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480B1 -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480B1
KR101256480B1 KR1020110106361A KR20110106361A KR101256480B1 KR 101256480 B1 KR101256480 B1 KR 101256480B1 KR 1020110106361 A KR1020110106361 A KR 1020110106361A KR 20110106361 A KR20110106361 A KR 20110106361A KR 101256480 B1 KR101256480 B1 KR 10125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inclination
engine
intake pipe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준
Original Assignee
김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준 filed Critical 김효준
Priority to KR102011010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9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having two or more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스로틀 밸브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도록 유지하여 급발진이나 차량의 불필요한 유류의 낭비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구성된 스로틀밸브 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속페달의 구동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안내되는 흡기관의 내측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스로틀밸브모듈;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엔진의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로틀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밸브모듈은 상기 흡기관의 내측 유로에 일치되는 회전판이 회전되어 상기 흡기관을 개도시키는 제1스로틀밸브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의 회전판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제2스로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페달이 온되면 상기 제1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상기 흡입관의 유로를 개도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회전수감지센서의 회전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스로틀밸브와 제2스로틀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Dual throttle valve module for vehicle engine, th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스로틀 밸브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도록 유지하여 급발진이나 차량의 불필요한 유류의 낭비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의하여 출력을 증가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구성된 스로틀밸브 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흡기관에서 스로틀밸브에 의해 조절되는 공기량과, 인젝터에서 조절되는 연료 분사량에 따라 엔진부에서 폭발압력이 변하고 그에 따라 출력이 변동된다.
그리고 상기 스로틀밸브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가속페달에 연동되어 개도가 가변되어 운전자가 상기 가속페달을 조금 밟으면 엔진의 회전수가 높지 않고 출력도 약하며, 가속페달을 많이 밟으면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지는 동시에 출력이 증가된다. 이와 같은 출력은 엔진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증가되지만, 구동토크는 특정의 엔진 회전수에서 최대로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의 회전수가 2000rpm을 넘어서면 엔진의 출력이 올라가는 동시에 유류의 소비가 증가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운전중에 습관이나 주변상황에 따라서 가속페달을 밟기 때문에 운전중에 엔진 회전수를 주시해가면서 운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운전자의 습관이나 도로상황에 따라서 불필요하게 엔진의 회전수가 올라가서 유류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로틀밸브의 제어부 및 기계적 구동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급발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기에 엔진의 회전수가 급작스럽게 증가됨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경제적 운행 및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분당 엔진 회전수를 설정된 회전수로서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경제적 운행이 가능한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속페달의 가압시에 개도되는 제1스로틀 밸브와 운전자의 선택 및 경사도에 따른 차량의 추가 출력이 필요한 상황을 감지하여 개도되는 제2스로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로틀밸브와 제2스로틀밸브의 제어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급발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과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자동차의 가속페달의 구동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안내되는 흡기관을 개도시키는 회전판을 구비하는 제1스로틀밸브; 상기 제1스로틀밸브의 회전판보다 적은 직경을 갖고 설치되는 제2스로틀밸브가 하나의 바디 내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자동차의 가속페달의 구동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안내되는 흡기관의 내측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스로틀밸브모듈;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엔진의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로틀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밸브모듈은 상기 흡기관의 내측 유로에 일치되는 회전판이 회전되어 상기 흡기관을 개도시키는 제1스로틀밸브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의 회전판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제2스로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페달이 온되면 상기 제1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상기 흡입관의 유로를 개도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회전수감지센서의 회전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설정된 회전수로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스로틀밸브와 제2스로틀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장치는 경사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경사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경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경사감지센서의 경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경사도와 비교하여 설정된 경사도 내지 그 이상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 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의해 엔진이 점화되는 시동단계; 상기 시동단계이후에 가속페달이 구동되면 제1스로틀밸브가 회전되어 흡기관으로 흡입된 공기를 엔진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흡기관을 개방시키고, 제2스로틀밸브가 흡기관 내에서 정지된 상태로 흡기관내의 유로가 부분개방되도록 하는 제1스로틀밸브구동단계; 상기 제1스로틀밸브 구동단계 이후에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설정된 회전수와 비교하여 설정된 회전수보다 적으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회전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완전 개방하고, 감지된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다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오프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부분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회전수유지단계; 자동차의 경사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경사도와 비교하여 감지된 경사도가 설정된 경사도 내지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경사도판단단계; 및 상기 경사도판단단계에서 감지된 경사도가 설정된 경사도 내지 그 이상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흡기관의 유로를 