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954B1 -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954B1
KR101256954B1 KR1020110045795A KR20110045795A KR101256954B1 KR 101256954 B1 KR101256954 B1 KR 101256954B1 KR 1020110045795 A KR1020110045795 A KR 1020110045795A KR 20110045795 A KR20110045795 A KR 20110045795A KR 101256954 B1 KR101256954 B1 KR 10125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aser
roll film
roll
beam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695A (ko
Inventor
황진섭
장응진
이유민
이세용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엔에스
Priority to TW10012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TWI471185B/zh
Priority to JP2011132891A priority patent/JP5417646B2/ja
Priority to CN2011101660378A priority patent/CN102284791A/zh
Publication of KR2011013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로서, 프레임에 고정된 레이저빔 공급원; 레이저빔 공급원과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고, 레이저빔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빔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와, 롤 필름에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노즐을 구비하는 헤드 모듈; 및 레이저빔 공급원과 헤드 모듈의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빔 시준(collimation)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Roll-film cutting apparatus utilizing a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필름 롤을 절단하기 위한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전계 생성 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 절연 기판들로 이루어진 액정패널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전계 생성 전극들 사이의 전기장 변화를 통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이 과정에서 변화되는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패널의 상,하면에는 각각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배향 변화를 가시화하는 편광필름이 배치된다. 편광필름은 투과측과 일치하는 편광 성분의 빛을 투과시킨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상,하면에 배치된 편광필름의 투과축의 배치와 액정의 배열 특성에 의해 빛의 투과 정도를 결정한다.
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조된 롤 형태의 편광필름은 기계식 절단기(예, 재단 프레스 또는 슈퍼 커터)에 의해 대응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별로 재단(절단)되어야 한다.
그런데, 편광필름 롤을 재단 프레스나 슈퍼 커터와 같은 기계식 절단기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된 면은 면취 공정을 거쳐야 하고, 편광필름 롤의 절단 과정에서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하므로 추가 공정 비용 및 환경 처리 비용이 발생된다. 이것은 생산 원가의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필름 롤을 절단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필름 롤과 같은 롤 필름을 절단하는 레이저 절단장치는, 롤 필름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 절단장치의 레이저 관련 시스템 전체가 롤 필름의 길이 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롤 필름을 절단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이러한 레이저 절단장치는 레이저 시스템 전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절단 정밀성 및 고속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5448호 및 제2010-0035449호로 개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 공급원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 모듈만 이동되면서 롤 필름을 절단할 수 있는 레이저 절단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레이저빔 공급원을 고정시키고 헤드 모듈을 이동시키면서 롤 필름을 절단하는 종래의 레이저 절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 공급원으로부터 헤드 모듈 사이의 간격(L)이 멀어짐에 따라 롤 필름의 표면에 도달하는 레이저빔의 발산각이 변화되어 레이저빔의 크기가 달라진다. 따라서, 종래의 레이저 절단장치는 롤 필름의 절단면의 가공 정도가 서로 달라져서 가공의 신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절단된 필름(쉬트)가 휘어질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레이저빔 공급원은 고정되고 헤드 모듈이 이동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장치에 있어서, 헤드 모듈과 레이저빔 사이의 간격 변화에도 불구하고 헤드 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빔의 발산각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장치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레이저빔 공급원;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빔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와, 상기 롤 필름에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노즐을 구비하는 헤드 모듈; 및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상기 헤드 모듈의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빔 시준(collimation)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절단장치는,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반사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빔 시준부재는 상기 광반사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반사부는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에서 출력되 레이저빔의 선형 편광성분의 각도를 변경하는 편광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시준수단은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상기 편광 조절부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빔 시준수단은: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집적하기 위한 볼록 렌즈부; 및 상기 볼록 렌즈부를 통과한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오목 