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686B1 -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686B1
KR101248686B1 KR1020060133747A KR20060133747A KR101248686B1 KR 101248686 B1 KR101248686 B1 KR 101248686B1 KR 1020060133747 A KR1020060133747 A KR 1020060133747A KR 20060133747 A KR20060133747 A KR 20060133747A KR 101248686 B1 KR101248686 B1 KR 10124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internal
blower
bell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875A (ko
Inventor
조중원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6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5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팬이 장착되는 공간에 따른 레이아웃에 관계없이 송풍팬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 마우스와 벨 마우스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필터 사이에 일정 간격 이상을 확보하여 공기 유입시 소음을 저감하고 풍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송풍팬(21)이 설치된 스크롤 케이스(20)의 상부에,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 상기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축(13a)에 의해 회전하는 내외기전환도어(13);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벨 마우스(24);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와 상기 벨 마우스(24) 사이의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삽입구(14)를 통하여 장착된 공기 여과용 에어필터(30);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필터(30)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에 소정의 간격(G1, G2)을 갖도록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5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51)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50a)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 공조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의 회전축(13a)과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회전축(50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공조장치, 송풍장치, 인테이크 케이스, 내기, 외기, 도어, 필터, 벨 마우스, 승강, 간격, 소음, 풍량

Description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Blower Unit for Car 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필터 승강용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에 내외기전환도어와 승강용 지지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필터 승강용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Air Intake Duct)
11 : 내기유입구
12 : 외기유입구
13 : 내외기전환도어
13a : 회전축
14 : 필터삽입구
20 :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21 : 송풍팬
24 : 벨 마우스(Bell-mouth)
30 : 에어필터(Air Filter)
50 : 필터승강용 지지부재
51 : 지지부
50a : 회전축
67 : 액츄에이터
G1, G2 : 간격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송풍팬이 장착되는 공간에 따른 레이아웃에 관계없이 송풍팬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 마우스와 벨 마우스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필터 사이에 일정 간격 이상을 확보하여 공기 유입시 통기저항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고 풍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외 공기를 도입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그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 차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자동차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공기(이하, 간단히 내기 또는 외기라고 함)를 도입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송풍장치는, 차량의 내기의 유동통로와 연결되는 내기유입구(11), 차량의 외기의 유동통로와 연결되는 외기유입구(12), 상기 내기유입구(11)와 상기 외기유입구(1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전환도어(13)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Air Intake Case, 1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21)을 구비한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20)와; 상기 송풍팬(21)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전동모터(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내의 유입실(10a)과 상기 스크롤 케이스(20)내의 송풍실(20a)을 연통시키는 흡입구(23)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 마우스(Bell-mouth, 24)가 상기 흡입구(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 중의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필터(Air Filter, 30)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와 송풍팬(21) 사이에 형성된 필터삽입구(14)를 통하여 삽입 설 치되며, 상기 필터삽입구(14)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31)에 의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필터(30)는 그 필터삽입구(14)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그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축공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3a)은, 자동차 실내 전방에 위치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상에 설치된 공조 컨트롤러(Air-Conditioning Controller)의 송풍모드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축(13a)의 일단부에는 회전축(13a)에 연결된 링크아암(Link Arm, 41)이 연결되고, 상기 링크아암(41)의 타단부는, 핀(Pin, 41a)에 의해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외벽면에 힌지축(Hinge Axle, 4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크레버(Link Lever, 4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레버(42)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축(42a)을 중심으로 링크레버(42)를 회전시키도록 케이블(Cable, 미도시)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 미도시)의 구동수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전동모터(22)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21)을 회전시키면,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벨 마우스(24)를 거쳐 스크롤 케이스(20)의 송풍실(20a)로 유입된 후, 송풍팬(21)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 케이스(20)의 송풍덕트(25)에 연결된 