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405B1 - 창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4405B1 KR101234405B1 KR1020060053757A KR20060053757A KR101234405B1 KR 101234405 B1 KR101234405 B1 KR 101234405B1 KR 1020060053757 A KR1020060053757 A KR 1020060053757A KR 20060053757 A KR20060053757 A KR 20060053757A KR 101234405 B1 KR101234405 B1 KR 101234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controller
- case
- wire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4—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a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조립체 일측에 전선보호케이스를 구비하여 단선을 방지하고, 조작부커버의 일면에 프론트그릴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조작부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가 구비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142)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90), 실내모터(152) 및 상기 다수개 부품과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다수개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의 내부 일측에는, 전선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전선수용공간(262)을 형성하여 상기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보호케이스(2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수행시에 감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창문형, 공기조화기, 컨트롤러조립체, 멈춤돌기, 전선보호케이스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 컨트롤러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 조작부커버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종단면도.
도 4b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 조작부커버가 개방되어 프론트그릴 일측과 간섭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종단면도.
도 4c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 조작부커버의 멈춤돌기가 프론트그릴 일측과 간섭되어 회동이 제한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컨트롤러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컨트롤러조립체에서 전선보호케이스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조화기 110. 아웃케이스
112. 통풍구 120. 프론트그릴
122. 흡입구 123. 커버장착구멍
124. 토출구 125. 베인
126. 루버 128. 조작부커버
128'. 힌지 129. 멈춤돌기
130. 베이스팬 140. 필터
142. 실내열교환기 144. 토출안내수단
144'. 스테빌라이저 146. 드레인팬
148. 히터 150. 실내팬
152. 실내모터 154. 모터지지구
160. 에어가이드 162. 앵글
170. 실외열교환기 180. 송풍팬
182. 실외모터 184. 모터브라켓
186. 쉬라우드 188. 송풍팬장착부
190. 압축기 192. 실외측냉매배관
194. 실내측냉매배관 200. 컨트롤러조립체
220. 컨트롤러케이스 222. 메인피씨비
224. 피씨비케이스 225. 체결편
226. 디스플레이피씨비 228. 피씨비홀더
230. 베리어 240. 컨트롤러커버
242. 디스플레이 243. 발광체
244. 조작부 244'. 조작버튼
246. 식별판 247. 문자
248. 개구부 249. 덮개
260. 전선보호케이스 262. 전선수용공간
264. 삽입부 266. 인출부
268. 케이스커버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러조립체 일측에 전선보호케이스를 구비하여 단선을 방지하고, 조작부커버의 일면에 프론트그릴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조작부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가 구비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이하에서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 컨트롤러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전방이 개구된 박스(Box) 모양의 아웃케이스(10)와,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20)과, 후방으로 개구되고 전면 및 상면에는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흡입구(32)와 토출구(34)가 형성된 프론트그릴(3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0)의 전면에는 실내 공기를 공기조화기(1)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구(32)가 형성되며, 경사진 상면에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구(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그릴(30)을 통해서 실내 공기는 실내기(1) 내/외부를 드나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32)의 후측에는 필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3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34)의 우측에는 상단부 좌/우측에 형성된 힌지(미도시)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한 조작부커버(36)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커버(36)의 후측에는 다수개의 조작버튼(42)이 장착된 조작부(40)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커버(36)를 회동하여 상기 조작부(40)의 전방을 개방함으로써 조작버튼(42)의 조작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0)의 후방에는 실내열교환기(5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50)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2)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 의해서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50)의 후측에는 히터(H)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H)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 갖추어지는 것으로 전원 인가시에 발열하여 공기를 데움으로써 실내공간을 따뜻하게 조화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H)의 후방에는 실내팬(52)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52)은 전원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실내팬(52)이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실내팬(5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H)의 후방에는 에어가이드(54)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는 실내팬(52)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20)의 중앙부에 세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54)는 공기조화기(1)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게 되며, 상기 흡입구(32)를 통해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에어가이드(54)에 의해서 간섭되어 상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54)는 공기의 상방향 유동을 안내함은 물론 공기조화기(1)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역할도 동시 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54)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유동한 공기는 토출안내수단(60)에 의해서 전방 즉, 토출구(34)로 안내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수단(60)은 상면이 토출구(34)와 흡입구(32)를 상하로 구획하며, 후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스테빌라이저(62)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62)는 후단부가 상기 실내팬(52)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52)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스테빌라이저(62)와 토출안내수단(60)의 상면에 의해서 하방향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토출구(34)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54)의 후측 즉, 실외측의 중앙부에는 쉬라우드(70)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7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중앙부는 천공되고 천공된 곳에는 풍력을 발생하는 송풍팬(72)이 장착된다.