렌즈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 렌즈부는 제1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오목 렌즈부는 제2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나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 렌즈부는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볼록 렌즈편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 렌즈부는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오록 렌즈편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롤 필름은 편광필름 롤 또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 롤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장치는, 롤 필름(편광필름 롤)의 절단면의 가공 정도를 균일하게 하여 가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절단된 필름(편광필름)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요약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도면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그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정확한 장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절단 장치의 광반사부와 수광부 사이의 레이저 빔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빔 시준부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빔 시준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빔 시준부재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시스템의 개략적 배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3 광반사부와 수광부 사이의 평행광의 생성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의 용어는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 "좌", "상면" 및 "하면"의 단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의 단어들은 각각 지정된 장치, 시스템 및 그 부재들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그 관련 단어들 및 어구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의 위치들 및 방위들을 나타내며 제한적이어서는 아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롤 필름 절단 시스템(1)은, 롤 상태로 감겨진 편광필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공급하는 언와인딩(unwinding) 장치(10), 언와인딩 장치(10)에서 공급되는 롤 필름(F)을 편평하게 펼치는 한편 롤 필름(F)이 정지 또는 이동할 경우 롤의 일정한 텐션을 제어할 수 있는 댄서(dancer) 장치(20), 댄서 장치(20)를 통해 펴진 편광필름 롤을 정해진 속도를 일정하게 이송시키는 한편 편광필름 롤의 진행방향의 사이즈 정확도를 결정하는 인피드(infeed) 장치(30), 인피드 장치(30)에 의해 이송되는 편광필름 롤에 재단할 부분(예, 폭 방향의 재단선 또는 마킹라인)을 마킹하고 검사하는 마킹 검사 장치(40), 마킹 검사 장치(40)에서 마킹된 마킹라인을 따라 롤 필름(F)을 레이저 빔으로 절단할 수 있는 레이저 절단기(50), 레이저 절단기(50)에 의해 롤 필름(F)로부터 절단되어 형성된 편광필름을 배출하는 배출장치(60), 및 배출장치(60)에서 배출된 편광필름을 이송하여 포장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포장장치(70)를 구비한다.
언와인딩 장치(10), 댄서 장치(20), 인피드 장치(30), 마킹 검사 장치(40), 배출장치(60) 및 포장장치(70)는 롤 필름 절단 시스템(1)의 일반적인 구성일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롤 필름(F)은 디스플레이기 기기에 사용되는 편광필름 롤 또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 필름 롤이다. 그러나, 롤 필름(F)은 포장지, 산업재, 비닐지, 기타 쉬트 형태 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이저 절단기(50)의 개념도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100)는, 프레임(110)에 설치된 레이저빔 공급원(122),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프레임(110)에 설치된 광반사 조립체(124), 프레임(110)에 설치된 리니어 모터(111)에 의해 롤 필름(F)의 폭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블록(118)에 설치되고 광반사 조립체(124)의 끝단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127)와 롤 필름(F) 쪽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노즐(129)을 가진 헤드 모듈(125)을 구비한다.
레이저빔 공급원(122)은 절단 대상 롤 필름(F)의 두께 범위에 적용성이 높고, 균열 및 표시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CO2 레이저를 사용한다. 그러나, 레이저빔 공급원(122)은 현재 업계에 알려져 있거나 앞으로 개발될 모든 레이저빔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광반사 조립체(124)는 다수의 반사경들로 구성되며,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 빔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레이저빔 공급원(122)의 끝단에 설치된 제1 광반사부(126), 제1 광반사부(126)와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2 광반사부(128), 및 헤드 모듈(125)의 수광부(127)와 대응되도록 설치된 제3 광반사부(121)를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 모듈(125)의 수광부(127)와 제3 광반사부(121)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헤드 모듈(125)이 리니어 모터(111)를 따라 롤 필름(F)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3 광반사부(121)를 통해 출광되는 레이저 빔은 헤드 모듈(125)의 수광부(127)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광반사부(126)는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의 선형 편광성분의 각도를 변경하는 편광 조절부의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제1 광반사부(126)는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빔(B)의 선형 편광성분의 각도를 수직한 상태에서 수선에 대해 소정의 편광 회전각만큼 기울게 하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제2 광반사부(128)는 제1 광반사부(126)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레이저 노즐(129)까지 전달시키는 레이저빔 전송부의 기능을 가진다. 제2 광반사부(128)는 제1 광반사부(126)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B)을 제3 광반사부(121)로 전달하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제3 광반사부(121)는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을 수평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수평방향 반사경을 포함한다.
