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482B1 -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482B1
KR101248482B1 KR1020110093215A KR20110093215A KR101248482B1 KR 101248482 B1 KR101248482 B1 KR 101248482B1 KR 1020110093215 A KR1020110093215 A KR 1020110093215A KR 20110093215 A KR20110093215 A KR 20110093215A KR 101248482 B1 KR101248482 B1 KR 10124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cassette
housing
upper housing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858A (ko
Inventor
조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인
Priority to KR102011009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4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47Drilling of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 조립체의 비트가 자동으로 수납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과; 상기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복수의 비트가 배열된 카세트 조립체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복수의 비트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동 경로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누름핀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Separation device for circuit board drilling bit}
본 발명은,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 조립체의 비트가 자동으로 수납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제조에는 회로기판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회로기판은 도전선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만능기판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회로기판은 용이하게 소자를 고정시킨 후 다른 소자와 연결하기 위하여, 소자의 핀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홀이 다수 개 형성되는데, 매우 작은 직경의 비트(bit)를 드릴에 연결하여 구멍을 뚫게 된다.
이러한 천공(穿孔) 공정을 다수 회 반복 실시하다 보면 비트의 선단부가 마모되고, 선단부가 마모되어 무뎌진 비트는 천공점을 정확히 관통하기 어렵고, 또한 천공된 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선단부가 마모된 비트는 교체하여 사용하는데, 비트의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새로운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교체된 비트의 선단부를 연마하여 재사용하여 왔다.
이때, 교체된 비트는 통상 카세트(Cassette)라 불리우는 긴 바(bar) 형상의 수납 장치에 일렬로 배열되어 수납되는데, 비트의 날 부분은 매우 가늘어서 이송 중 부러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카세트를 다수 개 삽입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카세트 베이스에 카세트를 삽입하여 카세트 조립체의 형태로 연마 공정까지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이송된 비트는 각개로 분리하여 연마기기에 넣어 연마하여야 하므로 상술한 카세트 조립체로부터 각각의 비트를 분리하는 분리과정을 거쳐야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카세트 조립체로부터 카세트를 분리하고, 카세트로부터 비트를 분리하고, 분리된 비트를 수납 케이스에 배열하는 과정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진행해야만 하였다. 이러한 분리과정은 통상 분업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최소 3인 이상의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고, 분리과정에 날카로운 비트의 날 때문에 항상 부상의 위험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세트 조립체의 비트가 자동으로 수납 케이스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과; 상기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복수의 비트가 배열된 카세트 조립체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복수의 비트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동 경로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누름핀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에 복수의 비트가 배열된 카세트 조립체가 장착되고, 레일 위를 왕복하되 상부 하우징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 하부 하우징에 복수의 비트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 케이스가 장착되어서, 프레스의 누름핀이 카세트 조립체의 비트를 아래로 밀어서 수납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카세트 조립체의 비트가 자동으로 수납 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건비가 절약되고, 수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속도가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카세트 조립체의 배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가이드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가이드의 배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상부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하부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카세트 조립체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가이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100)과, 레일(100) 위를 상호 교행하여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과, 상부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카세트 조립체(400)와, 하부 하우징(300)에 장착되는 수납 케이스(500) 및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의 이동 경로 상부에 구비되어서 카세트 조립체(400)의 비트(430)를 아래로 밀어서 수납 케이스(500)에 수납될 수 있도록 승하강되는 누름핀(610)이 구비된 프레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100)은,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이 레일(100)을 따라 상호 교행(交行)하여 왕복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교행이라 함은 하부 하우징(300)이 상부 하우징(200)의 하부를 통과하여 지나쳐가는 것을 뜻한다.
레일(100)은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된 설치대(10)의 상부에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레일(100)이 구비되어서 내측 2개의 레일(100)은 하부 하우징(30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외측 2개의 레일(100)은 상부 하우징(20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레일(100)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내측 레일(100)은 하부 하우징(300)이 상부 하우징(200)의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고, 외측 레일(100)은 하부 하우징(300)에 장착된 수납 케이스(500)를 탈착할 때 작업에 방해가 없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내측 레일(100) 및 외측 레일(100) 상호간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의 상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에는 상부 하우징(200) 또는 하부 하우징(300)의 각 받침다리(260, 36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각 레일(100)의 끝단부에는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의 롤러(270, 370)가 레일(10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멈춤구(110)가 구비되며, 레일(100)의 일측에는 등간격으로 위치 추적용 홈(미도시)이 다수 형성되어 하술할 위치 결정자(290, 390)에 구비된 센싱수단(미도시)이 위치 추적용 홈의 이동 갯수를 카운트하여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모터(150) 및 제 2 모터(160)는 설치대(10)에 고정되어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에 이동 동력을 제공한다.
