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583A -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583A
KR20150034583A KR20140002344A KR20140002344A KR20150034583A KR 20150034583 A KR20150034583 A KR 20150034583A KR 20140002344 A KR20140002344 A KR 20140002344A KR 20140002344 A KR20140002344 A KR 20140002344A KR 20150034583 A KR20150034583 A KR 20150034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tionic polysaccharide
polysaccharide
cationic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기
전창원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Publication of KR2015003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8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사카라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를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에서 양이온화제로 양이온화하여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한 후 세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분진이 날리지 않아 분말상에 비하여 사용 환경이 현저히 개선되며, 분말상에 비하여 흡습율이 낮아져 별도의 흡습 방지 포장용기가 필요하지 않고, 분말상처럼 흡습에 의해 뭉쳐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성되지 않은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물에 대한 용해성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함으로써, 기존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보다 향상된 보습력 및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헤어 및 스킨 케어용 조성물 또한 개선된 보습력, 손상피부 및 손상모발의 보호력 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chip type cationic polysacchar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양이온성 구아검 등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는, 친수성, 증점성을 갖기 때문에, 증점제, 접착제, 분산제, 유화 안정화제 등, 여러가지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용도에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일반적으로, 물, 또는 물을 포함하는 혼합 용매(이하, 수계 용매라고도 함)에 용해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통상, 용해성을 고려하여, 분말상 내지 미립자상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물 또는 수계 용매로의 용해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물에 용해시 표면이 물에 순간적으로 녹아 덩어리가 형성되어 그 속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공업적으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제품들은 글리옥살 또는 보론(boron)으로 처리를 하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일본 특개2007-084680호 공보 등), 이 원료들은 독성이 강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공지되어 있어 문제된다.
한편, 기존의 분말상 내지 미립자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분진이 날려 사용할 때 인체에 흡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진 마스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흡습에 의하여 뭉쳐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습방지 포장용기를 필요로 하는 등 장기 저장에 문제점이 있다.
한편, 환경오염, 자외선 노출, 잦은 퍼머나 염색 등으로 인한 헤어 및 두피 손상이 심각해지면서, 헤어 적용시 및 적용 후 보다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고, 보다 향상된 손상 모발 및 두피의 보호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와 더불어 친환경성 및 적절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헤어 및 스킨 제품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는 생체막에 유래하는 인지질 유사구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혈액성분 불활성화, 생체물질 비흡착성 등의 생체 적합성, 방오성, 보습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의 기능을 살린 생체관련재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의 합성 및 그 용도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에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가 포함되는데, 그 중 특히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라는 단량체는, 세포벽 구성 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가 존재하여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의 분진 문제 및 흡습 문제를 해결하면서, 우수한 수분산성 및 용해성을 갖는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함으로써, 물에 대한 용해성 문제뿐만 아니라 향상된 보습력 및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제공하는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제공하고, 개선된 보습력, 손상피부 및 손상모발의 보호력 등을 가질 수 있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또는 스킨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일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사카라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를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에서 양이온화제로 양이온화하여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 형상을 세절하여 칩(chip)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수분산성 향상을 위해 변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전에, 10~30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으로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액은 15~25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일 수 있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은 수성 셀룰로오스 또는 구아검일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향상을 위해 변성하는 단계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시트 형상은 두께가 0.1 ~ 2.0mm 범위내일 수 있으며, 면적당 중량이 0.01~ 0.2 g/㎠ 범위내, 수분 함량이 8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최종 제조된 시트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완전 흡수 시간은 10초 이하, 완전 용해 시간은 60분 이하일 수 있으며, NaCl의 함량이 0 ~ 2.5 중량%, 양이온화제의 함량은 0~1.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물에 투입시 수분산되면서 용해되는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로서, 두께가 0.1 ~ 2.0mm 범위 이고 크기는 폭 0.5 ~ 5.0mm, 길이 5.0 ~ 30.0mm 내인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제공한다. 완전 흡수 시간은 10초 이하, 완전 용해 시간은 60 분 이하이며, NaCl의 함량이 0~2.5 중량%, 양이온화제의 함량은 0~1.5 중량%인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및 스킨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분진이 날리지 않아 분말상에 비하여 사용 환경이 현저히 개선되며, 분말상에 비하여 흡습율이 낮아져 별도의 흡습 방지 포장용기가 필요하지 않고, 분말상처럼 흡습에 의해 뭉쳐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함으로써, 물에 대한 용해성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보다 향상된 보습력 및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이를 포함하는 헤어 및 스킨 케어용 조성물 또한 개선된 보습력, 손상피부 및 손상모발의 보호력 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비록 한정적, 단정적 표현이 존재하여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은, 폴리사카라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를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에서 양이온화제로 양이온화하여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시트 형상으로 건조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세절기로 세절하여 칩(chip)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한 후, 수분산성 향상을 위해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변성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전에, 10~30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으로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폴리사카라이드를 준비하고,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를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에서 양이온화제로 양이온화하여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한다.
