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782B1 - 매립형 의자시스템 - Google Patents

매립형 의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782B1
KR101248782B1 KR1020100097313A KR20100097313A KR101248782B1 KR 101248782 B1 KR101248782 B1 KR 101248782B1 KR 1020100097313 A KR1020100097313 A KR 1020100097313A KR 20100097313 A KR20100097313 A KR 20100097313A KR 101248782 B1 KR101248782 B1 KR 101248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apron
space
bathtub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652A (ko
Inventor
김현걸
이유창
Original Assignee
김현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걸 filed Critical 김현걸
Priority to KR102010009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7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2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의 에이프런이나 또는 욕조 내측벽에 수납될 수 있어서 욕실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욕조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매립형 의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매립형 의자시스템은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욕조의 에이프런과, 상기 의자부를 욕조 에이프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의자부의 양측면에는 힌지수단을 통해 연결봉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이프런에는 상기 의자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측에는 상기 의자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상측 내측벽에는 힌지수단으로 연결봉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립형 의자시스템{Buried-type Bath stool system}
본 발명은 매립형 의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조를 구성하는 에이프런 또는 욕조 내측벽면 또는 욕실 샤워부스의 벽체에 매립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시에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매립형 의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사회가 선진사회구조로 변함에 따라 가정생활환경이 많이 변경되었다. 예컨대, 재래식 화장실이 사라지고 수세식 화장실이 도입되고 또한 가정에서 욕조를 갖춘 욕실이 많이 도입되었다. 특히, 주택이 아파트나 빌라 등은 집합건물로 변하는 추세에 맞추어 욕조를 갖춘 욕실의 도입이 보편화되었다.
샤워나 또는 욕조에 물은 채운 후 몸을 담그는 서양 욕실문화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욕조에 물을 채워 몸을 담그는 것보다는 욕조에 물은 받아 놓고 욕조 밖에서 몸을 세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욕조 바깥에서 앉아 몸을 세척하기 하기 위해 목욕용 의자를 비치하게 된다.
그러나, 대형 평수의 아파트의 욕실인 경우에는 욕실 면적이 넓어서 목욕용 의자를 비치하더라도 욕실이 비좁게 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소형 평수의 아파트나 빌라 등의 건물에서는 욕실 면적이 좁고, 특히 소형빌라의 경우에는 욕실에 세탁기 등과 같은 여러 비품을 비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욕실에 목욕용 의자를 비치하는 경우에는 욕실 내에서 사람의 활동범위를 제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현재 욕실용 욕조에 의자를 부착하는 공지된 제품은 대부분 유아용으로서 욕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성인용 욕조에 탈부착하게 만들어지고 또한 성인용 의자의 경우에도 욕조 바닥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의자가 욕조 내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욕조 밖에서는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욕조바닥에 돌출되도록 의자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욕조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욕조의 외부에, 특히 에이프런에 또는 욕조 내부에, 또는 욕조가 없는 경우 샤워부스의 벽체에 매립식으로 의자를 설치하여 필요시에는 의자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의자가 필요 없을 시에는 욕조에 매립식으로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욕실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또한 욕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욕조의 에이프런이나 또는 욕조 내측벽에, 또는 샤워부스의 벽체에 매립될 수 있어서 욕실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욕조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은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욕조의 에이프런 또는 욕실벽체와, 상기 의자부를 욕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의자부의 양측면에는 힌지수단을 통해 연결봉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는 상기 의자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측에는 상기 의자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상측 내측벽에는 힌지수단으로 연결봉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에서, 상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 수납된 의자부를 에이프런 또는 벽체로부터 인출한 다음 에이프런쪽 또는 벽체쪽의 의자부 끝단의 상부를 걸림턱의 하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의자부가 수평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은 상기 의자부의 양측면에는 힌지수단을 통해 연결봉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또한 에이프런쪽 또는 벽체쪽의 의자부 하단 양측에 가이드핀을 형성하고, 상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는 상기 의자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상측 내측벽에는 힌지수단으로 연결봉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구가 형성되고 또한 공간부 하부 내측벽에는 상기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의자부를 