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623B1 -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623B1
KR101252623B1 KR1020107013503A KR20107013503A KR101252623B1 KR 101252623 B1 KR101252623 B1 KR 101252623B1 KR 1020107013503 A KR1020107013503 A KR 1020107013503A KR 20107013503 A KR20107013503 A KR 20107013503A KR 101252623 B1 KR101252623 B1 KR 10125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screen
imag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380A (ko
Inventor
레이코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함으로써, 소형·경량화를 가능하게 한 표시장치 및 휴대단말장치를 제공한다.
프로젝션 모듈(31)로부터의 레이저광은, 가동 미러(330)에 의하여 주사될 때, 메인 반사영역(32M) 및 서브 반사영역(32S)에 입사된다. 제 1 반사 미러(32)의 메인 반사영역(32M)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제 2 반사미러(33)를 경유하여 메인 스크린(34)의 이면 상을 주사하고, 이 주사에 의하여 메인 스크린(34)의 이면측에 메인 화상이 비춰진다. 한편, 제 2 반사 미러(32)의 서브 반사영역(32S)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서브 스크린(35)의 이면 상을 주사하고, 이 주사에 의하여 서브 스크린(35)의 표면측에 서브 화상이 비춰진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표시화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당해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더 타입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메인 화면 외에 서브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 서브 화면은 휴대 전화기를 접었을 때의 표시용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통상은, 메인 화면의 뒤쪽 면에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로서는,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의 조합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각각 화면마다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에는, 구조 등을 간소화하도록, 각각 화면마다 액정 패널을 배치하고, 백라이트를 2개의 액정 패널의 광원으로서 공용하도록 한 휴대 전화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3335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5-209618호 공보
그러나, 후자의 휴대 전화기에서도, 화면마다 액정 패널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을 구동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각각 필요하게 되고, 또, 각각의 액정 패널용으로 제어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서는, 구성의 간소화가 충분히 도모되지 않을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함으로써 소형·경량화를 가능하게 한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는, 제 1 면에 설치된 제 1 화면부와,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에 설치된 제 2 화면부와, 화상신호에 의거하는 투영화상을 구성하는 광으로서, 제 1 투영영역을 구성하는 제 1 광과 제 2 투영영역을 구성하는 제 2 광을 포함하는 광을 출사하는 투영부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을 상기 제 1 화면부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화면부로 유도하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제 1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광을 반사하는 제 1 미러부와, 상기 제 1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광을 제 2 화면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제 2 미러부와, 상기 제 2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미러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을 상기 제 1 화면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제 3 미러부를 가진다.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투영부를 사용하여, 상이한 면에 설치된 제 1 화면부와 제 2 화면부에 적절하게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독립 구동되는 2개의 표시수단을 개별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구성의 간소화와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2개의 표시수단을 개별로 구동 제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고, 또, 제어처리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 미러부와 상기 제 2 미러부는, 공통 미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미러부의 미러면과 상기제 2 미러부의 미러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입사된 상기 광을 광각(廣角)화시키는 곡면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투영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광이 광각화되기 때문에, 제 1 미러부 또는 제 2 미러부로부터 제 1 화면부 또는 제 2 화면부까지의 광로를 짧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투영부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한층 더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에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 1 투영영역과 상기 제 2 투영영역에서 상기 광을 주사시키는 주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휴대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장치는, 상기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화면(21)이 본 발명의 「제 1 화면부」에 상당하고, 서브 화면(22)이 본 발명의 「제 2 화면부」에 상당하며, 프로젝터 모듈(31)이 본 발명의 「투영부」에 상당하고, 제 1 반사 미러(32)가 본 발명의 「공통 미러」에 상당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 메인 반사영역(32M)이 본 발명의 「제 1 미러부」에 상당하고, 서브 반사영역(32S)이 본 발명의 「제 2 미러부」에 상당하며, 제 2 반사 미러(33)가 본 발명의 「제 3 미러부」에 상당하고, 메인 스크린(34)이 본 발명의 「제 1 화면부」에 상당하며, 서브 스크린(35)이 본 발명의 「제 2 화면부」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비용의 저감과 제어처리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 모듈의 구동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레이저광의 주사상태와 투영화면에 조사되는 각 레이저광의 출력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액츄에이터의 구동 타이밍과 레이저의 구동 타이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젝터 모듈에 의해 만들어 내는 투영화상의 표시예와, 메인 화면 및 서브 화면에서 화면 표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은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휴대 전화기에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적용한 것이다.