공조케이스(미도시)쪽으로 송풍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송풍장치는,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내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필터(30)를 통과하여 벨 마우스(24)를 거치면서 스크롤 케이스(20)의 송풍실(20a)로 유입될 때, 소음을 일으킴이 없이 공기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의 일정한 간격(도 3의 간격(G1) 참조)을 유지하여야 하나,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 케이스(20)내에 송풍팬(21)이 장착되는 공간, 즉 레이아웃(Layout)에 따라 그러한 간격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에어필터(3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벨 마우스(24)에 바로 부딪히면서 통기저항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송풍실(20a)로의 유입 공기 손실에 따른 풍량이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송풍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팬이 장착되는 공간에 따른 레이아웃에 관계없이 송풍팬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 마우스와 벨 마우스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필터 사이에 일정 간격 이상을 확보하여 공기 유입시 통기저항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고 풍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된 스크롤 케이스의 상부에,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 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
상기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내외기전환도어;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벨 마우스;
상기 내외기전환도어와 상기 벨 마우스 사이의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삽입구를 통하여 장착된 공기 여과용 에어필터;
상기 에어필터와 벨 마우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필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필터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에어필터와 벨 마우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에어필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
공조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기 내외기전환도어의 회전축과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의 회전축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의 한 쌍의 지지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그 각각의 선단부는 상기 벨 마우스의 만곡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벨 마우스측으로 하향 만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삽입구는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가 상하향이동되는 정도의 공간 높이를 갖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에 의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필터 승강용 지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에 내외기전환도어와 승강용 지지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서 필터 승강용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송풍장치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송풍팬(21)이 설치된 스크롤 케이스(20)의 상부에,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와, 상기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축(13a)에 의해 회전하는 내외기전환도어(13)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벨 마우스(24)와,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와 상기 벨 마우스(24) 사이의 상 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삽입구(14)를 통하여 장착된 공기 여과용 에어필터(30)을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한 것이므로, 그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그 상위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에는,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필터(30)를 승강시키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가 초기 설치위치, 즉 정지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의 간격(G1)을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5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51)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50a)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축(50a)은 내외기전환도어(13)의 회전축(13a)과 마찬가지로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양측벽에 형성된 또 다른 축공을 통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한 쌍의 지지부(51)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그 각각의 선단부는 상기 송풍팬(21)과 간섭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51)의 선단부는 상기 벨 마우스(24)의 만곡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벨 마우스(24)측으로 하향 만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는 후술하는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와 연동하면서 상기 에어필터(30)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승강작용에 따라 상기 간격(G1)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간격(G1)은,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가 회전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선단부가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향으로 들어올릴 때 초기 설정된 간격보다 커지게 된다. 여기서, 초기 설정된 간격이란,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가 초기 설치된 상태에서 정지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며, 이때의 간격이 최소간격(G1)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정지위치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가 내기모드(외기유입구(12)가 내기전환도어(13)에 의해 차단되어 내기유입구(11)를 통하여 내기만을 유입하는 모드)와 외기모드(내기유입구(11)가 내기전환도어(13)에 의해 차단되어 외기유입구(12)를 통하여 외기만을 유입하는 모드)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간격(G1)은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가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최대각으로 회전되는 작동위치(이하, 간략히 '최대 작동위치' 라고 함)에 있을 때 최대간격(G2, 도 6 참조)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최대 작동위치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가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였을 때의 위치이다.
