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080A -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080A
KR20050036080A KR1020030071635A KR20030071635A KR20050036080A KR 20050036080 A KR20050036080 A KR 20050036080A KR 1020030071635 A KR1020030071635 A KR 1020030071635A KR 20030071635 A KR20030071635 A KR 20030071635A KR 20050036080 A KR20050036080 A KR 20050036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ter
wired
meter reading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영
Original Assignee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6080A/ko
Priority to PCT/KR2004/002637 priority patent/WO2005036493A1/en
Publication of KR2005003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0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산 계량기의 숫자표시부를 촬영하고 그 영상 정보 중에서 숫자 부분만을 발췌하여 최소 면적 이미지로 압축 및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 및 유선 송신을 통하여 검침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 계량기의 숫자표시부를 설정된 주기 마다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에서 숫자 부분의 최소한의 유효 영역만을 취출하여 흑백 혹은 칼라 모드의 이미지 데이타로 압축 및 변환하는 메인프로세서과, 상기 이미지 테이타를 무선 송신하는 검침단말기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검침단말기; 주택, 아파트 및 공장 등에 설치된 다수 검침단말기로부터 보내진 이미지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집기 무선통신모듈과, 각 검침단말기의 이미지 데이타와 자신의 식별코드를 설정된 주기 마다 혹은 야간의 휴유 시간에 유선 송신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집기; 그리고 상기 수집기에서 송신된 데이타를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로 전달하는 유선단말기 및 유선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Remote meter-reading system used in wire and wireless}
본 발명은 무선 및 유선 송신을 이용하여 현장의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량을 원격 조종하여 검침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량기의 적산량을 촬영하고 영상 이미지 중에서 최소의 유효 영역만을 발췌하여 최소화하며, 최소화된 흑백 및 칼라 모드의 이미지 데이타를 무선 및 유선 송신을 통하여 검침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가정이나 공장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시설 등이 설치되며, 그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가정이나 공장 등에는 적산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에 대한 소정 요금을 부과하기 위하여는 각 적산 계량기를 검침할 필요성이 있는바, 현재까지 이러한 검침 작업의 대부분은 검침원이 일일이 각 건축물을 돌아다니면서 직접 검침하는 비능률적이고 비생산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검침 작업은 수작업에 의한 비능률적인 문제 뿐아니라, 검침후 일일이 데이타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기에 의한 데이타 오류 및 그에 따른 요금 계산의 오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예로서, 종래에는 자동으로 계량기를 검침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계량기 자동 검침장치는 각 건축물에 설치된 계량기의 숫자표시부가 동작할 때 마다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수량감지기와, 상기 수량 감지기로부터 출력되어 통신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펄스를 카운트하여 각 건축물의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합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 검침장치는 검침원이 일일이 계량기를 검침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으나, 합산기와 수량 감지기가 별도의 통신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 일일이 별도의 통신라인으로 연결하기가 어렵고, 통신라인이 단선될 경우에는 자동 검침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예로서, 숫자 계기판을 영상처리할 수 있도록 한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출장치는 검침대상에 표시된 숫자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발광부, 프리즘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검출장치와, 상기 검출장치에서 나온 데이터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검출장치로부터 인식 출력된 검출신호를 처리하거나 상기 원격검침 운용센터로부터 전송된 원격검침명령에 따라 상기 검출장치를 제어하는 원격검침제어부와, 상기 검출장치와 원격검침제어부 간의 데이타 및 명령을 무선 혹은 유선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의 검출장치는 수광부의 이미지 정보를 인식후 데이터를 원격검침 운용센터의 호스트컴퓨터로 전송하는데, 인식부에서 오류가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데이타량이 많아 전송 속도가 저하되며, 또한 종래 장치는 검출장치와 원격검침 운용센터 사이를 무선방식으로 연결할 경우 그 무선 송신 음영지역이 많이 생기며 거리를 무한으로 할 수 없고, 유선방식으로 연결할 경우 통신라인의 단선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러한 무선 혹은 유선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자동 검침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적산 계량기의 숫자표시부를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으로부터 숫자의 최소 이미지 만을 발췌하되 흑백 혹은 칼라 모드의 이미지 데이타로 압축 및 변환하고, 이 데이타를 무선 및 유선 송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원격 검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및 유선 송신 방식을 적절하게 혼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원거리의 현장에 있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량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원격 조종 및 자동 검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 계량기의 숫자표시부를 설정된 주기 마다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숫자의 최소 영역만을 취출하되 흑백 혹은 칼라 모드의 이미지 데이타로 압축 및 변환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메인프로세서와, 상기 이미지 테이타를 무선 송신하는 검침단말기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검침단말기; 주택, 아파트 및 공장 등에 설치된 다수 검침단말기로부터 보내진 이미지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집기 