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82B1 -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82B1
KR101253982B1 KR1020100139638A KR20100139638A KR101253982B1 KR 101253982 B1 KR101253982 B1 KR 101253982B1 KR 1020100139638 A KR1020100139638 A KR 1020100139638A KR 20100139638 A KR20100139638 A KR 20100139638A KR 101253982 B1 KR101253982 B1 KR 10125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lyl
group
graft copolymer
methyl
polysaccha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9953A (ko
Inventor
이매인
한인선
이호진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to KR102010013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82B1/ko
Priority to JP2013546045A priority patent/JP2014500382A/ja
Priority to US13/995,475 priority patent/US20130272989A1/en
Priority to EP11853816.4A priority patent/EP2660252A2/en
Priority to PCT/KR2011/010331 priority patent/WO2012091502A2/ko
Publication of KR2012008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02Alkyl or cycloalkyl ethers
    • C08B11/04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08B11/08Alkyl or cycloalkyl eth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Esters, ethers, or acetal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종의 폴리사카라이드와 적어도 1종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구성성분 중 하나로 포함하므로,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또한 기존의 것보다 향상된 보습력 및 손상모발의 보호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GRAFT COPOLYMER OF POLYSACCHARIDE AND MONOMER CONTAINING PHOSPHORYLCHOLINE-LIKE GROUP, AND HAIR CAR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로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개발되어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또는 직물의 염색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공중합체에서 폴리사카라이드 기질에 도입되는 단량체로는 대부분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할라이드가 이용되었다.
예를 들어, US 4,8103,071호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이하 HEC로 약칭함)와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diallyl ammonium chloride)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오염, 자외선 노출, 잦은 퍼머나 염색 등으로 인한 헤어 손상이 심각해지면서, 헤어 적용시 및 적용 후 보다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고, 보다 향상된 손상 모발의 보호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와 더불어 친환경성 및 적절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헤어 제품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는 생체막에 유래하는 인지질 유사구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혈액성분 불활성화, 생체물질 비흡착성 등의 생체 적합성, 방오성, 보습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의 기능을 살린 생체관련재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 및 그 용도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에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가 포함되는데, 그 중 특히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라는 단량체는, 세포벽 구성 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가 존재하여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서, 종전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보습력 및 보호력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보습력과 보호력을 제공하는 새로운 폴리사카라이드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적어도 1종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이고,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폴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이 각각 30~99.5 중량% 및 0.5~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87852599-pat00001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또,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0 또는 1이고, n은 2~4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서, 폴리사카라이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보습성 및 생체 적합성의 관점에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또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보습성 및 생체 적합성의 관점에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 ethylphosph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구성성분으로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외에 다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적어도 1종의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용해성 및 보습성의 관점에서 10000~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에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보습성 및 보호성의 관점에서 0.0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사카라이드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도입함으로써, 기존의 폴리사카라이드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보다 향상된 보습력 및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또한 개선된 보습력, 손상모발의 보호력 등을 가진다.
본 발명은 헤어 제품에 이용 가능한 새로운 폴리사카라이드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성분으로 포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에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각각 30~99.5 중량% 및 0.5~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외에 다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사카라이드는 그에 해당되기만 하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전분 및 그 유도체, 여러 가지 식물성 검(Plant gum)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구아 검(guar gum),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잔탄 검(xanthan gum), 갈락토만논 검(galcomannon gum), 옥수수, 감자, 밀, 쌀 등 유래의 전분, 아밀로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C1~C6 알킬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사용에 있어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폴리사카라이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가 보습성, 생체적합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며,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가 보습성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87852599-pat00002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또,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0 또는 1이고, n은 2~4의 정수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조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스티릴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부테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크로토노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화합물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입수성 및 생체 적합성의 관점에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2-methacryloyloxyethylphosphorylcholine)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사용에 있어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화합물 중에서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은 아크릴로일옥시에틸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을 모두 의미한다.
다른 단량체
