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316B1 -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316B1
KR101257316B1 KR1020097016905A KR20097016905A KR101257316B1 KR 101257316 B1 KR101257316 B1 KR 101257316B1 KR 1020097016905 A KR1020097016905 A KR 1020097016905A KR 20097016905 A KR20097016905 A KR 20097016905A KR 101257316 B1 KR101257316 B1 KR 10125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mobile stations
mobile
stations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344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타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11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장치는, 무선 리소스의 소비량에 관련지어진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고, 상기 이동국의 수에 기초한 호접수제어를 수행한다. 기지국장치는, 송신버퍼에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이동국의 수에 기초하여 신규의 호의 접수를 수행하는 호접수수단을 구비한다.
논리채널, 공유채널, 이동국, 기지국장치, LTE, 3GPP, PDCP, RLC, MAC, PDSCH, 호접수제어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나 HSDPA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LTE(Long Term Evolution)가, W-CDMA의 표준화 단체 3GPP에 의해 검토되어,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고 있다.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서브캐리어를 주파수 상에, 일부 서로 중첩시키면서도 서로 간섭하지 않게 밀접하게 배열시킴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C-FDMA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SC-FDMA에서는, 송신전력의 변동이 작아지는 특징을 가지는 점에서, 단말의 저소비전력화 및 넓은 커버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은 유한의 무선 리소스(주파수나 전력)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그 통신용량에는 상한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용량에 따라서, 셀 내의 이동국의 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신규의 이동국이 당해 셀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하려고 한 경우에, 셀 내에서 이미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가 많고, 통신용량의 상한에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신규의 이동국이 당해 셀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는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셀 내에서 이미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상기 이동국의 수가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신규의 이동국이 당해 셀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고, 상기 이동국의 수가 소정의 문턱값 이하의 경우에, 상기 신규의 이동국이 당해 셀 내에 있어서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허가한다라는 호접수 제어(call admission control)를 수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호접수 제어의 관점에서는, 셀 내에 이미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는,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가 아니면 안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어느 이동통신 시스템이 20MHz의 주파수 대역폭을 소유하고, 그 20MHz의 주파수 대역폭에서 W-CDMA를 이용한 통신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W-CDMA의 1캐리어의 대역폭이 5MHz이기 때문에, 4개의 W-CDMA의 캐리어가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4개의 W-CDMA의 캐리어 내의 각 캐리어 내의 이동국의 수는 균등한 것이, 주파수 리소스의 유효활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국의 수에 관하여, 더 설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W-CDMA는,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개별로 설정되는 개별채널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인, 전력 리소스(a power resource)나 코드 리소스(a code resource)는, 상기 개별채널의 수와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셀 내에서 이미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는, 상기 개별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와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W-CDMA에서는,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와 개별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는, 일반적으로 같다.
한편, LTE는, 상향링크, 하향링크와 함께 공유채널(shared channels)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인, 전력 리소스나 코드 리소스는 복수의 이동국에서 공유된다. 이것은 개별의 이동국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와,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1대1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LTE는, 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시스템이므로, 패킷 데이터의 발생패턴에 의해서는,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것에도 상관없이, 전혀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지 않는 이동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 있어서 웹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이동국은,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20분간 중, 3분간만이 웹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수행한다고 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와,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1대1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LTE에 있어서,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는 LTE 액티브(Active) 상태, 혹은, RRC 접속(RRC connected) 상태라고 불리어진다.
또한, LTE에서는, 상기 LTE Active 상태를, 2개의 상태로 더, 즉, 하향링크의 데이터를 연속 수신하는 상태와, 하향링크의 데이터를 간헐 수신하는 상태로, 분리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상기 LTE Active 상태로, 그리고, 하향링크의 데이터를 간헐 수신하는 상태를 간헐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상태로 부른다. DRX 상태의 이동국이 소비하는 무선 리소스는 작기 때문에, DRX 상태의 이동국에 따라서도,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1대1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서는,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와, 소비되는 무선 리소스를 1대1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즉, LTE 시스템에서는,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와,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결과로서,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의 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호접수 제어가 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 중의,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 중의,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에 기초하여, 호의 접수제어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상향링크에 있어서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와,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통신의 접수를 제어하는 호접수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에 기초하여, 신규로 발생한 호의 접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도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에 기초하여 신규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지국장치는,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주파수대 마다의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종료 후에 이동국이 재권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제어방법은,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통신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 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단계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접수를 제어하는 제 9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는 이동국의 수에 기초하여, 신규로 발생한 호의 접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국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보존하는 데이터 서버와, 상기 데이터 서버 내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감시단말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의 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 관한 전송속도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 관한 버퍼체류량 또는 버퍼체류시간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또는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보고하는 보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또는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계값으로서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감시단말에, 상기 통계값으로서의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또는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 중의,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국과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는 이동국 중의, 실제로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에 기초하여, 호의 접수제어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8개의 판정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0개의 판정식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속도의 평균화를 위한 평균화 구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논리채널과 우선도 클래스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50 셀
1001, 1002, 1003, 100n, 110 이동국
200 기지국장치
202 송수신 안테나
204 앰프부
206 송수신부
208 베이스밴드 처리부
210 호처리부
212 전송로 인터페이스
2081 레이어 1 처리부
2082 MAC 처리부
2083 RLC 처리부
2084 이동국수 계산부
300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400 코어 네트워크
402 트래픽 집계 서버
404 감시단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예를 들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기지국장치(eNB: eNode B)(200)와 복수의 이동국(UE:User Equipment)(100n(1001, 1002, 1003, ... 100n, n은 n>0의 정수), 110)을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고,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여기서,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즉, 이동국(100n)과 기지국장치(200)과의 사이에는 커넥션이 확립되어 있으며, 이동국(100n)은 LTE Active한 상태에 있다. 또한, 이동국(110)은, 아직 기지국(200)과의 사이에 커넥션 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하, 이동국(100n(1001, 1002, 1003,... 100n))에 대해서는, 동일의 구성, 기능, 상태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특단의 이유가 없는 한 이동국(100n)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또한,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이동국의 일 예로서, 이동국(110)을 이용한다. 도 1에 있어서,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이동국은 1대이지만, 2대 이상 존재하여도 좋다.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접속)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대 상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SC-FDMA는,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 간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하향공유 물리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하향제어채널이 이용 된다. 하향링크에서는, LTE용의 하향제어채널에 의해, 하향공유 물리채널로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공유 물리채널에 맵핑되는 유저의 정보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 상향공유 물리채널의 송달확인정보 등이 통지되고, 하향공유 물리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이동국(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상향공유 물리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LTE용의 상향제어채널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향제어채널에는, 상향공유 물리채널과 시간다중되는 채널과, 주파수 다중되는 채널의 2 종류가 있다.
상향링크에서는, LTE용의 상향제어채널에 의해,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공유물리채널의 스케줄링, 적응변복조ㆍ부호화(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하향링크의 공유물리채널의 송달확인정보(HARQ ACK information)가 전송된다. 또한, 상향공유 물리채널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전송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는, 송수신 안테나(202)와, 앰프부(204)와, 송수신부(206)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와, 호처리부(210)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구비한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이동국(100n)으로 송신되는 패킷 데이터는, 기지국장치(200)의 상위에 위치하는 상위국,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패킷 데이터의 분할ㆍ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layer의 송신처리, MAC 재송제어, 예를 들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포맷 선택, 채널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206)로 전송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에 있어서, PDCP 레이어의 처리가 더 수행되어도 좋다.