무선통신모듈과, 각 검침단말기의 이미지 데이타와 자신의 식별코드를 설정된 주기 마다 혹은 야간의 휴유 시간에 유선 송신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집기; 그리고 상기 수집기에서 송신된 데이타를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로 전달하는 유선단말기 및 유선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연산 처리하여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사용 요금을 연산 처리하며, 각 검침단말기로 원격 조정 신호를 전송 처리하는 검친센타의 관리컴퓨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검침단말기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압력, 수위, 밸브 개도율, 전압, 전류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디지털화 하는 A/D변환기와, 상기 디지털 정보와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각 구성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침단말기는 실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수집기는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각 구성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각종 데이타를 유선 송수신하는 I/O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검침단말기는 일체형으로 설치되기도 하지만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분리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및 메인프로세서 등의 기판과 카메라를 분리 설치하되, 상호간 RS-232C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유선으로 주고받도록 설치한다. 이때 분리된 카메라 부분에는 케이스에 프리즘을 넣어 영상을 45도 내지 90도로 상변환시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택이나 아파트(H) 및 공장 등에 시설된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 계량기에 설치되는 검침단말기(1)와, 상기 검침단말기(1)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수집기(3),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 및 상기 수집기(3)에서 송신된 데이타를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로 전달하는 유선단말기(7) 및 유선 라인(9)으로 대별 구성된다.
여기서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는 각각의 검침단말기(1)로부터 계측되어 전송되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를 판독하여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각 수용가의 사용량을 계산하는 것이며, 각 검침단말기로 원격 조정 신호를 전송 처리한다. 이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에 의해 연산된 결과는 별도 연결된 프린터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될 수 있고,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 요금을 요금 연산프로그램과 연계 처리하며, 또한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각 주택이나 아파트(H) 및 공장, 배수장 등의 적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는 관리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유무선 원격 검침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와 수집기(3)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유선 송신을 이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전화 등과 같은 유선단말기(7)와 유선 라인(9) 및 전화국의 컴퓨터서버(11)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용선이라 케이블 등을 이용할 상수도 있다.
한편 현장의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 계량기에 설치되는 검침단말기(1)와 건축물의 옥내에 설치되는 수집기(3)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근거리 송신을 구축한다. 검침단말기(1)는 한 수용가에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연립주택이나 아파트 등에는 더 많은 수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을 병행하여 원격 검침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종래 무선 만의 원격 검침시스템 혹은 유선 만의 원격 검침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1)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요금을 정산할 때 검침단말기(1) 및 수집기(3)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데이타를 우선 순위로 적용하며, 이후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요금 정산에 사용한다.
한편, 상기 검침단말기(1)는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공장 및 배수장에 설치된 적산 계량기(13)의 숫자표시부(15)를 설정된 주기마다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로부터 얻어진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이미지 데이타를 수집기(3)로 송신하는바, 그 구성이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검침단말기(1)는 카메라(17), 메인프로세서(19), 메모리(21), 영상처리모듈(23), 무선통신모듈(25), 타이머(27), 전원스위치(29), 전원부(31) 및 적외선램프(33)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17)는 적산 계량기(13)의 숫자 표시부(15)를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신호를 메인프로세서(19)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이 카메라(17)는 적산 계량기(13)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21)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타나 검침단말기의 고유 식별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코드는 각각의 검침단말기(1)에 미리 부여된 고유의 코드로서 검침단말기(1)의 종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에서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와 함께 상기 식별코드로서 설치된 수용가의 주소등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메인프로세서(19)는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가공하여 최소화하며, 이를 메모리(21)에 저장한다. 특히 메인프로세서(19)는 영상처리모듈(23)을 포함하는데, 이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7)에서 촬영된 최초 영상 정보에서 1차로 최소한의 유효 영역만을 취출하고, 다시 상기 유효 영역의 영상 정보를 흑백 혹은 칼라 모드로서 숫자 부분의 최소 영역으로 압축 및 변환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는 흑백 모드로 압축할 때 최소량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소화된 흑백 혹은 칼라 모드 이미지 데이타는 무선통신모듈(25)을 통하여 송출되고, 각 검침단말기(1)에서 송출된 수집기(3)로 모여진다.