폴리사카라이드는 제한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전분 및 그 유도체, 여러 가지 식물성 검(Plant gum)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구아 검(guar gum),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잔탄 검(xanthan gum), 갈락토만논 검(galcomannon gum), 옥수수, 감자, 밀, 쌀 등 유래의 전분, 아밀로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C1~C6 알킬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사용에 있어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제한되지 않으나 수용성 셀룰로오스 또는 구아검이 바람직하다.
구아 가루로도 알려진 구아검은 갈락토만난으로 이루어진 고분자량 다당류를 포함한다. 구아검의 수용성 분획은 구아란으로 불리며 전형적으로 α-D-갈락토피라노실 단위(D-갈락토스)가 (1→6) 결합에 의해 부착된 (1→6)-β-D-만노피라노실 단위(D-만노스)의 선형 사슬로 이루어진다. D-갈락토스 대 D-만노스의 비는 1:2이다.
수용성 셀룰로오스로는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일부 또는 전부가 에테르 변성된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에테르를 들 수 있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에테르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치환기로서, 히드록시알킬기가 결합한 것이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에테르는, 히드록시알킬기 이외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다. 상기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셀룰로오스로서,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가 보습성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사카라이드의 카티온화는, 폴리사카라이드를 카티온화제와 반응시킴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카티온화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글리시딜트리에틸암모늄클로리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부로미드, 글리시딜트리에틸암모늄부로미드 등의 글리시딜트리알킬암모늄할라이드나,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리드,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렌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등의 암모늄할라이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1)에 표시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은 공중합체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공중합체의 모발 흡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공중합체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킨다. 카치온화제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공중합체의 컨디셔닝 효과 및 상업적 입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에폭시알킬 트리알킬 암모늄 할라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폭시알킬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2 내지 20이고, 상기 트리알킬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이고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례로, 에폭시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리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치온화제는 제한되지 않으나, 공중합체의 컨디셔닝 효과 및 중합체와의 양립성을 고려할 때 폴리사카라이드 100 중량부 당 5~9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80 중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0~60 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카티온화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수상용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가 좋다. 수상용성 유기 용매로서는, 물과 혼합한 때에 균일한 용액이 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혼합용매중의 물의 비율은, 부반응을 억제하고, 카티온화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5내지 30질량%가 바람직하고, 8내지 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혼합용매의 사용량은, 폴리사카라이드의 카티온화가 국부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회피하는 관점, 및 반응기의 용적 효율을 높인 관점에서, 폴리사카라이드 100질량부에 대해, 200 내지 15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00 내지 80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카티온화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염가이기 때문에, 수산화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의 사용량은,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해 알칼리의 함유량이 0.1 내지 10질량%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다.
폴리사카라이드와 카티온화제와의 반응은, 예를 들면, 폴리사카라이드와 상기 혼합용매와 알칼리를 혼합, 교반한 후, 카티온화제를 첨가하고, 소정의 반응 온도로 함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때의 반응 온도는, 반응을 촉진시키고,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는 관점 및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하는 것을 회피하는 관점에서, 통상, 40 내지 60℃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이다.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의해 다르기 때문에 한 마디로는 결정할 수는 없지만, 통상, 2 내지 10시간 정도이다.
