인 D(D) 및 D(C)는 도시된 RESV 메시지들에 의해 할당된다.
제 2 PATH 메시지에 응답하는 RESV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계(37)에서, 노드(B)는 소망의 TCME-LSP(예를 들어, LSP(6))가 확립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 도시되지는 않은 확인 메시지들이 또한 전송될 수 있다. 그때, 노드(B)는, LSP를 연관된 TCME-LSP에 캡슐화하기 위해, 중단된 LSP의 확립을 재개하도록 진행한다.
단계(38)에서, 제 1 PATH 메시지를 TCME-LSP(6)를 통해 TCME-LSP의 인출, 즉, 노드(D)로 포워딩하기 위해 레이블 스태킹이 사용된다. ERO는 그에 따라 적응된다. 객체(32)는 포워딩된 메시지로부터 숨겨진다. 노드(D)는 최상부 레이블을 팝하고, LSP의 확립을 계속하기 위해 종래의 RSVP-TE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의 홉 또는 홉들, 예를 들어, 노드(E)는 종래의 RSVP-TE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된 레이블들 E(E), E(D) 및 E(B)는 도면부호 39, 40 및 41에 나타낸 RESV 메시지들에 의해 할당된다. LSP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프로시저들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은 IETF RFC 4206에 주어져 있다.
경로를 따르는 각 노드에서, RSVP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도 1에 도시된 레이블 스택들을 구현하기 위해 레이블-스위칭 표들을 구성하도록 작용한다. 특히, 단계(42)에서, TCME 인입 노드, 즉, 노드(B)는 레이블 스위칭 테이블을 구성하여, 트래픽 LSP에 할당된 레이블, 예를 들어, 레이블 E(B)를 전달하는 패킷들에 대해 포워딩 전에 레이블 스태킹 동작이 행해지도록 한다. 이 레이블 스태킹 동작은 LSP(5)의 인입 패킷들을 TCME-LSP(6)의 패킷들에 캡슐화하는 것을 구현한다. LSP들의 캡슐화로 인해, OAM 패킷들은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래픽 LSP의 패킷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취급되고 처리된다. 이 특징은 또한 운명 공유(fate sharing)로서 공지되어 있다.
TCME-LSP의 확립 동안 문제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TCME-LSP의 인입, 예를 들어, 노드(B)는 보통의 RSVP 프로시저들을 통해 알게 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전체 처리를 중단시키거나 또는 요청된 TCME-LSP를 확립하지 않고 제 1 LSP 확립을 완료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제 1 방법에서, TCME-LSP의 확립을 위한 요청, 예를 들어, 객체(32)는 LSP 확립 요청, 예를 들어, PATH 메시지(31)에 끼워 넣어지고, TCME-LSP 인입, 예를 들어, 노드(B)에 의해 처리되어, 두 LSP들 사이의 자동 연관을 보장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제 2 방법은, 연관된 트래픽 접속(5)이 확립된 후에, 모니터링 접속(6)에 대한 필요성이 소망의 모니터링 접속의 인입, 예를 들어, 노드(B)에서 알게 될 때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예시적인 상황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서 도 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들은 100이 증가된 숫자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입 노드(A) 및 인출 노드(E) 사이에 LSP(105)가 확립된다. 라인(120)은, 접속 경로 A-B-C-D-E의 각 홉에서 나타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노드(A)로부터 노드(E)로 이동하는 데이터 패킷을 나타낸다. 라인(120)의 데이터 패킷에서, LSP(105)에 할당된 레이블들을 포함하는 필드(122)는 전체 경로를 따라서 가장 위쪽의 위치에 있다. 필드(122)에서는, 종래의 RSVP 시그널링을 통해 할당된 레이블들에 대한 경우에서와 같이, 각 노드가 다음 홉에 의해 할당된 레이블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필드(123)는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 패킷의 나머지를 나타낸다. 