완전개방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2스로틀밸브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스로틀밸브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가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스위치온판단단계; 및 상기 스위치온판단단계에서 상기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완전개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제2스로틀밸브제어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스로틀밸브와 제2스로틀밸브를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설정된 엔진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어 과도한 엔진의 회전수 증가로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넘어서는 현상을 막기 때문에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고, 연료소비에 가장 경제적 형태인 엔진의 분당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인 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도로에서 정상 운행시 설정된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하여 연료의 소모가 방지될 수 있고, 경사도가 급한 도로나 주변 상황에 따라서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함께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이 적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과 그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은 흡기관(11)에서 흡입되어 엔진부(1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로틀밸브모듈(17)은 가속페달(30)의 구동과 동시에 회전되는 제1스로틀밸브(171)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 보다 적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흡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제2스로틀밸브(172)가 하나의 스로틀바디(173)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와 제2스로틀밸브(172)는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로틀바디(173)는 배기관(12)과 연결되는 흡기관(11) 내에서 모터(16)의 구동에 의하여 임펠러(13)가 회전되면서 흡입된 공기를 엔진부(10)에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스로틀바디(173)는 상기 흡기관(11)의 관 형상에 일치되는 형상을 갖고 설치되며 그 내측에서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와 제2스로틀밸브(172)가 회전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는 회전판(도면번호 미표시)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도면번호 미표시)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로틀바디(173) 내에서 가속페달(30)의 가속과 동시에 답력에 맞는 각도로 젖혀지면서 상기 임펠러(13)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엔진부(10)로 안내한다. 이때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성을 갖고 형성되거나 전기신호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전기식 밸브 또는 상기 가속페달(30)의 구동에 따른 기계적인 신호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기계적 밸브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는 전기식 또는 기계식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는 상기 스로틀바디(173) 내측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 보다 더 적은 직경을 갖는 회전판(도면번호 미표시)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가 가속페달(30)이 온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것과 달리 제어신호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는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의 회전판보다 직경이 작은 회전판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가 회전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가 회전되지 않는다면 상기 유로가 완전개방이 아닌 부분개방되어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는 엔진부(10)로 안내되는 공기의 량을 한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스로틀밸브(171)와 제2스로틀밸브(172)를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는 각종 센서 및 전자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기의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의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20)은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의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21),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경사도감지센서(22),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센서(2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21)는 기어핸들이나 주행핸들 또는 기타 차량 내에서 설치되어 추가적인 엔진의 추가적인 출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온시켜서 제2스로틀밸브(172)를 온시켜 유로를 완전 개방하여 엔진의 출력을 상승시키도록 상기 제어부(24)에 온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사도감지센서(22)는 차량이 경사진 길을 주행시에 경사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4)에 인가한다. 예를 들면, 경사도감지센서(22)는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또는 차량하면판넬에서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4)에 인가한다.
상기 회전수감지센서(23)는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4)에 인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5)는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의하여 현재 엔진의 회전수, 제1스로틀밸브(171)의 개도율, 제2스로틀밸브(172)의 개도률, 차량의 속도, 또는 경사도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가속페달(30)이 온되면,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를 개도시키는 제1제어부(241)와, 상기 회전수감지센서(23)와 스위치(21)의 온오프신호 및 경사도감지센서(22)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2스로틀밸브(172)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4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24)는 제1제어부(241)와 제2제어부(242)를 구성하여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와 제2스로틀밸브(172)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어부(241)는 상기 가속페달(30)이 온되면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를 회전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부분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는 상기 제2제어부(242)의 제어에 의하여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관(11) 내에서 상기 스로틀바디(173)를 통하는 유로는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가 회전되고,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완전 개방되지 않고 부분개방된다.
상기 제2제어부(242)는 상기 회전수감지센서(23)와 상기 경사도감지센서(22)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회전수 또는 설정된 경사도에 해당 되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회전시켜 흡기관(11) 내의 유로를 완전 또는 부분개방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제어부(242)는 상기 회전수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되는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예를 들면, 2000rpm) 보다 낮으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회전시켜 공기의 흡입량을 증가시켜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그 반대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공기 유로의 일부를 가로막도록 회전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242)는 상기 스위치(21)가 온되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회전시켜 상기 유로를 완전개방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킨다.