다음,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이후 또는 후술하는 변성 단계 이후에, 늦어도 시트 형상으로 건조하기 전에, 10~30 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더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으로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상용성 유기용제로는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과 혼합한 때에 균일한 용액이 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의 양이온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알카리촉매, 알카리촉매의 중화된 염 및 양이온화제는 최종 제품에서 최대한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물에 용해되고 유기용제에는 불용성이기 때문에 수세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수세용제의 수분함량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역시 물에 녹아 분말로 되지 않고 겔 형태의 덩어리로 되어 건조 및 분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방법에서 수세하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의 수분함량은 통상 10% 이하로 하거나 많아도 15%를 최대치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 인식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세 용제의 수분 함량을 기존 사용 범위를 벗어나서 10~30중량%로 하여, 더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세 효율을 높이고,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분말이 아닌 시트 형태로 건조하여 건조 전 생성물의 수분 함량이 높아도 공정상 문제되지 않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다음, 상기 수분산성 향상을 위해 변성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의 수분산성을 높일 수 있는 변성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 글리옥살 처리, 보론 처리, 아미노실란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트 형상으로 건조함으로써 변성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에 대한 용해성 및 분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화합물과 중합하여 생체 적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습력 및 손상피부 및 손상모발의 보호력 등을 가질 수 있다.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화합물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생체 적합성, 보습성 및 분산능력의 양립성을 고려할 때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의 전구체인 폴리사카라이드 대비 유효성분 기준으로0.05~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1~5.0 중량%, 특히 1.0 ~ 3.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분산성 및 용해 특성이 우수하며, 조성물에 첨가시 원하는 효과를 더욱 우수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의 변성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단량체 기준 포스포릴콜린계 화합물의 함량은 90 ~ 10 중량%,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실란의 함량은 10 ~ 90 중량%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내에서 보습력 및 용해성이 특히 우수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한,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한,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상기 포스포릴콜린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일례로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조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스티릴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p-비닐벤질)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비닐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부테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크로토노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이라는 용어는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등을 모두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흡수성 및 생체 적합성면에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2-methacryloyloxyethylphosphorylcholine)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실란에서, 불포화기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아크릴(acryl), 비닐(vinyl), 알릴(allyl), 사이클로알켄(cycloalkene)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불포화 유기실란은 일반식 R1R2SiY2 일 수 있다. 여기서, R1은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수 2~15의 알킬기 또는 불포화기를 갖는 탄소수 2~15의 알콕시기, Y는 가수분해성 유기기(hydrolysable organic group), R2는 R1 또는 Y를 나타낸다. R1의 유형의 예는 많으며, 일례로, (메타)아크릴록시알킬기 또는 (메타)아크릴록시알콕시기 일 수 있다. 또한, 비닐(vinyl), 알릴(allyl), 부테닐(butenyl), 사이클로헥세닐(cyclohexenyl), 사이클로펜타디에닐(cyclopentadienyl), 사이클로헥산디에닐(cyclohexanedienyl), (메타)아크릴록시알킬기(CH2=C(CH3)COO-(CH2)3-, CH2=C(CH3)COO-CH2-CH2O-(CH2)3-, 및 CH2=C(CH3)COO-CH2-CH2O-CH2-CH(OH)-CH2O-(CH2)3-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타)아크릴록시알킬기이다. 가수분해성기 Y는 메톡시(methoxy), 에톡시(ethoxy) 또는 부톡시(butoxy) 유형의 알콕시 기(alcoxy group)일 수 있으며, 아실옥시기(acyloxy group), 포르밀옥시기(formyloxy group), 아세톡시기(acetoxy group) 또는 프로피온옥시기(propionoxy group)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유기실란은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methoxysilane) 또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일 수 있다.
포스포릴콜린계 화합물 및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실란을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와 공중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zobisdimethylvaleronitrile) 등과 같은 아조 개시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라우로일퍼옥사이드(Lauroyl peroxide), 포타지움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di(2ethylhexyl)peroxydicarbonate],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di(secbutyl)peroxydicarbonate],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di(isopropyl)peroxydicarbonate], 디(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di(cyclohexyl)peroxydicarbonate], 디(세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di(cetyl)peroxydicarbonate],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di(npropyl)peroxydicarbonate] 등과 같은 퍼옥시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상업적인 상품으로는 Dupont사의 Vazo 52G, Vazo 64G, Vazo 67G, Vazo 88G 등이 있고, 개시제의 선택은 개시제의 각 온도별 반감기(Half life time)와 유기 용매의 끓는점(Boiling point)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포스포릴콜린과 유기실란 화합물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하여 변성하는 방법으로서, 제한되지 않으나 다음의 예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구아검과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스포릴콜린과 유기실란 화합물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자유라디칼 중합 방법을 응용할 수 있다. 일례로, 준비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양이온화 반응이 완료된 혼합물 상태에서 포스포릴콜린과 유기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에서 불활성가스로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특히 제한은 없고, 반응 온도, 목적 등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시간일 수 있다. 포스포릴콜린과 유기실란 화합물의 첨가는 분리하여 별도로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혼합하여 투입도 가능하다.
다음,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의 변성 단계가 완료된 후 시트 형상으로 건조하여 시트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으로 제조하기 전에 수세하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반응물을 10분 ~ 1시간 범위로 정치한 후 상부 용제를 분리하여 제거하여 하부의 슬러리를 수득 후 건조하여 시트 형상으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얻는 것이 좋다. 상부 용제 분리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상부에서 펌프 또는 피펫을 이용하여 흡입 제거할 수 있다. 하부의 슬러리는 시트 형상으로 제조 가능한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일례로 드럼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 방법을 들 수 있다. 드럼 건조기는 회전하는 원통(드럼)의 표면에 슬러리(slurry)의 얇은 막을 형성시키고 원통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가열건조하는 장치이다. 드럼의 직경은 제한되지 않으나5~200cm, 좋기로는 10~40cm, 폭은 5~200cm 좋기로는 10~30cm의 드럼을 사용하고, 드럼의 표면온도는 스팀열을 사용하여 110 ~ 150℃ 범위로 하고, 건조 시간은 1 ~ 5분이 되도록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건조되는 최종 시트의 두께가 0.1 ~ 2.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시트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건조 효율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용해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시트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수분 함량이 8중량% 이하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내에서 수분산성 및 용해성이 좋다. 또한, 상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시트 형상은 면적당 중량이 0.01~ 0.2 g/㎠ 범위내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에서 완전 흡수시간 및 용해 시간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좋다.