에이프런 내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의자부 하단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은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욕조의 에이프런 또는 욕실의 벽체와, 상기 욕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 수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욕조의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는 상기 의자부가 수납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지지부가 수납되는 제2공간부로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에 수납되는 의자부의 하단 양측은 힌지수단을 통해 제1공간부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 수납되는 지지부의 일측 상단 및 하단부는 힌지수단을 통해 제2공간부의 일측 상단 및 하단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의자부와 지지부의 이동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의자부와 지지부가 에이프런 또는 벽체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게 되면 상기 의자부의 하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은 의자부와, 의자부가 수납되게 결합되는 욕조 에이프런 또는 욕실 벽체와, 상기 의자부를 욕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의자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 설치되는 가이드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의자부에는 상기 연결봉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구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 면하는 끝단 양측에는 에이프런 또는 벽체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가이드편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딩핀을 고정하기 위한 핀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이프런 또는 벽체에는 의자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봉과 회전가능하게 연결을 위한 제4연결구가 형성되고, 공간부 내측 상단의 양측벽에는 상기 의자부를 공간부에 수납하거나 또는 공간부로부터 빼낼 때 의자부의 상기 끝단을 안내하는 가이드편을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편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은 봉형상의 연결봉 몸체와, 의자부의 제3연결구에 체결을 위한 제1연결봉 체결부와 에이프런의 제4연결구와 체결을 위한 제2연결봉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슬라이딩핀을 상하로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수직 안내홈과, 상기 수직홈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지지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의자부를 에이프런 또는 벽체로부터 인출하여 펼치며, 먼저 슬라이딩핀이 수직 안내홈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에 의자부를 에이프런방향으로 밀치면 슬라이딩핀이 수평 안내홈에 위치하게 되어 의자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욕조의 에이프런이나 또는 욕조 내측벽 또는 욕실의 벽체에 의자를 수납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욕실의 공간효율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욕조의 에이프런에 설치된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욕조의 에이프런에 수납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의 (d)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변형예.
도 2의 (a)는 욕조의 에이프런에 설치된 의자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2의 (b)는 의자부와 지지부를 펼쳤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의 (c)는 도 2의 (b)에서 A방향으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의 (a)는 제3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에이프런에 설치된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과 슬라이딩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작동구조를 보여주는 측투시 도면.
도 3의 (d)는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는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욕조 에이프런에 설치되는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욕조의 에이프런에 수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욕조의 에이프런 또는 욕조의 내측벽 또는 욕실의 벽체, 특히 샤워부스의 벽체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욕조의 에이프런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100)은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부(10)와, 상기 의자부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욕조 에이프런(20)과, 상기 의자부(10)를 욕조 에이프런(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부(10)의 측면에는 힌지수단(H)으로 연결봉(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을 위한 제1연결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욕조 에이프런(20)에는 상기 의자부(1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S)가 형성된다. 또한 욕조 에이프런(20)의 공간부(S)에는 상기 의자부(10)를 펼쳤을 때 의자부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의자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걸림턱(21)이 형성된다. 또한 욕조 에이프런의 공간부(S)의 상측 내벽에는 힌지수단(H)으로 연결봉(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을 위한 제2연결구(22)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S)의 크기는 상기 의자부(10) 보다 크게 형성되고, 또한 그 깊이는 의자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어 의자부는 상기 공간부 내측에 수납되게 된다. 그러므로, 의자부(1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부(10)가 에이프런의 공간부(S) 내측에 수납되게 된다.