송수신부(206)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처리가 제공되며, 그 후, 앰프부(204)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202)에 의해 송신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국(100n)으로부터 기지국장치(200)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4)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6)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서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하여,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정정복호, MAC 재송제어 등의 수신처리, RLC layer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지며,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셀(50)에 있어 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U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나, 공유채널인 PDSCH나 PUSCH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나, 공유채널인 PDSCH나 PUSCH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나, LTE Active인 이동국의 수나, LTE Active인 이동국 중에서, 소정의 전송속도를 만족하고 있지 않은 이동국의 수를 산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제 1의 이동국수」, 상기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USCH에 의해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제 2의 이동국수」, 상기 공유채널인 PDSCH나 PUSCH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를 「제 3의 이동국수」, 상기 공유채널인 PDSCH나 PUSCH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를 「제 4의 이동국수」, 상기 LTE Acitve인 이동국의 수를 「제 5의 이동국수」, 상기 LTE Active인 이동국 중에서, 소정의 전송속도를 만족하고 있지 않은 이동국의 수를 「제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에 더해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데이터의 평균지연이 허용지연을 상회한 이동국의 수,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상기 데이터의 평균지연이 허용지연을 상회한 이동국의 수와,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각각, 「제 7의 이동국수」와 「제 8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
호처리부(210)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처리나, 무선기지국(200)의 상태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호처리부(210)는, 후술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 내의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의해,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를 수취한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후술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 내의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의해,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에 더해서, 제 7의 이동국수와 제 8의 이동국수를 수취하여도 좋다.
호처리부(210)는,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로서, 자기지국장치의 Central Processing Unit(CPU)의 사용율이나, 메모리의 사용율, 버퍼의 사용율 등을 취득한다. 여기서 버퍼는, 예를 들어, PDCP layer에 있어서 데이터를 위한 버퍼여도 좋으며, RLC layer에 있어서 데이터를 위한 버퍼여도 좋으며, MAC layer에 있어서 데이터를 위한 버퍼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 즉, 자기지국장치의 Central Processing Unit(CPU)의 사용율이나, 메모리의 사용율, 버퍼의 사용율 등은, 복수의 캐리어를 합계한 값을 취득하여도 좋으며, 혹은, 캐리어마다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기지국장치(200)가 복수의 섹터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는, 셀마다 취득되어도 좋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코어 네트워크(400) 내의 노드나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 등의 다른 노드의 처리부하를 취득하여도 좋다. 여기서, 처리부하는 예를 들어, CPU 사용율이나 메모리 사용율이다.
그리고, 호처리부(210)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 상기 타노드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동국(110)에 관한 호접수 판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의 문턱값(TH1)과, 제 2의 문턱값(TH2)과, 제 3의 문턱값(TH3)과, 제 4의 문턱값(TH4)과, 제 5의 문턱값(TH5)과, 제 6의 문턱값(TH6)과, 제 7의 문턱값(TH7)과, 제 8의 문턱값(TH8)을 정의하고,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 상기 타 노드의 처리부하와, 상기 제 1의 문턱값(TH1), 제 2의 문턱값(TH2), 제 3의 문턱값(TH3), 제 4의 문턱값(TH4), 제 5의 문턱값(TH5), 제 6의 문턱값(TH6), 제 7의 문턱값(TH7), 제 8의 문턱값(TH8)과의 관계에 의해,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하는 8개의 판정식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고, 도 3a에 도시하는 8개의 판정식의 모두가 거짓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혹은 도 3a에 도시하는 8개의 판정식의 모두가 참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고, 도 3a에 도시하는 8개의 판정식 중 적어도 하나가 거짓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8개의 판정식을 모두 이용하고 있지만, 상기 8개의 판정식 중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일한 판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 상기 타 노드의 처리부하에 더해서,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이동국(110)에 관한 호접수 판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즉, 호처리부(210)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 상기 타 노드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동국(110)에 관한 호접수 판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또한, 제 9의 문턱값(TH9)과, 제 10의 문턱값(TH10)을 정의하고,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상기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 상기 타 노드의 처리부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1의 문턱값(TH1), 제 2의 문턱값(TH2), 제 3의 문턱값(TH3), 제 4의 문턱값(TH4), 제5의 문턱값(TH5), 제6의 문턱값(TH6), 제 7의 문턱값(TH7), 제8의 문턱값(TH8), 제 9의 문턱값(TH9), 제 10의 문턱값(TH10)과의 관계에 의해, 이동국(10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고,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의 모두가 거짓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혹은,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의 모두가 참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고,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 중 적어도 하나가 거짓인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도 3b에 도시한 10개의 판정식을 모두 이용하고 있지만, 상기 10개의 판정식 중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일한 판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6의 이동국수 및 제 7의 이동국수 및 제 8의 이동국수에 관해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각각에 관하여, 그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6의 이동국수 및 제 7의 이동국수 및 제 8의 이동국수의 각각에 관하여, 상향링크에 관한 값과 하향링크에 관한 값을 산출하고, 각각에 관 하여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하는 판정식을 이용한 판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3a라면, 제 6의 이동국수에 관한 식이 2개가 되므로, 9개의 판정식이 되고, 도 3b라면, 제 6의 이동국수 및 제 7의 이동국수 및 제 8의 이동국수에 관한 식이 각각 2개가 되기 때문에, 13개의 판정식이 된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판정을,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 종별마다,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마다,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혹은, Radio Bearer마다, 혹은,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상기 제 1 내지 제 6의 이동국수를 산출하고, 또한,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혹은, Radio Bearer마다, 혹은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상기 제 1의 문턱값(TH1) 내지 제 6의 문턱값(TH6)을 정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 7의 이동국수 및 제 8의 이동국수에 관해서도,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혹은, Radio Bearer마다, 혹은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상기 제 7의 이동국수 및 제 8의 이동국수를 산출하고, 또한,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혹은, Radio Bearer마다, 혹은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상기 제 9의 문턱값(TH9) 및 제 10의 문턱값(TH10)을 정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논리채널마다 상기 제 1 내지 제 6의 이동국수를 산출하 고, 논리채널마다 상기 제 1의 문턱값(TH1) 내지 제 6의 문턱값(TH6)을 정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을 수행한 경우에, 이동국(110)이, 도 3a에 의한 판정의 결과가 NG인 논리채널을 가지는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110)이, 도 3a에 따른 판정의 결과가 NG인 논리채널을 가지는/가지지 않는 것에 관계없이,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혹은, 상기 제 1 내지 제 6의 이동국수에 더해서, 제 7의 이동국수 또는 제 8의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논리채널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동국(110)이, 도 3b에 따른 판정의 결과가 NG인 논리채널을 가지는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110)이, 도 3b에 따른 판정의 결과가 NG인 논리채널을 가지는/가지지 않는 것에 관계없이,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신 호를 이동국(110)으로 통지하고, 이동국(110)과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통신의 설정을 수행한다. 한편,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호처리부(110)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대신, 이동국(110)에,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고 하는 정보를 통지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동국(110)이 개시하려고 한 통신은 호손실(call loss)이 된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무선통신 시스템(1000)이 복수의 캐리어를 가지며, 그리고,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상술한, 이동국(110)과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통신의 설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동국(110)이 통신을 수행하는 캐리어를 지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시스템(1000)이 2개의 캐리어를 가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캐리어를 캐리어 #1과 캐리어 #2로 한다. 호처리부(210) 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캐리어 #1과 캐리어 #2 중, 제 1의 이동국수가 작은 캐리어에 있어서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50이고,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가 100인 경우에는, 캐리어 #1에 있어서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여도 좋다.