필드(123)는, 예를 들어, LSP(105)가 클라이언트 접속들에 대한 터널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추가의 레이블 필드들, 예를 들어, 추가의 LSP들 또는 가상 회선들(Pseudowire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황에서, LSP에서 OAM 패킷들을 전송함으로써 종단간 LSP(105)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2개의 중간 노드들 사이의 또는 LSP의 중간 노드와 종단 노드 사이의, 접속 경로의 주어진 세그먼트를 통한 LSP(105)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경로 세그먼트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성능은, 예를 들어, 도메인간 LSP의 경우에, 접속 경로의 일부만을 다루는 네트워크를 조작하는 조작자에 의해 소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LSP(105)는 상이한 조작자들에 속하는 3개의 네트워크 도메인들을 가로지른다. 제 2 도메인(DOMAIN 2)의 조작자는 그의 도메인에 속하는 경로 세그먼트, 예를 들어, 세그먼트 B-C-D를 통해 LSP(105)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길 원한다. 예를 들어, 이 모니터링의 목적은 서비스 레벨 협정 시행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성능 모니터링을 달성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세그먼트 B-C-D를 따라 TCME-LSP를 확립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그 필요성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단계(50)에서, 노드(B)는 접속 경로의 세그먼트 B-C-D를 따라 TCME-LSP를 확립해야 하는 필요성을 알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필요성은, 도 4에 화살표(9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언어의 명령들, 예를 들어,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공통 개방 정책 서비스 또는 명령어 라인 인터페이스에 따라 제 2 도메인의 NMS에 의해 노드(B)에 통신될 수도 있다.
단계(51)에서, 노드(B)는 수신된 명령들에서 식별된 다른 종단 노드, 예를 들어, 노드(D)와 TCME-LSP를 확립하기 위해 RSVP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개시한다. 따라서, 단계(51)에서, 노드(B)는 PATH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TCME-LSP가 확립된 LSP(105)와 동일한 경로를 따를 것임을 보장하기 위해서, 노드(B)는 대응하는 명백한 루트를 PATH 메시지에 명시한다. LSP(105)에 관한 루트 정보는, 예를 들어, 경로 상태 블록(Path State Block)에 저장된 노드 제어기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확립된 LSP(105)에 관한 다른 트래픽 파라미터들은 캡슐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PATH 메시지에서 동일한 값으로 주어진다. PATH 메시지는 소망의 TCME-LSP의 인출, 즉, 노드(D)에 대응하는 목적지를 명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PATH 메시지에 명시된 대역폭 요건은 LSP(105)에 관한 것과 동일하다.
시퀀스(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RSVP-TE 시그널링 처리들이 TCME-LSP의 인입 및 인출 노드 사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된 레이블들 D(D) 및 D(C)는 도시된 RESV 메시지들에 의해 할당된다.
PATH 메시지에 응답하는 RESV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계(53)에서, 노드(B)는 소망의 TCME-LSP, 예를 들어, 도 1의 LSP(6)가 확립되었음을 검출한다. 도시되지 않은 확인 메시지들이 또한 전송될 수 있다. TCME-LSP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여전히 트래픽 LSP를 TCME-LSP에 캡슐화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단계(54)에서, 노드(B)는 트래픽 LSP(105)의 인입, 즉, 노드(A)가 단절-전-연결 동작들을 사용하여 트래픽 LSP(105)를 재확립하도록 요청한다.
바람직하게, 요청은 고속 통지 메시지인 RSVP-TE 프로토콜의 NOTIFY 메시지로 단계(54)에서 전송된다. 이것은, IETF RFC 3473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NOTIFY 요청 객체가 노드(A)로의 통지들의 발생을 요청하기 위해 접속 경로를 따르는 노드들에 사전에 놓여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NOTIFY 요청 객체는, 도 5의 시퀀스(55)에서 또는 그 후에 개략적으로 설명되는 LSP(105)의 초기 확립 동안 배치되었을 수도 있다.
