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988U - 드릴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988U
KR20080005988U KR2020070009069U KR20070009069U KR20080005988U KR 20080005988 U KR20080005988 U KR 20080005988U KR 2020070009069 U KR2020070009069 U KR 2020070009069U KR 20070009069 U KR20070009069 U KR 20070009069U KR 20080005988 U KR20080005988 U KR 200800059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orkpiece
support
axis direc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4504Y1 (ko
Inventor
양기선
김종득
Original Assignee
양기선
김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선, 김종득 filed Critical 양기선
Priority to KR2020070009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50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5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4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with special provision to enable the machine or the drilling or boring head to be moved into any desired position, e.g. with respect to immovabl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작물이 안착 또는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제1이송부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에 설치되고, 절삭부재가 장착되어 Z축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작물의 두께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공작물의 고정에 이동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드릴장치에 의하면, 베이스에 공작물을 고정시켜 천공부재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조작하여 상기 공작물에 복수개로 천공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안착된 공작물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공작물도 천공할 수 있다.
천공, 절삭부재, 회전체, 베이스

Description

드릴장치{Drill machine}
도 1은 종래의 드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드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드릴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드릴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드릴장치 110 : 베이스
111 : 받침턱 112 : 요홈
113 : 고정홈 120 : 제1이송부
121 : 가이드레일 122 : 제1볼스크류
123 : 제1회전조절부재 123a,133a,230a : 봉
124 : 이송지지체 125 : 수평부재
130 : 제2이송부 131 : 안내레일
132 : 제2볼스크류 133 : 제2회전조절부재
134 : 승강지지체 200 : 승강부
210 : 가이드바 220 : 제3볼스크류
221 : 받침부재 230 : 제3회전조절부재
240 : 절삭부 241 : 승강안내부재
242 : 회전체 243 : 절삭부재
244 : 위치조절부재 245 : 돌출부재
250 : 베이스지지체 251 : 결합홈
252 : 지지부재 300 : 보조지지부
310 : 보조베이스 320 : 보조승강안내부재
330 : 보조고정홈 340 : 승강조절부재
341 : 스크류 342 : 보조가이드바
본 고안은 드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의 위치를 작업자에 원하는 위치에 맞추도록 공작물을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조정하여 천공할 수 있으며, 보다 두꺼운 두께의 공작물도 천공할 수 있는 드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장치는 회전하는 회전축에 드릴 등의 절삭공구를 장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공작물에 구멍을 천공하거나 탭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드릴장치는 작업대 위에 공작물을 놓고 회전축 끝에 드릴날을 장착하여 구동모터로 회전시키면서 레버로 상하운동을 시켜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첨부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드릴장치(10)는 크게 받침부재(20), 지지축(30), 작업대(40) 헤드부(50)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 재(20)는 사각의 형태로 구비되며, 지면에서 상기 드릴장치(10)을 지지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원통형상의 지지축(3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0)에 대하여 승강되며, 공작물이 안착되는 작업대(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작업대(40)는 상기 지지축(30)의 외주면에 브라켓(43)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조절부(44)의 조절에 의해 상기 작업대(40)를 상기 지지축(30)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50)는 드릴날 등의 절삭공구가 장착되는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52)과 구동모터(54)는 풀리와 밸트로 연결된다. 또한, 헤드부(50) 일측에 레버(59)가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2)을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드릴장치(10)는 회전축(52) 끝에 드릴날을 장착한 후 공작물이 안착된 작업대(40)를 상승시켜 고정시키고, 구동모터(54)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축(5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레버(59)로 조작으로 회전축(52)을 하강하여 공작물을 천공한다.
