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219B1 -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219B1
KR101248219B1 KR1020060019822A KR20060019822A KR101248219B1 KR 101248219 B1 KR101248219 B1 KR 101248219B1 KR 1020060019822 A KR1020060019822 A KR 1020060019822A KR 20060019822 A KR20060019822 A KR 20060019822A KR 101248219 B1 KR101248219 B1 KR 10124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age
flow meter
information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297A (ko
Inventor
김진태
송지훈
문홍진
박병돈
장대식
신강욱
홍성택
신영두
Original Assignee
(주)파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브텍 filed Critical (주)파이브텍
Priority to KR102006001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2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량계의 계기판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에 의한 촬영된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화된 촬영 정보에서 사용량에 대한 숫자 정보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와, 문자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숫자 정보로 사용량을 확인하고 확인한 사용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코드와 함께 원격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일정 주기시간 또는 원격지 컴퓨터의 요구에 따라 사용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특히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검침원이 일일이 사용량을 확인하러 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며,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Figure R1020060019822
원격검침, 유량계, 촬영, 데이터 송신

Description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Remote flowmeter suppor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량계에서 측정된 사용량을 이미지 촬영하고 이를 문자인식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만들어 원격의 목적지로 무선 송신하는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모듈을 탑재하여 등록된 이동전화번호가 수신될 때 동작하여 유량계에서 측정된 사용량을 수신된 이동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원격 유량검치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은 가정이나 공장 등의 각종 산업시설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으로, 특 정 사업장에서는 하루에 많게는 수천에서 수만톤의 물을 사용한다. 이렇듯 물 사용량이 많은 사업장은 연간 지출되는 물 사용비가 상당하여 정확한 물 사용량을 측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현재 물 사용량은 물을 공급하는 공급측에 특정 사업자를 위한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수요측에도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달 공급측 검침원이 수요측 유량계를 검침하고 수요측 검침원이 공급측 유량계를 검침하여 정확한 사용량을 체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방법은 검침원이 일일이 발품을 팔아서 유량계를 검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유량계의 사용량을 원격 검침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인이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시간에 유량계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량계의 계기판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 의한 촬영된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이미지화 된 촬영 정보에서 사용량에 대한 숫자 정보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 문자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숫자 정보로 사용량을 확인하고 확인한 사용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코드와 함께 원격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일정 주기시간 또는 원격지 컴퓨터의 요구에 따라 사용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이동전화번호가 부여된 이동통신모듈과, 하나 이상의 이동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모듈로 호가 착신되고 상기 이동통신모듈에 의해 판단된 발신 이동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각 구성을 동작시켜 상기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현재 사용량을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SMS 메시지로 하여 상기 발신 이동전화번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 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100)는 촬영부(110), 조명부(120), 메모리(130), 이미지 처리부(140), 문자인식부(150), 데이터 생성부(160), 송수신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유량계(10)의 계기판(11)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로서, 유량계10)의 계기판(11)에 마주보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촬영부(110)는 다수의 렌즈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를 포함한다. 조명부(120)는 적외선 램프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 장치로 이루어지며, 촬영부(110)의 주변에 설치되어 촬영부(110)의 동작에 연동하여 계기판(11)을 조명한다.
메모리(13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또는/및 송수신 정보를 저장하고, 숫자 패턴 정보를 저장한다. 숫자패턴정보는 계기판(11)에 표시되는 숫자의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 처리부(14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여 사진을 생성한다. 문자인식부(150)는 이미지 처리부(140)에 의해 생성된 사진에서 설정된 특정 부분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에지 디텍팅, 필터링, 메모리(130)에 저장된 숫자패턴정보와의 비교 등의 문자인식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계기판(11)에 표시된 숫자를 인식한다.
데이터 생성부(160)는 문자인식부(150)에서 제공하는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식별정보와 함께 송수신부(170)에 제공한다. 송수 신부(170)는 호스트(A) 즉, 호스트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로서, 호스트(A)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RS232 통신을 수행하고, 호스트(A)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무선통신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이 있다.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각 구성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설정 주기시간마다 촬영부(110)를 비롯한 각종 구성을 동작시켜 계기판(11)의 숫자를 디지털 데이터로 호스트(A)에 전송하거나, 호스트(A)로부터 동작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부(110)를 비롯한 각종 구성을 동작시켜 계기판(11)의 숫자를 디지털 데이터로 호스트(A)에 전송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고정된 호스트(A)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특정인이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요구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한다.
이러한 요구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는 촬영부(210), 조명부(220), 메모리(230), 이동통신모듈(240), 이미지 처리부(250), 문자인식부(260), 데이터 생성부(270), 송수신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촬영부(210), 조명부(220), 이미지 처리부(250), 문자인식부(260), 데이터 생성부(270)와 송수신부(28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해당 구성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23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또는/및 송수신 정보를 저장하고, 숫자 패턴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식별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이다.
이동통신모듈(240)은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200)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이동통신단말기(B) 및 이동통신모듈이 장착된 모든 장비와 음성/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고유의 이동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의 동작에 부가하여,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동작요구가 있을 때 이에 대한 응답으로 촬영부(110)를 비롯한 각종 구성을 동작시켜 계기판(11)의 숫자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이동통신모듈(240)을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B)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제어부(29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이동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를 특정 이동통신단말기로 판단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지원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일정 주기시간이 되거나 호스트(A)의 요구가 있을 경우, 촬영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조명부(120)의 조명 동작 하에 유랑계(10)의 계기판(11)에 표시된 사용량을 촬영한다(S310).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정보 즉, 전기적 신호는 이미지 처리부(140)에 의해 영상신호로 이미지 처리되어 문자인식부(150)에 전달된다(S320).
문자인식부(150)는 이미지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사용량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설정된 부분 예컨데, 사용량을 나타내는 숫자들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문자인식처리 즉, 에지 디텍팅, 가우시안 필터링, 메모리(130)에 저장된 숫자 패턴과의 비교를 통한 패턴 검사를 수행하여 계기판(11)에 표시된 숫자들을 인식하고, 인식한 숫자 정보를 데이터 생성부(160)에 제공한다(S330).
데이터 생성부(160)는 문자인식부(150)를 통해 수신한 숫자정보를 통해 사용량을 확인하고(S340), 확인한 사용량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현재 시간정보와 식별정보와 함께 송수신부(170)에 제공한다(S350).
송수신부(170)는 데이터 생성부(16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와 현재시간 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규약된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A)로 전송하고,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60).
그러면, 호스트(A)는 송수신부(17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자체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해당 사업장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해당 사업장의 컴퓨터는 수신한 식별정보를 통해 데이터의 사용처와 전송지를 판단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사용량을 판단하며, 현재 시간정보에 매칭하여 사용량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사용량을 원격지에서 쉽게 검칠할 수 있게 하며, 사용량의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함에 따라 전송 부하가 적 은 장점을 가진다.
이하,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검침원 또는 특정인이 유량계(10)에 의해 측정된 현재의 사용량을 확인하고자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200)에 할당된 이동전화번호로 전화를 건다. 그러면 이동통신시스템은 검침원 또는 특정인의 호 연결 요청에 따라 호를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200)에 착신시킨다(S410).
그러면, 이동통신모듈(240)은 착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CID 정보를 확인하고(S420), CID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부(290)에 제공한다. 이때 이동통신모듈(240)은 설정된 몇 회의 얼러팅을 한 후 자동으로 호를 끊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90)는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수신하면 메모리(230)에 저장된 이동전화번호들과 비교하여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가 저장된 이동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S430).
만약,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가 저장된 이동전화번호가 아니면 제어부(290)는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으며,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가 저장된 이동전화번호이면 응답 동작을 시작한다(S440).
제어부(290)는 응답 동작으로 촬영부(210)와 조명부(220)를 동작시켜 유량계(10)의 계기판(11)에 표시된 사용량을 촬영하고, 이미지 처리부(250)를 동작시켜 이미지 처리하며, 문자인식부(260)를 동작시켜 사용량에 해당하는 숫자를 인식한다(S450).
제어부(290)는 사용량에 대한 문자인식 정보를 문자인식부(260)로부터 수신하면, 사용량을 확인하고, 확인한 사용량에 대응하는 문자 정보와 디지털 데이터와 식별정보와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이동통신모듈(240)에 제공한다. 그러면 이동통신모듈(240)은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착신 이동전화번호로 하고 사용량의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자에게 전송한다(S46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은 검침원이 일일이 사용량을 확인하러 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며,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량계의 계기판을 촬영하는 촬영부,
    적외선 램프 또는 LED 중 하나로서, 상기 촬영부 주변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촬영부에 의한 촬영된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이미지화된 촬영 정보에서 사용량에 대한 숫자 정보를 인식하는 문자인식부,
    문자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숫자 정보로 사용량을 확인하고 확인한 사용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식별코드와 함께 원격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일정 주기시간 또는 원격지 컴퓨터의 요구에 따라 사용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특정의 이동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모듈과,
    하나 이상의 이동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수신된 착신호에서 포함된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제어부에 알리되, 설정된 횟수의 얼러팅을 한 후 자동으로 호를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각 구성을 제어하여 상기 유량계에 의해 측정된 현재 사용량을 상기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SMS 메시지로 하여 상기 발신자의 이동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019822A 2006-03-02 2006-03-02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KR10124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822A KR101248219B1 (ko) 2006-03-02 2006-03-02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822A KR101248219B1 (ko) 2006-03-02 2006-03-02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297A KR20070090297A (ko) 2007-09-06
KR101248219B1 true KR101248219B1 (ko) 2013-03-27