상술한 예에서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과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를 비교하고 있지만, 제 1의 이동국수 대신에, 제 2의 이동국수나 제 3의 이동국수나 제 4의 이동국수나 제 5의 이동국수나 제 6의 이동국수나 제 7의 이동국수나 제 8의 이동국수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 중의 복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1과 캐리어 #2 중의 이동국수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110)이 어느 캐리어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지의 판정을,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Radio Bearer마다,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 마다,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혹은 Radio Bearer마다, 혹은, 논리채널마다, 우 선도 클래스마다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그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해서,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종료하는 경우에,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동국(110)이 통신종료 후에 캠프(camp)하는(재권하는 또는 대기를 수행하는) 캐리어를 지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시스템(1000)이 2개의 캐리어를 가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캐리어를 캐리어 #1과 캐리어 #2로 한다. 호처리부(210)는, 이미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이동국(110)이 그 통신을 종료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이동국(110)은 통신종료 후의 아이들(idle) 상태에 있어서, 캐리어 #1과 캐리어 #2 중, 제 1의 이동국수가 작은 캐리어에 캠프하는(재권하는) 것으로 결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50이고,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가 100인 경우에는, 이동국(110)은 통신종료 후의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캐리어 #1에 캠프하는(재권하는) 것으로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기지국장치(20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10)과의 통신을 종료 할 때, 이동국(110)이 캠프해야하는 주파수와 셀의 ID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이동국이 캠프해야 하는 캐리어의 지정을 실현한다. 상기 캠프해야 하는 주파수와 셀의 ID는, 예를 들어,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에 포함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과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를 비교하고 있지만, 제 1의 이동국수 대신, 제 2의 이동국수나 제 3의 이동국수나 제 4의 이동국수나 제 5의 이동국수나 제 6의 이동국수나 제 7의 이동국수나 제 8의 이동국수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 중의 복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1과 캐리어 #2 내의 아이들 상태의 이동국수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110)이 통신종료 후에 어느 캐리어에 캠프하는지(재권하는지)의 판정을,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Radio Bearer마다,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혹은, Radio Bearer마다, 혹은,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판정을 수행한다.
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캠프하는 캐리어를 결정하는 동작 예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후술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호처리부(210)는, 후술하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 내의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의해 수취된,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를 집계하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0) 내의 트래픽 집계 서버(402)에 보고하여도 좋다. 이 때,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 장치의 캐리어마다 처리부하로서, 순시값(spontaneous value)을 보고하여도 좋으며,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을 보고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3분간으로 평균한 값을 보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 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를, 각각 3분간으로 평균한 값을, 상기 트래픽 집계서버로 보고한다.
또한, 상기 트래픽 집계 서버에는, 원격(remote)의 감시단말(404)에서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의 감시단말로부터, 상기 트래픽 집계 서버에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셀 내의 혼잡도(degree of congestion)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예를 들어, 셀 내의 혼잡도를 감시한 결과, 셀 내의 혼잡도가 항상 높은, 혹은, 셀 내의 혼잡도가, 1일 중의 가장 혼잡도가 큰 경우에는, 셀의 용량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셀의 캐리어의 수를 증가시키는, 셀의 수를 증가시키는, 셀의 캐리어의 대역폭을 크게 하는 설비의 증강(增强)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의해, 상기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 전송속도를 수취하고, 그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집계하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0) 내의 트래픽 집계서버에 보고하여도 좋다. 이 때, 상기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 전송속도로서, 순시값을 보고하여도 좋으며,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을 보고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3분간으로 평균한 값을 보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각각 3분간으로 평균한 값을, 상기 트래픽 집계 서버에 보고한다. 혹은, 셀 내의 전 이동국에 관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의 평균값을 보고하여도 좋으며, 혹은, 셀 내의 전 이동국에 관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의 합계값을 보고하여도 좋다. 전 이동국에 관한 평균값이나 합계값을 보고하는 것에 의해, 셀 전체의 혼잡도, 혹은, 통신품질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호처리부(210)는, 이동국수 계산부(2048)에 의해,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을 수취하고, 그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 또는 체류량을 집계하고, 전송로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0) 내의 트래픽 집계 서버에 보고하여도 좋다. 이 때, 상기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 또는 체류량으로서, 순시값을 보고하여도 좋으며,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을 보고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3분간으로 평균한 값을 보고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 또는 체류량을, 각각 3분간으로 평균한 값을, 상기 트래픽 집계 서버에 보고한다. 혹은, 셀 내의 전 이동국에 관한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 또는 체류량의 평균값을 보고하여도 좋다. 전 이동국에 관한 평균값을 보고하는 것에 의해, 셀 전체의 혼잡도, 혹은, 통신품질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트래픽 집계 서버에는, 원격의 감시단말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의 감시단말로부터, 상기 트래픽 집계 서버에 축적되어 있는 상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셀 내의 혼잡도 혹은 통신품질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예를 들어, 셀 내의 혼잡도를 감시한 결과, 셀 내의 혼잡도가 항상 높은, 혹은, 셀 내의 혼잡도가, 1일 중의 가장 혼잡도가 큰 경우에, 셀의 용량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셀의 캐리어의 수를 증가시키는, 셀의 수를 증가시키는, 셀의 캐리어의 대역폭을 크게 하는 설비의 증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는,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Medium Access Control) 처리부(2082)와, RLC 처리부(2083)와, 이동국수 계산부(2084)를 구비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에 있어서 레이어 1 처리부(2081)와 MAC 처리부(2082)와 RLC처리부(2083)와 이동국수 계산부(2084)와 호처리부(210)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레이어 1 처리부(2081)에서는, 하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부호화나 IFFT 처리, 상향링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채널 복호화나 FFT 처리 등이 수행된다.
MAC 처리부(2082)는, 하향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 예를 들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처리나, 스케줄링, 전송 포맷의 선택 등을 수행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상향 데이터의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에서 보고되는,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보고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100n)에서 보고되는,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를 나타내 는 정보는, 예를 들어, Buffer Status Report라고 불리어지며, 그 정보요소로서,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내의 버퍼체류량의 절대값, 혹은,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MAC 처리부(2082)에서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보고되는,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는, 상기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내의 버퍼 체류량의 절대값, 혹은,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인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Buffer Status Report는, 2개 이상의, 우선도 부여가 이루어진 그룹마다의 버퍼 체류량의 절대값, 혹은,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포함하여도 좋다. 혹은, 상기 Buffer Status Report는, 하나 이상의 우선도 부여가 이루어진 그룹마다의 버퍼 체류량의 절대값, 혹은,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과, 모든 데이터에 관한 버퍼 체류량의 절대값, 혹은,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Buffer Status Report는, 예를 들어, MAC layer에 있어서의 제어정보로서, 이동국(100n)으로부터 기지국장치(200)로 보고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MAC layer의 전송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MAC layer의 전송속도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MAC layer의 전송속도는, 측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시값이어도 좋으며, 측정 타이밍보다 이전의,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그 평균의 방법은, 단순한 산술 평균이어도 좋으며, 망각계수(forgetting coefficient)를 이용한 평균이어도 좋다. 더욱이,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한 순시값으로 하여도 좋으며, 상기 샘플링한 순시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MAC layer의 전송속도로서,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의 값(Fn)을 측정하여도 좋다.