다음 시트형상으로 건조가 완료된 후 세절하여 칩(chip)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형상은 사용시 분진으로 날릴 수 있는 미분말과는 구별된다. 분진으로 날리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조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조각은 칩(chip)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칩(chip) 형태는 작은 크기의 시트(sheet) 형상, 니들(needle) 형상, 플레이크(flake)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형상은 길이 5mm 이상 30mm이하의 범위, 너비 0.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두께 0.1 ~ 2mm 범위내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는 분진의 생성이 많아지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는 용해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범위내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원하는 함량을 정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시트 형상을 세절하여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얻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례로 세단기를 이용한 세절 방법을 들 수 있다. 세단기는 2 ~ 5mm간격으로 여러 개의 칼날이 기계적인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시트를 1장 혹은 여러장을 겹쳐 투입구에 투입하면 자동으로 시트를 끌어 당기면서 시트를 종으로 자르고 다시 횡으로 자를 수 있도록 세절하는 장치이다. 칼날의 간격은 제한되지 않으나 0.5~5.0mm, 길이는 5.0~30mm 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세절하는 크기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는 분진의 생성이 많아지고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는 용해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세절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칩(chip) 형태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분진이 없으며 완전 흡수시간 및 용해시간이 우수하다.
상기 얻어진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후술하는 제조예에서 보듯이, 완전흡수시간이 10초 이내, 완전 용해 시간은 30 분 이하이며, NaCl의 함량이 0~2.5중량%, 잔류 양이온화제의 함량이 0~1.5 중량%로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말 제형의 경우에는 분진이 날려 사용할 때 인체에 흡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진 마스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흡습에 의하여 뭉쳐 덩어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습방지 포장용기를 필요로 하며 장기 저장에 불리하나, 본 발명의 칩(chip) 형태의 제형은 분진이 날리지 않으며 흡습율이 낮아져 별도의 흡습방지 포장용기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시트 또는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또는 스킨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먼저,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어 케어용 조성물 내에서 전술한 시트 또는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사용감, 보습감, 및 다른 구성성분과의 양립성을 고려할 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4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4급 암모늄 양이온은 우수한 모발 흡착성을 부여하고 포스포릴콜린-실란 중합체 변성 처리에 의해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므로, 용해성과, 현저히 개선된 보습력, 손상모발의 보호효과 등을 보인다.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적절한 캐리어, 그리고 계면활성제, 향기 성분, 유백제(opacifier), 결합보조제(combing aids), 단백질, 에어로졸 촉진제(aerosol propellents), 증점제(thickener), 겔화제(gelling agent) 등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 고정용 왁스, 헤어 케어용 컨디셔너 헤어젤 헤어스프레이 헤어팩 헤어염색제 등을 포함한 각종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킨케어용 제품에 사용되어 보습 및 피부보호효과를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스킨 케어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스킨 케어용 조성물은 상기 시트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스킨 케어용 조성물은 함량에 큰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0.01~2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하면 사용감, 보습감 피부보호등에서 유리하다.
포스포릴콜린-실란 중합체 변성 처리에 의해 우수한 생체 적합성과 뛰어난 보습성을 부여하므로, 향상된 생체 적합성 및 용해성과, 현저히 개선된 보습력, 손상피부의 보호효과 등을 보인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용 조성물은 적절한 캐리어, 그리고 계면활성제, 향기 성분, 유백제(opacifier), 결합보조제(combing aids), 단백질, 에어로졸 촉진제(aerosol propellents), 증점제(thickener), 겔화제(gelling agent) 등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케어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밀크로션, 크림, 스킨, 스킨 케어용 컨디셔너 마스크팩 바디용크림 바디용세정제 면도용크림 풋케어용크림 크렌징크림 등을 포함한 각종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헤어케어용 제품에 사용되어 보습 및 피부보호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칩 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제조
양이온화 반응 공정
반응기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662g, 및 증류수 73.6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후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200g을 투입하고 약 25℃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기에 2,3-에폭시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82.2g을 투입하고 15분간 교반한 후 약 1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5.3g을 4분간 반응기에 투입하고 20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50~55℃로 승온한 후 약 6시간 동안 유지하여 반응시키고, 빙초산 7.8g을 투입하여 중화한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MPC-유기실란 변성 공정
반응기에 MPC 6g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후 MPTMS(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1.4g을 투입하고 라디칼 개시제로 AIBN 0.07g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30분간 질소를 주입하여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50~65℃로 승온한 후 약 6시간 동안 유지하여 MPC-유기실란으로 변성시켰다.
