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504B1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504B1
KR101257504B1 KR1020060002707A KR20060002707A KR101257504B1 KR 101257504 B1 KR101257504 B1 KR 101257504B1 KR 1020060002707 A KR1020060002707 A KR 1020060002707A KR 20060002707 A KR20060002707 A KR 20060002707A KR 101257504 B1 KR101257504 B1 KR 101257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grill
air conditioner
window type
type air
faste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756A (ko
Inventor
민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5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그릴과 베이스팬 일측에 서로 형합 가능한 걸림편과 걸림홈을 구비하여 프론트그릴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전후를 관통하여 흡입구(122)와 토출구(124)가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그릴(120)과; 공기조화기(100)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면에 안착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내면에는, 상기 베이스팬(130)의 일측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걸림부(222)와, 상기 걸림부(222)와 프론트그릴(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22)를 지지하는 지지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편(22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13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22)와 형합되어 프론트그릴(120)이 베이스팬(130) 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걸림홈(240)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와 걸림홈(240)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그릴의 장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창문형, 공기조화기, 프론트그릴, 결합수단, 형합

Description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Mounting structure of Front grill for window type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을 보인 후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프론트그릴의 외관을 보인 후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팬의 외관을 보인 전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조화기 110. 아웃케이스
112. 통풍구 120. 프론트그릴
122. 흡입구 124. 토출구
125. 베인 126. 루버
128. 조작부커버 129. 구속편
130. 베이스팬 140. 필터
142. 실내열교환기 144. 토출안내수단
144'. 스테빌라이저 146. 드레인팬
148. 히터 150. 실내팬
152. 실내모터 160. 에어가이드
162. 앵글 170. 실외열교환기
180. 송풍팬 182. 실외모터
184. 모터브라켓 186. 쉬라우드
188. 송풍팬장착부 190. 압축기
192. 실외측냉매배관 194. 실내측냉매배관
220. 걸림편 222. 걸림부
224. 지지부 226. 지지리브
240. 걸림홈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그릴과 베이스팬 일측에 서로 형합 가능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프론트그릴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측(또는 실외기)과,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측(또는 실내기)으로 나뉘어지는데, 주로 냉방장치에서는 상기 실외측을 방열측이라 하고 실내측을 흡열측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실외측과 실내측이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측과 실내측이 일체로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장착형태에 따라서는 패키지형, 벽부착형, 천장부착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을 중심으로 실내에는 실내측이 형성되고 실외에는 실외측이 위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창문외에 벽속에 설치되는 것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을 보인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전방이 개구된 박스(Box) 모양의 아웃케이스(10)와,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20)과, 후방으로 개구되고 전면 및 상면에는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흡입구(32)와 토출구(34)가 형성된 프론트그릴(3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0)의 전면에는 실내 공기를 공기조화기(1)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구(32)가 형성되며, 경사진 상면에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그릴(30)을 통해서 실내 공기는 실내기(1) 내/외부를 드나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32)의 후측에는 필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3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34)의 우측에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한 조작부커버(36)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커버(36)의 후측에는 다수개의 조작다이얼(42)이 장착된 조작부(40)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커버(36)를 회동하여 상기 조작부(40)의 전방을 개방함으로써 조작다이얼(42)의 조작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0)의 후방에는 실내열교환기(5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2)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 의해서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50)의 후측에는 히터(H)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H)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갖추어지는 것으로 전원 인가시에 발열하여 공기를 데움으로써 실내공간을 따뜻하게 조화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H)의 후방에는 실내팬(52)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52)은 전원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실내팬(52)이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실내팬(5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H)의 후방에는 에어가이드(54)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는 실내팬(52)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20)의 중앙부에 세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54)는 공기조화기(1)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게 되며, 상기 흡입구(32)를 통해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에어가이드(54)에 의해서 차폐되어 후방 유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54)는 공기의 상방향 유동을 안내함은 물론 공기조화기(1)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유동한 공기는 토출안내수단(60)에 의해서 전방 즉, 토출구(34)로 안내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수단(60)은 상면이 토출구(34)와 흡입구(32)를 상하로 구획하며, 후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스 테빌라이저(62)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62)는 후단부가 상기 실내팬(52)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52)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스테빌라이저(62)와 토출안내수단(60)의 상면에 의해서 하방향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토출구(34)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54)의 후측 즉, 실외측의 중앙부에는 쉬라우드(70)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7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중앙부는 천공되고 천공된 곳에는 풍력을 발생하는 송풍팬(72)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72)은 실내팬(52)과 마찬가지로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풍력을 발생하며, 상기 송풍팬(72)의 풍력에 의해서 실외 공기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면 중앙부로 흡입된 후에 좌우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72)의 후측에는 실외열교환기(74)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74)는 외부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으로부터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74)는 송풍팬(72)이 발생시킨 풍력에 의해서 상기 공기조화기(1) 후면 외측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74)에 의해서 열교환된 실외공기는 상기 송풍팬(72)에 의해서 강제됨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면 좌우측에 천공된 통풍구(12)를 통해서 송풍된다.