(식)
Fn=(1-a)Fn-1+aMn
Fn: 업데이트된 필터링 후의 값
Fn-1: 이전 필터링 후의 값
a: 필터링 계수
Mn: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
또한, a의 값으로서, 예를 들어, 1/2(k/2)(k=0, 1, 2,...,)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은 100ms 이외의 값이어도 좋으며, 200ms이거나, 80ms이거나,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국(100n)과 기지국장치(200)와의 통신에는, 복수의 논리채널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논리채널에는, 우선도 클래스가 정의된다. 도 8에, 논리채널과 우선도 클래스의 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M개의 논리채널과 L개의 우선도 클래스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에 있어서도 동일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의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 도를 측정하는 대신,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논리채널의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 혹은,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논리채널의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동일의 우선도 클래스를 가지는 논리채널 내에서 평균, 혹은, 합계한 측정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논리채널의 전송속도, 혹은, 논리채널의 전송속도를, 동일의 우선도 클래스를 가지는 논리채널 내에서 평균, 혹은, 합계한 값을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한다. 상기 값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양방에 있어서 측정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관리하고, 상기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RLC 처리부(2083)에 의해, 상위국에서 기지국장치(200)로 전송되어 온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도래시각(incoming time)을 수취한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buffered time)을 측정한다. 여기서,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은,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도래시각부터, 기지국장치(200)가 이동국(100n)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 시각까지의 시간인 것을 나타낸다. 혹은, 실제로 이동국(100n)이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한 것을 확인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의 정의를, 상기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도래시 각에서, 기지국장치(200)가 이동국(100n)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고, 해당하는 송달확인정보로서 ACK를 수신한 시각까지의 시간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송달확인정보는, MAC 레이어여도 좋으며, RLC 레이어여도 좋다. 혹은, 상기 송달확인정보는, PDCP 레이어여도 좋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으로서, 각 패킷 데이터에 관한 체류시간을 평균한 값을 산출하여도 좋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에 관한다. 상기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을,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한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을 측정한다. 여기서,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은,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체류시간이다.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 내의 버퍼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체류시간을, 예를 들어, 이동국(100n)으로부터 Buffer Status Report를 수신한 시각부터, 실제로 이동국(100n)에 대하여, UL Scheduling Grant에 의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을 지시한 시각까지의 시간으로 정의하여도 좋다. 혹은, 실제로 기지국장치(200)가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한 것을 확인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의 정의를, 상기 이동국(100n)으로부터 Buffer Status Report를 수신한 시각부터, 기지국장치(200)가 이동국(100n)에 대하여, UL Scheduling Grant에 의해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의 송신을 지시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정확하게 수신한 시각까지의 시간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MAC 처리부(2082)는,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으로서, 각 패킷 데이터에 관한 체류시간을 평균한 값을 산출하여도 좋다. 그리고, MAC 처리부(2082)는, 이동국(100n)에 있어서의 상기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을,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한다.
RLC 처리부(2083)에서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에 관한 분할ㆍ결합, RLC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layer의 송신처리나,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관한 분할ㆍ결합, RL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의 RLC layer의 수신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 RLC layer의 전송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RLC layer의 전송속도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RLC layer의 전송속도는, 측정 타이밍에 있어서 순시값이어도 좋으며, 측정 타이밍보다 이전의,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그 평균의 방법은, 단순한 산술평균이어도 좋으며, 망각계수를 이용한 평균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한 순시값으로 하여도 좋으며, 상기 샘플링한 순시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LC layer의 전송속도로서,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의 값(Fn)을 측정하여도 좋다.
(식)
Fn=(1-a)Fn-1+aMn
Fn: 업데이트된 필터링 후의 값
Fn-1: 이전 필터링후의 값
a: 필터링 계수
Mn: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
또한, a의 값으로서, 예를 들어, 1/2(k/2)(k=0, 1, 2...,)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은 100ms 이외의 값이여도 좋으며, 200ms이거나, 80ms이거나,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의 RL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측정하는 대신,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논리채널의 RL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 혹은,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논리채널의 RL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동일의 우선도 클래스를 가지는 논리채널 내에서 평균, 혹은, 합계한 값을 측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논리채널의 전송속도, 혹은, 논리채널의 전송속도를, 동일의 우선도 클래스를 가지는 논리채널 내에서 평균, 혹은, 합계한 값을 이동국수 계산부(2084)로 통지한다. 상기 값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양방에 있어서 측정된다.
또한,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의 송신버퍼 상태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의 송신버퍼 상태는, RLC layer에서의 패킷 데이터의 버퍼 체류량이나 버퍼 체류시간인 것이다.
여기서,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의 송신버퍼 상태를 통지할 때,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논리채널마다의 RLC layer의 송신버퍼 상태를 통지하여도 좋다.
또한,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에 관한, 상위국에서 기지국장치(200)로 송신되어온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도래시각을 감시하고, 그 각 패킷 데이터의 도래시각을 MAC 처리부(2082)에 통지한다.
한편, RLC 처리부(2083)는,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소정의 허용지연을 초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파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RLC 처리부(2083)는,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소정의 허용지연을 초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과 동시에, 그 파기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RLC 처리부(2083)는, RLC 레이어의 처리를 수행하고 있지만, 대신, RLC 레이어의 처리에 더해서, PDCP 레이어의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에 관한, 또는,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용되는 논리채널에 관한, RLC layer의 전송속도에 더해서, PDCP layer의 전송속도를 측정하고, 그 전송속도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로 통지하여도 좋다.
혹은, RLC 처리부(2083)는, 이동국(100n) 또는 이동국(100n)과의 통신에 이 용되는 논리채널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의 전송버퍼 상태에 더해서, 하향링크의 PDCP layer의 송신버퍼의 상태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하여도 좋다.
혹은, RLC 처리부(2083)는,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소정의 허용지연을 초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파기하는 대신, PDCP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소정의 허용지연을 초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파기하여도 좋다. 이 경우, RLC 처리부(2083)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소정의 허용지연을 초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과 동시에, 그 파기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하여도 좋다. 혹은, RLC 처리부(2083)는, PDCP layer 또는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소정의 허용지연을 초과하여 체류하고 있는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를 파기하는 것과 동시에, 그 파기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를,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하여도 좋다.
또한, RLC 처리부(2083)는, 상향링크의 PDCP layer의 시퀀스 번호를 감시하고, 상기 시퀀스 번호에 불연속이 발생한 경우에, 그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을 이동국수 계산부(2084)에 통지하여도 좋다.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MAC 처리부(2082)에 의해, 상기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와,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MAC layer의 전송속도와, 상기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수취하고, RLC 처리부(2083)에 의해,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RLC layer의 전송속도 또는 PDCP layer의 전송속도 와,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 상태를 수취한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MAC 처리부(2082)에 의해,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을 수취한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RLC 처리부(2083)에 의해,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를 수취한다.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상기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와,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MAC layer의 전송속도와, 상기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와,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전송속도와,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 상태에 기초하여,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를 산출한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제 7의 이동국수를 산출한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8의 이동국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1의 이동국수인,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로서,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 상태에 기 초하여, 그 RLC layer 또는 PDCP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량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문턱값은, 예를 들어, OKByte여도 좋으며, 10KByte와 같은 0 이외의 값이여도 좋다. 또한, 상기 버퍼 체류량은, 측정 타이밍에 있어서 순시값이어도 좋으며, 측정 타이밍보다 이전의,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그 평균의 방법은, 단순한 산술평균이어도 좋으며, 망각계수를 이용한 평균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한 순시값으로 하여도 좋으며, 상기 샘플링한 순시값을 평균화한 값이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퍼 체류량으로서,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의 값(Fn)을 측정하여도 좋다.