도 1은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기초부(1)에 대하여 회동부(2)를 대략 연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b)는 동일한 상태에서의 배면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기초부(1)와 회동부(2)를 구비한다. 기초부(1)의 정면측에는, 키 조작부(11)가 배치되고 있다. 키 조작부(11)는, 각종 모드(카메라 촬영 모드, 메일 송수신 모드, 인터넷 모드, 프로젝터 투영 모드)로의 전환 키, 통화 개시 키, 통화 종료키, 번호·문자 입력키 등의 각종 키로 이루어진다.
회동부(2)의 정면측에는 메인 화면(21)이 배치되어 있고, 회동부(2)의 배면측에는 서브 화면(22)이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화면(21)은 약간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서브 화면(22)은, 메인 화면(21)보다 작은 화면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회동부(2)의 내부에는, 각종 모드에서의 각종 화상을 메인 화면(21) 및 서브 화면(22)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또, 회동부(2)의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4)이 배치되어 있고, 회동부(2)의 배면측에는, 카메라 모듈(4)에 피사체의 상을 도입하기 위한 렌즈창(23)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회동부(2)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부(2)의 내부에는, 표시장치(3)와 카메라 모듈(4)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장치(3)는, 프로젝터 모듈(31)과, 제 1 반사 미러(32)와, 제 2 반사 미러(33)와, 메인 스크린(34)과, 서브 스크린(35)을 구비하고 있다.
프로젝터 모듈(3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310)와, 도광 광학계(320)와, 가동 미러(330)를 구비한다. 이들 광원부(310), 도광 광학계(320),가동 미러(330)는, 케이스(3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부(310)로부터는, 적색, 녹색, 청색의 3색의 레이저광이 출사된다. 이 때문에, 광원부(310)에는, 적색 레이저부(310a)와, 녹색 레이저부(310b)와, 청색 레이저부(310c)가 구비되어 있다. 적색 레이저부(310a)에서는 적색의 레이저광(이하, 「R광」이라 한다)이 출사된다. 녹색 레이저부(310b)에서는 녹색의 레이저광(이하, 「G광」이라 한다)이 출사된다. 청색 레이저부(310c)에서는 청색의 레이저광(이하, 「B광」이라 한다)이 출사된다.
도광 광학계(320)는, 반사 미러(320a)와, 2개의 다이크로익 미러(320b, 320c)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크로익 미러(320b)는, G광을 반사함과 동시에, R광을 투과시킨다. 다이크로익 미러(320c)는, B 광을 반사함과 동시에, R광 및 G광을 투과시킨다.
적색 레이저부(310a)로부터 출사된 R광은, 반사 미러(320a)에서 반사되어 약 90도 구부러지고, 2개의 다이크로익 미러(320b, 320c)를 투과하여 가동 미러(330)에 입사된다. 또, 녹색 레이저부(310b)로부터 출사된 G광은, 다이크로익 미러(320b)에서 반사되어 약 90도 구부러지고, 다이크로익 미러(320c)를 투과하여 가동 미러(330)에 입사된다. 또한, 청색 레이저부(310c)로부터 출사된 B광은, 다이크로익 미러(320c)에서 반사되어 약 90도 구부러지고, 가동 미러(330)에 입사된다.