상기 송풍팬(72)은 실내팬(52)과 마찬가지로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풍력을 발생하며, 상기 송풍팬(72)의 풍력에 의해서 실외 공기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면 중앙부로 흡입된 후에 좌우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72)의 후측에는 실외열교환기(74)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74)는 외부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으로부터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74)는 송풍팬(72)이 발생시킨 풍력에 의해서 상기 공기조화기(1) 후면 외측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며, 상기 실외열 교환기(74)에 의해서 열교환된 실외공기는 상기 송풍팬(72)에 의해서 강제됨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면 좌우측에 천공된 통풍구(12)를 통해서 송풍된다.
상기 쉬라우드(70)와 에어가이드(54) 사이의 공간에는 압축기(8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80)는 작동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80)의 상측에는 실외측냉매배관(82)이 연결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82)은 일단이 상기 압축기(8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8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74)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82)의 이격된 일측에는 실내측냉매배관(84)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측냉매배관(84)은 실내열교환기(50) 내부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8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실내열교환기(50) 사이에는 모세관(86)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세관(86)은 실외열교환기(74)를 거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켜 상기 실내열교환기(50)로 유동 안내하는 것으로, 내부가 상기 실외열교환기(74)와 실내열교환기(50)에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40)는 컨트롤러조립체(9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조립체(90)는 공기조화기(1) 내부에 장착된 다수의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40) 및 조작버튼(42)이 구비되는 컨트롤러커버(92)와, 상기 컨트롤러커버(92) 하측에 메인피씨비(PCB, 미도시)등의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컨트롤러케이스(94)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94)의 경사진 상면에는 컨트롤러커버(92)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커버(92)와 컨트롤러케이스(94) 상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는 압축기(80) 등의 전자부품과 메인피씨비(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전선(C)이 구비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케이스(94)의 상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전선관통구(96)가 천공 형성되어 컨트롤러케이스(94)의 상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피씨비(98)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미도시) 및 압축기(80)와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C)은 상기 컨트롤러케이스(94) 상측 공간과 전선관통구(96)를 경유하여 메인피씨비(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커버(92)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조작부(40) 전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저절로 닫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시에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러케이스(94) 상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전선(C)은 컨트롤러커버(92) 하측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실내기(1)에 고장이 발생되어 서비스를 수행시에 감전 등의 안전사 고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수행중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전선(C)의 단선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작부커버 전면에 멈춤돌기를 형성시켜 조작부커버를 회동시켰을 때 멈춤돌기가 프론트그릴과 선택적으로 간섭됨으로써 조작부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조립체 일측에 전선보호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전선보호케이스 내부로 전선이 경유하도록 수용하여 서비스 수행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및 단선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모터 및 상기 다수개 부품과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조립체의 내부 일측에는, 전선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전선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보호케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조립체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케이스 와, 상기 컨트롤러케이스 상측에 결합되어 컨트롤러케이스 상면을 차폐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컨트롤러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선보호케이스는 컨트롤러케이스와 컨트롤러커버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 절제(切除)되어 상기 전선이 전선보호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전선보호케이스 내부로 삽입된 전선이 전선보호케이스 외부로 인출 가능한 위치를 안내하는 인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그릴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컨트롤러조립체의 전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작부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커버의 일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작부커버가 회동시에 프론트그릴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조작부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수용공간의 개구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그릴의 장착이 용이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창틀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조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전방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아웃케이스(110)와, 상기 아웃케이스(110) 전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그릴(120)과,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프론트그릴(120)의 하단에 결합되어 공기조화기(100)의 개구된 하부를 차폐하는 베이스팬(도 5 의 도면부호 13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전반부가 실내에 노출되고 후반부는 실외(창틀 바깥)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전반부는 실내기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후반부는 실외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는 통풍구(도 5의 도면부호 112)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112)는 실외공기가 공기조화기(100)의 후반부를 왕래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통풍구(112)는 공기조화기(100)의 후면으로부터 흡입된 실외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70)에 의해서 열교환된 후에 다시 공기조화기(100)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풍구(112)는 공기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프론트그릴(120)은 후방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에는 후방으로 관통되어 실내가 