제 1 모터(150) 및 제 2 모터(160)는 각각 동력 전달부(155, 165)가 구비되는데, 동력 전달부(155, 165)는 하술할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에 구비되는 상부 위치결정자(290) 및 하부 위치결정자(390)에 연결된다. 동력 전달부(155, 165)는 스크류, 체인, 기어 등 모터의 회전 운동을 각 위치결정자(290, 390)의 수평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공지의 여러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 1 모터(150) 및 제 2 모터(160)는 스탭 모터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량이 조절되어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의 이동 거리가 결정된다.
상부 하우징(200)은 레일(100)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레일(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카세트 조립체(400)가 장착되어서 상부의 프레스(600)에 의해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200)은 일측이 절개된 판형의 상부 베이스(210)와, 상부 베이스(210)의 네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받침다리(260)와, 각 상부 받침다리(260)의 하부에 결합되어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롤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베이스(21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평면도상 'ㄷ'자 형상을 이루며, 절개부에 카세트 조립체(400)가 삽입될 공간이 형성된다. 절개부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 방향으로, 즉, 'ㄷ'자 형상의 폐쇄부로부터 개방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이 연장 형성되며,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의 양 측면에는 카세트 조립체(4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체 장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의 양측면에도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이 구비되는데, 양측면에 구비되는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은 테두리의 역할을 하므로 일측에만 조립체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의 사이에 카세트 조립체(400)가 삽입될 때 균일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의 내측 단부 사이를 잇는 멈춤 프레임(23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의 조립체 장착홈을 따라 삽입된 카세트 조립체(400)를 멈춤 프레임(230)에 밀착되도록 삽입시키면 각 카세트 조립체(400)가 동일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고, 각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의 오와 열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두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의 사이에는 카세트 조립체(400)를 받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조립체 받침 프레임(240)이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과 마찬가지로 절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조립체 받침 프레임(240)은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에 카세트 조립체(400)가 삽입되었을 때 카세트 조립체(400)의 하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보다 약간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스(600)의 누름핀(610)이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를 눌러 탈거할 때 카세트 조립체(400)가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기 작동 중 진동 등에 의하여 카세트 조립체(400)가 삽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도로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카세트 조립체(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베이스(210)의 절개부 외측방향에 절개부를 폐쇄하는 식으로 차단 프레임(2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차단 프레임(250)은 조립체 삽입 프레임(220)의 외측 단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카세트 조립체(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카세트 조립체(400)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베이스(210)에는 차단 프레임(2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의 양 측면 일측에 차단 프레임 삽입홈(28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 프레임 삽입홈(280)에는 차단 프레임(2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핀(285)이 구비된다. 이때, 차단 프레임(250)의 양 단부에는 상술한 고정핀(285)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핀 삽입홈(255)이 형성된다.
상부 받침다리(260)는 상부 베이스(210)의 네 모서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상부 받침다리(260)의 하부에는 상부 롤러(270)가 결합되어서 레일(100) 위를 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상부 받침다리(260)의 길이는 상부 베이스(210)가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부 베이스(210) 또는 상부 받침다리(260)의 일측에는 제 1 모터(15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부 하우징(200)이 왕복할 수 있도록 상부 위치결정자(290)가 구비된다. 상부 위치결정자(290)는 제 1 모터(150)의 제 1 동력 전달부(155)의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제 1 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며, 스크류 홈, 체인, 기어 등 제 1 모터(150)의 회전운동을 상부 하우징(200)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공지의 여러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상부 위치결정자(290)는 상부 하우징(2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센싱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부 하우징(200)이 이동될 때 레일(10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위치 추적용 홈이 지나쳐 간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부 하우징(2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기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등도 가능하다.