상기 쉬라우드(70)와 에어가이드(54) 사이의 공간에는 압축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는 작동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80)의 상측에는 실외측냉매배관(82)이 연결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82)은 일단이 상기 압축기(8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8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74)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82)의 이격된 일측에는 실내측냉매배관(84)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측냉매배관(84)은 실내열교환기(50) 내부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8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실내열교환기(50) 사이에는 모세관(86)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세관(86)은 실외열교환기(74)를 거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켜 상기 실내열교환기(50)로 유동 안내하는 것으로, 내부가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실내열교환기(50)에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그릴(30)은 내부에 결합된 탄성구(9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공기조화기(1)의 전방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그릴(30)의 내부 좌우측면(도2 참조)에는 전후로 길게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리브(38)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38)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구(9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구(90)는 금속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한 것으로, 상하단 하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리브(38)를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부(92)와, 상기 고정부(92)의 선단에서 지그재그로 절곡된 걸림부(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92)는 대략 "
Figure 112006001685156-pat00001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방이 개구되며, 개구된 내부에 상기 리브(38)를 수용하여 탄성력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탄성구(90)가 리브(38)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92)의 상면 좌우측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절제된 후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삽입침(92')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침(92')은 탄성구(90)가 리브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92)의 후단부는 내부에 상기 리브(38)가 삽입될 때 리브(38)와 간섭되어 벌어지며, 상기 탄성구(90)가 리브(38)에 완전히 결합된 후에는 상기 삽입침(92')의 선단부가 리브(38)의 외면을 찍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94)는 프론트그릴(30)이 공기조화기(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가이드(54)의 좌우측면에서 세로로 길게 부착된 앵글(44)에 걸림 고정된다.
즉, 상기 앵글(44)의 하부 일측에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01685156-pat00002
"모양으로 절곡된 구속편(4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94)가 탄성력을 발생한 상태로 상기 구속편(46)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그릴(30)은 공기조화기(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프론트그릴(30)은 걸림부(94)와 구속편(46) 사이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결합되므로, 그 결합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 다.