단계(54)에서 전송된 요청은 노드(A)로 하여금 단절-전-연결(MBB)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트래픽 LSP(105)를 재-확립하도록 하는 명령들, 즉, MBB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으로서 해석될 명령들을 포함한다. 이들 명령들은 임의의 적합한 포맷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로서, 단계(54)에서 전송된 NOTIFY 메시지는 명칭이, 예를 들어, MBB_REQ일 수 있는 새로운 RSVP 클래스의 객체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2개의 객체들, 즉, MBB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중간 노드, 예를 들어, 노드(B)의 IPv4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IPv4 MBB_REQ 객체; 및 이 노드의 IPv6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IPv6 MBB_REQ 객체가 상기 클래스에 대해 규정될 수 있다. 이들 객체들은 선택적으로 MBB 동작을 위한 인입 노드에 의한 잠재적 사용의 부가적인 정보, 즉, TCME-LSP의 종단-지점, 즉, 노드(D)의 IPv4 또는 IPv6 어드레스 및/또는 TCME-LSP의 식별자, 예를 들어, LSP ID 또는 LSP(6)의 터널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에서, 인입 노드, 즉, 노드(A)는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고 MBB_REQ 객체를 검출한다. NOTIFY 메시지에서의 세션 정보는 노드(A)로 하여금 요청이 LSP(105)와 관련된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61)에서, 인입 노드, 예를 들어, 노드(A)는 단절-전-연결 동작들을 사용하여 트래픽 LSP를 재-확립하기 위해 RSVP-TE 시그널링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서, LSP(5)는 기존 LSP(105)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새로운 LSP로서 확립될 것이고, 이어서, 기존 LSP(105)는 해제될 것이다.
단절-전-연결 동작들은, 기존 및 새로운 LSP들에 대해 공통인 링크들 상에서, 트래픽이 새로운 LSP로 전이되기 전에는 기존 LSP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이 해제되지 않고, 그렇지 않으면,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로 하여금 새로운 LSP를 거절하도록 예약들이 두 번 카운트되지 않는 방식으로, 새로운 LSP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단절-전-연결 RSVP-TE 시그널링 프로시저들은 IETF RFC 3209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RFC 3209에 따르면, 루트 변경(reroute)의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 인입 노드는 새로운 LSP ID를 고르고, 새로운 SENDER_TEMPLATE를 형성한다. 이어서, 인입 노드는 새로운 경로를 규정하기 위해 새로운 ERO를 생성한다. 그 후에, 노드는 원래의 SESSION 객체 및 새로운 SENDER_TEMPLATE 및 ERO를 사용하여 새로운 PATH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것은 기존 LSP를 사용하고 기존 PATH 메시지를 새롭게 하는 것을 계속한다. 공통으로 보유된 링크들 상에서, 공유된 SESSION 객체 및 SE 종류는 LSP가 기존 LSP와 함께 자원들을 공유하여 확립되도록 한다. 인입 노드가 새로운 LSP에 대한 RESV 메시지를 수신하면, 트래픽을 새로운 LSP로 전이하고 기존 LSP를 해제할 수 있다.