가동 미러(330)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로 구성되고, 미러(330a)와, 엑츄에이터(330b)를 구비한다. 엑츄에이터(330b)는, 2축형이고, 전자력이나 압전소자, 정전력 등의 구동력에 의해, 미러(330a)를 2차원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가동 미러(330)의 미러(330a)에 입사된 R광, G광, B광은, 미러(330a)의 회동각도에 따른 방향으로 반사된다. 미러(330a)가 엑츄에이터(330b)에 의해 2차원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R광, G광, B광이 투영면 위에서 2차원적으로 주사된다. 이에 의하여, R광, G광, B광에 의해 합성된 영상이 투영면에 비춰진다.
케이스(340)는, 방열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금속재료로 되어 있다. 케이스(340)에는, 가동 미러(330)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을 방출하기 위한 투사구(34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프로젝터 모듈(31)는, 회동부(2) 내부에서의 배면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프로젝터 모듈(31)의 투사구(340a)로부터 방출된 레이저광(R광, G광, B광)은 회동부(2)의 정면측을 향한다.
제 1 반사 미러(32)는, 프로젝터 모듈(31)에 대향하도록, 회동부(2) 내부에서의 정면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반사 미러(32)의 반사면은, 볼록면으로 비구면 형상을 가지고, 하측의 메인 반사영역(32M)과 상측의 서브 반사영역(32S)을 구비하고 있다.
프로젝터 모듈(31)로부터의 레이저광은, 가동 미러(330)에 의해 주사될 때, 메인 반사영역(32M) 및 서브 반사영역(32S)으로 입사된다. 그리고, 메인 반사영역(32M)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제 2 반사 미러(33)를 향하고, 서브 반사영역(32S)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서브 스크린(35)을 향한다. 또한, 레이저광은, 제 1 반사 미러(32)에 의해 반사와 함께 광각화(진동각이 확대)된다.
제 2 반사 미러(33)는, 회동부(2) 내부에서의 배면측으로서 프로젝터 모듈(31)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반사 미러(33)의 반사면은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2 반사 미러(33)에는, 제 1 반사 미러(32)의 메인 반사영역(32M)에서 반사된 레이저광만이 입사된다. 제 2 반사 미러(33)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메인 스크린(34)을 향한다.
메인 스크린(34)은, 리어 프로젝션용 스크린(투과성 스크린)이고, 회동부(2)의 정면측에 형성된 메인 표시창(21a)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스크린(34)은, 메인 표시창(21a)과 함께 메인 화면(21)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반사 미러(33)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메인 스크린(34)의 이면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반사 미러(32)의 메인 반사영역(32M)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제 2 반사 미러(33)를 경유하여 메인 스크린(34)의 이면 상을 주사한다. 이 주사에 의해 메인 스크린(34)의 이면 상에 투영된 화상은, 메인 스크린(34) 내부를 투과하여 메인 스크린(34)의 표면측에 비춰진다.
서브 스크린(35)은, 리어 프로젝션용 스크린(투과성 스크린)이고, 회동부(2)의 배면측에 형성된 서브 표시창(22a)의 안쪽으로서, 제 2 반사 미러(33)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서브 스크린(35)은, 서브 표시창(22a)과 함께 서브 화면(22)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반사 미러(32)의 서브 반사영역(32S)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제 2 반사 미러(33)에 입사되지 않고, 서브 스크린(34)의 이면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반사 미러(32)의 서브 반사영역(32S)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서브 스크린(35)의 이면 상을 주사한다. 이 주사에 의해 서브 스크린(35)의 이면 상에 투영된 화상은, 서브 스크린(35) 내부를 투과하여 서브 스크린(35)의 표면측에 비춰진다.
또한, 제 1 반사 미러(32)에서, 메인 반사영역(32M)의 형상은, 프로젝터 모듈(31)로부터 메인 반사영역(32M)에 투영되는 화상이, 메인 스크린(34) 상에서 적정한 크기로 확대 투영되는 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서브 반사영역(32S)의 형상은, 프로젝터 모듈(31)로부터 서브 반사영역(32S)에 투영되는 화상이, 서브 스크린(35) 상에서 적정한 크기로 확대 투영되는 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상기한 키 조작부(11), 프로젝터 모듈(31) 및 카메라 모듈(4) 외에, CPU(100), 마이크(200), 스피커(300), 통신 처리부(400), 메모리(500), 배터리(600), 전원부(700)를 구비한다.