(식)
Fn=(1-a)Fn-1+aMn
Fn:업데이트된 필터링 후의 값
Fn-1: 이전 필터링 후의 값
a: 필터링 계수
Mn: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
또한, a의 값으로서, 예를 들어, 1/2(k/2)(k=0, 1, 2,...,)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은 100ms 이외의 값이어도 좋으며, 200ms이거나, 80ms이거나,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1의 이동국의 수인,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로서, 상기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의 RLC layer 또는 PDCP layer의 송신버퍼 상태에 기초하여, 그 RLC layer 또는 PDCP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문턱값은, 예를 들어, 0ms여도 좋으며, 10ms와 같은 0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버퍼 체류시간은, 측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순시값이어도 좋으며, 측정 타이밍보다 이전의,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그 평균의 방법은, 단순한 산술평균이어도 좋으며, 망각계수를 이용한 평균이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한 순시값으로 하여도 좋으며, 상기 샘플링한 순시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퍼 체류시간으로서,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의 값(Fn)을 측정하여도 좋다.
(식)
Fn=(1-a)Fn-1+aMn
Fn: 업데이트된 필터링 후의 값
Fn-1: 이전 필터링 후의 값
a: 필터링 계수
Mn: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
또한, a의 값으로서, 예를 들어, 1/2(k/2)(k=0, 1, 2,...,)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은 100ms 이외의 값이어도 좋으며, 200ms이거나, 80ms이거나,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평균화를 위한 평균화 구간이나 망각계수, 문턱값 등은, 파라미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RLC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량과 MAC layer에 있어서의 버퍼체류량의 합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PDCP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량과 RLC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량과 MAC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량의 합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MAC layer에 있어서의 버퍼 체류량은, 예를 들어, MAC layer에 있어서 HARQ의 재송대기의 데이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의 이동국의 수인,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로서, MAC 처리부(2082)의 스케줄링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선택의 대상이 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선택의 대상이 된 이동국은, 예를 들어, 이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이동국이다:
(조건 1) PD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한다.
(조건 2) 하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송신하는 타임 프레임(time frame) 또는 상 기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수신하는 타임 프레임이, 당해 이동국에 있어서 다른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수행하는 시간간격과 중복되지 않는다.
(조건 3) 간헐수신의 슬립(sleep) 상태에 없다.
(조건 4) RLC 레이어의 송신 윈도우(transmission window)가 Stall 상태가 되지 않는다.
단, 상기 조건 1~4를 만족하였다고 하여도, 핸드오버에 의해 당해 셀(50)로 천이해온 직후의 이동국에 관해서는, 핸드오버원(original base station)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하고, 그리고, PDCP 레이어의 Status Report를 수신할 때까지는, 스케줄링에 있어서 유저선택의 대상이 된 이동국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혹은, 상기 조건 1을 만족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있어서, 당해 이동국에 다른 기지국 장치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혹은, 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신호(DCCH)만을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로 간주하고, 그것 이외의 신호, 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DTCH)를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로 간주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혹은, 상기 조건 1을 만족하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있어서, 당해 이동국의 상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신호(DCCH) 또는 MAC 레이어의 제어정보만을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로 간주하고, 그것 이외의 신호, 예를 들어, 유저 데이터(DTCH)를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로 간주하지 않는 처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이동국의 수를, 논리채널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의 이동국의 수를, 우선도 클래스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2의 이동국수인,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PU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로서, 상기 이동국(100n) 중의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상태에 기초하여, 그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내의 버퍼 체류량의 절대값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문턱값은, 예를 들어, 0KByte여도 좋으며, 10KByte와 같은 0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버퍼 체류량은, 측정 타이밍에 있어서 순시값이어도 좋으며, 측정 타이밍보다 이전의,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그 평균의 방법은, 단순한 산술평균이어도 좋으며, 망각계수를 이용한 평균이어도 좋다. 더욱이,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한 순시값으로 하여도 좋으며, 상기 샘플링한 순시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퍼 체류량으로서,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이 하의 식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의 값(Fn)을 측정하여도 좋다.
(식)
Fn=(1-a)Fn-1+aMn
Fn: 업데이트된 필터링 후의 값
Fn-1: 이전 필터링 후의 값
a: 필터링 계수
Mn: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
또한, a의 값으로서, 예를 들어, 1/2(k/2)(k=0, 1, 2,...,)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은 100ms 이외의 값이어도 좋으며, 200ms이거나, 80ms이거나,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평균화를 위한 평균화 구간이나 망각계수, 문턱값 등은, 파라미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체류량은, 이동국에 의해 간헐적으로 보고되는 값이기 때문에, 보고 타이밍과 당해 타이밍과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국에 의해 PUSCH의 송신이 수행된 경우, 그 값은 실제의 값과 다르게 된다. 따라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상기 버퍼 체류량을, 이동국에서 보고된 값과, 상기 보고 타이밍과 당해 타이밍과의 사이에 수신한, 당해 이동국으로부터의 PUSCH의 데이터량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의 이동국의 수인, 상향링크의 송신 버퍼 중에, PU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로서, MAC 처리부(2082)의 스케줄 링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 선택의 대상이 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선택의 대상이 된 이동국은, 예를 들어, 이하의 조건의 모두를 만족하는 이동국이다:
(조건 1)「PUSCH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한다(당해 이동국으로부터의 Scheduling Request 또는 Buffer Status Report에 의해, 이동국 내의 버퍼 내에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이 통지되고 있다)」
(조건 2) 하향링크의 제어채널(UL Scheduling Grant)을 송신하는 타임 프레임 또는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을 수신하는 타임 프레임 또는 상기 상향링크의 공유채널에 대한 송달확인정보를 송신하는 타임 프레임이, 당해 이동국에 있어서 다른 주파수의 셀의 측정을 수행하는 시간간격과 중첩되지 않는다.
(조건 3) 간헐 수신상태에 있지 않다.
(조건 4) 상향링크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다.
(조건 5) 기지국간의 핸드오버를 지시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의 이동국의 수를, 논리채널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의 이동국의 수를, 우선도 클래스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버퍼에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 이동국은,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그 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무선 리소스의 소비량에 링크한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3의 이동국수인, 공유채널인 PDSCH나 PUSCH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의 수로서,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LTE active이고, DRX 상태에 없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DRX 상태에 없는 이동국은, 무선 리소스를 소비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그 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무선 리소스의 소비량에 링크한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4의 이동국수인, 공유채널인 PDSCH나 PUSCH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의 수로서, 이동국(100n)이 DRX 상태에 있는지 없는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LTE active이며, 그리고, DRX 상태에 있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DRX 상태에 있는 이동국은, 소비하는 무선 리소스의 량은 작은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정도 좋게(accurately) 무선 리소스의 소비량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LTE Active인 이동국의 수를, 제 5의 이동국수로 한다. LTE Active인 이동국의 수는, 기지국장치(200)와 커넥션을 확립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이며, 기지국은 그 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6의 이동국수인, LTE Active인 이동국 중에서, 소정의 전송속도를 만족하지 않은 이동국의 수를,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RLC layer의 전송속도가, 64kbps 이하의 이동국의 수를, 제 6의 이동국수인, LTE Active인 이동국 중에서, 소정의 전송속도를 만족하지 않은 이동국의 수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 전송속도는, 평균화를 수행하기 위한 평균화 구간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내에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구간이 500ms로, 그리고, 상기 측정구간 중의 300ms간만큼 송신 버퍼내에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였다고 하면, 상기 전송속도는, 상기 300ms 중에 평균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나머지 구간에 있어서는, 전송속도의 평균은 수행되지 않는다.