헤드 모듈(125)에 설치된 수광부(127)는 제3 광반사부(121)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직 방향으로 반사시켜 레이저 노즐(129)로 투사하는 수직방향 반사경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50)는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을 평행광으로 만들도록 레이저빔 공급원(122)과 제3 광반사부(121) 사이에 배치된 빔 시준부재(180)를 구비한다.
헤드 모듈(125)은 레이저 노즐(129)이 롤 필름(F)을 향하도록 리니어 모터(111)에 결합된 이동 블록(118)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헤드 모듈(125)은 필요한 경우 롤 필름(F)의 폭방향뿐만 아니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112)에 다수의 지지 프레임들(114)이 결합되고, 지지 프레임들(114)에 설치된 메인 프레임(126)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16)의 내부 공간에는 롤 필름(F)로부터 분리된 편광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컨베이어(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전술한 레이저 절단기의 주요 부품들은 메인 프레임(116)의 상면에 설치된다.
프레임(110)에는 롤 필름을 이송하는 미도시된 이송장치 및 절단될 롤 필름을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진공흡착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10)에는 롤 필름의 절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미도시된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가 설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빔 시준부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빔 시준부재(180)는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집적시키는 볼록 렌즈부(182) 및 볼록 렌즈부(182)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볼록 렌즈부(182)를 통과한 레이저빔을 발산하는 방향으로 경로를 변화시켜 평행광으로 만들 수 있는 오목 렌즈부(184)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4의 빔 시준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빔 시준부재(180)는 서로 나사 결합되고 각각 속이 빈 파이프 구조를 가진 제1 하우징(181)과 제2 하우징(183)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181)은 제2 하우징(183)의 제2 결합부(187)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185)가 어느 하나의 끝단 외주면에 마련된다. 제1 하우징(181)은 볼록 렌즈부(182)의 양면이 볼록한 볼록 렌즈를 수납한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181)은 내측 보어에 돌출되는 볼록 렌즈를 수납하는 제1 삽입부(81)를 구비한다. 볼록 렌즈의 양측은 제1 하우징(181)의 내측 보어에 마련된 제1 나사산(83)과 결합되도록 외측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고정 너트들(186)에 의해 규제된다.
제2 하우징(18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81)의 제1 결합부(185)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부(187)가 일 끝단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제2 하우징(183)은 오목 렌즈부(184)의 양면이 오목한 오목 렌즈를 수납한다. 이를 위해, 제2 하우징(183)은 내측 보어에 돌출되는 오목 렌즈를 수납하는 제2 삽입부(85)를 구비한다. 오목 렌즈의 양측은 제2 하우징(183)의 내측 보어에 마련된 제2 나사산(87)과 결합되도록 외측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 고정 너트들(188)에 의해 규제된다.
제1 하우징(181)의 제1 결합부(185)는 수나사산을 가지고, 제2 하우징(183)의 제2 결합부(187)는 암나사산을 가진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정반대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도 4의 빔 시준부재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빔 시준부재(280)는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볼록 렌즈편들(282)(284)을 포함하는 볼록 렌즈부(285)와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오록 렌즈편들(286)(288)을 구비하는 오목 렌즈부(287)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빔 시준부재(280)는 제1 하우징(281)의 제1 삽입부(202)와 제2 하우징(183)의 제2 삽입부(204)는 각각 볼록 렌즈편들(282)(284) 및 오목 렌즈편들(286)(288)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 돌기들(206)(208)가 마련된다.