그러나, 의자부(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인력으로 의자부(10)를 에이프런(20)의 공간부(S)로부터 인출한 다음 에이프런을 향하는 의자부의 끝단을 걸림턱(21) 하단에 위치시키게 되면, 걸림턱과 의자부의 끝단이 접촉하게 되어 의자부는 더 이상 아래로 쳐지기 않게 되고 또한 사람이 착석할 시에도 사람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에이프런의 공간부(S) 내측벽을 따라 장홈의 가이드홈(23)을 형성하고, 의자부(10)의 말단, 즉 펼쳤을 때 에이프런을 향하는 말단에 가이드핀(12)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핀을 가이드홈(23)에 활주가능하게 삽입 고정한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걸림턱(21)이 생략되게 된다.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의자부(10)을 에이프런으로부터 펼치게 되면, 의자부의 가이드핀(12)이 가이드홈(23)을 따라 에이프런의 하단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의자부가 완전히 펼쳐지면 가이드핀(12)이 가이드홈(23)의 최상부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가이드핀의 이동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의자부에 사람이 착석하게 되면 가이드홈(23)과 접촉상태에 있는 가이드핀(12)과 연결봉(30)에 의해 사람의 체중을 지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욕조의 에이프런에 설치된 의자부와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의자부와 지지부를 펼쳤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b)에서 A방향으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 에이프런(2)의 공간부(S)는 의자부(10)가 수납되는 제1공간부(S1)와 지지부(40)가 수납되는 제2공간부(S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간부(S1)에 수납되는 의자부(10)의 하단 양측은 힌지수단(H1)을 통해 제1공간부(S1)의 내측벽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공간부에 수납되는 지지부(40)의 일측 상단 및 하단부는 힌지수단(H2)을 통해 제2공간부의 일측 상단 및 하단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의자부(10)는 에이프런(20)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지지부(40)의 에이프런의 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부(10)를 에이프런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에이프런 외부로 돌출시키고, 지지부를 에이프런의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에이프런 외부로 돌출시키게 되면, 외부로 돌출한 지지부(40)가 의자부(10)의 하측과 접촉하게 되어 의자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부에 사람이 착석하더라도 의자부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가이드편의 구성과, 가이드편과 슬라이딩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이드바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의 (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은 의자부(10)와 의자부가 결합되는 욕조 에이프런과(20)과, 상기 의자부를 욕조 에이프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봉(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의자부(10)에는 상기 연결봉(3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구(12)가 양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의자부의 끝단, 즉 의자부를 에이프런을 설치하였을 때 에이프런에 면하는 끝단 양측에는 에이프런(20)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핀(SP)을 고정하기 위한 핀고정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에이프런(20)에는 상기 의자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S)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최상단에는 상기 연결봉(3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4연결구(24)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부(S) 내측 상단의 양측벽에는 상기 의자부(10)를 공간부(S)에 수납하거나 또는 공간부로부터 빼낼 때 의자부의 끝단을 안내하는 가이드편(50)을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편 설치홈(25)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30')은 의자부(10)를 에이프런의 공간부에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봉형상의 연결봉 몸체(30'1)와, 의자부(10)의 제3연결구(12)에 체결을 위한 제1연결봉 체결부(30'2)와, 에이프런의 제4연결구(24)와 체결을 위한 제2연결봉 체결부(30'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결봉 체결부(30'2)는 연결봉 몸체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하는 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연결구(24)구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봉 체결부(30'3)는 상기 봉형상의 제4연결구(24)에 걸리도록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제1연결봉 체결부와 제2연결봉 체결부는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이드편(50)은 에이프런(20)의 공간부(S) 내측 상단 양측벽에 형성되는 가이드편 설치홈(25)에 설치되어 의자부(10)의 핀고정구(13)에 고정된 슬라이딩핀(SP)을 안내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한 구성이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에서 윗 도면은 가이드편(50)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아래 도면은 가이드편(50)과 슬라이딩핀(SP)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핀(SP)을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수직 안내홈(5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편(50)의 하단부에서 상기 수직안내홈(51)에 대해 직각으로 수평 지지홈(5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홈(52)은 의자부(10)가 에이프런으로부터 펼쳐졌을 때 의자부(10) 연결된 슬라이딩핀(SP)이 위치하여 의자부(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c)는 의자부(10)을 펼칠 때 슬라이딩핀(SP)이 가이드편(50)의 수직 안내홈(51)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의 (c)에 도시되어 있듯이, 의자부(10)를 화살표 방향으로 에이프런(20)으로 인출하여 외부로 돌출시키게 되면, 의자부에 연결된 슬라이딩핀(SP)이 