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617B1 - 샤워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샤워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617B1
KR101823617B1 KR1020170057922A KR20170057922A KR101823617B1 KR 101823617 B1 KR101823617 B1 KR 101823617B1 KR 1020170057922 A KR1020170057922 A KR 1020170057922A KR 20170057922 A KR20170057922 A KR 20170057922A KR 101823617 B1 KR101823617 B1 KR 10182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lows
unit body
bending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은
Original Assignee
양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은 filed Critical 양성은
Priority to KR102017005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03C1/06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allowing height adjustment of showe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샤워기 거치대는, 샤워호스가 연결되는 샤워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 일단부가 상기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에 연결되며, 절곡이 자유롭도록 플렉시블 가능하게 마련되되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마련되는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 및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수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 결합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샤워기 거치대{Shower holder}
본 발명은,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방식대로 샤워헤드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들고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샤워헤드가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제조비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샤워기 거치대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샤워기 거치대는 욕실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전(5)과, 수전(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카트리지 바디(8)와, 카트리지 바디(8)에 연결되고 카트리지 바디(8)의 회전운동을 통해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는 레버(4)를 포함한다.
수전(5)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봉 형상의 폴대(7)가 연결되며, 폴대(7)의 상단부에 샤워헤드(1)가 결합된다. 샤워헤드(1)는 폴대(7)의 상단부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샤워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한편, 도 1의 경우, 샤워헤드(1)가 폴대(7)에 고정된 타입(type)인데, 이와 같은 샤워헤드의 고정 타입 외에도 샤워헤드에 샤워호스를 매달아 샤워헤드를 거치시킨 샤워헤드 거치 타입도 존재한다.
후자의 샤워헤드 거치 타입은 샤워헤드를 들고 일정 거리 이동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보다 널리 사용되기도 한다. 공중 사우나 등에는 위의 두 가지 타입이 모두 적용된다.
그런데, 어떠한 타입이든지 종래기술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경우에는 벽면으로부터 샤워호스를 일정 길이 이상 이격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수, 앉아서 발 씻기 등 샤워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샤워헤드가 상부에 배치되어 마치 비가 내리는 방식으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한 거치대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거치대는 상당히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이 역시, 세수, 앉아서 발 씻기 등 샤워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에 불편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면의 샤워기 거치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1183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363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727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4-00091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방식대로 샤워헤드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들고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샤워헤드가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제조비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샤워호스가 연결되는 샤워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 일단부가 상기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에 연결되며, 절곡이 자유롭도록 플렉시블 가능하게 마련되되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마련되는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 및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수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 결합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은, 플렉시블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스프링 자바라; 상기 스프링 자바라가 수납되는 자바라 줄; 및 상기 자바라 줄 내에 마련되되 상기 스프링 자바라와 함께 작용하며,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복수의 강도 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 유지부재는, 스테인리스 강선, 일반 강선, 아연 강선, 압연재, 판재, 플라스틱 강선, 피아노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은, 상하단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되 통공이 형성되는 체결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은, 상기 샤워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고리형 거치대; 및 상기 고리형 거치대와 연결되되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가 형성되는 원통형 유닛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유닛 바디 내에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일단부가 삽입된 때, 제1 리벳부재가 상기 원통형 유닛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리벳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 브래킷의 통공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수전 결합용 유닛은,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와, 스크루 샤프트를 구비하는 각형 유닛 바디; 상기 각형 유닛 바디의 스크루 샤프트로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와, 상기 수전에 걸리는 밴드부를 구비하는 수전용 조임 밴드; 및 상기 수전용 조임 밴드의 샤프트 삽입부가 상기 각형 유닛 바디의 스크루 샤프트에 결합된 때, 상기 스크루 샤프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형 유닛 바디 내에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의 타단부가 삽입된 때, 제2 리벳부재가 상기 각형 유닛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리벳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 브래킷의 통공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방식대로 샤워헤드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들고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샤워헤드가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제조비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샤워, 머리감기, 세수, 앉아서 발 씻기 등 샤워헤드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가져다 두고 원하는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샤워기 거치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전 결합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 영역의 사시도, 도 5는 수전 결합용 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00)는 통상의 방식대로 샤워헤드(10)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들고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샤워헤드(10)가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제조비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 그리고 수전 결합용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에 대해 알아보면,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은 샤워호스(12)가 연결되는 샤워헤드(10)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은 고리형 거치대(111)와, 원통형 유닛 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는 플라스틱 혹은 금속의 사출물일 수 있다.