혹은, 상기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내에 송신해야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하지 않는 것에 상관없이, 측정구간 모두의 시간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상기 이동국(100n)의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관한, PDCP layer 또는 RLC layer 또는 MAC layer에 있어서의 전송속도를, 호처리부(210)로 통지한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6의 이동국의 수를, 논리채널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전송속도는, 해당하는 논리채널에 대한 전송속도가 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전송속도를 만족하고 있지 않은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6의 이동국의 수를, 우선도 클래스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전송속도는, 해당하는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에 대한 전송속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이 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소정의 전송속도를 만족하지 않는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7의 이동국수인, 데이터의 평균지연이 허용지연을 상회한 이동국의 수를,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의 문턱값을 200ms로 정의하고, 이동국(100n)에 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200ms 이상의 이동국의 수를, 제 7의 이동국수인, 데이터의 평균지연이 허용지연을 상회한 이동국의 수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의 평균지연의 산출방법의 일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하나의 패킷의 버퍼 체류시간을, 「RLC 레이어의 패킷이 RLC 레이어의 버퍼에 저장된 시점에서, 버퍼내에서 삭제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버퍼내에서 삭제된다는 사상은, 송달확인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한 상기 패킷의 파기나 타이머에 의한 파기 등, 모두의 케이스를 포함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패킷의 버퍼 체류시간을, 소정의 평균화 구간의 버퍼내의 모든 패킷에 관하여 평균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평균지연을 산출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패킷은, 예를 들어, RLC SDU이다. 또한, 상술한 처리는, RLC 레이어의 패킷에 관하여 수행하고 있지만, PDCP 레이어의 패킷에서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7의 이동국의 수를, 논리채널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평균지연이 허용지연을 상회한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7의 이동국의 수를, 우선도 클래스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평균지연이 허용지연을 상회한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8의 이동국수인,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가 파기된 적이 있는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가 파기된 회수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가 파기된 데이터량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가 파기된 데이터 량의 전체의 데이터 량에 대한 비율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또한, RLC 처리부(2083)에 의해,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이 아니라, PDCP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8의 이동국수인,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PDCP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PDCP layer의 송신 버퍼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가 파기된 적이 있는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8의 이동국수인,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파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PDCP layer 또는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파기된 패킷 데이터의 송신 목적지인 이동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PDCP layer 또는 RLC layer의 송신버퍼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가 파기된 적이 있는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8의 이동국의 수를, 논리채널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논리채널에 대해서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파기가 발생한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8의 이동국의 수를, 우선도 클래스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각 우선도 클래스에 속하는 논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파기가 발생한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제 8의 이동국수인,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향링크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제 8의 이동국수인,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RLC 처리부(2083)에 의해, 상향링크의 PDCP layer의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PDCP layer의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상기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이, 이동국에 있어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에 의해 발생하였다고 추정하고, 그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에 기초하여,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PDCP layer의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PDCP layer의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으로부터 추정되는, 파기된 데이터량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혹은,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소정의 감시구간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PDCP layer의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으로부터 추정되는, 파기된 데이터량의 전체의 데이터량에 대한 비율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고, 그 이동국의 수를 제 8의 이동국수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상기 상향링크에 있어서 제 8의 이동국의 수를, 논리채널마다 산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논 리채널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RLC 처리부에서 통지된 RLC layer의 송신버퍼상태, 즉, 이동국(100n)의 하향링크의 패킷 데이터의 체류시간 또는 체류량을, 호처리부(210)로 통지하여도 좋다.
상술한,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는, TTI(혹은, 「서브 프레임(Sub-frame)」이라 부른다)마다의 값을 산출하여도 좋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한 값을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TTI마다의 값을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화한 값을 산출하여도 좋으며,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한 값을, 소정의 평균화 구간에서 평균화한 값을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평균화 구간이나 상기 샘플링의 주기는, 파라미터로서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로서,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값 또는 합계값을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 후의 값(Fn)을 측정하여도 좋다.
(식)
Fn=(1-a)Fn-1+aMn
Fn: 업데이트된 필터링 후의 값
Fn-1: 이전 필터링 후의 값
a: 필터링 계수
Mn: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어, 100ms 간의 평균값 또는 합계값
또한, a의 값으로서, 예를 들어, 1/2(k/2)(k=0, 1, 2,...,)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은 100ms 이외의 값이어도 좋으며, 200ms이거나, 80ms이거나, 다양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송신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8) 내의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를 취득한다(단계 S502).
호처리부(210)는, 자기지국장치의 처리부하와, 타 노드의 처리부하를 취득 또는 확인한다(단계 S504). 호처리부(210)는,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506).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 모두가 거짓인 경우(단계 S506: NO),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S508). 이 때,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인 경우(단계 S506: YES),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단계 S510). 이 때,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도 3b에 도시하는 10개의 판정식 모두를 이용하여 판정을 수행하였지만, 대신, 10개의 판정식 중의 일부를 이용하여 판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송신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 내의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를 취득한다(단계 S602). 호처리부(210)는,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보다도 큰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604).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단계 S604: NO),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은 캐리어 #1에 있어서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단계 S606). 즉,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과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통신의 설정을 수행할 때, 통신을 수행하는 캐리어를 캐리어 #1로 설정한다.