카메라 모듈(4)은, 촬상 렌즈(41), 촬상 소자(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렌즈(41)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42) 상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42)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도입된 화상에 따른 촬상신호를 생성하여, CPU(100)로 보낸다.
마이크(200)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스피커(3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통신 제어부(4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41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함과 동시에, 안테나(410)를 거쳐 수신한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메모리(500)에는, 카메라 모듈(5)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 처리부(400)를 거쳐 외부로부터 도입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보존된다.
배터리(600)는, CPU(100)나 CPU(100) 이외의 휴대 전화기의 각 구성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배터리(600)는, 전원부(700)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700)는, 배터리(600)의 전압을 상기 각 구성부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또, 전원부(700)는, 외부 전원의 입력부(도시 생략)을 거쳐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600)에 공급하여, 배터리(600)를 충전한다.
전원부(700)에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710)(이하, 「BT 검출부」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BT 검출부(710)는, 배터리(600)의 전압을 검출하여, CPU(100)로 보낸다.
CPU(100)는, 키 조작부(11), 마이크(200), 촬상소자(42) 등 각 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스피커(300), 프로젝터 모듈(31) 등의 각 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통화 처리나 각종 모드의 처리를 행한다.
도 5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프로젝터 모듈(31)의 구동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한 도 4의 구성에서, 프로젝터 모듈(31)의 구동 제어에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는, 또한, 엑츄에이터 구동부(800) 및 레이저 구동부(900)를 구비한다. 또, CPU(100)는, 엑츄에이터 제어부(110), 영상신호 처리부(120), 타이밍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엑츄에이터 제어부(110)는, 가동 미러(330)의 엑츄에이터(330b)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엑츄에이터 구동부(800)에 대하여 소정의 구동 타이밍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엑츄에이터 구동부(800)는, 이 제어신호에 따라 엑츄에이터(330b)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처리부(120)는, 광원부(310)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영상신호 처리부(120)는, CPU(100) 내에 준비된 작업 영역이 되는 메모리(도시 생략) 내에서, 메인 화면(21) 및 서브 화면(22)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RGB신호를 소정의 구동 타이밍으로 레이저 구동부(900)에 출력한다. 또, 영상신호 처리부(120)는, 촬상소자(42)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 메모리(500) 내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 통신 처리부(400)를 거쳐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을 도입한다. 그리고, 도입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RGB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RGB신호를 소정의 구동 타이밍으로 레이저 구동부(900)에 출력한다. 레이저 구동부(900)는, 이 RGB신호에 따라, 광원부(310)의 적색 레이저부(310a), 녹색 레이저부(310b), 청색 레이저부(310c)의 각각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30)는, 엑츄에이터 제어부(110)에 의한 엑츄에이터(330b)의 구동 타이밍과 영상신호 처리부(120)에 의한 광원부(310)의 구동 타이밍을 조정한다.