또한, 상기 프론트그릴(30)을 공기조화기(1)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당겼을 때, 상기 삽입침(92')이 리브(38)의 외면을 찍은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리브(38)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구(90)가 리브(38)에서 이탈되면 프론트그릴(30)을 장착시에 편의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론트그릴과 베이스팬 일측에 서로 형합 가능하게 형성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프론트그릴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구와 같은 별도의 부품없이 프론트그릴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전후를 관통하여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그릴과; 공기조화기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면에 안착된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프론트그릴의 내면에는, 상 기 베이스팬의 일측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프론트그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형합되어 프론트그릴이 베이스팬 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걸림홈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와 걸림홈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그릴의 하단부로부터 걸림편까지 이격된 거리는, 상기 베이스팬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걸림편의 강도를 보강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은 프론트그릴의 내부 좌/우측벽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은 베이스팬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지지부에서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은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일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은 걸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그릴의 장착이 용이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창틀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조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전방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아웃케이스(110)와, 상기 아웃케이스(110) 전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그릴(120)과,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프론트그릴(120)의 하단에 결합되어 공기조화기(100)의 개구된 하부를 차폐하는 베이스팬(1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전반부가 실내에 노출되고 후반부는 실외(창틀 바깥)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전반부는 실내기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후반부는 실외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는 통풍구(도 4의 도면부호 112)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112)는 실외공기가 공기조화기(100)의 후반부를 왕래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통풍구(112)는 공기조화기(100)의 후면으로부터 흡입된 실외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70)에 의해서 열교환된 후에 다시 공기조화기(100)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풍구(112)는 공기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프론트그릴(120)은 후방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후방으로 관통되어 실내가 공기조화기(100)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구(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흡입구(12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흡입구(122)의 상측에는 토출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4)는 공기조화기(10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4)의 내부에는 토출구(12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베인(125) 및 루버(126)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125)과 루버(126)는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 회동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가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구(124)의 우측에는 사각판 모양의 조작부커버(128)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커버(128)는 다수개의 조작다이얼(미도시)이 구비되어 공기조화기(100)의 작동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조작부(미도시)의 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커버(128)를 상단부를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미도시)의 전방은 개방되며 상기 조작다이얼(미도시)을 조작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2)의 후측에는 필터(14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14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필터(140)의 후방에는 실내열교환기(142)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는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내부가 빈 관을 다수회 절곡하여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22)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실내열교환기(142)의 외면과 접촉하여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상측에는 토출안내수단(144)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은 토출구(124)와 흡입구(122)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부의 공기가 서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후면에 접촉하며 후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150)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의 후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스테빌라이저(144')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144')는 후단부가 실내팬(150)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스테빌라이저(144')와 토출안내수단(144)의 상면에 의해서 하방향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토출구(124)로 안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이 공기조화기(100) 내부에 장착되면, 실내팬(150) 전방의 공간은 토출안내수단(144)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실내팬(150)을 경유하여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에 의해서 안내됨으로써 상기 토출구(124)로 토출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46)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46)은 실내열교환기(142)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후측에는 히터(148)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48)는 공기조화기(100)의 난방 기능시에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전원 인가시에 발열하여 차가운 공기를 열교환(가열)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따뜻하게 조화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148)의 후방에는 실내팬(15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50)은 실내 공기가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가로로 긴 원통 모양을 가지며 횡류팬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50)은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152)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모터(152)의 회전으로 실내팬(150)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실내팬(15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는 흡입 력을 발생되어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 실내팬(150)의 후방에는 에어가이드(16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는 실내팬(150)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를 상방향으로 유동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30)의 대략 중앙에 세로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60)가 공기조화기(100)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공간은 전후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를 기준으로 전방은 실내기 역할을 수행하며, 후방은 실외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전면 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팬(150)은 에어가이드(160)의 전면 상부에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실내팬(150)의 외주면에서 상기 실내팬(150)의 외형과 유사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50)의 회전으로 상방향으로 유동 강제된 공기는 라운드진 곡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안내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좌우측면에는 앵글(162)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앵글(162)은 아웃케이스(110)의 선단부가 스크류 체결에 의해서 결합되는 곳으로,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우측면에 부착된 앵글(162)을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01685156-pat00003
"모양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60)에는 스크류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미도시)이 천공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후반부에는 실외열교환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는 실내열교환기(142)와 같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는 전술한 통풍구(112)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통풍구(11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의 전방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후방 내부 공간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18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180)은 실외모터(182)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상기 실외모터(182)는 베이스팬(130) 상면에 구비된 모터브라켓(184)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브라켓(184)에 장착된 상태로 유동이 구속되어 상기 송풍팬(18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180)은 쉬라우드(186)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86)는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외곽 테두리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베이스팬(1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86)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송풍팬장착부(188)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장착부(188)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18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장착부(188) 내부에 장착된 송풍팬(180)이 회전시에 발생된 공기 유동방향을 후방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된 실외공기는 상기 송 풍팬(180)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송풍팬장착부(188)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와 에어가이드(160) 사이의 공간에는 압축기(19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90)는 작동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90)의 상면 일측에는 실외측냉매배관(192)이 연결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192)은 일단이 상기 압축기(19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9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192)의 이격된 일측에는 실내측냉매배관(194)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측냉매배관(194)은 실내열교환기(142) 내부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19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측냉매배관(194)은 일단부가 상기 압축기(190)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와 실내열교환기(142) 사이에는 모세관(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세관은 실외열교환기(170)를 거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켜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로 안내하는 것으로, 내부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와 실내열교환기(142)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70) 내부에서 실외공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모세관에 의해서 안내되어 다시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프론트그릴의 외관을 보인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팬(130)의 외관을 보인 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를 보인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그릴(120)을 공기조화기(100) 전방에 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전술한 프론트그릴(120)과,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하면을 형성하고 상면에 안착된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130)과, 상기 베이스팬(130)과 프론트그릴(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서로 형합되며, 상기 프론트그릴(120)이 베이스팬(1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220) 및 걸림홈(240)이 포함된다.