고리형 거치대(111)는 샤워헤드(10)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고리형 거치대(111)에 일측이 개방되기 때문에 샤워헤드(10)를 거치시킬 때, 샤워호스(12)가 간섭되지 않아 꼬이지 않으며, 또한 고리형 거치대(111)에서 샤워헤드(10)를 꺼낼 때도 샤워호스(12)가 간섭되지 않는다.
원통형 유닛 바디(112)는 고리형 거치대(11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원통형 유닛 바디(112)에는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113)가 형성된다.
이때, 원통형 유닛 바디(112)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일단부가 고정되기 위해 제1 리벳부재(141)가 사용된다.
즉 원통형 유닛 바디(112) 내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일단부가 삽입된 때, 제1 리벳부재(141)가 원통형 유닛 바디(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리벳공(114)으로 삽입되어 체결 브래킷(124)의 통공(125)에 체결됨으로써 원통형 유닛 바디(112)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는 체결 브래킷(124)이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일단부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체결 브래킷(124)은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에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양쪽의 체결 브래킷(124)과 통공(125)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은 일단부가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에 연결되며, 절곡이 자유롭도록 플렉시블 가능하게 마련되되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마련되는 부재이다.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이 적용되기 때문에 도 2에서 도 3처럼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을 구부렸을 때,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은 종래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길이(L)가 1m 이상으로 길더라도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샤워, 머리감기, 세수, 앉아서 발 씻기 등 샤워헤드(10)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가져다 두고 원하는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은 플렉시블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스프링 자바라(121)와, 스프링 자바라(121)가 수납되는 자바라 줄(122)과, 자바라 줄(122) 내에 마련되되 스프링 자바라(121)와 함께 작용하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복수의 강도 유지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자바라 줄(122)은 외측 케이스로서 코팅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색상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에 대한 외장의 미가 높아져 상품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강도 유지부재(123)는, 스테인리스 강선, 일반 강선, 아연 강선, 압연재, 판재, 플라스틱 강선, 피아노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2줄의 피아노선을 선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의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즉 피아노선 외의 다른 부재들, 즉 스테인리스 강선, 일반 강선, 아연 강선, 압연재, 판재, 플라스틱 강선들이 대체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상하단에는 통공(125)이 형성되는 체결 브래킷(124)이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다.
다만, 도 4에서는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체결 브래킷(124)만을 도시하였으나 타단부에도 동일한 형태의 체결 브래킷(124)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수전 결합용 유닛(130)은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수전(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수전 결합용 유닛(130)이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수전에 연결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00)는 원하는 어떠한 장소라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수전 결합용 유닛(130)은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132)와, 스크루 샤프트(133)를 구비하는 각형 유닛 바디(131)와, 각형 유닛 바디(131)의 스크루 샤프트(133)로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135)와, 수전에 걸리는 밴드부(136)를 구비하는 수전용 조임 밴드(134)와, 수전용 조임 밴드(134)의 샤프트 삽입부(135)가 각형 유닛 바디(131)의 스크루 샤프트(133)에 결합된 때, 스크루 샤프트(133)에 체결되는 너트(137)를 포함한다.
이때, 각형 유닛 바디(131)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고정되기 위해 제2 리벳부재(142)가 사용된다.
즉 각형 유닛 바디(131) 내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삽입된 때, 제2 리벳부재(142)가 각형 유닛 바디(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리벳공(미도시)으로 삽입되어 체결 브래킷(124)의 통공(125)에 체결됨으로써 각형 유닛 바디(131)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의 방식대로 샤워헤드(10)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들고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샤워헤드(10)가 벽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콤팩트한 구조로 인해 제조비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샤워, 머리감기, 세수, 앉아서 발 씻기 등 샤워헤드(10)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가져다 두고 원하는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샤워헤드 12 : 샤워호스
100 : 샤워기 거치대 110 :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
111 : 고리형 거치대 112 : 원통형 유닛 바디