여기서, 상기 드릴장치(10)는 공작물의 천공 작업시 한번에 한 천공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공작물을 고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작업중 공작물이 이탈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작물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중에 공작물의 정확도가 떨어져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작물을 고정시켜 천공부를 X축 또는 Y축, Z축 방향으로 조작하여 복수개의 천공작업을 할 수 있는 드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된 공작물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공작물도 천공할 수 있는 드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드릴장치는 공작물이 안착 또는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제1이송부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에 설치되고, 절삭부재가 장착되어 Z축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작물의 두께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공작물의 고정에 이동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드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공작물이 안착 또는 고정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베이스와, 상기 보조베이스에 관통되도록 나사산으로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베이스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드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드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 기 제1이송부와 90˚ 교차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드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릴장치는 상기 제1이송부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시키는 제1볼스크류와, 상기 제2이송부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시키는 제2볼스크류와, 상기 승강기를 Z축 방향으로 승강 운동시키는 제3볼스크류, 및 상기 제1ㆍ제2ㆍ제3볼스크류의 일단에 각각 회전조절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장치(100)에 대하여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릴장치(100)는 크게 베이스(110), 제1이송부(120), 제2이송부(130), 승강부(200), 베이스지지체(250), 및 보조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는 하부 방향으로 일정깊이의 받침턱(111)이 구비된 상태로 후술되는 제1이송부(120)를 받쳐주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는 요홈(112) 및 고정홈(11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요홈(112)은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 원형의 형상을 갖으며 하부 방향으로 일정깊이 홈이 형성된다. 이는, 후술되는 절삭부재(243)가 공작물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10)와 닿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홈(113)은 측면에서 봤을 때 " ㅗ"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13)은 상기 베이스(110) 상면에 공작물을 안착시킬 때, 상기 공작물을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과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10) 상면에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공작물의 기준을 잡을 수 있는 기준불럭(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송부(120)는 후술되는 이송지지체(124)를 X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 가이드레일(121), 제1볼스크류(122), 제1회전조절부재(123), 이송지지체(124), 및 수평부재(12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1)은 전술되어진 베이스(110)의 양측에 형성된 받침턱(111) 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이송지지체(124)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21)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볼스크류(12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121)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조절부재(123)는 그 형상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으며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조절부재(123)의 외주면에 원통 형상의 봉(123a)이 구비된다. 즉, 상기 봉(123a)은 상기 제1회전조절부재(123)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조절부재(123)의 타면은 상기 제1볼스크류(122)의 일끝과 결합하여 상기 제1회전조절부재(123)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1볼스크류(122)도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부재(123)는 모터로도 구비될 수 있어 자동화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지지체(124)는 전술되어진 베이스(110)의 받침턱(111)에 안착되어 제1볼스크류(122)와 결합하여 제1회전조절부재(123)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지지체(124)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111)의 폭에 맞춰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지지체(124)는 상기 제1볼스크류(122)와 체결되어 상기 제1회전조절부재(12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송지지체(124)가 X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이송지지체(124)는 상면에 직육면체의 수평부재(125)가 상기 이송지지체(124)와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2이송부(130)는 상기 이송지지체(124)와 결합되어 형성되고, 안내레일(131), 제2볼스크류(132), 제2회전조절부재(133), 및 승강지지체(13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131)은 상기 승강지지체(134)와 결합하여 상기 승강지지체(134)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레일(131)은 상기 수평부재(125)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양측에 홈이 형성되어 승강지지체(13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131)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사용된다. 