하부 하우징(300)은 레일(100)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레일(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 하우징(200)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에 수납 케이스(500)가 장착되어서 프레스(600)에 의해 카세트 조립체(400)로부터 분리된 비트(430)가 수납 케이스(50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하우징(300)은 판형의 하부 베이스(310)와, 하부 베이스(310)의 네 모서리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받침다리(360)와, 각 하부 받침다리(360)의 하부에 결합되어 레일(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롤러(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 베이스(31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수납 케이스(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 홈(320)이 형성된다. 이때, 수납 케이스(500)가 더욱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부 하우징(300)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브라켓(330)이 더 구비된다.
하부 받침다리(360)는 하부 베이스(310)의 네 모서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 하부 받침다리(360)의 하부에는 하부 롤러(370)가 결합되어서 레일(100) 위를 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하부 받침다리(360)의 길이는 하부 베이스(310)가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부 베이스(310) 또는 하부 받침다리(360)의 일측에는 제 2 모터(16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하부 하우징(300)이 왕복할 수 있도록 하부 위치결정자(390)가 구비된다. 하부 위치결정자(390)는 제 2 모터(160)의 제 2 동력 전달부(165)의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제 2 동력 전달부(165)와 결합되며, 스크류 홈, 체인, 기어 등 제 2 모터(160)의 회전운동을 하부 하우징(300)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공지의 여러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하부 위치결정자(390)는 하부 하우징(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센싱수단(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하부 하우징(300)이 이동될 때 레일(10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위치 추적용 홈이 지나쳐 간 개수를 카운트하여 하부 하우징(3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기준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등도 가능하다.
카세트 조립체(400)는 조립체 베이스(410)와, 조립체 베이스(41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카세트(420) 및 카세트(420)에 열을 이루어 삽입되는 복수개의 비트(430)로 구성된다. 즉, 카세트 조립체(400)에는 복수개의 비트(430)가 열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부 하우징(200)에 장착되어서 프레스(600)가 하강할 때 누름핀(610)에 의해 비트(430)가 하부 방향으로 분리된다.
조립체 베이스(410)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며, 카세트(4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카세트 삽입홈(411)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카세트 삽입홈(411)은 하부 방향이 'ㄷ'자로 절개된 형태로 하부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밀착되게 삽입된 카세트(420)가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카세트 삽입홈(411)의 내측에 조립체 돌기(4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조립체 베이스(410)의 상부면에는 프레스(600)의 누름핀(610)이 관통하여 비트(430)를 밀어낼 수 있도록, 삽입된 카세트(420)의 카세트 홀(425)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체 홀이 형성된다. 조립체 홀은 카세트 홀(425)과 대응되게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카세트 홀(425)이 노출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프레스(600)의 누름핀(610)이 관통하여 비트(430)를 밀어낼 수 있도록 카세트 홀(425)이 외부에 노출되되 조립체 베이스(4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에서 적절하게 형성되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카세트(420)는 긴 막대 형상으로 복수의 카세트 홀(425)이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서 카세트 홀(425)에 비트(430)가 열을 지어 삽입되며, 조립체 베이스(410)의 카세트 삽입홈(411)에 삽입 장착된다. 이때 카세트(420)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는 조립체 베이스(410)의 조립체 돌기(4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체 돌기 삽입홈(422)이 형성되어서 카세트(420)가 조립체 베이스(410)에 삽입된 후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비트(430)는 카세트(420)의 카세트 홀(425)에 삽입되며, 삽입된 비트(430)는 카세트(420)의 형상으로 인해 일렬로 열을 이루게 된다. 비트(430)는 몸체(431)의 끝단이 카세트(42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카세트(42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카세트(420)가 조립체 베이스(410)에 삽입될 때 카세트 삽입홈(411)의 상부면에 비트(430)의 몸체(431)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카세트(420)가 조립체 베이스(410)에 삽입되어 카세트 조립체(400)를 구성할 때 비트(430)의 선단부는 하부 방향을 가리키고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레스(600)의 누름핀(610)이 하강하여 비트(430)를 밀어 탈거시킬 때 비트(430)의 몸체(431)를 밀어 탈거하게 되므로 비트(430)의 날(43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납 케이스(500)는 두꺼운 판형의 사각틀에 복수의 비트 수납홀(505)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부 하우징(300)에 장착되어서 상부 