한편,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보다도 큰 경우(단계 S604: YES),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은 캐리어 #2에 있어서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한다고 결정한다(단계 S608). 즉,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과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통신의 설정을 수행할 때, 통신을 수행하는 캐리어를 캐리어 #2로 설정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캐 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과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를 비교하고 있지만, 제 1의 이동국수 대신, 제 2의 이동국수나 제 3의 이동국수나 제 4의 이동국수나 제 5의 이동국수나 제 6의 이동국수나 제 7의 이동국수나 제 8의 이동국수나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의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 및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 중의 복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의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1과 캐리어 #2 내의 이동국수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이동국(110)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셀 체인지 등에 의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혹은, 상술한 예에서는,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신규로 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그 대신 또는 그것에 더해서, 이동국(110)이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종료하는 경우에, 상기 제 1의 이동국수, 제 2의 이동국수, 제 3의 이동국수, 제 4의 이동국수, 제 5의 이동국수, 제 6의 이동국수, 제 7의 이동국수,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동국(110)이 통신종료 후에 캠프하는(재권하는) 캐리어를 지정하여도 좋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호처리부(210)는,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110)이, 그 통신을 종료한다고 판단한다(단계 S1002). 여기서, 이 통신의 종료는, 예를 들어, 이동국(110)이 트리거하는 경우도 있다면, 이동국(110)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대가 트리거하는 경우도 있다. 어느 쪽이든, 통신을 종료할 때에는, 소정의 종료 메시지가 주고받기 때문에, 호처리부(210)는, 통신의 종료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8) 내의 이동국수 계산부(2084)는,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를 취득한다(단계 S1004). 호처리부(210)는,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보다도 큰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006).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단계 S1006: NO),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은 통신종료 후의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캐리어 #1에 캠프한다(재권한다)고 결정한다(단계 S1008). 즉,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에 대하여, 캐리어 #1에 캠프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수가,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보다도 큰 경우(단계 S1006: YES),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은 통신종료 후의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캐리어 #2에 캠프한다(재권한다)고 결정한다(단계 S1010). 즉, 호처리부(210)는, 이동국(110)에 대하여, 캐리어 #2에 캠프하도록 지시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캐리어 #1의 제 1의 이동국과 캐리어 #2의 제 1의 이동국수를 비교하여 있지만, 제 1의 이동국수 대신, 제 2의 이동국수나 제 3의 이동국수나 제 4의 이동 국수나 제 5의 이동국수나 제 6의 이동국수나 제 7의 이동국수나 제 8의 이동국수나 자기지국 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의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으며, 혹은, 상기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 및 자기지국장치의 캐리어마다의 처리부하 중의 복수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의 결정을 수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캐리어 #1과 캐리어 #2 내에 재권하는 이동국수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008이나 단계 S101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10)과의 통신을 종료할 때, 이동국(110)이 캠프해야 하는 주파수와 셀의 ID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이동국이 캠프해야 하는 캐리어의 지정을 실현한다. 상기 캠프해야 하는 주파수와 셀의 ID는, 예를 들어,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에 포함된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이동국의 수를 이용하고 있지만, 대신, 소정의 수로부터의 비율이나 비를 이용하여 동일의 제어를 수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셀 내의 접속가능한 이동국의 최대수를 정의한 경우에, 상기 최대수에 대한 비율(퍼센트)로,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를 정의하여도 좋다. 혹은, 당해 타이밍에 있어서, 셀 내에서 접속중의 이동국의 수에 대한 비율(퍼센트)로, 제 1 내지 제 8의 이동국수를 정의하여도 좋다. 셀 내에서 접속중의 이동국의 수는, 예를 들어, 셀 내에서 RRC connected의 상태가 되는 이동국의 수이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서비스 종별마다, 혹은, 계약종별 마다, 혹은, 단말종별마다, Radio Bearer마다, 논리채널마다, 우선도 클래스마다 수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의 수의 산출은, 1TTI(혹은, Sub-frame이라고도 부른다)와 같은 순시값을 산출하여도 좋으며, 보다 긴 구간에서 측정을 수행하고, 평균화를 수행한 후의 수이어도 좋다. 혹은, 순시의 값을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값을 평균화한 값으로 하여도 좋다. 평균화를 수행할 때에는, 통상의 평균을 수행하여도 좋으며, 망각 계수에 의한 평균화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평균화를 위한 평균화 구간이나 망각계수 등은, 파라미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리소스의 소비량과 관련지은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의 수를 이용하여 호의 접수제어나 캐리어의 선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보다 효율이 좋은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이 적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를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은,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시스템에 있어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고 있지만, 대신, 복수의 논리채널을 그룹화하여(이하, 논리채널 그룹이라 부른다), 논리채널 그룹의 수를 산출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는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적절한 어느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럭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1월 19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7-01085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6월 6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7-15093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12월 4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7-31396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12월 20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7-32902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Claims (26)

  1. 복수의 이동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우선도 클래스(priority class)마다의 복수의 이동국 중에 하향링크의 송신 버퍼 내에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장치.
  2.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우선도 클래스(priority class)마다의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간헐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우선도 클래스(priority class)마다의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간헐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통신의 접수를 제어하는 호접수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접수제어수단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5의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통신의 접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간헐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수단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신규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이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간헐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주파수대 마다의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통신종료 후에 이동국이 재권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수단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주파수대마다의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통신종료 후에 이동국이 재권하는 주파수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0.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의 송신버퍼는, 상기 기지국장치 중의 MAC 레이어 버퍼, RLC 레이어 버퍼 및 PDCP 레이어 버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1.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버퍼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2.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높은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와의 커넥션을 확립한 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연속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이며,
    상기 공유채널에 의한 통신의 빈도가 낮은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와의 커넥션을 확립한 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3.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의 산출수단은, PDCP 레이어의 시퀀스 번호의 불연속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에 있어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를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4. 제 3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속도는,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에 있어서의 전송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호접수제어수단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처리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접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6. 제 6 항, 제 9 항, 제 1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하는, 상기 기지국장치의 CPU의 사용율, 메모리의 사용율, 버퍼의 사용율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17.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통신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의 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간헐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단계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접수를 제어하는 제 9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이동국의 접수를 제어하는 제9의 단계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 5의 이동국수에 기초하여, 신규의 이동국의 접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19.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보전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데이터 서버 내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감시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하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1의 이동국의 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1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상향링크의 송신버퍼 중에, 상기 공유채널에 의해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2의 이동국수라고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2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3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3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상기 공유채널에 대한 간헐 수신을 수행하는 이동국의 수(이하, 제 4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4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의 수(이하, 제 5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5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전송속도가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작은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6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6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데이터의 체류시간이 소정의 문턱값보다도 큰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7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7의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 중에서, 지연에 의한 데이터의 폐기가 발생한 이동국의 수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이하, 제 8의 이동국수라 부른다)를 산출하는 제 8의 산출수단과,