수세 건조 및 세절 공정
이후 반응물을 감압여과하고 83%이소프로판올 수용액7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수세한 후 정치하여 상등액을 600g을 흡입제거한 후 하부의 슬러리를 단일드럼 건조기(Single type Drum dryer, 송산피앤이 제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드럼 표면으로부터 건조물을 박리하여 평균 두께 0.32mm, 면적당 중량 0.05g/㎠의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얻었다. 이 후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를 통하여 너비 3mm 길이 10mm로 세절하였다. 최종 제조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240 g(수분함량 4%)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글리옥살로 변성된 칩 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제조
제조예 1과 양이온화 반응 공정은 동일하게 실시하고
MPC-유기실란 변성공정 대신에 반응기에 40% 글리옥살 1.2g을 투입하고 30분 교반하여 변성시켰다. 이후 수세 건조 및 세절 공정은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글리옥살로 변성된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240 g(수분함량 4%)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변성되지 않은 칩 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제조
MPC-유기실란 변성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양이온화 반응 공정과 수세 건조 및 세절 공정은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변성되지 않은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240 g(수분함량 4%)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분말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제조
제조예 1과 양이온화 반응공정 및 MPC-유기실란 변성 공정은 동일하게 실시하고 이후
반응물을 감압여과하고 90%이소프로판올 수용액7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수세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양이온성 셀루로오스 Cake를 70℃ dry oven에서 건조한 후 분쇄 하여 입도 500㎛이하의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분말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230 g(수분함량 4%)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2와 양이온화 반응공정 및 글리옥살 변성 공정은 동일하게 실시하고 이후 반응물을 감압여과하고 90%이소프로판올 수용액 7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수세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양이온성 셀루로오스 Cake를 70℃ dry oven에서 건조한 후 분쇄 하여 입도 500㎛이하의 글리옥살로 변성된 분말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230 g(수분함량 4%)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3과 양이온화 반응 공정은 동일하게 실시하고 이후 반응물을 감압여과하고 90%이소프로판올 수용액 7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수세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양이온성 셀루로오스 Cake를 70℃ dry oven에서 건조한 후 분쇄 하여 입도 500㎛이하의 변성되지 않은 분말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230 g(수분함량 4%)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80%이소프로판올 수용액으로 수세한 후 분말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제조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양이온화 반응 공정 이후 반응물을 감압여과하고 80%이소프로판올 수용액 7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수세 한 후 여과를 하였으나 양이온성 셀루로오스가 80%이소프로판올 수용액에 녹아 여과되지 않아 이후 공정은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후 용제를 상부에서 피펫으로 흡입하여 제거한 후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슬러리를 70℃ dry oven에서 건조하였으나 건조가 되지 않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5> 83%이소프로판올 수용액으로 수세한 후 분말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의 제조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양이온화 반응 공정 이후 반응물을 감압여과하고 83%이소프로판올 수용액 7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수세 한 후 여과를 하였으나 양이온성 셀루로오스가 용제에 녹아 여과되지 않아 이후 공정은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후 용제를 상부에서 피펫으로 흡입하여 제거한 후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슬러리를 70℃ dry oven에서 건조하였으나 분쇄가 되지 않는 고무상으로 되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였다.
[용해성 및 분산성 평가]
(1) 완전 흡수 시간
100mL 비커에 증류수 80g을 가하고, <제조예 1> ~ <제조예 3> 의 샘플 0.5g를 수면으로부터 높이 4cm의 곳에서 투입하고, 샘플을 투입 끝나고 나서, 분말에 물이 완전하게 흡수되어 침전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이것을 완전 흡수 시간으로 하였다. 또한, 투입 후 300초 경과해도 완전하게는 흡수되지 않은 것은 평가를 「300초 이상」으로 하였다. 상기 과정은 25℃에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2, 3의 샘플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2) 용해 시간
200mL 톨 비커(외경 6cm)에 25℃의 증류수를 150g 가하고, 스리완모타(HEIDOH사제)에 세트한 교반 날개에 의해 교반한다. 교반 날개는 φ40㎜의 팬 터빈형(2장 패들)을 이용하고, 날개의 하부가 비커의 하부보다 2cm 위가 되도록 세트하였다. 교반 회전수는 200rpm으로 하였다.