레이저빔 공급원(122)으로부터 소정의 발산각으로 출력되는 레이저빔(B)은 볼록 렌즈부(182)를 지나면서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경로가 변화되며, 이어서 오목 렌즈부(184)를 지나면서 발산되는 방향으로 경로가 변화되어 평행광으로 바뀌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시스템의 개략적 배열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3 광반사부와 수광부 사이의 평행광의 생성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빔 공급원(122)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은 빔 시준부재(180)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바뀌며, 이러한 평행광은 제3 광반사부(121)와 수광부(127)에서 동일한 크기로 전달되므로, 헤드 모듈(125)에 설치된 수광부(127)가 제3 광반사부(121)로부터 멀어지는 거리(L)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롤 필름(F)의 절단면은 균일한 가공 정도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절단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가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시준부재가 채택되지 않은 종래의 레이저 시스템은 수평방향 반사경과 수직방향 반사경 간의 거리(L)에 따라 빔(B1) 크기가 변하므로 롤 필름의 가공면의 정도가 거리(L)에 따라 다르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빔 시준부재를 레이저 시스템에 채용하게 되면, 제3 광반사부(121)와 수광부(127) 사이의 거리(L)에 따른 빔(B2) 크기의 변화가 없으므로 롤 필름의 절단면의 가공 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100)는 롤 필름의 절단면의 가공 정도가 균일하므로 절단된 필름 또는 롤 필름의 가장자리가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절단된 필름의 품질을 높인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한편,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부가물, 변형물, 조합들 및/또는 대체물들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른 요소들, 물질들, 성분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신 필수 특징들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열, 비율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특정의 환경 및 작동 조건들에 특히 적합하도록 된 구조, 배열, 비율, 물질, 성분의 많은 변형과 함께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과 함께 및/또는 상호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청구범위의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의 몇몇은 위에서 논의되었으며 다른 것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롤 필름 절단 시스템 10…언와인딩 장치
20…댄서 장치 30…인피드 장치
40…마킹 검사 장치 50…레이저 절단기
60…배출장치 70…포장장치
100…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110…프레임
112…리니어 모터 112…베이스 프레임
114…지지 프레임 116…메인 프레임
118…이동 블록 122…레이저빔 공급원
124…광반사 조립체 125…헤드 모듈
127…수광부 129…레이저 노즐
180…빔 시준부재

Claims (9)

  1. 레이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롤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된 레이저빔 공급원;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레이저 빔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와, 상기 롤 필름에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노즐을 구비하는 헤드 모듈; 및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상기 헤드 모듈의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제1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집적하는 볼록 렌즈부와, 제2 하우징에 수납되어 상기 볼록 렌즈부를 통과한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오목 렌즈부를 가진 빔 시준(collimation)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은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상기 수광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반사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빔 시준부재는 상기 광반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부는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에서 출력되 레이저빔의 선형편광성분의 각도를 변경하는 편광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 시준부재는 상기 레이저빔 공급원과 상기 편광조절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 렌즈부는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볼록 렌즈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 렌즈부는 평탄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오록 렌즈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필름은 편광필름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필름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 롤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KR1020110045795A 2010-06-15 2011-05-16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KR10125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20500A TWI471185B (zh) 2010-06-15 2011-06-13 使用雷射光之膜卷切割裝置
JP2011132891A JP5417646B2 (ja) 2010-06-15 2011-06-15 レーザーを用いたロールフィルム切断装置
CN2011101660378A CN102284791A (zh) 2010-06-15 2011-06-15 利用激光的膜片卷切割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6611 2010-06-15
KR1020100056611 2010-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695A KR20110136695A (ko) 2011-12-21