공기조화기(100)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구(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흡입구(12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흡입구(122)의 상측에는 토출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4)는 공기조화기(10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4)의 내부에는 토출구(12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베인(125) 및 루버(126)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125)과 루버(126)는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 회동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가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구(124)의 우측에는 사각판 모양의 조작부커버(128)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커버(128)는 좌/우측 상단부의 힌지(128')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공기조화기(100)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전면 우측 상부에 천공된 커버장착구멍(123)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장착구멍(123)의 후방으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러조립체(2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장착구멍(123)에 조작부커버(128)가 장착되면 컨트롤러조립체(200)의 전방은 차폐되며, 힌지(128')를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 커버(128)를 회동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컨트롤러조립체(200)를 조작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커버(128)의 전면 우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멈춤돌기(129)가 더 구비된다. 상기 멈춤돌기(129)는 조작부커버(128)가 회동시에 프론트그릴(120)의 일측 즉, 커버장착구멍(123)의 테두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조작부커버(128)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의 전방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 상기 조작부커버(128)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장착구멍(123)의 상단부와 간섭되어 다시 닫히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멈춤돌기(129)와 프론트그릴(120)이 도 4b 와 같은 상태로 간섭시에 프론트그릴(12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해야만 하며, 상기 멈춤돌기(129)는 프론트그릴(120)과 접촉하는 부위에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후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구(122)의 후측에는 필터(14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140)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필터(140)의 후방에는 실내열교환기(142)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는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내부가 빈 관을 다수회 절곡하여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22)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실내열교환기(142)의 외면과 접촉하여 열교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상측에는 토출안내수단(144)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은 토출구(124)와 흡입구(12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142) 전방의 공기 즉,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토출구(124) 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후면에 접촉하며 후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150)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의 후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스테빌라이저(144')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144')는 후단부가 실내팬(150)의 외주면에 근접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스테빌라이저(144')와 토출안내수단(144)의 상면에 의해서 하방향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토출구(124)로 안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이 공기조화기(100) 내부에 장착되면, 실내팬(150) 전방의 공간은 토출안내수단(144)에 의해서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실내팬(150) 을 경유하여 상기 토출안내수단(144)에 의해서 안내됨으로써 상기 토출구(124)로 토출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46)이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46)은 실내열교환기(142)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전방에는 히터(148)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48)는 공기조화기(100)의 난방 기능시에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전원 인가시에 발열하여 차가운 공기를 열교환(가열)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따뜻하게 조화시키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의 후방에는 실내팬(15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50)은 실내 공기가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가로로 긴 원통 모양을 가지며 횡류팬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50)은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152)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모터(152)의 회전으로 실내팬(150)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실내팬(15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는 흡입력을 발생되어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실내모터(152)의 우측에는 모터지지구(154)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지지구(154)는 내부에 실내모터(152)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내부 우측 공간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실내모터(152)가 에어가이드(160)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실내팬(150)의 후방에는 에어가이드(16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는 실내팬(150)에 의해서 흡입된 공기를 상방향으로 유동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30)의 대략 중앙에 세로로 설치되며,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60)가 공기조화기(100)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공간은 전/후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를 기준으로 전방은 실내기 역할을 수행하며, 후방은 실외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전면 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팬(150)은 에어가이드(160)의 전면 상부에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실내팬(150)의 외주면에서 상기 실내팬(150)의 외형과 유사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50)의 회전으로 상방향으로 유동 강제된 공기는 라운드진 곡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안내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좌/우측면에는 앵글(162)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앵글(162)은 아웃케이스(110)의 선단부가 스크류 체결에 의해서 결합되는 곳으로,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우측면에 부착된 앵글(162)을 상방에서 볼 때 대략 ""모양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60)에는 