교반하면서 <제조예 1> ~ <제조예 3> 의 샘플 1.5g를 가하고, 직후에 25℃의 워터 버스에 넣어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샘플을 투입하고 나서, 샘플이 완전히 분산하여 덩어리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균일한 투명액이 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은 25℃에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3의 샘플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3) 흡습율
<제조예 1> ~ <제조예 3>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100g을 20 x 25㎝의 판에 동일한 두께로 펼친 후 상대습도 50%, 온도 30℃로 조절된 챔버에 24시간을 보관한 후 무게를 측량하여 증가된 무게를 흡습율(%)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3의 샘플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4) NaCl함량
NaCl은 촉매 및 양이온화제의 부반응으로 생성된 물질로 수세과정을 통하여 제거되는데 잔유량이 많으면 수세효율이 좋지 않고 샴푸 및 스킨케어제품에서 자극을 유발한다.
50mL 자재도가니를 700℃로 완전히 회화시켜 데시케이타에서 방냉시켜 준비한 다음 <제조예 1> ~ <제조예 3> 의 샘플 3.0g를 정밀하게 0.0001g까지 측량하여 회화로에서 700℃로 6시간 동안 회화시켜 잔류물의 중량%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3의 샘플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5) 잔류 양이온화제 함량
양이온화 반응공정에서 반응되지 않은 잔류양이온화제는 수세과정을 통해 제거되는데 잔류량이 많으면 최종 헤어 및 스킨제품에서 자극을 유발한다. 이는 수분함량이 높은 유기용제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제조예 1> ~ <제조예 3> 샘플의 질소함량을 킬달질소정량법으로 분석하고, <제조예 1> ~ <제조예 3>의 샘플10g을 90%이소프로판올 수용액 1000g으로 완전히 잔류양이온화제를 수세하여 제거하고 여과 건조한 후 질소함량을 분석하여 기술하는 식으로 양이온화제의 잔류양을 측정하였다.
잔류양이온화제(%)
= (시료의 질소% - 잔류양이온화제를 제거한 시료의 질소(%)) x 151.66 ÷14
비교예1~3의 샘플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완전흡수시간(초) 5 1 10 10 2 300초이상
용해시간(분) 28 26 30 30 25분 240분
흡습율(중량%) 12.20 10.10 9.84 29.01 25.52 26.23
NaCl 함량(중량%) 2.23 2.12 2.28 2.78 2.8 2.82
잔류양이온화제(중량%) 1.21 1.18 1.26 2.16 2.23 2.25
실시예 1 :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
물 42.05g을 혼합조에 넣고 가온하면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0.8g을 넣은 다음, 프로필렌글리콜 1g을 넣고 75℃로 가온하였다.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18g, 소듐 라우레스 술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17g, 코코지방산 디에탄올아마이드(Cocofatty acid diethanolamide) 2.5g,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 8g, 소이아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Soyamidopropylamine oxide) 3g, 세티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0.5g,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2g, 에틸렌 글리콜 디스티아레이트(Ethylene glycol distearate) 0.6g,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Polyglyceryl-2 caprate) 2g, 시클로펜타실록산 (및) 디메티코놀(Cyclopentasiloxane and Dimethiconol) 0.5g, 디메티콘(Dimethicone) 1g 및 테트라소듐 EDTA(Tetrasodium EDTA) 0.05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7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30분 정도 혼합한 후 4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알란티온(Alantion) 0.05g, 메틸 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 메틸 이소티아졸리논(Methyl chloroisothiazolinone & Methyl isothiazolinone) 0.05g, DL-판테놀(DL-Panthenol) 0.1g, 시트르산 0.5g 및 향성분(Fragrance) 0.3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4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글리옥살로 변성된 시트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변성되지 않은 시트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1-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비교예 1>의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분말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실시예 1-1로 하였다.
<비교실시예 1-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비교예 2>의 글리옥살로 변성된 분말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실시예 1-2로 하였다.
<비교실시예 1-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비교예 3>의 변성되지 않은 분말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실시예 1-3으로 하였다.