아울러 상기 제2제어부(242)는 상기 디스플레이(25)에 회전수와 제1스로틀밸브(171)의 개도율, 제2스로틀밸브(172)의 개도율 및 경사도와 속도를 문자와 숫자로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이중 스로틀밸브모듈(17)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로틀밸브 모듈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시동단계(S11)와, 가속페달(30)이 구동되면 제1스로틀밸브(171)를 온시키는 단계(S12)와, 회전수를 감지하여 설정회전수를 유지하는 회전수유지단계(S13)와, 스위치(21)가 온되는 지를 판단하는 스위치(21) 온판단단계(S14)와, 경사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경사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경사도판단단계(S15)와, 스위치(21)가 온되거나 또는 설정된 경사도에 해당되면 제2스로틀밸브(172)를 온시키는 제2스로틀밸브온단계(S16)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단계(S11)는 운전자가 자동차 키를 키박스에 삽입하고 시동을 걸어서 엔진이 점화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제1제어부(241)는 상기 자동차 키가 삽입되어 시동신호가 인가되면 온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6)는 상기 제1제어부(241)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임펠러(13)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기관(11)내로 송출시킨다.
상기 제1스로틀밸브 온단계(S12)는 상기 제1제어부(241)에서 상기 시동단계(S13) 이후에 가속페달(30)이 구동되면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를 온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는 상기 흡기관(11) 내에서 설치되어 상기 제1제어부(241)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흡기관(11)을 개도하여 상기 임펠러(13)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엔진부(10)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자동차는 운행을 개시한다.
상기 회전수유지단계(S13)는 상기 제2제어부(242)에서 상기 회전수감지센서(23)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로 유지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스로틀밸브(171)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제어부(242)는 설정된 회전수가 예를 들면, 2000rpm이라면 상기 회전수감지센서(23)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회전수보다 적다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회전시켜 상기 유로를 완전개방시켜 엔진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가 온된 상태에서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라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오프시켜 상기 유로를 부분개방시킨다.
상기 스위치온판단단계(S14)는 상기 제2제어부(242)에서 상기 스위치(21)가 온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위치(21)는 기어핸들 또는 운전핸들 또는 기타 차량내에서 설치되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의 온오프신호를 상기 제어부(24)에 인가한다. 운전자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서 엔진의 회전수를 설정된 회전수 이상으로 올려야 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스위치(21)를 온 하고, 가속페달(30)을 밟아서 차량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21)의 제2스로틀밸브(172) 온신호는 선택적으로 입력된다.
상기 설정경사도판단단계(S15)는 상기 제2제어부(242)에서 상기 경사도감지센서(22)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경사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제어부(242)는 상기 경사도감지센서(22)로부터 감지되는 현재의 주행도로의 경사도를 확인하여 설정된 경사도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의 온오프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242)는 자체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설정 경사도 및 설정 회전수가 저장된다.
상기 제2스로틀밸브제어단계(S16)는 상기 제2제어부(242)에서 상기 스위치(21)가 온되거나 또는 상기 경사도가 설정된 경사도 이상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온 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2제어부(242)는 상기 스위치(21)가 온 되거나 상기 경사도감지센서(22)로부터 감지된 경사도가 설정경사도 이상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회전시켜 유로를 완전개방시킨다.
상기 차량의 엔진부(10)는 한정된 공간을 갖는 상기 스로틀바디(173) 내에서 상기 제1스로틀밸브(171)가 온되고, 제2스로틀밸브(17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흡입되는 공기량이 한정되기 때문에 설정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엔진부(10)는 제2스로틀밸브제어단계(S16)에서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가 온 되면 상기 스로틀바디(173)내의 유로가 완전개방되기 때문에 엔진의 회전수가 가속페달(30)을 밟는 것과 비례하여 상승되어 출력이 증가된다.