스크류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미도시)이 천공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후반부에는 실외열교환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는 실내열교환기(142)와 같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는 전술한 통풍구(112)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통풍구(112)를 통해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의 전방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60)의 후방 내부 공간의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송풍팬(18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180)은 실외모터(182)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상기 실외모터(182)는 베이스팬(130) 상면에 구비된 모터브라켓(184)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브라켓(184)에 장착된 상태로 유동이 구속되어 상기 송풍팬(18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송풍팬(180)은 쉬라우드(186)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86)는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외곽 테두리는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베이스팬(1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86)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송풍팬장착부(188)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장착부(188) 내부에는 상기 송풍팬(18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장착부(188) 내부에 장착된 송풍팬(180)이 회전시에 발생된 공기 유동방향을 후방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된 실외공기는 상기 송 풍팬(180)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 송풍팬장착부(188)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쉬라우드(186)와 에어가이드(160) 사이의 공간에는 압축기(19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90)는 작동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 기체 상태로 상변화시키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90)의 상면 일측에는 실외측냉매배관(192)이 연결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192)은 일단이 상기 압축기(19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9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70)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외측냉매배관(192)의 이격된 일측에는 실내측냉매배관(194)이 구비된다. 상기 실내측냉매배관(194)은 실내열교환기(142) 내부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19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측냉매배관(194)은 일단부가 상기 압축기(190)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와 실내열교환기(142) 사이에는 모세관(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세관은 실외열교환기(170)를 거친 고압의 냉매를 감압시켜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로 안내하는 것으로, 내부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와 실내열교환기(142)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70) 내부에서 실외공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모세관에 의해서 안내되어 다시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그릴(120)의 후방 우측 공간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컨트롤러조립체(20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는 다수의 전장부품 예컨대, 실내모터(152), 압축기(19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실내모터(152)와 압축기(19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컨트롤러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인 컨트롤러조립체에서 전선보호케이스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케이스(220)와,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 상측에 결합되어 컨트롤러케이스(220)의 상면을 차폐하는 컨트롤러커버(24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는 우측에서 볼 때 대략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피씨비(222)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피씨비(222)는 피씨비케이스(224)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를 위해 상기 피씨비케이스(224) 상면은 메인피씨비(222)의 외곽과 대응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케이스(224)의 전/후단부에는 전/후방으로 돌출된 체결 편(22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225)은 피씨비케이스(224)가 컨트롤러케이스(220) 내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의 우측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메인피씨비(222)가 먼지 등의 이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차폐하는 베리어(230)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230)는 상방향에서 볼 때 대략 "ㄱ"모양으로 절곡되어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의 개구된 우측 및 후방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의 경사진 상면 하부에는 디스플레이피씨비(22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피씨비(226)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디스플레이(24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피씨비홀더(228)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피씨비홀더(228)가 컨트롤러케이스(220) 상면에 장착됨으로써 컨트롤러케이스(2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의 경사진 상면으로부터 상측에는 상기한 컨트롤러커버(24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커버(240)는 하단부가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 상면의 외측 테두리부와 체결되어 하측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커버(240)의 하측 천장에는 디스플레이(24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42)는 디스플레이피씨비(2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발광체(243)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의 상면에는 조작부(244)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44)는 공기조화기(100)의 작동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조작버튼(244')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244)의 상면에는 식별판(246)이 구비된다. 