한편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경우에 따라 상기한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외에 다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생체적합성 및 보습성 면에서 수용성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모노- 또는 디-N-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및 메타크릴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피롤리돈, 소듐 또는 암모늄 스티렌 설포네이트,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사용에 있어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단량체로서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을 포함한다. 이 때,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에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2이며, 그 순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알릴디알킬모늄염은, 바람직하게는 디알릴디알킬암모늄 할라이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이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N,N-디알릴-N,N-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N-디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N-디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N-디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도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매 및 유화제의 존재 하에 통상의 라디칼 중합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S 4,131,576, US 4,464,523호 등에 기재된 제조방법을 참고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응기에 용매와 유화제를 첨가하고, 여기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물과 함께 첨가한 후, 프리 라디칼 중합 촉매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한 다음, 40~100℃로 승온시켜 30분~72시간 동안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수한 공중합체를 다시 반응기에서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등으로 1회 내지 수회 세척한 후 여과 건조하여 분쇄포장함으로써 최종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공중합체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행해진다.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사카라이드를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불활성 용매인 이소파라핀, 톨루엔, 미네랄 오일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화제 또한 통상의 유화제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에틸렌화된 노닐 페놀(Hydroxyethylated nonyl phenols), 히드록시에틸렌화된 긴사슬 모노카르복실산 및 지방산(Hydroxyethylated long-chain monocarboxylic acids and fatty acids), 소르비톨의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톨의 히드록시에틸렌화된 지방산 에스테르(Hydroxyethylated fatty acid esters), 일킬 아릴 술포네이트, 라우릴 술페이트 또는 술포석신산 에스테르(sulfosuccinic acid ester)와 같은 리니어 알킬 술포네이트 및 술페이트(linear alkyl sulfonates and sulfate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구체적인 상품명으로는 Span 60 및 80(Hercules, Inc.), Brij 92(Hercules, Inc.), Igepal 990 (GAF), Triton X(Rohm and Haas Co.), Calsoft 30(Pilot Chemical Co.) 등이 있다. 프리 라디칼 중합 촉매제 또한 통상의 라디칼 중합 촉매제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NH4)2S2O8, K2S2O8, Na2S2O8, Redox 개시제, 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최종 공중합체 내에 폴리사카라이드를 30~99.5 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0.5~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중합체가 상기의 두 성분 외에 다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예컨대 폴리사카라이드 30~99.5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0.45~69.95중량% 및 다른 단량체 0.05~69.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공중합체가 각 구성성분들을 상기한 범위 내로 포함하면 모발 보습성, 유연성, 볼륨감 등의 사용감이 증대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통상 10000~2000000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크게 한정되지 않으나, 0.25% 미만일 수 있고, 0.01% 내지 0.2% 이하인 것이 보습성, 유연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1% 수용액 점도 또한 별다른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100~2000cPs, 바람직하게는 300~1000cP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술한 공중합체를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4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하면 사용감, 보습감 등에서 유리하다.
헤어 케어용 조성물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상술한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므로, 이를 폴리사카라이드에 도입한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또한, 종래 다른 단량체를 도입한 폴리사카라이드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보다, 향상된 생체 적합성 및 용해성과, 현저히 개선된 보습력, 손상모발의 보호효과 등을 보인다.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상기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대한 적절한 캐리어, 그리고 계면활성제, 향기 성분, 유백제(opacifier), 결합보조제(combing aids), 단백질, 에어로졸 촉진제(aerosol propellents), 증점제(thickener), 겔화제(gelling agent) 등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 고정용 왁스, 헤어 케어용 컨디셔너 등을 포함한 각종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킨케어용 제품에 사용되어 보습 및 피부보호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제조
제조예 1.
250ML 반응기에 Isopar E 63.3g, 유화제로 Span-80 1.475g 및 Triton X-100 0.475g을 넣고, MPC 5g과 H2O 5g을 첨가한 후, pH조절제로 EDTA-2Na 0.0062g, Na2HPO4 0.991g을 첨가하고, 촉매로서 (NH4)2S2O8 0.13g과 H2O 2.6g을 녹여넣은 다음, 이어서 HEC 20g을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시켰다. 1시간 동안 70℃로 승온한 다음, 68~72℃에서 6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이 때, 승온 30분 전부터 질소 치환을 시작하여 반응 완료시까지 유지하였다. 중합액을 여과하고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진공 건조를 수행하여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얻어진 공중합체를 다시 250ML 반응기에서 이소프로판올 63.3g을 이용하여 45℃에서 2시간 동안 2차 세척한 다음, 여과 및 건조하고, 20 메쉬로 분쇄하여 최종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이때, 얻어진 최종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1.0% 였으며, 1% 수용액의 점도는 500cPs 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MPC 및 H2O를 각각 1.5g씩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최종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0.4% 였으며, 1% 수용액의 점도는 1000cPs 였다.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단량체로 MPC 0.44g, H2O 0.44g 및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순도 63%, 이하 DADMAC로 약칭함) 28.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최종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2.0% 였으며, 1% 수용액의 점도는 300cPs 였다.
비교제조예 1.
제조예 1에서1 MPC 대신 DADMAC를 동일 양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최종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1.3% 였으며, 1% 수용액의 점도는 600cPs 였다.
비교제조예 2.
제조예 2에서 MPC 대신 DADMAC를 동일 양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최종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0.7% 였으며, 1% 수용액의 점도는 800cPs 였다.
비교제조예 3.
제조예 3에서 MPC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최종 공중합체의 질소함량은 2.05% 였으며, 1% 수용액의 점도는 350cPs 였다.
2.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물 40.05g을 혼합조에 넣고 가온하면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공중합체 0.8g을 넣은 다음, PG 1g을 넣고 75℃로 가온하였다.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18g, 소듐 라우레스 술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17g, 코코지방산 디에탄올아마이드(Cocofatty acid diethanolamide) 2.5g,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 8g, 소이아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Soyamidopropylamine oxide) 3g, 세티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0.5g,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2g, 에틸렌 글리콜 디스티아레이트(Ethylene glycol distearate) 0.6g,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Polyglyceryl-2 caprate) 2g,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티코놀(Cyclopentasiloxane and Dimethiconol) 0.5g, 디메티콘(Dimethicone) 1g 및 테트라소듐 EDTA(Tetrasodium EDTA) 0.05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7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30분 정도 혼합한 후 4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알란티온(Alantion) 0.05g, 메틸 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 메틸 이소티아졸리논(Methyl chloroisothiazolinone & Methyl isothiazolinone) 0.05g, DL-판테놀(DL-Panthenol) 0.1g, 시트르산 0.5g 및 향성분(Fragrance) 0.3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4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3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제조예 2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제조예 3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손상모발 보호효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각각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감을 때의 느낌, 젖은 상태의 빗질, 건조 후 빗질, 모발의 볼륨감, 모발의 윤기 등에 관하여 패널테스트를 통해서 모발의 보호효과를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표시하였다.
감을 때의 느낌

