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943Y1 -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943Y1
KR200433943Y1 KR2020060027566U KR20060027566U KR200433943Y1 KR 200433943 Y1 KR200433943 Y1 KR 200433943Y1 KR 2020060027566 U KR2020060027566 U KR 2020060027566U KR 20060027566 U KR20060027566 U KR 20060027566U KR 200433943 Y1 KR200433943 Y1 KR 200433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th
bathing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filed Critical 김성욱
Priority to KR2020060027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욕재가 수용되는 유아용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입욕재를 수용시킨 상태로 욕조 내부에 투입시키게 되며 목욕시 온천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물속에서 가지고 놀 수 있는 형태의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는 몸통커버와 날개커버 분리되는 구성이며, 상기 몸통커버 하측에는 입욕재를 수용시킨 받침 플레이트를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입욕재 부분이 물속에 잠길 수 있도록 다수의 요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몸통 커버는 격벽으로 구분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입욕재, 유아용 물놀이 기구, 목욕 용품

Description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Bath Tea bag}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잠금 버턴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버턴 커버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상부 커버
12. 하부 커버 13. 구멍
14. 튜브 15. 잠금 버턴
16. 버턴 커버 18. 여과망
19. 걸림턱 20. 나사부
21. 가이드 레일 22. 고정구
23. 고정구 24. 조립홈
본 고안은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입욕재를 수용시킨 상태로 욕조 내부에 투입시키게 되면 목욕시 온천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가지고 물속에서 놀 수 있는 형태의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목욕을 하는 경우 욕조에 따뜻한 물을 저장시킨 다음 사용자가 상기 욕조에 들어간 후, 목욕 용품으로 거품을 내거나, 아니면 시중에 판매되는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된다.
그리고, 유아들을 목욕시키는 경우 욕조 내부에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장난감 형태의 물놀이 기구를 함께 투입하여 유아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물에 적응할 수 있게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유아들이 사용하는 물놀이 기구중 입욕재를 보관하여 욕조에 함께 사용하는 제품이 개발되지 않은 관계로 인하여 유아들의 부모들은 별도의 입욕재와 또 다른 물놀이 기구를 각각으로 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집안에 있는 욕실에서는 보통의 온수를 사용하므로 온천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하여 별도의 연수기를 구입하거나, 아니면 고가의 목욕용품을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일회용 입욕재를 수용시킨 상태로 욕조 내부에 투입시키게 되면 목욕시 온천과 같은 분위기를 연 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가지고 물속에서 놀 수 있는 형태의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는 나사부를 갖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분리된 후, 튜브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하부커버 하측에는 입욕 티백을 수용시킬 수 있는 공간과 외부와 연결되는 여과망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나사부을 통하여 결합되는 하부 커버의 하측에는 잠금버턴을 구성하여 몸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요부인 잠금 버턴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버턴 커버을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고안은 욕조 내부에 채워진 물위에 뛰 울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몸체(10)는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로 각각 구성되며, 또한 부력을 발생하는 튜브(14)와 일체로 조립되는 구 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의 외측과 내측에는 나사부(20)를 형성하여 결합성을 용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의 사이에는 튜브(14)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튜브(14)는 하부 커버(12)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19)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12)의 내부 하측에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구멍(13)에는 망사 형태의 여과망(18)을 부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커버(12) 일측에는 잠금 버턴(15)의 가이드 레일(21)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고정구(22)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잠금 버턴(15)의 하측 조립홈(24)에는 도 6과 같은 버턴 커버(16)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 사이에 결합되는 튜브(14)는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하측으로 분리되어 조립되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는 동물 형상 및 유아들이 좋아하는 여러 형태의 캐릭터를 형성시켜 제품의 외형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12)의 저면에 형성된 여과망(18)으로는 물이 바로 유입되면서 입욕 티백에 함유된 성분이 욕조에 빠르게 유입될 수 있다.
다음, 하부 커버(12) 내부에 수용되는 입욕재는 일회용의 티백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0)는 튜브(14)에 의해 물위에 띄워 지면서 하부커버(12)에 수용된 입욕 티백 부분이 욕조에 채워진 물을 온천과 같은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입욕재 티백은 녹차잎, 아르마향, 샤워용 비누, 거품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욕조에 들어간 어린이는 상기 몸체(10)를 가지고 놀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은 별도의 놀이도구 없이 목욕을 보다 흥미롭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 부분이 튜브(14)와 일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몸체(1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12) 내부에는 티백 형태의 입욕 티백을 수용시켜 물속에 잠길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물속에 담겨진 입욕 티백은 그 특유의 성분을 물속에 지속적 공급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입욕 티백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몸체(10)에 결합된 잠금 버턴(15)을 풀고 나사부(20)를 갖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를 분리 시킨 후, 새로운 입욕 티백을 삽입과 함께 다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몸체(10)는 욕조에 채워진 물 위에 둥둥 뜨므로 유아 및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물놀이 용구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입욕재의 사용방법과는 별개로 어린이들의 물놀이 용구로도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몸체와 조립되는 튜브 및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입욕 티백을 다양한 재료로 형성하여 수시로 교환이 가능한 효과와 함께 물에 직접 닿을 수 있어 물에 잘 녹여주어 온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입욕재를 갖는 목욕용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나사부를 갖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분리된 후, 튜브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하부커버 일측에는 입욕 티백을 수용시킬 수 있는 공간과 외부와 연결되는 여과망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나사부를 통하여 상부커버와 결합되는 하부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구에는 버턴 커버를 갖는 잠금버턴을 결합하여 상기 몸체가 임의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KR2020060027566U 2006-09-29 2006-09-29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KR200433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566U KR200433943Y1 (ko) 2006-09-29 2006-09-29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566U KR200433943Y1 (ko) 2006-09-29 2006-09-29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943Y1 true KR200433943Y1 (ko) 2006-12-14

Family

ID=4178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566U KR200433943Y1 (ko) 2006-09-29 2006-09-29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9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97A1 (ko) * 2015-12-26 2017-06-2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물놀이용 장난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497A1 (ko) * 2015-12-26 2017-06-2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물놀이용 장난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0828B2 (ja) 幼児用移動式歯磨き台
KR200433943Y1 (ko) 유아용 입욕 티백의 사용기구
US3261651A (en) Nursery bathette
KR200399521Y1 (ko) 입욕재가 수용되는 유아용 물놀이 기구
US20140352053A1 (en) Bathtub Safety System
US20140338116A1 (en) Child bathing activity center
US6663458B1 (en) Tub toy receptacle
US20110296605A1 (en) Oral Hygiene Station for Children
KR10151079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963669B1 (ko) 의자를 구비한 욕조
KR20100000581U (ko) 물티슈 케이스
US1487341A (en) Child's combination crib and bed
CN104224000A (zh) 一种婴幼儿用的多功能洗澡池
KR970002153Y1 (ko) 다용도 어린이 학습대
WO2006115404A1 (en) Device for bathing or washing a baby or a young child
KR200345813Y1 (ko) 착탈이 가능한 분리형 유아 욕조
TWM531242U (zh) 浴盆結構
KR200173721Y1 (ko) 유아용 욕조
CN210645149U (zh) 多功能洗碗玩具
WO2005055789A1 (en) Portable bathing apparatus
US2664208A (en) Separating enclosure for towel racks
JP2914482B2 (ja) 浴室のベンチユニット
KR100320254B1 (ko) 유아용 욕조
KR101411486B1 (ko) 유아용 다기능 양치대
JP3052063B2 (ja) 幼児用シャワ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