도 6은, 프로젝터 모듈(31)에 의한 투영 화면과 투영 화면에 조사되는 각 레이저광의 출력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투영 화면을 만들어낼 때의 레이저광의 주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각 화소영역에서의 각 레이저광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b)의 세로축은, 레이저광의 계조(레이저 출력의 크기)를 표시하고 있고, 가로축은, 레이저광의 조사시간을 표시하고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330b)에 의해 미러(330a)가 회동됨으로써, 레이저광(R광, G광, B광)이 수평방향으로 주사된다. 레이저광은, 도 6(a)의 실선 화살표(주사 라인)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화소수분만큼 주사된다. 하나의 주사 라인의 주사가 끝나면, 다음 주사 라인의 시점에 레이저광이 오도록, 미러(330a)가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레이저광이 수평방향으로 주사되고, 다시, 다음 주사 라인의 시점에 레이저광의 조사위치가 오도록, 미러(330a)가 회동된다. 주사 라인은, 연직방향의 화소분만큼 존재한다. 제일 밑의 주사 라인에서의 주사가 종료되면, 제일 위의 주사 라인의 시점에 레이저광이 오도록, 미러(330a)가 회동된다. 이렇게 하여, 1 화면에서의 1회의 주사가 완료되고, 투영 중, 이와 같은 주사가 반복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화소의 영역마다, 소정의 계조가 되도록 레이저 출력이 조정된 각 레이저광이 소정의 조사시간(t1)만큼 조사된다. 이 때, 1 화소영역의 색은 각 레이저광의 계조에 의해 결정된다. 각 레이저광의 계조는 레이저 출력의 크기에 의해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56계조로 되어 있다. 또, 1 화소영역의 밝기(휘도)는, 화소영역에 닿는 레이저광의 총 광량, 즉 레이저광의 조사시간에 의해 조정된다. 조사되는 광의 세기가 동일하여도,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총 광량이 많아질수록), 보는 사람의 눈에는 밝게 보인다.
이와 같이, 3색의 레이저광이, 1 화소영역마다 계조가 변환되면서 투영면 위를 주사함으로써, 투영 화면에 소정의 영상(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이 비춰진다. 또한, 각 레이저광은, 동시에 주사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R광, G광, B광이 1 화면씩 순서대로 주사된다. 이와 같이, 각 레이저광이 차례로 주사되어도, 1회의 주사는 매우 단시간이기 때문에, 보는 사람에게는, 잔상현상에 의해 3색이 합성되어 하나의 컬러 영상으로서 보인다. 물론, R광, G광 및 B광이 동시에 출사되어, 도광 광학계(320)에서 합성된 후에 가동 미러(330)에 입사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장치(3)에서는, 메인 스크린(34) 및 서브 스크린(35)이 도 6(a)에서 설명한 투영화면이 된다.
도 7은, 액츄에이터 구동 타이밍과 레이저 구동 타이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3b)의 구동을 위한 타이밍 펄스(P1)가 일정주기로 출력된다. 이들 타이밍 펄스(P1)에 동기하여, 액츄에이터(330b)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또, 타이밍 펄스(P1)에 동기한 각 레이저부(310a, 310b, 310c)의 구동을 위한 타이밍 펄스(P2)가, 1 화소영역에 대응하는 주기로, 수평방향의 화소수분만큼 출력된다. 이들 타이밍 펄스(P2)에 동기하여, 각 레이저부(310a, 310b, 310c)에 대한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츄에이터(43b)의 동작과 각 레이저부(310a, 310b, 310c)의 동작이 동기하기 때문에, 각 화소영역에서 적정하게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또한, 도 7에서는, 액츄에이터(330b)의 구동신호가, 모식적으로 단순한 럼프(rump)신호로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레이저광을 수평방향으로 주사하기위하여 미러(330a)를 2차원적으로 구동하는 형태의 구동신호가 된다.
도 8은, 프로젝터 모듈(31)에 의해 만들어내지는 투영화상의 표시예와, 메인 화면(21) 및 서브 화면(22)에서 화면표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프로젝터 모듈(31)에 의해 만들어내지는 투영화상을 나타낸다. 도 8(b)는, 서브 화면(22)에서 화면 표시를 나타내고, 도 8(c)는, 메인 화면(21)에서 화면 표시를 나타낸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1)에 의한 투영화상의 영역은, 하부의 메인 화상영역과, 상부의 서브 화상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메인 화상영역에는 메인 화면(21)에 표시하기 위한 메인 화상이 묘화된다. 한편, 서브 화상영역에는 서브 화면(22)에 표시하기 위한 서브 화상이 묘화된다. 이와 같은 메인 화상과 서브 화상이 일체가 된 투영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화상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생성된다.