하우징(200)의 카세트 조립체(400)로부터 분리된 비트(4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비트 수납홀(505)은 상부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비트(4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카세트(420)의 카세트 홀(42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의 중간이 좁아져 비트(430)의 몸체(431)가 걸리도록 하여 비트(430)의 선단부가 충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비트 수납홀(505)의 위치는 하나의 열에 형성되는 각 홀간의 간격 및 위치가 카세트 홀(42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뜻하며, 각 열간의 간격은 카세트(420)의 간격과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카세트(420)와 비트 수납홀(505)의 하나의 열을 대응시켜 비트(43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이 이동되는 거리가 같지 않을 수 있게되고, 이는 제 1 모터(150) 및 제 2 모터(160)의 회전량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비트 수납홀(505)의 직경은 삽입된 비트(4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트(430)의 몸체(431) 직경과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탈거된 비트(430)가 기기의 진동 등에 의해 비트 수납홀(505)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탈거된 비트(430)가 수납 케이스(500)의 비트 수납홀(50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 케이스(500)의 상부에 가이드(5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가이드(550)는 복수의 가이드 홀(555)이 형성된 판형의 사각틀로 이루어지며, 테두리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되, 테두리의 내주연과 수납 케이스(500)의 외주연이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550)는 수납 케이스(500)의 상부면을 감싸 덮는 형태로 수납 케이스(500)에 거치되며, 수납 케이스(500)의 비트 수납홀(505)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홀(555)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홀(555)은 종단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탈거된 비트(430)가 상부의 넓은 입구로 진입하여 하부로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가이드(550)가 수납 케이스(500)에 거꾸로 거치될 경우 가이드 홀(555)과 비트 수납홀(505)이 상호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550)의 하부 일측에 방향핀(556)이 돌출 형성되고, 수납 케이스(500)의 상부 일측에는 가이드(550)의 방향핀(556)과 대응되는 위치에 방향홀(506)이 형성되어서, 가이드(550)를 수납 케이스(500)에 거치할 때 방향핀(556)이 방향홀(506)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방향이 뒤바뀌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
프레스(600)는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의 이동 경로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누름핀(610)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서, 누름핀(610)이 하강할 때 상부 하우징(200)에 장착된 카세트 조립체(400)의 비트(430)가 밀려 하부 방향으로 탈거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스(600)는 누름핀(610)과, 누름핀(610)이 고정된 장착부(620), 누름핀(610)의 상하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승강부(625), 승강부(625)에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630) 및 본체(630)가 설치되는 지지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누름핀(610)은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의 열, 즉, 카세트(420)의 카세트 홀(425)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승강부(625)가 하강할 때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의 한 열을 밀어 비트(430)가 하부 방향으로 탈거되도록 한다.
승강부(625)는 위 아래로 이동하여 누름핀(610)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630)는 승강부(625)에 동력을 제공하고 승강부(625)의 상승시 승강부(6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승강부(625)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00)은 외측 레일(100) 위를 왕복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하우징(300)은 내측 레일(100) 위를 왕복하도록 구성되어, 하부 하우징(300)이 상부 하우징(200)의 하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이 서로 교행하며 이동되다가 상부 하우징(200)에 장착된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의 한 열이 하부 하우징(300)에 장착된 수납 케이스(500)의 비트 수납홀(505)의 한 열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일시 정지된 후 상부 하우징(200)의 상부에 구비된 프레스(600)가 하강하여 카세트 조립체(400)에 배열된 비트(430)의 한 열을 눌러 비트(430)를 하부 방향으로 탈거하게 되고, 탈거된 비트(430)는 수납 케이스(500)에 형성된 비트 수납홀(505)에 수납된다. 이후 프레스(600)가 상승하면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은 다시 교행하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어지는 비트(430)의 한 열이 수납 케이스(500)의 이어지는 비트 수납홀(505)의 한 열과 일치되는 위치에 다시 일시 정지된 후 프레스(600)가 하강하여 비트(430)를 분리하여 수납 케이스(500)에 수용되도록 하는 반복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은 프레스(600)의 누름핀(610)이 설치된 위치에서 비트(430)와 비트 수납홀(505)의 한 열이 일치되도록 일시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부 하우징(200) 또는 하부 하우징(300)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프레스(600)의 누름핀(610)이 설치된 위치에 도달한 후 먼저 일시 정지하여 다른 하나가 도착할 때까지 대기할 수도 있다.