상기 식별판(246)은 디스플레이(242)의 발광체(243)가 발광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문자(247) 등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커버(240)의 전면에는 개구부(248)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48)는 디스플레이피씨비(226)의 서비스를 위해 개구된 것으로 상기 개구부(248)에는 개구부(248)보다 조금 더 큰 크기의 덮개(249)가 체결되어 차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의 내부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컨트롤러커버(240)와 컨트롤러케이스(220)가 형성하는 공간의 상부에는 전선보호케이스(2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는 디스플레이피씨비(226) 및 메인피씨비(222)에 연결된 다수의 전선(미도시)이 하측을 경유하도록 수용하여 상기 전선의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좌측 상부와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수용공간(26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피씨비(226)의 서비스를 위해 상기 덮개(249)를 제거하더라도 상기 다수개의 전선은 전선보호케이스(260)에 의해 드라이버 등의 공구(미도시)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의 상단부에는 메인피씨비(222)와 연결된 전선이 전선보호케이스(260) 내부로 삽입되도록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삽입부(26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64)는 전선보호케이스(260)의 상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절제(切除) 형성된 것으로, 대략 사각형모양을 가진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의 전면에는 삽입부(264)를 통해 전선수용공간(262)에 수용된 전선의 단부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안내하는 인출부(266)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266)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의 전면 하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제(切除)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수용공간(262) 내부를 경유한 전선은 상기 인출부(266)를 통해 전선수용공간(262) 외부로 인출된 후 디스플레이피씨비(226)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의 상면에는 상기 전선수용공간(262)의 개구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268)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커버(268)는 전선수용공간(262) 보다 조금 작은 크기의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선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커버(268)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후반부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전선수용공간(262) 내부에 수용된 전선은 상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냉방운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조작부커버(128)가 프론트그릴(120)에 장착되어 커버장착구 멍(123)을 차폐한 상태에서 힌지(128')를 기준으로 조작부커버(128)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커버장착구멍(123)은 개방되어 사용자는 조작버튼(244')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커버(128)를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면, 상기 조작부커버(128)를 상방향으로 더 회동시켜 도 4b와 같이 멈춤돌기(129)와 커버장착구멍(123)의 상측 테두리를 간섭시킨 후에 도 4c와 같이 간섭시킴으로써 상기 조작부커버(128)가 닫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버튼(244')의 조작으로 공기조화기(100)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압축기(190)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외측냉매배관(192)을 경유하여 응축기 역할을 수행하는 실외열교환기(170)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외모터(182)는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송풍팬(18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송풍팬(180)의 회전으로 발생된 후방향의 공기 유동은 실외 공기가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실외열교환기(170)의 외면과 접촉하여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실외 공기는 다시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된 통풍구(112)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170)에서 실외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한 냉매는 상기 모세관(미도시)에 의해서 감압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42)로 유동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실외모터(182)의 회전에 의해 송풍팬(180)이 회전시에 상기 실내팬(15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50)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필터(140)에 의해 필터링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후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실내팬(150)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가이드(160)를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이 안내되며, 상기 토출안내수단(144)과 스테빌라이저(144')의 상면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토출구(12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124)로 이동한 공기는 베인(125)과 루버(126)의 외면과 접촉하여 유동 방향이 바뀌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으로 넓게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142)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실내측냉매배관(194)을 통해서 다시 상기 압축기(190)로 유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냉매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6과 같이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 내부 공간에 상기 메인피씨비(222)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메인피씨비(222)는 피씨비케이스(224)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피씨비케이스(224)의 체결편(225)은 컨트롤러케이스(220)의 내부 바닥면과 체결부재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인피씨비(222)의 장착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메인피씨비(222)에 연결되는 전선의 타단부는 상기 컨트롤러케이 스(220)의 상단부 중앙부를 통해 상면으로 끌어 올려진 상태이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케이스(220)의 우측에는 상기 베리어(230)가 결합되어 메인피씨비(222)와 이물의 접촉은 차단된다.
상기 메인피씨비(222)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를 도 7과 같이 장착하게 된다.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가 컨트롤러케이스(220) 상면에 장착되면 전선보호케이스(260)와 컨트롤러케이스(220) 사이에는 전선수용공간(262)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피씨비(222)에 연결된 전선은 전선수용공간(262) 내부로 수용된다.
즉, 상기 메인피씨비(222)에 연결된 전선의 단부는 삽입부(264)를 통해 전선수용공간(262)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압축기(190), 히터(148) 등의 전장부품과 연결된 전선 역시 상기 전선수용공간(262)으로 삽입된다.
이후 상기 전선보호케이스(260)의 하측에 디스플레이피씨비(226)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피씨비(226)는 피씨비홀더(228)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피씨비홀더(228)가 컨트롤러케이스(220) 상면에 장착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 히터 등과 연결된 전선은 인출부(266)를 통해서 전선수용공간(262)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피씨비(226)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작동 상태는 디스플레이피씨비(226)로 전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268)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후반부를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전선수용공간(262) 내부에 수용된 전선은 상방향으로 노출되지 않 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컨트롤러커버(240)에 디스플레이(242) 및 식별판(246)을 부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42)와 디스플레이피씨비(2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상기 컨트롤러커버(240)와 컨트롤러케이스(22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조립체(2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습으로 조립 완료된다.