단계(61)에서, 여기서 "재-확립"은 동일한 경로를 따라 루트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61)에서, 노드(A)는, ERO 및 SENDER_TEMPLATE가 기존 및 새로운 LSP들에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RFC 3209에 기술된 방식으로 새로운 PATH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62)에서, PATH 메시지를 수신하면, 노드(B)는, TCME-LSP가 확립되는 LSP와 관련된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세션 정보를 사용하고, 이어서, TCME-LSP(6)에 캡슐화되는 새로운 LSP, 즉, LSP(5)를 확립하도록 진행한다. 시그널링 처리는 도 2의 단계들(38 내지 42)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완료된다. 도 1 및 도 4의 필드들(22, 122)에서 동일한 표기들이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재-확립된 LSP, 즉, LSP(5)에 노드들(E, D, B)에 의해 할당된 레이블들은 초기 LSP(105)에 할당된 레이블들과 동일할 수도 있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노드 제어기(9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노드 제어기는, 시그널링 메시지들(92)을 개시하고 종료시키는, 예를 들어, RSVP-TE 프로토콜 및 적절한 확장들에 따라 동작하는 시그널링 모듈(9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OSPF-TE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라우팅 모듈(93)은 라우팅 메시지들(94)을 개시하고 종료시킨다. 시그널링 및 라우팅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에 오버레이된 개별적인 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대역 내에서 또는 대역 밖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OAM 모듈(95)은 OAM 플로우들(96)을 개시하고 종료시킨다. OAM 플로우들은 대역 내에서 전송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다른 기능 모듈들이 또한 포함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하드웨어 장치,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또는 다른 범용 또는 특정 목적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이 시스템 상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소자들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기 기술된 방법들은 GMPLS 및 MPLS-TP를 포함한 MPLS의 다른 버전들 또는 확장들에 의해, 또는 다른 접속-지향 프로토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의 동일한 항목은 여러 개의 "모듈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 및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관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처리기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 전용 처리기에 의해, 단일 공유 처리기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는 복수의 개개의 처리기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처리기" 또는 "제어기"의 명백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참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제한 없이, 암시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하드웨어, 네트워크 처리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소프트웨어 저장용 판독-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종래 및/또는 주문형 다른 하드웨어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여러 부분들에서 나타나는 구절 "일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모두 참조하는 것도 아니고,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별개의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도 아니다.
본 발명은 서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정말로 본원의 제시된 기본 교시 내에 있는, 당업자에게 발생될 수도 있는 모든 수정 및 대안적인 구성들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일부 방법의 단계들의 순서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정될 수도 있다.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동사 "구성한다" 또는 "포함하다" 및 그 동사 활용들의 사용은 청구항에 기술된 것 이외의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요소 또는 단계 앞에 오는 관사 "한(a 또는 an)"의 사용은 복수의 이러한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들에서, 괄호 안에 있는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A, B, C, D, E : 노드 1 : 통신 네트워크
2 : 물리적 링크 3 : 클라이언트 장치
5 : 트래픽 접속 6 : 모니터링 접속
91 : 시그널링 모듈 92 : 시그널링 메시지
93 : 라우팅 모듈 94 : 라우팅 메시지
95 : OAM 모듈 96 : OAM 플로우 모듈

Claims (13)

  1.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6)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제 1 노드(B)로부터 상기 제 2 노드(D)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51)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은 상기 트래픽 접속(105)의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는 상기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51),
    상기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make-before-break) 시그널링 프로시저(61)를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상기 트래픽 접속을 재-확립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노드(B)로부터 상기 인입 노드(A)로 단절-전-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54), 및
    상기 제 1 노드에서, 상기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5)을 상기 모니터링 접속(6)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상기 인입 노드에 의해 전송된 재-확립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62)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접속 및 상기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은 레이블-스위칭 경로들(label-switched paths)이고, 상기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은 레이블 스태킹(label stacking)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접속내에서 캡슐화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접속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들 사이에서 OAM 플로우(10)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접속은 상기 트래픽 접속과 동일한 대역폭으로 확립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 및 상기 재-확립 시그널링 메시지는 RSVP-TE 프로토콜에 따르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전-연결 요청은 상기 제 1 노드(B)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전-연결 요청은 상기 제 2 노드(D)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전-연결 요청은 상기 모니터링 접속(6)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전-연결 요청은 RSVP-TE 통지 메시지에 객체(object)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확립된 트래픽 접속과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10. 네트워크 노드용 노드 제어기(90)에 있어서,
    상기 노드 제어기가 설치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B)로부터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노드(D)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여(51) 상기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메시지 전송 동작(51)으로서, 상기 노드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확립된 트래픽 접속(105)의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는 상기 트래픽 접속의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 전송 동작(51)과,
    상기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A)로 단절-전-연결 요청을 전송하여(54) 상기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상기 트래픽 접속을 재-확립하도록 하는, 단절-전-연결 요청 전송 동작(54)과,
    상기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5)을 상기 모니터링 접속(6)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상기 인입 노드로부터 수신된 재-확립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62)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그널링 모듈(9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용 노드 제어기(9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접속을 통해 OAM 플로우를 다른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0AM 모듈(95)을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용 노드 제어기(9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모듈은 상기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의 인입 레이블(22)을 상기 모니터링 접속의 인출 레이블(21)과 연관시키기 위해 스위칭 테이블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용 노드 제어기(90).
