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69B1 - 의자를 구비한 욕조 - Google Patents

의자를 구비한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69B1
KR101963669B1 KR1020170092774A KR20170092774A KR101963669B1 KR 101963669 B1 KR101963669 B1 KR 101963669B1 KR 1020170092774 A KR1020170092774 A KR 1020170092774A KR 20170092774 A KR20170092774 A KR 20170092774A KR 101963669 B1 KR101963669 B1 KR 10196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thtub
groove
sides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247A (ko
Inventor
황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티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티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티마
Priority to KR102017009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의자를 구비한 욕조가 개시된다. 물을 저장할수있는 저수부를 갖는 욕조에 있어서, 일측벽에 형성된 수납부에 매립되어 보관될 수 있고, 사용할때만 꺼내어 발판으로 사용되거나 저수부에 삽입하여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욕조의 저수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욕조 바디의 일부위에 의자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욕조 내에 들어가거나 나올때 발판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의자의 탈부착 및 수납 보관이 용이하여 노약자나 어린이가 낙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를 구비한 욕조{Bathtub with folding chair}
본 발명은 의자를 구비한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신욕을 즐기면서 독서 등이 가능하도록 테이블로 활용되거나, 욕조에 들어가기 편하도록 발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의자를 구비한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욕실에 구비되는 욕조는 SMC(Sheet Molding Compound),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와 같이 성형 가능한 재료로써 가압 성형하여 욕조 를 이루고 있다.
근래에는 건강을 위해 가정에서 욕조를 이용한 반신욕이 큰 호응을 일으키고 있다.
반신욕은 몸의 절반 정도 즉, 배꼽 아랫부분을 따듯한 물에 담그는 목욕법으로 몸 속에 쌓여있는 노폐물과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건강을 유지하는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신욕은 배꼽 아래 부분을 따듯한 물에 담그는 것으로 체온보다 높은 37~39℃ 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약 20~30분 정도 입욕하는 것으로 주 2~3회 정도 규칙적으로 실시하면 몸 속에 쌓여있는 노폐물과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을 유지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신욕은 좁은 욕실 내의 욕조 물속에서 20~30분 정도 머물러야 하므로 매우 지루하고 무료한 면이 있고, 따라서 편하고 쾌적한 반신욕을 즐기지 못하고 억지로 참으면서 욕법을 지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반신욕의 확산과 함께 반신욕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욕조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덮개가 출시되어 있다.
덮개의 상부에 목욕 소품 또는 책, 음료 등을 탑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덮개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노인이나 어린이는 욕조에 들어가거나 나올때 높이가 높아서 낙상의 위험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070388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욕조의 저수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욕조 바디의 일부위에 의자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욕조 내에 들어가거나 나올때 발판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의자의 탈부착 및 수납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의자를 구비한 욕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부를 갖는 욕조에 있어서, 일측벽에 형성된 수납부에 매립되어 보관될 수 있고, 사용할때만 꺼내어 발판으로 사용되거나 저수부에 삽입하여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하는 욕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욕조의 측벽에 일정 깊이로 요입되어 형성되며,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결합홈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의자의 양측에는 결합홈 및 레일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는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다리와, 양측 다리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다리는 좌판의 양측에 각기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판의 양측에는 수납부의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욕조의 저수부는 의자의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고정홈이 양측에 대칭형성되며, 한쌍의 고정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욕조의 저수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욕조 바디의 일부위에 의자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욕조 내에 들어가거나 나올때 발판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의자의 탈부착 및 수납 보관이 용이하여 노약자나 어린이가 낙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분리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수납부에 삽입하기 직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수납부에 결합시켜 발판이 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II-I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저수부에 삽입하기 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저수부에 삽입하여 테이블로 사용되도록 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분리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수납부에 삽입하기 직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수납부에 결합시켜 발판이 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II-II'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저수부에 삽입하기 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조에서 의자를 저수부에 삽입하여 테이블로 사용되도록 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의자를 구비한 욕조(A)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부(120)를 갖는 욕조본체(100); 상기 욕조본체(100)의 일측벽에 형성된 수납부(300)에 매립되어 보관될 수 있고, 수납부(300)에서 꺼내어 발판으로 사용되거나 저수부(120)에 삽입하여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는 의자(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욕조본체(100)는 내측에 일정 깊이의 저수부(120)가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수있다.
상기 욕조본체(100)의 저수부(120)는 후술될 의자(200)의 돌기(260)가 끼움결합되는 고정홈(124)이 양측에 대칭 형성된다.
한쌍의 고정홈(124)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의자(200)의 양측에 돌기(260)가 각기 형성되며 이 한쌍의 돌기(260)가 저수부(120)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홈(124)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의자(200)의 위치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어 반신욕을 할때 입욕자가 자신에게 적합하게 의자(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욕조본체(100)의 측벽에는 의자(2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00)는 의자(200)의 좌판(220) 크기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즉 의자(200)를 세워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수납부(300)는 욕조본체(100)의 측벽에 일정 깊이로 요입되어 형성되며, 양측에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결합홈(310)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레일홈(320)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310)이 하부에 형성되고 레일홈(320)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레일홈(320)의 상단에는 돌기(260)가 삽입되도록 안착홈(330)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수납된 의자(200)는 돌기(260)가 안착홈(330)에 삽입되면 수납이 완료된다.
한편 결합홈(310)과 레일홈(320)이 이어지는 부위, 레일홈(320)과 안착홈(330)이 이어지는 부위는 돌기(260)가 수평이동하다가 수직이동해야하므로 걸림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곡선형의 커브구간(R)이 형성된다.
전술했듯이, 의자(200)의 양측에는 결합홈(310) 및 레일홈(320)에 삽입되는 돌기(260)가 형성된다.
더욱이 수납부(300)에 의자(200)의 탈착작동이 원활하게 실시될수 있도록 돌기(260)에는 베어링 또는 부싱이 형성되어 레일홈(320)을 주행하는 동안 구름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납부(300)의 일측에는 수용된 의자(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레버(15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의자(200)를 수납부(300)에 수납한 후 걸림레버(15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좌판(220)에 밀착되도록 하여 의자(200)가 불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잠글수 있다.
의자(200)는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다리(240)와, 양측 다리(2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판(220)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다리(240)는 좌판(220)의 양측에 각기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판(220)의 양측에는 수납부(300)의 결합홈(310)에 끼워지도록 돌기(260)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의자(200)를 수납부(300)에 수납하기 전에 다리(240)를 접어 좌판(220)에 밀착시킨다.
이후 의자(200)를 수평한 상태로 한 후 돌기(260)를 결합홈(310)에 삽입한 후 밀어서 레일홈(320)을 따라서 수직하게 자세가 전환되면서 수납부(300)에 삽입된다. 이후 잠금레버(150)를 돌려서 잠금상태가 된다.
사용하고자 할때는 수납부(300)에서 의자(200)를 꺼내어 다리(240)를 세운 후 수납부(300)에 좌판(220)의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하여 결합시켜 발판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의자(200)만 분리하여 욕실에서 앉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의자(200)를 저수부(120)에 결합시키면 반신욕 할때 책을 올려놓을수 있는 테이블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욕조본체 120 : 저수부
124 : 고정홈 200 : 의자
220 : 좌판 240 : 다리
260 ; 돌기 300 : 수납부
310 : 결합홈 320 ; 레일홈
330 ; 안착홈