패널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PJH 10 9 8 3 1 4
MJL 10 10 8 4 2 5
LSY 10 9 9 3 2 5
LMI 10 10 9 3 1 5
SSM 10 10 9 3 1 5
PYS 10 9 9 3 2 5
HYA 10 10 9 4 2 5
KJH 10 10 9 4 3 5
YSS 10 9 9 3 2 4
KJK 10 10 9 3 1 4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젖은 상태의 빗질

패널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PJH 10 9 8 3 2 5
MJL 10 9 9 3 2 5
LSY 10 9 9 3 2 5
LMI 10 9 9 3 2 4
SSM 10 10 9 3 2 5
PYS 10 9 9 4 1 4
HYA 10 9 8 3 1 4
KJH 10 9 9 3 2 5
YSS 10 9 9 3 1 4
KJK 10 9 8 3 2 4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건조 후 빗질

패널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PJH 10 9 9 3 1 5
MJL 10 9 9 3 2 4
LSY 10 9 9 3 2 5
LMI 10 10 9 4 2 5
SSM 10 9 8 4 1 5
PYS 10 9 9 4 1 5
HYA 10 9 9 4 1 5
KJH 10 10 9 3 2 5
YSS 10 10 9 4 1 4
KJK 10 9 9 3 1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모발의 볼륨감

패널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PJH 10 9 9 4 1 5
MJL 10 9 9 3 2 5
LSY 10 9 9 3 2 5
LMI 10 9 9 3 1 5
SSM 10 9 8 3 1 4
PYS 10 10 9 4 2 5
HYA 10 10 9 4 2 5
KJH 10 9 9 3 2 4
YSS 10 9 9 4 2 5
KJK 10 10 9 3 1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모발의 윤기