113 : 제1 삽입구 114 : 제1 리벳공
120 :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 121 : 스프링 자바라
122 : 자바라 줄 123 : 강도 유지부재
124 : 체결 브래킷 125 : 통공
130 : 수전 결합용 유닛 131 : 각형 유닛 바디
132 : 제2 삽입구 133 : 스크루 샤프트
134 : 수전용 조임 밴드 135 : 샤프트 삽입부
136 : 밴드부 137 : 너트
141 : 제1 리벳부재 142 : 제2 리벳부재

Claims (6)

  1. 샤워호스(12)가 연결되는 샤워헤드(10)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고리형 거치대(111)가 구비되며, 상기 고리형 거치대(111)와 일측에 연결되되 중앙 하부에 제1 삽입구(113)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삽입구(113)와 연통되는 제1 리벳공(114)이 형성된 원통형 유닛 바디(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리벳공(114)에 삽입되는 제1 리벳부재(141)가 구비된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
    플렉시블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스프링 자바라(121)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자바라(121)가 내부에 수납되는 자바라 줄(122)이 구비되며, 상기 자바라 줄(122) 내에 마련되되 스프링 자바라(121)와 함께 작용하며, 스프링 자바라(121)의 절곡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복수의 강도 유지부재(123)가 구비되고, 상기 자바라 줄(122)의 상하단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되 통공(125)이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샤워헤드 거치용 유닛(110)의 제1 삽입구(113)에 삽입되어 제1 리벳공(114)에 삽입되는 제1 리벳부재(141)가 상기 통공(125)에 체결됨으로써 사워헤드 거치용 유닛(110)에 고정되는 체결 브래킷(124)이 구비된 절곡상태 유지용 자바라 유닛(120);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수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 결합용 유닛(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결합용 유닛(130)은,
    중앙 상부에 상기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132)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스크루 샤프트(133)를 구비된 각형 유닛 바디(131);
    상기 각형 유닛 바디(131)의 스크루 샤프트(133)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135)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 삽입부(135)의 일측에 수전에 걸리는 밴드부(136)가 구비된 수전용 조임 밴드(134); 및
    상기 수전용 조임 밴드(134)의 샤프트 삽입부(135)에 상기 각형 유닛 바디(131)의 스크루 샤프트(133)가 결합된 때, 상기 스크루 샤프트(133)에 체결되는 너트(137)를 포함하며,
    상기 각형 유닛 바디(131)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각형 유닛 바디(131)의 제2 삽입구(132) 내에 절곡상태 유지용 자라바 유닛(120)의 타단부가 삽입된 때, 제2 리벳부재(142)가 각형 유닛 바디(1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리벳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 브래킷(124)의 통공(12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거치대.
KR1020170057922A 2017-05-10 2017-05-10 샤워기 거치대 KR10182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22A KR101823617B1 (ko) 2017-05-10 2017-05-10 샤워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22A KR101823617B1 (ko) 2017-05-10 2017-05-10 샤워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617B1 true KR101823617B1 (ko) 2018-01-31

Family

ID=6108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22A KR101823617B1 (ko) 2017-05-10 2017-05-10 샤워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74B1 (ko) * 2019-05-15 2020-06-08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KR102529685B1 (ko) 2022-06-09 2023-05-08 양경옥 샤워기 락 장치가 구비된 샤워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96Y1 (ko) * 2002-03-27 2002-07-02 김관식 플렉시블 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96Y1 (ko) * 2002-03-27 2002-07-02 김관식 플렉시블 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74B1 (ko) * 2019-05-15 2020-06-08 양성은 샤워기 거치대
KR102529685B1 (ko) 2022-06-09 2023-05-08 양경옥 샤워기 락 장치가 구비된 샤워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127B2 (en) Curved shower curtain rod assembly
KR101823617B1 (ko) 샤워기 거치대
US7707664B1 (en) Bathroom cleansing apparatus
CN211270384U (zh) 具有肩颈水单元的淋浴装置
KR101823621B1 (ko) 샤워기 거치대
CA1295094C (en) Movable shower assembly having an automatically retracting hose and a shower head capable of taking up multiple positions
KR20190087057A (ko) 샤워기 거치대
CA2735448C (en) Curved shower rod mounting system
KR20090009049U (ko) 샤워기 헤드 집게
KR20160026080A (ko) 의자 겸용 받침대
KR20190080401A (ko) 샤워수전
JP2005224540A (ja) 浴室用洗面器及び浴室用備品載置台
KR101922917B1 (ko) 샤워기 거치대
KR200400724Y1 (ko) 슬라이딩식 샤워기 걸이 장치
KR101134710B1 (ko) 샤워헤드 이동장치
KR200356296Y1 (ko) 부착식 샤워기 홀더
KR20120035652A (ko) 매립형 의자시스템
CN110870748B (zh) 一种电器水管固定结构及移动式洗碗机
KR200323913Y1 (ko) 샤워기 지지장치
CN209798912U (zh) 一种淋浴管固定座
JP2578883B2 (ja) シャワー装置
CN203290824U (zh) 用于盛放香皂的装置
KR101834161B1 (ko) 샤워용품 지지장치
JP3732786B2 (ja) シャワー装置
KR200383415Y1 (ko) 슬라이딩 방식의 이중 수건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