    처리부하를 측정하는 처리부하 측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 관한 전송속도를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이동국 또는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에 관한 버퍼체류량 또는 버퍼체류시간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및 상기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보고하는 보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및 상기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계값으로서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감시단말에, 상기 통계값으로서의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및 상기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수단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및 상기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를, 상기 데이터 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및 상기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를, 통계값으로서 보존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통계값으로서의 제 1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2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3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4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6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7의 이동국수와, 상기 제 8의 이동국수와, 상기 처리부하와, 상기 전송속도와, 상기 버퍼체류량 및 상기 버퍼체류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5의 이동국수를 상기 감시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우선도 클래스마다의 상기 이동국의 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산출된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3. 복수의 이동국과 공유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장치로서,
    우선도 클래스(priority class)마다의 복수의 이동국 중에 상향링크의 송신 버퍼 내에 송신해야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이동국의 수를 산출하는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기지국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으로부터 보고되는 버퍼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데이터를 갖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이동국의 논리채널의 수 중 하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우선도 클래스마다의 상기 이동국의 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수단은. 상기 산출된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KR1020097016905A 2007-01-19 2007-12-27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101257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10858 2007-01-19
JP2007010858 2007-01-19
JPJP-P-2007-150934 2007-06-06
JP2007150934 2007-06-06
JP2007313963 2007-12-04
JPJP-P-2007-313963 2007-12-04
JP2007329026 2007-12-20
JPJP-P-2007-329026 2007-12-20
PCT/JP2007/075168 WO2008087846A1 (ja) 2007-01-19 2007-12-27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344A KR20090110344A (ko) 2009-10-21
KR101257316B1 true KR101257316B1 (ko) 2013-04-24

Family

ID=3963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05A KR101257316B1 (ko) 2007-01-19 2007-12-27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310948B2 (ko)
EP (2) EP2124468B1 (ko)
JP (3) JP4698742B2 (ko)
KR (1) KR101257316B1 (ko)
CN (2) CN102223686A (ko)
AU (1) AU2007344053B2 (ko)
BR (1) BRPI0721015B1 (ko)
CA (1) CA2675301C (ko)
MX (1) MX2009007710A (ko)
PL (1) PL2731376T3 (ko)
SG (1) SG177138A1 (ko)
WO (1) WO2008087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8509B2 (en) * 2008-01-15 2012-07-10 Apple Inc. Dynamic allocation of communication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KR101104249B1 (ko) * 2008-12-11 2012-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의 캐리어 선택 방법 및 그것의 호 접속 방법
JP2010193080A (ja) * 2009-02-17 2010-09-02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2496026A4 (en) * 2009-10-29 2015-04-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GRADE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NFORM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11102770A1 (en) * 2010-02-16 2011-08-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which enable considering a number of active user stations linked via relays when allocating radio resources
US9161371B2 (en) * 2011-07-21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optimization using scheduling request delay
US9736045B2 (en) 2011-09-16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quality estimation, connectivity detection, and load management
US20130336136A1 (en) * 2011-09-16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quality estimation, connectivity detection, and load management
JP5297512B2 (ja) * 2011-10-06 2013-09-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5416820B1 (ja) * 2012-10-05 2014-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950859B2 (ja) * 2013-03-29 2016-07-13 Kddi株式会社 通信品質推定方法、通信品質推定装置、通信品質推定用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5026960A (ja) * 2013-07-25 2015-02-05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35655B2 (en) * 2014-02-24 2017-04-25 Intel Corporation Enhancement to the buffer status report for coordinated uplink grant allocation in dual connectivity in an LTE network
JP6358042B2 (ja) * 2014-10-21 2018-07-1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0412619B2 (en) * 2014-11-14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tatus report for eDCS
US20160143025A1 (en) * 2014-11-17 2016-05-19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ogic channel prioritization
JP6531512B2 (ja) 2015-06-19 2019-06-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パケット滞留通知方法、および通信パケット滞留通知プログラム
CN111757548B (zh) * 2019-03-29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102293213B1 (ko) * 2020-07-24 2021-08-2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5g 네트워크 에너지 고효율 콜 승인 제어 방법
CN112203359B (zh) * 2020-09-29 2022-06-21 广东云纱供应链管理有限公司 用于区块链系统的上游供应链信息传输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144A (ja) 2001-12-21 2003-07-11 Ntt Docomo Inc リソース制御システム、リソース制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基地局及び移動局
JP2004072157A (ja) 2002-08-01 2004-03-0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ベストセル変更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制御装置
WO2006037492A1 (en) 2004-10-01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Quality-of-service (qos)-aware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on dedicated channels
WO2006082616A1 (ja) 2005-01-31 2006-08-10 Fujitsu Limited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基地局及び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097A (ja) * 1994-11-25 1996-06-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パケットアクセス方法
JP3737353B2 (ja) * 2000-09-28 2006-01-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及び通信回線割当方法
JP3788908B2 (ja) * 2000-12-28 2006-06-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付制御装置及びその新規接続受付制御方法
JP3681336B2 (ja) * 2001-01-16 2005-08-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呼受付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JP2003173880A (ja) * 2001-12-05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照光装置
SE0202845D0 (sv) * 2002-05-13 2002-09-23 Ericsson Telefon Ab L M Measurement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for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HS-DSCH)
US7187690B2 (en) * 2002-05-20 2007-03-06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maximizing use of bandwidth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platforms
JP4058326B2 (ja) * 2002-10-17 2008-03-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制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20040092830A (ko) * 2003-04-29 200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구간 설정 방법
JP4349050B2 (ja) * 2003-09-24 2009-10-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DE10345220B4 (de) * 2003-09-29 2012-02-16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JP4506139B2 (ja) * 2003-10-01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GB0323246D0 (en) * 2003-10-03 2003-11-05 Fujitsu Ltd Virtually centralized uplink scheduling
GB0323199D0 (en) * 2003-10-03 2003-11-05 Fujitsu Ltd Soft handover
GB0323245D0 (en) * 2003-10-03 2003-11-05 Fujitsu Ltd Soft handover techniques
JP4054878B2 (ja) * 2004-03-08 2008-03-05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
KR20060128036A (ko) * 2004-03-30 2006-12-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및 데이터 채널의 할당 방법
US8583156B2 (en) * 2004-04-30 2013-11-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mount-of-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control-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602004030956D1 (de) * 2004-06-15 2011-02-17 Panasonic Corp Prioritätsbehandlung für Datenübertragungen
CN1819668A (zh) * 2005-02-09 2006-08-16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资源管理方法、无线网络控制器和无线基站
JP2007010858A (ja) 2005-06-29 2007-01-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894247B2 (ja) 2005-11-30 2012-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20070099201A (ko) * 2006-04-03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무선 기기의 보안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관리 장치
JP2007313963A (ja) 2006-05-24 2007-12-06 Toyota Motor Corp ルーフサイド構造
JP4827623B2 (ja) 2006-06-08 2011-11-30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圧入端子
US8467822B2 (en) * 2008-01-11 2013-06-18 Unwired Planet, Ll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lock information in a cellular radio system
US8897252B2 (en) * 2009-06-17 2014-11-25 Htc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144A (ja) 2001-12-21 2003-07-11 Ntt Docomo Inc リソース制御システム、リソース制御方法、及び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基地局及び移動局
JP2004072157A (ja) 2002-08-01 2004-03-0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ベストセル変更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制御装置
WO2006037492A1 (en) 2004-10-01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Quality-of-service (qos)-aware scheduling for uplink transmission on dedicated channels
WO2006082616A1 (ja) 2005-01-31 2006-08-10 Fujitsu Limited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同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基地局及び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7846A1 (ja) 2008-07-24
MX2009007710A (es) 2009-07-30
BRPI0721015B1 (pt) 2020-01-21
EP2124468A1 (en) 2009-11-25
EP2124468A4 (en) 2013-10-16
SG177138A1 (en) 2012-01-30
CN101627648A (zh) 2010-01-13
EP2731376A2 (en) 2014-05-14
JP2010148148A (ja) 2010-07-01
KR20090110344A (ko) 2009-10-21
JPWO2008087846A1 (ja) 2010-05-06
CN101627648B (zh) 2012-11-28
JP4698742B2 (ja) 2011-06-08
AU2007344053A1 (en) 2008-07-24
US8310948B2 (en) 2012-11-13
JP2011147160A (ja) 2011-07-28
EP2731376A3 (en) 2014-08-06
PL2731376T3 (pl) 2017-09-29
AU2007344053B2 (en) 2013-03-14
JP4694644B2 (ja) 2011-06-08
EP2124468B1 (en) 2019-03-13
CA2675301A1 (en) 2008-07-24
US20100087200A1 (en) 2010-04-08
BRPI0721015A2 (pt) 2014-07-29
CN102223686A (zh) 2011-10-19
CA2675301C (en) 2017-04-11
EP2731376B1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16B1 (ko)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JP5346919B2 (ja)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8472379B2 (en) Mobile station, radio bas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373798B2 (ja) 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における下りリンクの同期判定方法
EP239448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88379B1 (ko) 가중화 방법을 사용한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한 부하 측정값의 결정
US97367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of service control
US11653356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reless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s method
JP6790508B2 (ja) データ流量制御方法、無線基地局装置、サーバ装置、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RU2460239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EP2901745B1 (en) Evaluation of radio network feature
Houda et al.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