메인 화상은, 예를 들면, 배경 화상(M1)과, 배경 화상(M1)의 중앙부에 배치된 각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화상(M2)과, 배경 화상(M1)의 상부에 배치된, 안테나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화상(M3), 메일이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화상(M4), 전지의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M5)의 3가지 화상과, 배경 화상(M1)의 하부에 배치된 날짜를 표시하는 화상(M6)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화상은, 예를 들면, 배경 화상(S1)과, 배경 화상(S1)의 상부에 배치된, 안테나의 수신상태를 나타내는 화상(S2), 메일이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화상(S3), 전지의 잔량을 나타내는 화상(S4)의 3가지 화상과, 배경 화상(S1)의 하부에 배치된 날짜를 표시하는 화상(S5)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화상 및 서브 화상이 투영될 때에는, 가동 미러(330) 및 광원부(310)가 구동된다. 이에 의하여, 먼저, 서브 화상 영역 내에서 레이저광이 주사되어 서브 화상이 투영되고, 그것에 계속해서, 메인 화상영역 내에서 레이저광이 주사되어 메인 화상이 투영된다.
이 때, 서브 화면영역 내에서 주사되는 레이저광은, 제 1 반사 미러(32)의 서브 반사영역(32S)에 입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브 화면영역 내를 주사하는 레이저광은, 제 1 반사 미러(32)의 서브 반사영역(32S)에서 반사되어, 서브 스크린(35)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 화면(22)에 서브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은 기본적인 정보를 통지하기 위하여 서브 화면(22)에 표준적으로 표시되는 표준 화면이다.
한편, 메인 화면영역 내에서 주사되는 레이저광은, 제 1 반사 미러(32)의 메인 반사영역(32M)에 입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화면영역을 주사하는 레이저광은, 제 1 반사 미러(32)의 메인 반사영역(32M)에서 반사되어, 제 2 반사 미러(33)를 경유하여 메인 스크린(34)에 조사된다. 이에 의하여,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화면(21)에 메인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은 각종 모드를 선택할 때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이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1)로부터 서브 화상과 메인 화상을 포함하는 하나의 투영화상이 투영됨으로써,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에 동시에 화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상기 모드 선택 화면과 표준 화면은, 반드시 동시에 표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가 접혀 있을 때에는, 메인 화면(21)의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서브 화면(22)의 표준 화면이 표시되며, 휴대 전화기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서브 화면(22)의 표준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메인 화면(21)의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영상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메인 화상의 화상신호와 서브 화상의 화상신호가 별개로 생성된다. 그리고, 서브 화면(22)만 표시할 때에는, 레이저광이 서브 화상영역 내만을 주사하고, 메인 화면(21)만을 표시할 때에는, 레이저광이 메인 화상영역 내만을 주사한다.
이 때, 가동 미러(330)는 항상 모든 화상영역을 주사하도록 구동되고, 투영하는 화상영역 내에서만 광원부(310)가 구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 미러(330)의 구동 제어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어가 쉬워진다.