이후 상기 공기조화기(100)를 사용중에 고장이 발생하여 컨트롤러조립체(200)의 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컨트롤러커버(240)로부터 덮개(249)를 분리하여 개구부(248)를 개방하게 되며, 이때, 서비스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개구부(248)를 통해 컨트롤러조립체(200) 내부로 삽입하더라도 다수개의 전선은 전선보호케이스(260)에 의해 전방이 차폐되어 단선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조작부커버 전면에 멈춤돌기를 형성시켜 조작부커버를 회동시켰을 때 멈춤돌기가 프론트그릴과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조작부커버가 선택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조작부의 조작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조립체 내부의 다수개 전선이 내부를 경우하도 록하는 전선보호케이스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서비스 수행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및 단선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모터 및 상기 다수개 부품과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개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상기 컨트롤러조립체의 내부 일측에는,전선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전선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보호케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조립체는,다수의 전자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케이스와,상기 컨트롤러케이스 상측에 결합되어 컨트롤러케이스 상면을 차폐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조작버튼이 구비되는 컨트롤러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전선보호케이스는 컨트롤러케이스와 컨트롤러커버 사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절제(切除)되어 상기 전선이 전선보호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삽입부와,상기 삽입부를 통해 전선보호케이스 내부로 삽입된 전선이 전선보호케이스 외부로 인출 가능한 위치를 안내하는 인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전/후로 관통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프론트그릴의 일측에는,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컨트롤러조립체의 전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작부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커버의 일측에는,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작부커버가 회동시에 프론트그릴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조작부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멈춤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상기 전선수용공간의 개구된 상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케이스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757A KR101234405B1 (ko) | 2006-06-15 | 2006-06-15 | 창문형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757A KR101234405B1 (ko) | 2006-06-15 | 2006-06-15 | 창문형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301A KR20070119301A (ko) | 2007-12-20 |
KR101234405B1 true KR101234405B1 (ko) | 2013-02-18 |
Family
ID=3913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3757A KR101234405B1 (ko) | 2006-06-15 | 2006-06-15 | 창문형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44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5010A1 (ja) * | 2019-10-17 | 2021-04-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3927A (ja) * | 1994-04-20 | 1995-11-10 | Sanyo Electric Co Ltd | 空気調和機 |
JPH09250775A (ja) * | 1996-03-19 | 1997-09-22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JPH112428A (ja) | 1997-06-12 | 1999-01-06 | Sharp Corp | 分離型空気調和機 |
JP2003074904A (ja) | 2001-09-05 | 2003-03-12 | Sanyo Electric Co Ltd | 電装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
-
2006
- 2006-06-15 KR KR1020060053757A patent/KR1012344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93927A (ja) * | 1994-04-20 | 1995-11-10 | Sanyo Electric Co Ltd | 空気調和機 |
JPH09250775A (ja) * | 1996-03-19 | 1997-09-22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JPH112428A (ja) | 1997-06-12 | 1999-01-06 | Sharp Corp | 分離型空気調和機 |
JP2003074904A (ja) | 2001-09-05 | 2003-03-12 | Sanyo Electric Co Ltd | 電装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301A (ko) | 2007-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06978A1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72746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611327B1 (ko) |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 |
KR101234405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 | |
KR100642364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70005176A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158602B1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 |
KR20070053834A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925718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257504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 |
KR20080016764A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05178A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84301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794830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 |
KR20070044342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루버모터 장착구조 | |
KR100691897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판넬 구조 | |
KR100693524B1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스테빌라이저 장착구조 | |
KR20060126041A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60126043A (ko)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러커버 구조 | |
KR20070077363A (ko) | 공기조화기의 히터 | |
KR100564463B1 (ko) | 공기조화기의 에어토출구조 | |
KR102334417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64455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553045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77366A (ko)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쉬라우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