특히, 상기 필터삽입구(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30)가 상하향이동되는 정도의 공간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기구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전환도어(13)와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각 회전축(13a, 50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아암(61, 62)과,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링크아암(61, 62)에 핀(61a, 62a)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아암(61, 62)을 순차적으로 연동시키는 부메랑 형상의 제1 및 제2 링크레버(63, 64)와, 서로 간격을 두고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슬롯(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링크레버(63, 64)의 타단부를 다른 핀(63a, 64a)에 의해 연결하는 대략 원판형의 캠(65)과, 상기 캠(65)의 중심부에 모터 구동축(66)에 의해 연결되는, 내부에 전동모터(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는 전동식 액츄에이터(6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67)는, 에어 인테이크 조케이스(10)의 외벽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외벽면에 돌출 설치된 보스(Boss)에 연결하여 고정스크류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에는 이러한 구동기구의 액츄에이터(67)가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외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동기구의 구성에 의하면, 내외기전환도어(13)와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를 한 개의 액츄에이터와 한 개의 캠에 의해 한 번의 작동으로 내외기모드 선택과 에어필터(30)의 승강작용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으므로, 공조장치를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자동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상에 설치된 공조컨트롤러의 송풍모드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액츄에이터(67)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가 회전축(13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내기유입구(11) 또는 외기유입구(11)를 폐쇄하게 된다. 일례로, 도 6은 내외기전환도어(13)에 의해 외기유입구(12)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내기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는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와 한 개의 액츄에이터(67)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가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를 선택할 때, 함께 작동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에어필터(30)를 필터삽입구(14)의 최대높이까지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의 간격은 최대간격(G2)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내외기모드 선택시에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필터(30)를 통과하자마자 벨 마우스(24)에 부딪히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되므로, 종전과 같이 통기저항에 따른 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그에 따라 유입 공기의 손실에 따른 풍량 감소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삽입구(14)의 높이를 조정하고, 그 필터삽입구(14)에 삽입 설치되는 에어필터(30)를 지지하면서 내외기모드 선택시 승강작용을 하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를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송풍팬이 장착되는 공간에 따른 레이아웃에 관계없이 송풍팬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한 벨 마우스와 벨 마우스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필터 사이에 간격을 일정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기 유입시 소음을 저감하고 풍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송풍팬(21)이 설치된 스크롤 케이스(20)의 상부에,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
    상기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회전축(13a)에 의해 회전하는 내외기전환도어(13);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로부터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측으로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벨 마우스(24);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와 상기 벨 마우스(24) 사이의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필터삽입구(14)를 통하여 장착된 공기 여과용 에어필터(30);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필터(30)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에어필터(30)와 벨 마우스(24) 사이에 소정의 간격(G1, G2)을 갖도록 상기 에어필터(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5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51)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50a)으로 이루어지는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
    공조컨트롤러의 조작에 따라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의 회전축(13a)과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회전축(50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한 쌍의 지지부(51)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그 각각의 선단부는 상기 벨 마우스(24)의 만곡부에 걸쳐지도록 상기 벨 마우스(24)측으로 하향 만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삽입구(14)는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에 의해 상기 에어필터(30)가 상하향이동되는 정도의 공간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G1, G2)은,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필터승강용 지지부재(50)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20060133747A 2006-12-26 2006-12-26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124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747A KR101248686B1 (ko) 2006-12-26 2006-12-26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747A KR101248686B1 (ko) 2006-12-26 2006-12-26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875A KR20080059875A (ko) 2008-07-01
KR101248686B1 true KR101248686B1 (ko) 2013-03-28

Family

ID=3981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747A KR101248686B1 (ko) 2006-12-26 2006-12-26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35B1 (ko) * 2011-06-22 2014-06-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361A (ja) * 1995-12-08 1997-06-17 Calsonic Corp 空調機用フィルタ
JP2601274Y2 (ja) 1993-06-18 1999-11-15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清浄器
KR20000001040U (ko) * 1998-06-19 2000-01-15 신영주 자동차용블로어유니트에어필터조립안내장치
KR100462576B1 (ko) 2002-11-23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274Y2 (ja) 1993-06-18 1999-11-15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清浄器
JPH09156361A (ja) * 1995-12-08 1997-06-17 Calsonic Corp 空調機用フィルタ
KR20000001040U (ko) * 1998-06-19 2000-01-15 신영주 자동차용블로어유니트에어필터조립안내장치
KR100462576B1 (ko) 2002-11-23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875A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3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145128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124868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110038403A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JP201105708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KR100895074B1 (ko) 공기조화기
KR10094761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58419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도어 구조
KR2011001921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85539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365016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20110019218A (ko) 공기조화기
KR100429647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0907427B1 (ko) 공기조화 장치의 캠 및 구동유닛 조립체
KR10063361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365530Y1 (ko) 차량용송풍기의덕트조립체
KR100942529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0917580B1 (ko) 혹서지 차량용 송풍 유니트
KR20180047148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50104116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378527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의 에어 인테이크 덕트
CN100375865C (zh) 整体式空调器的换气窗驱动装置
KR101702111B1 (ko) 팝업형 에어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