한편, 투영하는 화상영역 내만을 주사하도록 가동 미러(330)가 구동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의 화면분을 주사하기 위한 소요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다음에 동일한 화소영역에 레이저광이 조사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그 만큼, 화면을 동일한 밝기로 할 때에, 1 화소영역의 1회당 조사 광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1 화소영역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어지도록,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조사시간(t1)이 짧아지도록 광원부(310)를 구동하게 하면, 소비 전력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전자와 같이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에 동시에 표시하는 모드와 후자와 같이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을 변환하여 표시하는 모드를,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변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한 표시예에서는,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의 동시 표시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나,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표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사진촬영을 행하는 경우에, 메인 화면(21)에는 촬상 소자(42)가 포착한 피사체상이 표시되고, 이 때 동시에, 서브 화면(22)에는 「촬영 중」의 문자 등, 카메라 촬영 중인 것을 통지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서브 화면(22)에서의 표시에 의해 촬영 중인 것이 알려지기 때문에, 도촬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메인 화면(21)에는 촬상 소자(42)가 포착한 피사체상이 표시되고, 이 때 동시에,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에 「3,2,1」등의 카운트다운 표시가 행하여지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셔터를 누르는 타이밍이 취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촬영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프로젝터 모듈(31)를 사용하여, 상이한 면에 설치된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에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2)의 소형·경량화가 도모되고, 나아가서는 휴대 전화기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프로젝터 모듈(31)만으로써 메인 화면(21)과 서브 화면(22)에 동시에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도촬 방지나 카운트다운 표시 등이 가능해져, 휴대 전화기의 사용형태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반사 미러(32)에 의해, 프로젝터 모듈(31)로부터의 레이저광이 광각화되기 때문에, 메인 스크린(34) 및 서브 스크린(35)까지의 광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동부(2)의 소형·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메인 스크린(34)으로 유도되는 레이저광과 서브 스크린(35)으로 유도되는 레이저광의 양쪽을 제 1 반사 미러(32)로 광각화(진동각을 확대)하도록 하였으나, 예를 들면, 화면 크기가 큰 메인 스크린(34)쪽으로 유도되는 레이저광만을 광각화하도록 제 1 반사 미러(32)의 면 형상을 구성하여도 되고, 또는, 서브 스크린(35)쪽으로 유도되는 레이저광만을 광각화하도록 제 1 반사 미러(32)의 면 형상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레이저광을 메인 스크린(34)으로 유도하는 메인 반사영역(32M)과, 레이저광을 서브 스크린(35)으로 유도하는 서브 반사영역(32S)이, 제 1 반사 미러(32) 상에 배치되어 있으나, 레이저광을 메인 스크린(34) 및 서브 스크린(35)으로 각각 유도하기 위한 2개의 미러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메인 화상영역 내에 묘화되는 메인 화상의 화상신호와 서브 화상영역 내에 묘화되는 서브 화상의 화상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메인 화상을 구성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2 반사 미러(33)에서 반사되어 메인 스크린(34)에 조사됨으로써 메인 스크린(34)에 메인 화상이 비춰지고, 서브 화상을 구성하기 위한 레이저광이 제 2 반사 미러(33)에 입사되지 않고 서브 스크린(35)에 조사됨으로써 서브 스크린(35)에 서브 화상이 비춰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메인 화면(21) 및 서브 화면(33)에, 각각 화면에 따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기 이외에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이한 면은, 정면과 배면과 같이 서로 역방향이 되는 면이 아니어도 된다. 또, 상이한 면에 설치되는 표시화면은, 메인(주)과 서브(부)의 구별이 있는 화면(사이즈 등이 다른 화면)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표시화면은, 2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3개소 이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주사식 프로젝터 모듈(31)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투영장치이어도 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2)

  1.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 1 면에 설치된 제 1 화면부와,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에 설치된 제 2 화면부와,
    화상신호에 의거하는 투영화상을 구성하는 광으로서, 제 1 투영영역을 구성하는 제 1 광과 제 2 투영영역을 구성하는 제 2 광을 포함하는 광을 출사하는 투영부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을 상기 제 1 화면부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화면부로 유도하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제 1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광을 반사하는 제 1 미러부와,
    상기 제 1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광을 제 2 화면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제 2 미러부와,
    상기 제 2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미러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을 상기 제 1 화면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제 3 미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부의 미러면과 상기 제 2 미러부의 미러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입사된 상기 광을 광각화시키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부와 상기 제 2 미러부는, 공통 미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부의 미러면과 상기 제 2 미러부의 미러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입사된 상기 광을 광각화시키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 1 투영영역과 상기 제 2 투영영역에서 상기 광을 주사시키는 주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제 1 면에 설치된 제 1 화면부와,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에 설치된 제 2 화면부와,
    화상신호에 의거하는 투영화상을 구성하는 광으로서, 제 1 투영영역을 구성하는 제 1 광과 제 2 투영영역을 구성하는 제 2 광을 포함하는 광을 출사하는 투영부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광을 상기 제 1 화면부로 유도함과 함께,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화면부에 유도하는 도광부를 가지며,