[ 헤어 케어용 조성물의 손상모발 보호효과 테스트]
제조한 각각의 헤어 케어용 조성물을 감을 때의 느낌, 젖은 상태의 빗질, 건조 후 빗질, 모발의 볼륨감, 모발의 윤기 등에 관하여 패널테스트를 통해서 모발의 보호효과를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표시하였다
패널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실시예
1-1
비교실시예
1-2
비교실시예
1-3
PJH 10 8 8 10 8 10
MJL 10 8 8 10 8 10
LSY 8 8 8 8 5 5
LMI 8 5 8 8 5 5
SSM 10 8 10 10 8 8
PYS 8 8 10 10 8 10
HYA 8 5 8 8 5 8
KJH 10 8 8 8 5 8
YSS 10 8 8 8 5 8
KJK 8 5 8 8 5 5
평균 9.0 7.1 8.4 8.8 6.2 7.7
두피자극의 정도(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패널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실시예
1-1
비교실시예
1-2
비교실시예
1-3
PJH 10 8 8 10 5 8
MJL 10 5 8 8 5 5
LSY 8 3 5 8 3 5
LMI 8 5 5 8 3 5
SSM 10 8 8 8 5 5
PYS 8 5 8 8 5 5
HYA 8 5 5 8 5 5
KJH 8 5 8 8 5 5
YSS 10 8 8 8 5 8
KJK 10 8 8 10 8 8
평균 9.0 6.0 7.1 8.6 4.9 5.9
젖은 상태의 빗질(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패널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실시예
1-1
비교실시예
1-2
비교실시예
1-3
PJH 10 8 10 10 8 8
MJL 8 5 8 8 5 5
LSY 5 5 5 5 3 5
LMI 8 8 8 8 5 8
SSM 5 5 5 5 5 5
PYS 10 8 8 10 8 8
HYA 8 5 5 5 5 5
KJH 8 5 5 8 5 5
YSS 8 5 5 8 5 5
KJK 10 8 8 8 8 8
평균 8.0 6.2 6.7 7.5 5.7 6.2
건조 후 빗질(10: 아주 좋음/ 8: 좋음/ 5: 보통/ 3: 나쁨/ 1: 아주 나쁨)
실시예 2 : 스킨 케어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1>
물 81.91g을 혼합조에 넣고 가온하면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0.25g을 넣은 다음, 1,3-Butylene glycol 10g을 넣고 75℃로 가온하였다. Methyl Glucoside (EO 10) 0.5g, Dipropylene glycol 0.5g, Glycerine Glyceryl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0.3g, Zantan gum(2%) 2g, Disodium EDTA 0.02g, Methyl paraben 0.1g, Phenoxy ethanol 0.15g, Allantoin 0.02g, DL-Panthenol 0.2g, PEG-40 Hydrogenated caster oil 0.4g, 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7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30분 정도 혼합한 후 45℃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Ethyl alcohol 3.5g 및 향성분(Fragrance) 0.15g을 상기 혼합조에 투입하여 45℃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킨 케어용 조성물 10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글리옥살로 변성된 시트형상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변성되지 않은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2-1>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비교예 1>의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분말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실시예 2-1로 하였다.
<비교실시예 2-2>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비교예 2>의 글리옥살로 변성된 분말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실시예 2-2로 하였다.
<비교실시예 2-3>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MPC-유기실란으로 변성된 시트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대신에 <비교예 3>의 변성되지 않은 분말 타입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실시예 2-3으로 하였다.
[ 스킨 케어용 조성물의 효과 테스트]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를 매일 피부에 바르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데 그 자극으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에 홍반이 생성되며 피부장벽기능의 저하로 수분이 손실되는데 제조한 각각의 스킨 케어용 조성물로 피부의 기능을 회복시켜주고 유지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수분증가율, 홍반, 경피수분손실양을 테스트하였다. 시험방법은 Sodium dodecyl sulfate 5%수용액을 피험자의 전박 안쪽에 5분간 처리하고 실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1시간 경과 후 시험 부위의 피부수분, 홍반,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초기측정치로 한다.
매일 Sodium dodecyl sulfate 5%수용액(이하SDS수용액) 1회를 피험자의 전박 안쪽에 도포한 후 2시간 후, 6시간 후에 제조한 각각의 스킨 케어용 조성물을 2회 도포한다. 2주간 매일 반복한 후 각 시험부위의 피부수분, 홍반, 경피수분손실양을 측정하여 최종측정치로 한다. 각 시험 부위별 최종측정치와 초기 측정치를 비교하여 피부개선효과를 평가한다. 각각에 대한 피부측정은 5회 반복하고, 피험자는 20-40세의 10인을 수행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시험기기는 독일의 CK Electronic GMBH사의 Mexameter MX18, Corneometer CM825, Tewameter TM300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표 7에 표시하였다.