상기 프론트그릴(120)과 베이스팬(13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는 상기 프론트그릴(120)과 베이스팬(130)에 각각 형성되어 형합되는 걸림편(220)과 걸림홈(2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후면 좌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사각판 모양의 걸림편(22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22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걸림홈(240)과 형합되어 상기 프론트그릴(120)이 베이스팬(130)에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220)은 베이스팬(13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240)과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팬(13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220)은 프론트그릴(120)의 다수 곳이 베이스팬(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내부 좌/우측면에서 위아래로 이격되게 여러 층으로 다수 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걸림편(220)은 상기 걸림홈(240)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걸림홈(240)에 삽입되는 걸림부(222)와, 상기 걸림부(222)와 프론트그릴(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22)를 지지하는 지지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222)는 좌측변이 긴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며, 좌측단부가 상기 지지부(22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22)의 후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걸림부(222)가 걸림홈(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그릴(120)을 전방으로 잡아당겼을 때 걸림편(220)의 간섭량을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22)는 전단부 역시 후단부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프론트그릴(120)을 베이스팬(130)에 결합시에 간섭량이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부(222)의 형상 변경에 따라 상기 걸림홈(240) 역시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경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상기 걸림부(222)가 마름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면, 좌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은 상기 걸림홈(240)에 삽입되어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7참조)
상기 지지부(224)는 좌측단 및 후단이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내부 벽면과 부착되며, 상기 걸림부(222)가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24)는 걸림부(222)가 걸림홈(240)과 형합되거나 걸림홈(240)으로부터 이탈시에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큰 힘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224) 및 걸림부(222)는 상기 프론트그릴(12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224)의 내측단에는 걸림부(222)를 다수개 형성하여 구속력이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개의 지지부(224) 우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사다리꼴 모양의 걸림부(222)를 2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팬(130)의 일측면에 상기 2개의 지지부(224)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24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224)의 하면에는 지지리브(226)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226)는 지지부(22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단부와 좌측단은 상기 지지리브(226)의 하면과 프론트그릴(120)의 내부 측면에 부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24)에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지지리브(226)에 의해 지지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240)은 베이스팬(130)의 좌우측면 전반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22)를 내부에 수용하여 프론트그릴(120)에 구속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부(22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프론트그릴(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40)은 상기 걸림부(222)와 형합시에 안정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팬(13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240) 내부에 걸림부(222)가 삽입되어 구속되면, 상기 걸림부(222) 및 지지부(224)와 일체화된 프론트그릴(120) 역시 전방 유동이 제한된다.
도 5의 미설명 도면부호 119는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상측이 에어가이드(160)의 후면에 의해 걸림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편(129)을 나타낸 것이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커버(128)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조작다이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압축기(190)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측냉매배관(192)을 경유하여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는 실외열교환기(170)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외모터(182)는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송풍팬(18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송풍팬(180)의 회전으로 발생된 후방향의 공기 유동은 실외 공기가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실외열교환기(170)의 외면과 접촉하여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실외 공기는 다시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된 통풍구(112)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에서 실외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한 냉매는 상기 모세관에 의해서 감압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로 유동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실외모터(182)의 회전에 의해 송풍팬(180)이 회전시에 상기 실내팬(15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50)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필터(140)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후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실내팬(150)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가이드(160)를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이 안내되며, 상기 토출안내수단(144)과 스테빌라이저(144')의 상면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토출구(12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124)로 이동한 공기는 베인(125)과 루버(126)의 외면과 접촉하여 유동 방향이 바뀌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으로 넓게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실내측냉매배관(194)을 통해서 다시 상기 압축기(190)로 유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냉매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140)의 청소 또는 공기조화기(100)의 수리가 요구될 때 상기 프론트그릴(120)을 분리하게 된다.