Family

ID=3868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822A KR101248219B1 (ko) 2006-03-02 2006-03-02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7977B1 (ja) * 2018-12-17 2020-08-12 神田 智一 機材管理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31A (ko) * 2002-06-19 2004-01-03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검침시스템
KR20050036080A (ko) * 2003-10-15 2005-04-20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31A (ko) * 2002-06-19 2004-01-03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원격검침시스템
KR20050036080A (ko) * 2003-10-15 2005-04-20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297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5344A5 (ko)
WO2010035524A1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309694A (ja) モニタ機能を備える携帯電話、モニタシステム及びそのモニタ方法
JP6505555B2 (ja) 安全帯の使用状況管理方法
KR100695081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JPWO2013157265A1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受信装置、画像送信装置、画像処理方法、受信側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送信方法
CN111556267A (zh) 一种智能执法系统
JP2007018101A (ja) 転倒検知システム
JP2002368888A (ja) ドアフォン装置
KR101514394B1 (ko) 무선 와이파이를 이용한 외부 도어벨 장치 및 방문자 확인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48219B1 (ko)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US20080303643A1 (e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executed i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JP201011454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来訪者受付プログラムおよび来訪者受付方法
US10896361B2 (en) High ambient light electronic screen communication method
KR20150035108A (ko)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 및 방범 시스템
JP201003480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2496254A (zh) 值班监督管理系统
JP2016219990A (ja) 位置推定システム、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18580A (ja) 通信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6331290B (zh) 一种通信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040085754A (ko)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10291277B2 (en) Secure portable patrol system
JP2006092107A (ja) カラーコード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114489A (ko) 온라인 블랙박스 인터폰 및 이용방법
LT6269B (lt) Asmenų identifikavimo ir alkoholio kiekio kraujyje matavimo būdas ir įrengin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