    상기 도광부는,
    상기 제 1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광을 반사하는 제 1 미러부와,
    상기 제 1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광을 상기 제 2 화면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제 2 미러부와,
    상기 제 2 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미러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을 상기 제 1 화면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제 3 미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부의 미러면과 상기 제 2 미러부의 미러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입사된 상기 광을 광각화시키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부와 상기 제 2 미러부는, 공통 미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부의 미러면과 상기 제 2 미러부의 미러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입사된 상기 광을 광각화시키는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부는, 상기 제 1 투영영역과 상기 제 2 투영영역에서 상기 광을 주사시키는 주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07013503A 2007-11-29 2008-11-26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 KR101252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8194A JP5122257B2 (ja) 2007-11-29 2007-11-29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JP-P-2007-308194 2007-11-29
PCT/JP2008/071443 WO2009069654A1 (ja) 2007-11-29 2008-11-26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380A KR20100072380A (ko) 2010-06-30
KR101252623B1 true KR101252623B1 (ko) 2013-04-09

Family

ID=4067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503A KR101252623B1 (ko) 2007-11-29 2008-11-26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48792A1 (ko)
JP (1) JP5122257B2 (ko)
KR (1) KR101252623B1 (ko)
WO (1) WO2009069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5191B2 (en) * 2009-07-06 2012-01-10 Motorola Mobility, Inc. Detection and function of seven self-supported orientations in a portable device
KR20120068772A (ko) 2009-09-16 2012-06-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0357B1 (ko) * 2009-11-30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점프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5609479B2 (ja) * 2010-09-21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6083164B2 (ja) * 2012-09-12 2017-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TWI474101B (zh) * 2013-07-24 2015-02-21 Coretronic Corp 可攜式顯示裝置
US9939398B2 (en) 2014-09-12 2018-04-10 Hzo, Inc. Detecting moisture with an antenna
US9800713B2 (en) * 2014-09-12 2017-10-24 Hzo, Inc. Moisture detection response
JP7117477B2 (ja) * 2018-01-23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12305756A (zh) * 2020-10-30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332A (ja) * 2002-10-25 2004-05-20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デュアル・ディスプレイの液晶ディスプレイの構造
JP2005037930A (ja) * 2003-06-27 2005-02-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01964A (ja) * 2004-01-13 2005-07-28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70051420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프로젝션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732B2 (ja) * 1988-02-26 1998-06-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変倍光学装置
US7161185B2 (en) * 2003-06-27 2007-01-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841728B2 (en) * 2005-10-20 2010-11-3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7249171A (ja) * 2006-02-16 2007-09-27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332A (ja) * 2002-10-25 2004-05-20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デュアル・ディスプレイの液晶ディスプレイの構造
JP2005037930A (ja) * 2003-06-27 2005-02-1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01964A (ja) * 2004-01-13 2005-07-28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70051420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프로젝션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8792A1 (en) 2010-09-30
WO2009069654A1 (ja) 2009-06-04
KR20100072380A (ko) 2010-06-30
JP5122257B2 (ja) 2013-01-16
JP2009135622A (ja)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623B1 (ko) 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장치
KR101209100B1 (ko) 투영장치
US8123363B2 (en) Projector device, portable telephone and camera
US10778940B2 (en) MEMS projector using multiple laser sources
JP4671443B2 (ja) カラー画像を投射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006721B (zh) 投影仪装置
JP2004120058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KR101445448B1 (ko) 정보 처리 단말 장치
JP2003172900A (ja) 画像投影表示装置、画像投影表示システム並びに画像投影表示方法
JP4904678B2 (ja)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携帯電話、カメラ
JP4631370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834973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2004153489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5051531A (ja) 携帯機器
JP2004109330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4655563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655565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655564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817637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H11295690A (ja) モバイル機器
CN104007602B (zh) 支持投影的显示装置
WO2004064408A1 (en) Device and method of scanning an image in a pro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