KR101256954B1 true KR101256954B1 (ko) 2013-04-25

Family

ID=4550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95A KR101256954B1 (ko) 2010-06-15 2011-05-16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17646B2 (ko)
KR (1) KR101256954B1 (ko)
TW (1) TWI4711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330B1 (ko) * 2012-06-01 2014-09-23 (주)엔에스 필름부착장치
CN106735874B (zh) * 2016-12-27 2018-05-11 青岛理工大学 一种飞秒激光并行加工导光板散射网点的装置和方法
CN106825947B (zh) * 2016-12-28 2019-01-25 青岛理工大学 导光板激光精密微细加工、清洗和吸取装置
CN106691577A (zh) * 2017-01-05 2017-05-24 海南瑞韩医学美容医院管理有限公司海口龙华京华城红妆医学美容门诊部 一种光纤引导式微创治疗手具
CN109375192A (zh) * 2018-12-12 2019-02-22 广州维思车用部件有限公司 自动驾驶系统、激光雷达及其激光发射结构
CN110560933A (zh) * 2019-10-08 2019-12-13 深圳市集银科技有限公司 Cof表层切割装置
CN113770550A (zh) * 2021-08-31 2021-12-10 山东超工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角度自动调节功能的智能化激光切割机
CN114985981A (zh) * 2022-07-20 2022-09-02 新代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同动进料切割的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710B1 (ko) * 1993-09-27 1998-04-17 기타오카 다카시 레이저 절단기
US6528762B2 (en) 2001-02-12 2003-03-04 W. A. Whitney Co. Laser beam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CNC laser equipped machine tool
KR20080032307A (ko) * 2006-10-09 2008-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 용접장치
KR20100035449A (ko) * 2008-09-26 2010-04-05 (주)와이티에스 편광필름 절단용 레이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0682U (ko) * 1985-05-30 1986-12-16
JPH0428493A (ja) * 1990-05-22 1992-01-31 Nissan Motor Co Ltd レーザ光学系
GB9307421D0 (en) * 1993-04-08 1993-06-02 Cadcam Punch Ltd Laser cutter
JPH08132788A (ja) * 1994-11-09 1996-05-28 Graphtec Corp レーザカッティング機能を有するプロッタ
JP3028644U (ja) * 1995-12-04 1996-09-13 千葉やまさ製茶株式会社 老眼鏡
JP2869861B2 (ja) * 1996-01-24 1999-03-10 郵政省通信総合研究所長 準光学共振器を用いたミリ波サブミリ波用装置
CN100544877C (zh) * 2003-10-17 2009-09-30 通明国际科技公司 活动扫描场
JP4734101B2 (ja) * 2005-11-30 2011-07-27 株式会社ディスコ レーザー加工装置
JP5221560B2 (ja) * 2007-11-27 2013-06-2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710B1 (ko) * 1993-09-27 1998-04-17 기타오카 다카시 레이저 절단기
US6528762B2 (en) 2001-02-12 2003-03-04 W. A. Whitney Co. Laser beam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CNC laser equipped machine tool
KR20080032307A (ko) * 2006-10-09 2008-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 용접장치
KR20100035449A (ko) * 2008-09-26 2010-04-05 (주)와이티에스 편광필름 절단용 레이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1185B (zh) 2015-02-01
KR20110136695A (ko) 2011-12-21
TW201204501A (en) 2012-02-01
JP2012000675A (ja) 2012-01-05
JP5417646B2 (ja)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954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롤 필름 절단 장치
CN102043182B (zh) 具有切割线的光学膜层积体的连续卷筒及制造方法和装置
KR101222615B1 (ko) 롤 필름 절단 시스템의 절단 부산물 제거장치
JP5821155B2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方法及び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JP6699835B2 (ja) 光学フィルムマーキングシステム及び光学フィルムマーキング方法
WO2013099922A1 (ja) レーザー光照射装置、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装置、レーザー光照射方法及び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方法
KR20100130153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US9024991B2 (en) Laser marker
KR101346647B1 (ko) 편광필름 재단시스템의 레이저 재단장치
JP6004157B2 (ja) 3次元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8540543B2 (en) Metho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inspection method
KR101852663B1 (ko) 편광광 조사 장치
KR20150115785A (ko) 레이저광 조사 장치 및 광학 부재 접합체의 제조 장치
CN102284791A (zh) 利用激光的膜片卷切割设备
JP6232189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84120B2 (ja) フィルム露光装置
TWI413566B (zh) 偏光片之製造方法
JP2014164002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659333B1 (ko) 광학 필름의 총-피치 측정 시스템
KR20120043941A (ko) 필름 절단을 위한 레이저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절단 방법
KR20150039772A (ko)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및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KR101419748B1 (ko) 광학 필름의 총-피치 측정 시스템
KR102029695B1 (ko) 광학 필름 라미네이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유닛 제조 방법
KR20140139420A (ko) 광학 필름 롤의 제조 시스템 및 광학 필름 롤의 제조 방법
KR101097916B1 (ko) 레이저빔에 의한 필름가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