가이드편(50)의 수직 안내홈(51)을 따라 수직으로, 즉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핀이 안내홈 끝까지 이동한 다음에 의자를 에이프런 방향으로 밀치게 되면 슬라이딩핀(SP)이 수평 지지홈(5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부(10)는 도 3의 (d)와 같은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핀이 수평 지지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람이 의자부에 착석하게 되면, 수평 지지홈에 위치한 슬라이딩핀이 수평홈과 접촉하게 되어 의자부는 사람의 체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욕조의 에이프런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욕조의 내측벽 어느 곳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립형 의자시스템에서 의자부를 욕조의 에이프런에 수납하거나 또는 에이프런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의자부와 의자부를 수납하는 에이프런의 공간부 사이에 틈을 미리 형성하여 틈을 통해 사람의 손으로 의자부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매립형 의자시스템의 의자부를 욕조의 에이프런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욕조의 에이프런 뿐만 아니라 욕조의 내측벽 또는 욕실의 벽체, 특히 샤워부스의 벽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잘 알 것이어서, 본 발명의 범위는 욕실의 욕조뿐만 아니라 욕실의 벽체에 설치되는 매립형 의자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의자부 11:제1연결구
12:가이드핀 13:제3연결구
20:에이프런 21:걸림턱
22:제2연결구 23:가이드홈
24:제4연결구 25:가이드편 설치홈
30, 30':연결봉 30'1:연결봉 몸체
30'2:제1연결봉 체결부 30'3:제2연결봉 체결부
50:가이드편
H, H1, H2:힌지수단 S:공간부
S1:제1공간부 S2:제2공간부
SP:슬라이딩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사람의 착석을 위한 의자부(10)와, 상기 의자부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욕조의 에이프런(20)과, 상기 욕조 에이프런에 수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의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0)로 이루어지는 매립형 의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욕조의 에이프런(20)에는 상기 의자부(10)가 수납되는 제1공간부(S1)와 상기 지지부(40)가 수납되는 제2공간부(S2)로 이루어지는 공간부(S)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S1)에 수납되는 의자부(10)의 하단 양측은 힌지수단(H1)을 통해 제1공간부(S1)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공간부(S2)에 수납되는 지지부(40)의 일측 상단 및 하단부는 힌지수단(H2)을 통해 제2공간부의 일측 상단 및 하단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의자부와 지지부의 이동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의자부와 지지부가 에이프런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게 되면 상기 의자부의 하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의자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97313A 2010-10-06 2010-10-06 매립형 의자시스템 KR10124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313A KR101248782B1 (ko) 2010-10-06 2010-10-06 매립형 의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313A KR101248782B1 (ko) 2010-10-06 2010-10-06 매립형 의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652A KR20120035652A (ko) 2012-04-16
KR101248782B1 true KR101248782B1 (ko) 2013-04-03

Family

ID=4613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313A KR101248782B1 (ko) 2010-10-06 2010-10-06 매립형 의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42Y1 (ko) * 2013-05-21 2013-08-26 김민지 벽면 내장형 의자
KR101963669B1 (ko) * 2017-07-21 2019-04-01 주식회사 아티마 의자를 구비한 욕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1632U (ko) * 1979-04-18 1980-11-01
JPH07299007A (ja) * 1994-05-10 1995-11-14 Sekisui Chem Co Ltd 腰掛付浴槽
JP2001245751A (ja) * 2000-03-08 2001-09-11 Goro Endo 壁面据付型折畳式腰掛
JP3106501U (ja) * 2004-07-09 2005-01-06 株式会社アビーロード 壁面等取り付け用の折り畳み式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1632U (ko) * 1979-04-18 1980-11-01
JPH07299007A (ja) * 1994-05-10 1995-11-14 Sekisui Chem Co Ltd 腰掛付浴槽
JP2001245751A (ja) * 2000-03-08 2001-09-11 Goro Endo 壁面据付型折畳式腰掛
JP3106501U (ja) * 2004-07-09 2005-01-06 株式会社アビーロード 壁面等取り付け用の折り畳み式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652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9152A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KR101248782B1 (ko) 매립형 의자시스템
KR20110065687A (ko) 애완동물 샤워대
KR200485419Y1 (ko) 욕실용 선반
KR100723347B1 (ko)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욕조
KR101823617B1 (ko) 샤워기 거치대
KR101334810B1 (ko) 매립형 의자시스템
KR20160000368A (ko) 회전식 수납방식이 채용된 샤워부스
JPH11113778A (ja) 洗面器置台の取付構造
JP2005224540A (ja) 浴室用洗面器及び浴室用備品載置台
KR101476336B1 (ko)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JP5144132B2 (ja) 浴室用握りバー
KR20190080401A (ko) 샤워수전
KR101325099B1 (ko) 샤워기 및 욕실용품을 구비한 욕실용 샤워보드
CN210902155U (zh) 一种卫浴组合柜
CN215838618U (zh) 一种收纳架
CN110870748B (zh) 一种电器水管固定结构及移动式洗碗机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KR100684363B1 (ko) 다기능 세면대
KR19980087845A (ko) 절첩이 가능한 욕조 및 그 절첩장치
JP2017164460A (ja) 洗面化粧ユニット
KR200176340Y1 (ko) 어린이용 세면대를 구비한 욕조의 구조
KR200455907Y1 (ko) 벽면부착형 빨래장치
CN204445260U (zh) 一种卫浴挂件
KR20110006966U (ko) 세면대 디딤틀 받침용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