상기 제2볼스크류(132)는 상기 각각의 이송지지체(124)의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볼스크류(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조절부재(133)는 그 형상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갖으며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조절부재(133)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봉(133a)이 구비된다. 즉, 상기 봉(133a)은 상기 제2회전조절부재(133)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조절부재(133)의 타면은 상기 제2볼스크류(132)의 일끝과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조절부재(133)가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볼스크류(132)도 같이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지지체(134)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125) 및 안내레일과 결합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승강지지체(134)는 전술되어진 제2회전조절부재(133)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회전조절부재(133)는 모터로도 구비될 수 있어 자동화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200)는 후술되는 절삭부(240)를 승강시키며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200)는 가이드바(210), 제3볼스크류(220), 제3회전조절부재(230), 및 절삭부(2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210)는 원통형 형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승강지지체(134)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볼스크류(220)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바(210)의 사이에서 상기 승강지지체(134)와 결합되어 구비되된다. 상기 제3볼스크류(220)의 타측에는 직사각형의 형상의 받침부재(2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3볼스크류(220) 및 가이드바(210)를 고정시키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볼스크류(220)는 상기 받침부재(22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3회전조절부재(230)는 전술되어진 바와 같 이 그 형상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정 두께를 가지며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봉(230a)이 구비된다. 즉, 상기 봉(230a)은 상기 제3회전조절부재(230)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3볼스크류(220)의 타측끝과 결합하여 제3회전조절부재(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볼스크류(220)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회전조절부재(230)는 모터로도 구비될 수 있어 자동화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삭부(240)는 상기 제3회전조절부재(230)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공작물을 절삭 또는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부(240)는 승강안내부재(241), 회전체(242), 및 위치조절부재(2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안내부재(241)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가이드바(210)와 제3볼스크류(220)와 결합하여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42)는 상기 승강안내부재(241)의 타측 저면에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별도의 동력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242) 하부에 절삭부재(243)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공작물을 절삭 또는 천공을 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절삭부재(243)는 바람직하게는 천공날로 구비될 수 있으나, 드릴날, 절삭날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삭부재(243)는 공작물이 천공되었을 때 상기 천공부에 나사산을 형성시킬수 있도록 탭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재(244)는 상기 승강안내부재(24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242)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244)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의 돌출부 재(245)가 형성하여 상기 위치조절부재(24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체(250)는 그 형상이 육면체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이 상기 베이스지지체(250) 상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의 내부에는 수용홈(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체(250)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직사각의 형태로 결합홈(251)이 더 구비된다. 이는 후술되는 보조승강안내부재(3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지지체(250) 하면에는 복수의 지지부재(25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52)는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52)가 지면에 닿는 부분은 탄성소재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300)는 베이스지지체(250)의 전면에 구비되어 승강되며, 상기 베이스(110)에 안착된 공작물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공작물을 작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지지부(300)는 보조베이스(310), 보조고정홈(330) 및 승강조절부재(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조베이스(310)는 "┘"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직면의 일측에는 보조승강안내부재(3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51)에 삽입되어 승강 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베이스(310)의 수직면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베이스(310) 내측으로 "ㅓ" 형상으로 보조고정홈(330)이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베이스(310)의 수평면은 상기 베이스(110)에 안착되는 공작 물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공작물을 가공할 때 사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부재(340)는 상기 베이스지지체(250)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지지부(300)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조절부재(340)는 전술되어진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정 두께를 가지며 외주면에 원통형의 봉(340a)이 구비된다. 