  13. 머신-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노드 제어기의 처리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노드 제어기로 하여금,
    상기 노드 제어기가 설치되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노드로 접속 확립 메시지를 전송하여(51) 상기 노드들 사이에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메시지 전송 동작(51)으로서, 상기 노드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확립된 트래픽 접속(105)의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는 상기 트래픽 접속의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상기 접속 확립 메시지 전송 동작(51)과,
    단절-전-연결 요청을 상기 트래픽 접속의 인입 노드에 전송하여(54) 상기 인입 노드로 하여금 단절-전-연결 시그널링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접속 경로를 따라 상기 트래픽 접속을 재-확립하도록 하는, 단절-전-연결 요청 전송 동작(54)과,
    상기 재-확립된 트래픽 접속(5)을 상기 모니터링 접속(6)내에서 캡슐화하기 위해 상기 인입 노드로부터 수신된 재-확립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작(62)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제공하는, 머신-판독 가능 매체.
KR1020117004334A 2008-08-26 2008-08-26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 KR101257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8/054484 WO2010023511A1 (en) 2008-08-26 2008-08-26 Methods for establishing a traffic connection and an associated monitoring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468A KR20110050468A (ko) 2011-05-13
KR101257677B1 true KR101257677B1 (ko) 2013-04-24

Family

ID=4066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334A KR101257677B1 (ko) 2008-08-26 2008-08-26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3349B2 (ko)
EP (1) EP2319209B1 (ko)
JP (1) JP5200170B2 (ko)
KR (1) KR101257677B1 (ko)
CN (1) CN102132525B (ko)
WO (1) WO20100235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111A (ko) 2014-12-08 2016-06-16 에코리아 주식회사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3510A1 (en) * 2008-08-26 2010-03-04 Alcatel Lucent Methods for establishing a traffic connection and an associated monitoring connection
CN101656673A (zh) * 2009-09-17 2010-0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伪线建立方法和节点装置
CN102201947B (zh) * 2010-03-24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吞吐量测量方法及维护端节点
HUE024948T2 (en) * 2011-02-19 2016-01-28 Deutsche Telekom Ag Looping MPLS-UTAK to MPLS Networks with no connection level
US9065723B2 (en) 2011-04-04 2015-06-23 Jds Uniphase Corporation Unaddressed device communication from within an MPLS network
CN102223280B (zh) * 2011-06-17 2017-04-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重建的方法及网元
JP5942660B2 (ja) * 2012-07-20 2016-06-29 富士通株式会社 フレームロス測定装置、伝送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性能測定方法
JP6127449B2 (ja) * 2012-10-31 2017-05-17 株式会社リコー 伝送システム、伝送端末、および、伝送端末制御プログラム
US9769066B2 (en) * 2013-07-16 2017-09-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Establishing and protecting label switched paths across topology-transparent zones
CN104270285B (zh) * 2014-09-19 2017-08-01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分布式架构中pw的业务丢包率测量方法
US9843508B2 (en) * 2015-03-06 2017-12-12 Juniper Networks, Inc. RSVP make-before-break label reuse
EP3065357B1 (en) * 2015-03-06 2019-02-20 Juniper Networks, Inc. Rsvp make-before-break label reuse
US9838306B2 (en) 2015-03-31 2017-12-05 Juniper Networks, Inc. RSVP make-before-break label reuse
US10341228B1 (en) 2017-03-29 2019-07-02 Juniper Networks, Inc. RSVP make-before-break label reuse
CN112134655B (zh) * 2017-09-21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Oam消息传输方法、传输设备及存储介质