100 : 레일 200 : 상부 하우징
300 : 하부 하우징 400 : 카세트 조립체
500 : 수납 케이스 600 : 프레스

Claims (6)

  1.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과;
    상기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레일 위를 왕복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복수의 비트가 배열된 카세트 조립체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되며, 복수의 비트 수납홀이 형성된 수납 케이스;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동 경로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누름핀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프레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조립체는, 복수의 비트가 삽입된 카세트와, 복수의 상기 카세트가 상호 평행하게 삽입되는 조립체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의 상부에 거치되되, 상기 수납 케이스의 비트 수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분리된 비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종단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부 일측에 방향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하부 일측에 방향핀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수납 케이스에 거치되는 방향이 일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레일 위를 왕복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와, 상기 하부 하우징이 상기 레일 위를 왕복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센싱수단이 구비된 위치 결정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KR1020110093215A 2011-09-16 2011-09-16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KR10124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215A KR101248482B1 (ko) 2011-09-16 2011-09-16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215A KR101248482B1 (ko) 2011-09-16 2011-09-16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858A KR20130029858A (ko) 2013-03-26
KR101248482B1 true KR101248482B1 (ko) 2013-03-28

Family

ID=4817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215A KR101248482B1 (ko) 2011-09-16 2011-09-16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831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트 자동인식 조립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72B1 (ko) * 2013-10-23 2015-06-04 비나텍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케이스 천공 장치
CN112476619B (zh) * 2020-12-16 2023-05-09 固安恩喜友电路板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板辅助钻孔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671A (ja) * 1994-04-28 1995-11-14 Kokusai Electric Co Ltd ドリルリングの抜脱装置
KR20000072375A (ko) * 2000-08-31 2000-12-05 오석기 피시비 기판의 홀 가공용 드릴에 체결된 스톱링의분리방법및 그 장치
KR20100020299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유비셀 캐리어에 탑재된 피씨비 기판 분리 및 포장용기수납 겸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671A (ja) * 1994-04-28 1995-11-14 Kokusai Electric Co Ltd ドリルリングの抜脱装置
KR20000072375A (ko) * 2000-08-31 2000-12-05 오석기 피시비 기판의 홀 가공용 드릴에 체결된 스톱링의분리방법및 그 장치
KR20100020299A (ko) * 2008-08-12 2010-02-22 주식회사 유비셀 캐리어에 탑재된 피씨비 기판 분리 및 포장용기수납 겸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831A (ko) 2022-08-12 2024-0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트 자동인식 조립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858A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482B1 (ko) 기판 천공용 비트 분리장치
KR20080005988U (ko) 드릴장치
CN109632430B (zh) 一种电缆绝缘层哑铃样品制样设备
JP2020031620A (ja) パイナップル切断装置及び方法
KR20150000412U (ko) 육류절단장치
KR200472788Y1 (ko) 모터 고정자 권선코일 분리 장치
CN113070961B (zh) 一种用于智能制造的板材冲孔设备
CN211331427U (zh) 一种用于多孔筛板的打孔机
KR20160051275A (ko) 앵글 펀칭장치
JP2006315092A (ja) トリミング装置
KR100809534B1 (ko) 멤브레인 절단 장비 및 절단 방법
KR101505451B1 (ko) 인쇄회로기판 절단 장치
KR20170043293A (ko) 찬넬 커팅장치
KR100689261B1 (ko) 인쇄회로기판 가이드홀의 펀칭 장치
CN110560548B (zh) 耳盖自动冲切摆盘设备
CN211758146U (zh) 一种易取出工件的冲压设备
KR101362931B1 (ko) 절단기
CN203901338U (zh) 铡刀式分板机
JP6565125B2 (ja) 電子部品回収装置
CN215282238U (zh) 一种pcb拼接板切割装置
CN203901339U (zh) 放置电路板进程可控的铡刀式分板机
CN211682311U (zh) 一种机械自动化切割装置
KR200450217Y1 (ko) 핵연료 저장대의 슬롯 가공장치
CN211088220U (zh) 集成电路器件刻除装置
KR100621112B1 (ko) 필름트리밍 프레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