즉,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전면에 장착된 프론트그릴(1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좌우측면 하부를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22)는 3면이 걸림홈(240)과 접촉한 상태로 형합되어 있다가 이탈되며,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좌우측면 하부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22)의 내측면은 베이스팬(13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걸림홈(240)으로부터 점점 멀리 이격된다. 반면, 상기 구속편(도 5의 도면부호 129)은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후면(도 4에서 볼 때) 상단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그릴(120)은 상기 구속편(129)을 기준으로 하부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형상이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그릴(12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베이스팬(130)의 후면 좌우측 상단에 걸림 결합된 구속편(129)은 구속이 해지되고 상기 프론트그릴(120)은 어떠한 구속도 받지 않는 상태가 되어 공기조화기(100)의 전방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물론 상기 프론트그릴(120)이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걸림부(222)와 베이스팬(130)의 접촉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져있던 프론트그릴 (120)의 좌우측면은 탄성복원되어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론트그릴에 돌출된 걸림편을 형성하고 베이스팬에 함몰된 걸림홈을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프론트그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베이스팬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서로 형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걸림부 및 걸림홈의 형상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적용되었으나, 서로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에서는, 프론트그릴과 베이스팬 일측에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프론트그릴을 밀어넣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형합되도록 하여 프론트그릴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프론트그릴의 장착이 용이하며, 이로 인한 조립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도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장착구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품을 생략하고 걸림홈과 걸림편이 베이스팬과 프론트그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서비스성이 좋아지므로 고객만족도가 향상 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공기조화기의 전면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전후를 관통하여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그릴과; 공기조화기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면에 안착된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팬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프론트그릴의 내면에는,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프론트그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형합되어 프론트그릴이 베이스팬 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걸림홈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와 걸림홈은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그릴의 하단부로부터 걸림편까지 이격된 거리는, 상기 베이스팬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걸림편의 강도를 보강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프론트그릴의 내부 좌/우측벽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베이스팬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지지부에서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일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팬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KR1020060002707A 2006-01-10 2006-01-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KR101257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07A KR101257504B1 (ko) 2006-01-10 2006-01-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07A KR101257504B1 (ko) 2006-01-10 2006-01-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56A KR20070074756A (ko) 2007-07-18
KR101257504B1 true KR101257504B1 (ko) 2013-04-23

Family

ID=3850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707A KR101257504B1 (ko) 2006-01-10 2006-01-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5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5722A (ja) * 1988-05-10 1989-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ー体型空気調和機
KR0123022B1 (ko) * 1995-03-20 1997-12-01 구자홍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조립구조
KR100228965B1 (ko) 1997-02-27 1999-11-01 구자홍 에어컨 실외기
KR200182548Y1 (ko) 1997-12-01 2000-06-01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5722A (ja) * 1988-05-10 1989-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ー体型空気調和機
KR0123022B1 (ko) * 1995-03-20 1997-12-01 구자홍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조립구조
KR100228965B1 (ko) 1997-02-27 1999-11-01 구자홍 에어컨 실외기
KR200182548Y1 (ko) 1997-12-01 2000-06-01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 착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56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5831B2 (en) Unit type air conditioner
KR10125750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CN101086353B (zh) 窗式空调器的前面格栅装配结构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0794830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KR2007005383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10175195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69352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113716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90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장착구조
KR20070077363A (ko) 공기조화기의 히터
KR10063361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53326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부구조
KR20080016764A (ko) 공기조화기
KR20060122353A (ko) 공기 조화기의 모터 결합 구조 및 그의 모터 지지 커버
KR101345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100691897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판넬 구조
KR101234405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7364A (ko)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KR1023344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1567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