Claims (5)

  1. 물을 저장할수있는 저수부를 갖는 욕조에 있어서,
    일측벽에 형성된 수납부에 매립되어 보관될 수 있고, 사용할 때만 꺼내어 발판으로 사용되거나 저수부에 삽입하여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는 의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욕조의 측벽에 일정 깊이로 요입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결합홈에는 상부를 향하도록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의 상단에는 안착홈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의자는,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 다리와, 양측 다리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다리는 좌판의 양측에 각기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판의 양측에는 수납부의 결합홈, 레일홈 및 안착홈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욕조의 저수부는 의자의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고정홈이 양측에 대칭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구비한 욕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레일홈이 이어지는 부위, 및 상기 레일홈과 안착홈이 이어지는 부위는 상기 돌기가 수평이동하다가 수직이동해야 하므로 걸림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곡선형의 커브구간(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구비한 욕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는 수용된 의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레버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구비한 욕조.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2774A 2017-07-21 2017-07-21 의자를 구비한 욕조 KR10196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74A KR101963669B1 (ko) 2017-07-21 2017-07-21 의자를 구비한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74A KR101963669B1 (ko) 2017-07-21 2017-07-21 의자를 구비한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47A KR20190010247A (ko) 2019-01-30
KR101963669B1 true KR101963669B1 (ko) 2019-04-01

Family

ID=6527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774A KR101963669B1 (ko) 2017-07-21 2017-07-21 의자를 구비한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201B1 (ko) 2019-04-16 2021-05-20 김은혜 이동식 환자용 욕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007A (ja) * 1994-05-10 1995-11-14 Sekisui Chem Co Ltd 腰掛付浴槽
KR100703880B1 (ko) 2005-07-05 2007-04-09 박윤구 의자가 부착된 욕조
KR20090051835A (ko) * 2007-11-20 2009-05-25 오일영 유아용 욕조
KR101248782B1 (ko) * 2010-10-06 2013-04-03 김현걸 매립형 의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247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866A (en) Movable bathtub for a baby
KR101963669B1 (ko) 의자를 구비한 욕조
JP6259193B2 (ja) 移動式節水・省エネ浴槽
US10433679B2 (en) Tub receptacle and bathing sling
US6854803B2 (en) Convertible bathroom furniture
US20140352053A1 (en) Bathtub Safety System
KR100723347B1 (ko)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욕조
KR20110017964A (ko) 욕조
US1115968A (en) Infant's portable bathing appliance.
KR100673210B1 (ko) 목욕용 욕조
KR101248782B1 (ko) 매립형 의자시스템
CN213247911U (zh) 一种廊架坐凳
KR200433943Y1 (ko)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CN214342021U (zh) 用于洗浴装置的储热体及其具有保温功能的洗浴装置
CN210185063U (zh) 一种折叠酒吧椅
KR101334810B1 (ko) 매립형 의자시스템
CN212117780U (zh) 组合式功夫茶保温杯
KR200419969Y1 (ko) 반신욕 덮개욕조
CN204812804U (zh) 可坐储物柜
KR20150129522A (ko) 포터블 접이식 욕조 겸용 테이블
CN210748934U (zh) 一种折叠式洗澡桶
CN206462562U (zh) 一种茶具收纳盒
JPS60185555A (ja) 手足温浴装置
JPH0440558Y2 (ko)
CN205126776U (zh) 带脱卸式头靠和手柄的桑拿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