즉, 상기 봉(340a)은 상기 승강조절부재(340)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부재(340)의 타면은 상기 보조승강안내부재(320)와 결합하여 상기 승강조절부재(340)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스크류(34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3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의 수용홈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341)를 보호하며 상기 보조승강안내부재(320)를 가이드하기 위해 보조가이드바(34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가이드바(342)는 상기 보조승강안내부재(320)의 결합하여 슬라이딩되며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부재(340)는 베이스지지체(25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도록 내부에 베벨기어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의 치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자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작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기능 드릴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110) 양측에 제1이송부(120)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120)의 제1회전조절부재(123)의 회전에 의해 이송지지체(124) 가 X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기 이송지지체(124)가 이탈을 방지하며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지지체(124)가 결합되는 부분에 가이드레일(121)이 더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이송지지체(124) 상면으로 수평부재(125)가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재(125)에 승강부(200)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200)가 이탈을 방지하며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재(125) 상면에 안내레일(131)이 고정된다. 상기 승강부(200)는 제3회전조절부재(230)가 절삭부(24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에 공작물을 가공할 때, 상기 제3회전조절부재(230)가 공작물의 두께에 맞춰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절삭부재(243)가 결합한 회전체(242)가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위치조절부재(244)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242)가 승강되어 공작물을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절삭부재(243)가 공작물을 가공하는 도중 가공물을 관통할 시 절삭부재(243)를 보호하기 위해 베이스(110)의 요홈(112)까지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 하부에 베이스지지체(25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지지체(250)는 일정높이를 갖으며 그 하면에 지지부재(252)가 더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252)는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의 수평을 이루도록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지지체(250) 전면에 보조지지부(300)가 더 결합된다. 상기 보조지지부(300)가 상기 베이스지지체(25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부(300)의 승강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재(340)가 상기 베이스지지체(250)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지지부(300)의 보조승강안 내부재(320)가 보조가이드바(342) 및 스크류(341)와 결합하여 승강조절부재(340)의 회전에 의해 보조지지부(3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드릴장치는 베이스에 안착된 공작물을 한번에 복수의 작업이 가능하고, 상기 공작물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공작물의 천공시 보조지지부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기능 드릴장치에 의하면, 공작물을 고정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며, 제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공작물이 안착 또는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1이송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제1이송부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2이송부;
    상기 제2이송부에 설치되고, 절삭부재가 장착되어 Z축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부;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작물의 두께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공작물의 고정에 이동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공작물이 안착 또는 고정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보조베이스;
    상기 보조베이스에 관통되도록 나사산으로 연결된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베이스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드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드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1이송부와 90˚ 교차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드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장치는,
    상기 제1이송부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시키는 제1볼스크류;
    상기 제2이송부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시키는 제2볼스크류;
    상기 승강기를 Z축 방향으로 승강 운동시키는 제3볼스크류; 및
    상기 제1ㆍ제2ㆍ제3볼스크류의 일단에 각각 회전조절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드릴장치.