즉, 자동차는 경사도가 높은 도로를 주행시에 설정회전수를 유지한다면 경사도에 따라서 차량의 속도가 감소 되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을 올려야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경사도를 감지하여 엔진의 출력을 상승시켜 경사도가 급한 도로라 할지라도 속도의 감소 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242)는 경사도가 다시 완만해지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172)를 원상태로 위치시켜 유로를 부분개방하여 설정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자동차는 설정된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어 연료의 소모가 적으며 상황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엔진의 출력을 증감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경제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엔진부 11 : 흡기관
12 : 배기관 13 : 임펠러
15 : 인텍터 16 : 모터
17 : 스로틀밸브모듈 20 : 제어모듈
21 : 스위치 22 : 경사도감지센서
23 : 회전수감지센서 24 : 제어부
25 : 디스플레이 171 : 제1스로틀밸브
172 : 제2스로틀밸브 173 : 스로틀바디
241 : 제1제어부 242 : 제2제어부

Claims (6)

  1. 자동차의 가속페달의 구동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안내되는 흡기관의 내측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스로틀밸브모듈;
    자동차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엔진의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로틀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경사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경사감지신호를 인가하는 경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밸브모듈은 상기 흡기관의 내측 유로에 일치되는 회전판이 회전되어 상기 흡기관을 개도시키는 제1스로틀밸브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의 회전판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제2스로틀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페달이 온되면 상기 제1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상기 흡기관의 유로를 개도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회전수감지센서의 회전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설정된 회전수로 유지하는 것을 제2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스로틀밸브와 제2스로틀밸브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경사감지센서의 경사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경사도와 비교하여 설정된 경사도 내지 그 이상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장치는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선택적으로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장치.
  4. 삭제
  5. 자동차 키박스로부터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의해 엔진이 점화되는 시동단계;
    상기 시동단계이후에 가속페달이 구동되면 제1스로틀밸브가 회전되어 흡기관으로 흡입된 공기를 엔진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흡기관을 개방시키고, 제2스로틀밸브가 흡기관 내에서 정지된 상태로 흡기관내의 유로가 부분개방되도록 하는 제1스로틀밸브구동단계;
    상기 제1스로틀밸브 구동단계 이후에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설정된 회전수와 비교하여 설정된 회전수보다 적으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회전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완전 개방하고, 감지된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보다 높다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오프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부분개방하도록 제어하는 회전수유지단계;
    자동차의 경사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경사도와 비교하여 감지된 경사도가 설정된 경사도 내지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경사도판단단계; 및
    상기 경사도판단단계에서 감지된 경사도가 설정된 경사도 내지 그 이상이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흡기관의 유로를 완전개방시켜 엔진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2스로틀밸브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로틀밸브의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가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는 스위치온판단단계; 및
    상기 스위치온판단단계에서 상기 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제2스로틀밸브를 온시켜 상기 흡기관내의 유로를 완전개방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제2스로틀밸브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 스로틀밸브모듈의 제어방법.
KR1020110106361A 2011-10-18 2011-10-18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56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61A KR101256480B1 (ko) 2011-10-18 2011-10-18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61A KR101256480B1 (ko) 2011-10-18 2011-10-18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480B1 true KR101256480B1 (ko) 2013-05-02

Family

ID=4866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361A KR101256480B1 (ko) 2011-10-18 2011-10-18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48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200B2 (en) Hybrid vehicle launch control
US8439795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or torque
JP5949899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電気自動車の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JP4811241B2 (ja) 自動二輪車用運転モード切り替え装置
US11465500B2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system for hybrid vehicle
KR101256480B1 (ko) 이중 스로틀밸브모듈과 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1263209A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
JP2000265859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バルブ開度制御装置
KR100507467B1 (ko) 디젤 차량의 가속 페달 센서 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
KR20160066602A (ko) 차량의 밀림 방지 제어방법
JP3589814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280629B1 (ko)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 방법
KR100507083B1 (ko) 덤프 차량의 동력 인출 장치 제어 시스템
KR100405533B1 (ko) 자동차의 시동꺼짐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70053B1 (ko) 자동차의구배로출발장치및그제어방법
KR102063442B1 (ko) 운전자의 비가속 의지를 반영하는 스로틀 밸브장치 및 제어방법
KR100357549B1 (ko) 아이들 속도 제어 밸브를 이용한 차량의 정속 주행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50070226A (ko) 자동차용 pto 제어 방법
KR970069532A (ko) 동력전달장치제어모듈의 브레이크스위치 고장진단시스템
JP2023521224A (ja) 電子スロットル制御システム
KR100435945B1 (ko) 공회전시의 과회전(over revolution)방지장치 및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080051597A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아이들 부하 인가시 시동 꺼짐 방지방법
KR20050120225A (ko) 에어탱크 급속 충진을 위한 상용차용 아이들 회전수증가장치와 방법
KR19980017143A (ko) 자동차의 속도 제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002381A (ja) 内燃機関の空気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