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149B1 - 터보차져 - Google Patents

터보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149B1
KR101254149B1 KR1020110036547A KR20110036547A KR101254149B1 KR 101254149 B1 KR101254149 B1 KR 101254149B1 KR 1020110036547 A KR1020110036547 A KR 1020110036547A KR 20110036547 A KR20110036547 A KR 20110036547A KR 101254149 B1 KR101254149 B1 KR 10125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ypass outlet
actuator
cover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904A (ko
Inventor
김성수
왕학민
하선일
Original Assignee
(주)계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계양정밀 filed Critical (주)계양정밀
Priority to KR102011003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1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차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빈 휠을 수용하고, 내측에 바이패스 출구가 형성된 터빈 하우징; 직선 방향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는 힘을 전달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하여,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바이패스 출구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터빈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패스 출구가 개폐되는 경우에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보차져{Turbo Charger}
본 발명은 터보차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패스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터보차져에 관한 것이다.
터보차져는 배기가스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에 연결된 컴프레셔에 의해 공기를 가압하는 장치로서, 엔진의 연소실로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여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출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차져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엔진의 배기계통에 설치된 배기 매니폴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터보차져(1)의 터빈 휠(1a)을 거쳐 배기관로로 배출되고, 상기 터빈 휠(1a)은 컴프레셔를 구동하여 엔진의 흡기계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터빈 휠(1a)을 우회하여 상기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기관로로 직접 안내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에 의해 그 개폐가 조절되는 바, 상기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는 링크기구(7)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9)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는 상기 링크기구(7)의 동작에 의해 축선회되는 몸체(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링크기구(7)는 상기 액츄에이터(9)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제1로드(7a)와, 상기 제1로드(7a)에 의해 핀결합된 제2로드(7b)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2)는 상기 제2로드(7b)와 회전축(7c)을 공유하여 설치된다.
엔진이 고속 고부하의 운전영역이면, 상기 액츄에이터(9)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7)가 동작하여 상기 회전축(7c)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2)가 선회하여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개방된다. 이 결과, 배기가스는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상기 터보차져(1)의 터빈 휠(1a)을 우회하여 배기관로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터빈 휠(1a)의 회전수가 저하되어 컴프레셔에 의한 부스트 압력도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엔진이 저속 저부하의 운전영역이면, 상기 액츄에이터(9)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링크기구(7)가 역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회전축(7c)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2)가 선회하여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는 바이패스가 일어나지 않고, 모두 상기 터빈 휠(1a)을 회전시킨다.
상기 몸체(12)는 바이패스 통로의 입구를 회전축(7c)을 중심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식으로 회전하여 개폐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12)가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였다가 밀폐하는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12)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의 입구가 충돌하면서 '딸깍'하는 등의 기계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소음에 의해서 상기 몸체(12)가 파손되어 터보차져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의 밀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이패스 출구가 개폐되는 경우에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터보차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작은 동작으로로 바이패스 통로가 크게 개방되어, 바이패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보챠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빈 휠을 수용하고, 내측에 바이패스 출구가 형성된 터빈 하우징; 직선 방향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는 힘을 전달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켜,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출구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터빈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는 제1링크,상기 제1링크에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링크에 대해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제3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링크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3링크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3링크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 접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의 단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면서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링크부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터빈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중심으로 상기 터빈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서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접촉면은 서로 밀폐하여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개폐하되, 상기 안착면과 상기 접촉면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부가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커버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봉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힘을 그대로 상기 커버부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링크부가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링크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 접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의 단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면서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 출구가 개폐되는 경우에 소음이 저감될 수 있어, 바이패스 출구에 사용되는 커버부나 바이패스 출구 부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의 작은 동작으로도 바이패스 통로가 크게 개방될 수 있어, 터보차져를 설계하는 데에 동작의 제약이 작아져, 설계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보차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커버부와 링크부의 동작을 설명한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커버부와 링크부의 동작을 설명한 요부도.