패널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비교실시예 2-1 비교실시예 2-2 비교실시예 2-3 컨트롤
초기
측정치
25.2 25.1 25.4 25.4 25.3 25.1 25.1
최종
측정치
40.1 29.2 29.6 40.3 29.4 29.1 16.5
피부수분
증가치
14.9 4.1 4.2 14.9 4.1 4.0 -8.6
증가율 59.1 16.3 16.5 58.7 16.2 15.9 -34.3%
피부수분증가율(컨트롤은 SDS수용액만 도포시, 피부수분증가율이 클수록 양호함)
패널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비교실시예 2-1 비교실시예 2-2 비교실시예 2-3 컨트롤
초기
측정치
224 227 228 229 226 228 229
최종
측정치
218.4 251.3 243.5 226 257 251 285
홍반
변동치
-5.6 24.3 15.5 -3.0 31 23 56
증가율 -2.5 10.7 6.8 -1.3 13.7 10.1 24.5%
홍반 증가율(컨트롤은 SDS수용액만 도포시, 홍반 증가율이 작을수록 양호함)
패널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비교실시예 2-1 비교실시예 2-2 비교실시예 2-3 컨트롤
초기
측정치
15.6 15.5 15.2 15.3 15.5 15.6 15.2
최종
측정치
15.8 23.4 22.0 15.9 24.0 23.6 25.6
피부수분
변동치
0.2 7.9 6.8 0.6 8.5 8.0 10.4
손실율 2.0 51.0 44.7 3.9 54.8 51.3 68.4%
경피수분 손실율(컨트롤은 SDS수용액만 도포시, 경피수분 손실율이 작을수록 양호함)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폴리사카라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를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에서 양이온화제로 양이온화하여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및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한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칩(chip) 형상으로 세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합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수분산성 향상을 위해 변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을 시트(sheet) 형상으로 건조하는 단계 전에, 10~30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으로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15~25중량%의 수분함량을 갖는 수상용성 유기용제와 물의 혼합액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 물질은 수성 셀룰로오스 또는 구아검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향상을 위해 변성하는 단계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포스포릴콜린계 화합물 및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실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1)에서 X는 2가의 유기잔기를 나타내고,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한,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시트 형상은 두께가 0.1 ~ 2.0mm 범위내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시트 형상은 면적당 중량이 0.01~ 0.2 g/㎠ 범위내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시트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수분 함량이 8 중량% 이하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조된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완전 흡수 시간은 10초 이하, 완전 용해 시간은 60분 이하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조된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NaCl의 함량이 0~2.5 중량%, 양이온화제의 함량은 0~1.5 중량%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 형상은 길이 5.0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 너비 0.5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두께 0.1 ~ 2mm 범위내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제조방법.
  14. 물에 투입시 수분산되면서 용해되는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로서, 두께가 0.1 ~ 2.0mm 범위내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완전 흡수 시간은 10초 이하, 완전 용해 시간은 60분 이하이며, NaCl의 함량이 0~2.5 중량%, 양이온화제의 함량은 0~1.5 중량%인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17. 제14항 또는 제15항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킨 케어용 조성물.
KR20140002344A 2013-09-26 2014-01-08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4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640 2013-09-26
KR20130114640 2013-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83A true KR20150034583A (ko) 2015-04-03

Family

ID=5303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2344A KR20150034583A (ko) 2013-09-26 2014-01-08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4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187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과립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187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과립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3469B2 (en) Cationic synthetic polymers with improved solubility and performance in surfactant-based systems and use in personal care and household applications
EP2088994B2 (en) Dispersible glyoxal treated cationic polygalactomannan polymers
EP2500012B1 (en) Hair cosmetic
KR102108215B1 (ko)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모발 처리용 조성물에서의 그 용도
CA2664326C (en) Quaternized cellulose ethers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8568701B2 (en) Cationic synthetic polymers with improved solubility and performance in phosphate surfactant-based systems and use in personal care and household applications
MX2012009159A (es) Productos de polisacarido con desempeño mejorado y claridad en formulaciones acuosas basadas en agentes tensioactivos y proceso para preparacion.
CN103517704B (zh) 清洁剂组合物
EP2659879B1 (en) Hair treatment agent composition
CN107484411B (zh) 作为乳液稳定剂的生物聚合物共混物
KR20140139337A (ko)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된 양이온성 구아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190319A1 (en) Cosmetic composition of hydrophobic silica aerogel particles and a polymer comprising a sugar unit
EP3880166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CN109762183A (zh) 一种三偏磷酸钠交联透明质酸凝胶的制备方法及其产品
KR20100131518A (ko) 가교결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교결합된 다당류
KR20150034583A (ko) 칩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9338A (ko) 포스포릴콜린계 그룹 및 실란기를 갖는 중합체로 변성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778586B2 (ja) ホスホリルコリン単位を含む架橋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US6664301B1 (en) Method for using glycol additives to texturally modify natural gum hydrogels
JPH0680704A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キトサン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品組成物
CN109897120B (zh) 一种植物糖原季铵化改性产物的制备方法和产物及其应用
US20030139502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cationic polymer/anionic surfactant mixture and use of said mixture as conditioning agent
KR102411639B1 (ko) 과립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8487A (ko) 포스포릴콜린 단위체를 함유하는 가교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02830A (ko) 폴리사카라이드 기반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