KR2020070009069U 2007-06-01 2007-06-01 드릴장치 KR200444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69U KR200444504Y1 (ko) 2007-06-01 2007-06-01 드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69U KR200444504Y1 (ko) 2007-06-01 2007-06-01 드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88U true KR20080005988U (ko) 2008-12-04
KR200444504Y1 KR200444504Y1 (ko) 2009-05-15

Family

ID=4132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069U KR200444504Y1 (ko) 2007-06-01 2007-06-01 드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504Y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34B1 (ko) * 2009-05-28 2009-10-20 송원길 싱글볼 가공장치의 수평방식의 헤드부
CN102070040A (zh) * 2010-12-29 2011-05-25 宁波东钱湖旅游度假区润群机械有限公司 一种冲孔机的自动机械手装置
KR101132549B1 (ko) * 2009-12-01 2012-04-02 김진수 패널용 구멍 가공장치
KR101429335B1 (ko) * 2012-02-08 2014-08-12 (주)엘지하우시스 자동 다축 천공장치
KR101467730B1 (ko) * 2014-04-03 2014-12-01 김창기 이동식 상하면 수평 절삭기
KR101535195B1 (ko) * 2015-02-13 2015-07-09 임용희 6축 홀 가공장치
KR101533726B1 (ko) * 2013-12-02 2015-07-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로터의 더브테일 결합부 리밍장치
KR101663432B1 (ko) * 2015-11-16 2016-10-07 정기원 웨더 스트립용 클립 조립 장치
CN108189205A (zh) * 2017-12-30 2018-06-22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CN108481010A (zh) * 2018-04-10 2018-09-04 上海剑智实业有限公司 改进型加工中心机床底座
KR20190000107U (ko) * 2017-07-03 2019-01-11 전홍진 프로파일 홀 가공기
CN109550993A (zh) * 2018-12-04 2019-04-02 安徽吉思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零件加工装置
CN109676173A (zh) * 2019-02-15 2019-04-26 上海拜杰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打孔机
CN110756848A (zh) * 2018-07-28 2020-02-07 宁国市金优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新型机械加工用机床
CN112024928A (zh) * 2020-08-31 2020-12-04 安庆银亿轴承有限公司 一种金属配件加工用打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043B1 (ko) * 2010-08-30 2013-10-14 장일도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CN104139306B (zh) * 2014-07-03 2016-04-06 天津市森健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旋转门横梁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KR200480386Y1 (ko) * 2015-12-03 2016-05-18 전희승 가공물 가공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10A2 (ko) * 2009-05-28 2010-12-02 Song Won Gil 싱글볼 가공장치의 수평방식의 헤드부
WO2010137810A3 (ko) * 2009-05-28 2011-03-17 Song Won Gil 싱글볼 가공장치의 수평방식의 헤드부
KR100922234B1 (ko) * 2009-05-28 2009-10-20 송원길 싱글볼 가공장치의 수평방식의 헤드부
KR101132549B1 (ko) * 2009-12-01 2012-04-02 김진수 패널용 구멍 가공장치
CN102070040A (zh) * 2010-12-29 2011-05-25 宁波东钱湖旅游度假区润群机械有限公司 一种冲孔机的自动机械手装置
CN102070040B (zh) * 2010-12-29 2012-12-12 宁波东钱湖旅游度假区润群机械有限公司 一种冲孔机的自动机械手装置
KR101429335B1 (ko) * 2012-02-08 2014-08-12 (주)엘지하우시스 자동 다축 천공장치
KR101533726B1 (ko) * 2013-12-02 2015-07-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로터의 더브테일 결합부 리밍장치
KR101467730B1 (ko) * 2014-04-03 2014-12-01 김창기 이동식 상하면 수평 절삭기
KR101535195B1 (ko) * 2015-02-13 2015-07-09 임용희 6축 홀 가공장치
KR101663432B1 (ko) * 2015-11-16 2016-10-07 정기원 웨더 스트립용 클립 조립 장치
KR20190000107U (ko) * 2017-07-03 2019-01-11 전홍진 프로파일 홀 가공기
CN108189205A (zh) * 2017-12-30 2018-06-22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CN108189205B (zh) * 2017-12-30 2024-04-09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CN108481010A (zh) * 2018-04-10 2018-09-04 上海剑智实业有限公司 改进型加工中心机床底座
CN110756848A (zh) * 2018-07-28 2020-02-07 宁国市金优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新型机械加工用机床
CN109550993A (zh) * 2018-12-04 2019-04-02 安徽吉思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零件加工装置
CN109676173A (zh) * 2019-02-15 2019-04-26 上海拜杰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打孔机
CN112024928A (zh) * 2020-08-31 2020-12-04 安庆银亿轴承有限公司 一种金属配件加工用打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504Y1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504Y1 (ko) 드릴장치
KR20100133250A (ko) 드릴링 및 탭핑 겸용 수직가공장치
KR100798822B1 (ko) 공구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KR20040023897A (ko) 기계 가공용 높이 조절장치
KR100921320B1 (ko) 오일 그루브 가공을 위한 실린더 라이너용 지그
KR100768940B1 (ko) 열교환기용 시트 플레이트 가공을 위한 드릴링 머신
JP5722589B2 (ja) 硬質脆性板のくり貫き加工方法及び装置
KR101269066B1 (ko) 목재 절단기
KR20130101671A (ko) 수평식 측면 가공장치
KR101804290B1 (ko) 태핑홀 형성장치
KR100809534B1 (ko) 멤브레인 절단 장비 및 절단 방법
KR101527323B1 (ko) Cnc 탭핑머신 및 제어방법
KR102165252B1 (ko) 클램핑 지그를 포함하는 가공장치
KR200424350Y1 (ko) 탁상 드릴머신
KR20100071312A (ko) 휴대용 평면 가공장비
CN218051339U (zh) 一种吊锣机
CN213164445U (zh) 一种双头立式铣床
CN220637161U (zh) 一种机械加工钻孔设备
KR20090029498A (ko) 면취장치
KR100600025B1 (ko) 교환속도가 향상된 머시닝 센터의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CN220217593U (zh) 一种水平床加工用打孔装置
CN220006049U (zh) 一种便于定位的钻孔装置
CN217831482U (zh) 一种冲孔装置
CN213351514U (zh) 用于三相异步电动机壳体的铣削冲切自动化加工设备
CN212551868U (zh) 一种带有激光定位功能的电动台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