도 6은 도 2와 도 4에 모두 적용가능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져는, 터빈 휠을 수용하는 터빈 하우징(20), 직선 방향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액츄에이터(9)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는 힘을 전달하는 링크부(30), 상기 링크부(30)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출구(22)를 개폐하는 커버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내부 공간과 맞닿는 위치에서는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외곽에 수직하게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외측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슬라이딩하여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30)는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는 제1링크(32), 상기 제1링크(32)에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링크(32)에 대해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34), 상기 제2링크(34)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50)를 회전시키는 제3링크(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3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설명된 제1로드(7a)에 대응되고, 상기 제2링크(34)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설명된 제2로드(7b)에 대응되며, 상기 제3링크(36)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설명된 회전축(7c)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로, 그 동작과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제3링크(36)에 고정되는 고정편(52)과 상기 바이패스 출구(22)에 접하는 접촉편(5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접촉편(54)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22)의 단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면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제1링크(32)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3링크(36)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부(50)의 동작 방향은 상기 제1링크(32)가 상기 액츄에이터를 향해서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다. 즉 상기 커버부(50)의 이동 방향은 도 2의 도면을 기준으로 도면의 바깥쪽으로 나오거나, 도면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부와 링크부의 동작을 설명한 요부도이다. 도 3은 도 2를 90도 가량 회전시켜서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엔진의 저속 저부하 운전 영역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는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힘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링크부(30)와 상기 커버부(50)는 점선에 도시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는다.
엔진의 고속 고부하 운전 영역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는 직선 방향으로 인장되어, 직선 방향 힘이 발생하고, 그 힘은 상기 링크부(30)에 전달된다. 힘은 상기 제1링크(32), 상기 제2링크(34) 및 상기 제3링크(36)를 거쳐 최종적으로 상기 커버부(5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3링크(36)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운동이 발생되는데, 상기 제3링크(36)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꺽어져 있다. 따라서 도 3의 실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링크(36)가 회전되면, 상기 제3링크(36)는 꺽인 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3링크(36)의 일단이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되고, 상기 커버부(50)가 그 큰 원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통해서 배기가스 중 일부가 바이패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0)는 슬라이딩에 의한 동작으로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50)가 상기 바이패스 출구(22)에서 배기가스가 토출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개폐할 때마다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배기 가스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때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0)가 파손될 위험이 줄어들고, 터보차져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져는, 터빈 휠을 수용하고 내측에 바이패스 출구(22)가 형성된 터빈 하우징(20), 직선 방향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40), 상기 액츄에이터(40)에서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40)에서 발생되는 힘을 전달하는 링크부(30), 상기 링크부(30)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출구(22)를 개폐하는 커버부(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40)에 의한 직선 방향 힘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슬라이딩하여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링크부(30)가 상기 액츄에이터(40)와 상기 커버부(50)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봉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개의 링크에 의한 구성이 아니라, 하나의 봉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링크부(30)는 상기 액츄에이터(40)에서 발생된 힘을 그대로 상기 커버부(50)에 전달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동작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링크부(30)에 고정되는 고정편(52)과 상기 바이패스 출구(22)에 접하는 접촉편(5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편(54)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22)의 단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면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부부(50)의 이동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과 동일하다.
도 5는 도 4의 커버부와 링크부의 동작을 설명한 요부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엔진의 저속 저부하 운전 영역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40)는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40)에서 힘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링크부(30)와 상기 커버부(50)는 점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는다.
한편 엔진의 고속 고부하 운전 영역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40)는 직선 방향으로 인장되어, 직선 방향 힘이 발생하고, 그 힘은 상기 링크부(30)에 전달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0)에서 발생된 변위는 상기 링크부(30)에 그대로 전달되고, 상기 링크부(30)의 변위는 상기 커버부(50)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의해서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상기 커버부(50)와 상기 링크부(30)의 이동이 발생될 수 있다. 실선에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개방되어, 배기 가스 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통해서 바이패스될 수 있다.
도 6은 도 2 및 도 4에 모두 적용가능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변형례는 도 2를 기준으로 운동 방향 등이 변형되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간략히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도 4에도 충분히 적용가능한 정도의 기술로 인식할 것이다. 참고로 도 2에서는 회전이 이루어지지만, 도면에 발명의 특징이 명확하게 도시될 수 있도록 도 6에서는 커버부와 링크부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단순하게 변경하였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중심으로 상기 터빈 하우징(20)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된 안착턱(2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턱(24)의 가장 높은 위치, 즉 외주면에는 안착면(26)이 형성되는 데, 상기 안착면(26)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22)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50)의 접촉편(54)의 하단면에는 접촉면(5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면(56)은 상기 안착면(26)이 직접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56)도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기울어진 형상은 상기 안착면(26)과 상기 접촉면(56)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면(56)이 상기 바이패스 출구(22)를 밀폐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배열된다. 이때에는 상기 접촉면(56)과 상기 안착면(26)이 서로 맞닿아서,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밀폐될 수 있다.
엔진이 고속 고부하 운전 영역에서는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으로 상기 커버부(50)가 이동되어, 상기 바이패스 출구(22)가 개방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6에서는 상기 접촉면(56)과 상기 안착면(26) 사이의 높이 차이까지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접촉면(56)과 상기 안착면(26)이 평면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겹쳐지지 않는 부분을 통해서 바이패스가 이루어지는 것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지만, 더 나아가 상기 접촉면(56)과 상기 안착면(26)의 높이의 차이까지 벌어져, 그 높이 차이에 의한 틈에 의해서도 바이패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에 대한 바이패스의 효율이 향상되어, 상기 커버부(50)의 동작의 크기가 작음에도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더 큰 바이패스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0)의 동작 범위에 의한 설계 제약이 줄어들 수 있고, 상기 커버부(50)의 동작에 따른 소모나 마모의 정도가 줄어, 전체적으로 터보차져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제3링크(36)에 의해서 동작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제3링크(36)를 중심으로 회전되 바이패스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의 예를 도 4 및 도 5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링크(36) 대신에 하나의 봉 형태의 링크부(30)을 적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 터빈 하우징 30: 링크부
50: 커버부