패널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PJH 10 10 9 3 2 5
MJL 10 10 9 3 2 5
LSY 10 9 8 3 2 5
LMI 10 9 8 4 2 5
SSM 10 9 8 3 1 4
PYS 10 9 9 3 2 5
HYA 10 10 9 4 2 5
KJH 10 10 9 4 2 5
YSS 10 9 9 3 1 4
KJK 10 9 8 4 2 5
(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Claims (7)

  1. 적어도 1종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이고,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폴리사카라이드와 포스폴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함량이 각각 30~99.5중량% 및 0.5~70 중량%이고,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적어도 1종의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2088338052-pat00003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6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또,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0 또는 1이고, n은 2~4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 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은 N,N-디알릴-N,N-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N-디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메틸-N-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N,N-디알릴-N,N-디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N-디에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도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N,N-디알릴-N-메틸-N-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및 N,N-디알릴-N-메틸-N-데실암모늄 브로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2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에 0.01~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1020100139638A 2010-12-30 2010-12-30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10125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38A KR101253982B1 (ko) 2010-12-30 2010-12-30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JP2013546045A JP2014500382A (ja) 2010-12-30 2011-12-29 多糖ベースの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用組成物
US13/995,475 US20130272989A1 (en) 2010-12-30 2011-12-29 Polysaccharide-based graft co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or personal care
EP11853816.4A EP2660252A2 (en) 2010-12-30 2011-12-29 Polysaccharide-based graft co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or personal care
PCT/KR2011/010331 WO2012091502A2 (ko) 2010-12-30 2011-12-29 폴리사카라이드 기반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날 케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38A KR101253982B1 (ko) 2010-12-30 2010-12-30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953A KR20120089953A (ko) 2012-08-16
KR101253982B1 true KR101253982B1 (ko) 2013-04-15

Family

ID=4688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638A KR101253982B1 (ko) 2010-12-30 2010-12-30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7141B (zh) * 2021-07-09 2023-10-03 深圳华源再生医学有限公司 抗蛋白粘附的海藻酸盐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102A (ja) * 1997-02-28 1998-09-08 Nof Corp 可溶性セルロース誘導体および用途
KR20040094716A (ko) * 2002-04-09 2004-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다당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102A (ja) * 1997-02-28 1998-09-08 Nof Corp 可溶性セルロース誘導体および用途
KR20040094716A (ko) * 2002-04-09 2004-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다당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953A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331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nonionic amphiphilic associative polyurethane and at least one nonionic polymer with fatty chains
ES2809493T3 (es) Proceso para formar un artículo de higiene personal no espumante en forma de una espuma sólida soluble
JPH11506133A (ja) 疎水性直鎖コポリマー及び疎水性揮発性分岐炭化水素溶媒を含有する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1284386B1 (ko) 공중합체 및 이것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JP2016516845A (ja) レオロジー改質剤
WO2012170171A1 (en) Cassia derivatives
JP5042652B2 (ja) 毛髪化粧料
JPWO2015052804A1 (ja) 低曳糸性増粘剤、及び該増粘剤を配合した化粧料
JP5887691B2 (ja) 共重合体および化粧料用組成物
JP2005053841A (ja) 皮膚外用剤
KR101253982B1 (ko) 폴리사카라이드 및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KR101343973B1 (ko) 포스포릴콜린 단위체를 함유하는 가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9337A (ko)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된 양이온성 구아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02830A (ko) 폴리사카라이드 기반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JP5168841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
AU2005244222A1 (en) Natural fast-drying hair fixative compositions
US20130272989A1 (en) Polysaccharide-based graft co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or personal care
KR20140139338A (ko)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327541A (ja) 毛髪用シャンプー組成物
CN110573130B (zh) 护肤组合物
JP2008127306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20060246025A1 (en) Natural fast-drying hair fixative compositions
KR20150034583A (ko)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1517A (ko)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무용제형 아크릴산 단량체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8487A (ko) 포스포릴콜린 단위체를 함유하는 가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