CN109274522B (zh) * 2018-08-27 2021-12-14 苏州盛科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oam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450703A (zh) * 2018-12-10 2019-03-08 盛科网络(苏州)有限公司 故障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7423183B2 (ja) 2018-12-11 2024-01-29 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CN113872854B (zh) * 2020-06-30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丢包处理方法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9154A1 (de) * 2002-04-29 2003-11-20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Verfügbarkeit von Verbindungen in MPLS-Netzen
JP2003338831A (ja) * 2002-05-22 2003-11-28 Nec Corp Mplsネットワークの切替え方法
CN100349437C (zh) * 2004-10-15 2007-11-14 华为技术有限公司 在mpls环网中传送控制信息的方法
JP4691372B2 (ja) * 2005-03-09 2011-06-0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中継装置およびデータ中継方法
CN100403687C (zh) * 2005-03-29 2008-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多协议标签交换网络中实现分域管理和保护的方法
JP2006311427A (ja) * 2005-05-02 2006-11-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エッジルータ及びmplsパスの故障検出方法
US8730814B2 (en) * 2005-05-25 2014-05-20 Alcatel Lucent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failure protection methods and systems
JP4545658B2 (ja) * 2005-08-11 2010-09-15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ション型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8457674B2 (en) * 2006-09-29 2013-06-04 Intel Corporation Architecture, protocols and frame formats for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s
US8102774B2 (en) * 2007-08-01 2012-0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MPLS based OAM provision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Communications Magazine(2004.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111A (ko) 2014-12-08 2016-06-16 에코리아 주식회사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9209A1 (en) 2011-05-11
WO2010023511A1 (en) 2010-03-04
KR20110050468A (ko) 2011-05-13
CN102132525B (zh) 2013-10-23
US8693349B2 (en) 2014-04-08
EP2319209B1 (en) 2012-10-24
CN102132525A (zh) 2011-07-20
US20110182185A1 (en) 2011-07-28
JP2012501141A (ja) 2012-01-12
JP5200170B2 (ja)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677B1 (ko)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
US10721158B2 (en) Technique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establish fast rerouted primary tunnels based on backup tunnel path quality feedback
US7765306B2 (en) Technique for enabling 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 between edge devices in a computer network
US8531976B2 (en) Locating tunnel failure based on next-next hop connectivity in a computer network
US8082340B2 (en) Technique for distinguishing between link and node failure using bidirectional forwarding detection (BFD)
KR101257678B1 (ko) 트래픽 접속 및 연관된 모니터링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들
EP1727316B1 (en) Extension to RSVP protocol for supporting OAM configuration
US8774009B2 (en) Methods and arrangement in a MPLS-TP telecommunications network for OAM functions
US20030090995A1 (en) Pre-provisioning a light path setup
US20020093961A1 (en) Circuit reestablishment and tear down in a highly available communications system
JP2006180494A (ja) Mplsネットワークの中央集中制御装置及び方法
Andersson et al.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Control Plane Framework
Ward et al. MPLS architectural considerations for a transport profile
EP4142248A1 (en) In-band control plane
Gray Internet Draft Loa Andersson, Ed.(Ericsson) Category: Informational Lou Berger, Ed.(LabN) Expiration Date: April 15, 2011 Luyuan Fang, Ed.(Cisco) Nabil Bitar, Ed.(Verizon)
Andersson et al. RFC 6373: MPLS Transport Profile (MPLS-TP) Control Plane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