Claims (9)

  1. 터빈 휠을 수용하고, 내측에 바이패스 출구가 형성된 터빈 하우징;
    직선 방향 힘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는 힘을 전달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켜,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출구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된 상기 터빈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에서 연장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에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링크에 대해서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터보차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링크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3링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3링크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 접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의 단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면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터빈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중심으로 상기 터빈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서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접촉면은 서로 밀폐하여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개폐하되,
    상기 안착면과 상기 접촉면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커버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봉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힘을 그대로 상기 커버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링크부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 접하는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의 단면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촉하면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가 직선운동하여 상기 링크부와 연결된 커버부를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배출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터빈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부를 향해서 돌출형성된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 형성된 안착면과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접촉면은 서로 접촉하여 상기 바이패스 출구를 밀폐하되,
    상기 안착면과 상기 접촉면은 상기 바이패스 출구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져.
KR1020110036547A 2011-04-20 2011-04-20 터보차져 KR10125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47A KR101254149B1 (ko) 2011-04-20 2011-04-20 터보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547A KR101254149B1 (ko) 2011-04-20 2011-04-20 터보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904A KR20120118904A (ko) 2012-10-30
KR101254149B1 true KR101254149B1 (ko) 2013-04-18

Family

ID=4728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547A KR101254149B1 (ko) 2011-04-20 2011-04-20 터보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001A (ko) 2014-08-08 2016-02-18 (주)계양정밀 마찰저감 엑츄에이터 작동로드를 구비한 터보차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77B1 (ko) * 1989-06-09 1996-03-21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터보 과급기용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KR20030018527A (ko) * 2001-08-30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용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결합구조
KR20060037719A (ko) * 2004-10-28 2006-05-03 정정완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유닛
KR100774739B1 (ko) 2006-12-15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 천연 가스 엔진의 공기량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77B1 (ko) * 1989-06-09 1996-03-21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오퍼레이티드 터보 과급기용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KR20030018527A (ko) * 2001-08-30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용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결합구조
KR20060037719A (ko) * 2004-10-28 2006-05-03 정정완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유닛
KR100774739B1 (ko) 2006-12-15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 천연 가스 엔진의 공기량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001A (ko) 2014-08-08 2016-02-18 (주)계양정밀 마찰저감 엑츄에이터 작동로드를 구비한 터보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904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552B2 (en)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US8844283B2 (en) Exhaust-gas turbocharger with a bypass valve
WO2011074039A1 (ja) ターボチャージャ
JP4987971B2 (ja) デュアルウェストゲートを具えたターボチャージャ
KR101781648B1 (ko)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웨이스트 게이트 또는 터보차저의 가변 터빈 구조 장치
JP2009236088A (ja) 排気制御バルブを備えた排気タービン
CN103032211A (zh) 在空气通道上具有复位端部止挡件的三通阀
US9765686B2 (en) Valve drive apparatus and supercharger having the same
US20140294569A1 (en) Gas driven motor
KR101254149B1 (ko) 터보차져
WO2013061357A1 (ja) ターボ用アクチュエータ
JP6045207B2 (ja) ウェストゲートバルブを備えた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6514797A (ja)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
JP5783434B2 (ja) バルブ駆動装置
JP5874681B2 (ja) バルブ駆動装置
JP5804481B2 (ja)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ーのための作動装置
JP4935628B2 (ja) 過給機
JP6590734B2 (ja) ロータリー弁装置、過給機、および、多段過給システム
KR20170123193A (ko) 웨이스트게이트 유닛
KR20180101494A (ko) 터보차저용 키네마틱 호환 링크 장치
KR101231268B1 (ko) 터보차져의 과급압 조절밸브
KR20160019001A (ko) 마찰저감 엑츄에이터 작동로드를 구비한 터보차저
WO2019222315A1 (en) Valve assembly for a charging device
KR20090124710A (ko) 가변체적 터보차저
WO2020261417A1 (ja) 可変ノズル装置および可変容量型排気ターボ過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