도면부호 31은 검침단말기(1)의 각 구성요소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를 나타내며, 이 전원부(31)에는 구동전원의 선택적 출력을 위한 전원스위치(29)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부(31)의 구동전원은 상기 전원스위치(29)를통해서 각 구성요소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7)의 주변에는 적외선램프(33)가 설치되는데, 이 적외선램프(33)는 카메라(17)가 계량기(13)의 숫자표시부(15)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숫자표시부(15)를 밝게 비춰주는 역할을 한다.
검침단말기(1)에 적용된 전원부(31)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검침단말기(1)의 각 구성요소가 검침시간에만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타이머(27)가 사용된다. 타이머(27)는 설정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포함하며, 필요시 이미지 데이타의 무선 송출이 야간 시간에만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로세서(19)는 검침단말기(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머(27)에 의해 계수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스탠바이 시간과 일치할 때 상기 전원 스위치(29)를 온동작시켜, 전원부(31)의 전원이 전원스위치(29)를 통해 검침단말기(1)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어 카메라(17)를 비롯하여 메모리(21), 메인프로세서(19), 무선통신모듈(18) 등이 스탠바이상태로 대기하도록 하며, 이후 타이머(27)의 계수시간이 검침시간이 되면 카메라(17)를 작동시켜 계량기(13)의 숫자표시부(15)가 촬영되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인프로세서(19)의 제어동작에 의해 카메라(17)가 검침시간에 작동하여 숫자표시부(15)를 촬영하며, 영상처리모듈(23)을 통해 최소 이미지 데이타로 압축 및 변환되며, 이후 무선통신모듈(18)을 통해 수집기(3)로 무선 전송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 부호 35는 A/D변환기를 나타낸다. A/D변환기(35)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압력, 수위, 밸브 개도율, 전압, 전류, 알람, 수위 경보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디지털화 하고 메인프로세서(19)로 전송한다.
메인프로세서(19)에서 연산 처리되고 무선통신모듈(25)을 통해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는 수집기(3)로 무선 송신되는바, 그 상세한 구조가 도 4에 잘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집기(3)는 수집기 무선통신모듈(37), 메인프로세서(39), 메모리(41), 타이머(43), 전원스위치(45), 전원부(47) 및 I/O인터페이스(49)로 대별 구성된다.
이러한 수집기(3)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를 정확히 수신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무선통신모듈(37)을 통해 검침단말기(1)로 송출하고, 상기 검침단말기(1)의 메인프로세서(19)는 수집기(3)로부터 응답신호가 입력되면 다시 검침단말기 무선통신모듈(25)을 통해 응답신호를 수신했음을 알려줌과 동시에, 전원스위치(29)(45)를 오프시켜 타이머(27)(43)를 제외한 모든 구성요소가 오프되도록 하는 것이다.
수집기(3)는 검침단말기(1) 및 자신의 고유 식별코드를 메모리(41)에 저장할 수 있다. 수집기(3)의 타이머(43)와 전원스위치(45) 및 전원부(47)의 작동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부연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수집기(3)는 별도의 카메라 모듈을 내장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수집기(3)는 앞서 설명한 검침단말기(1)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집기(3)로는 일반 무선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전화기의 고정본체에는 앞서 설명한 수집기(3)의 구성을 설치한다.
수집기(3)의 메인프로세서(39)는 각 검침단말기(1)의 이미지 데이타와 자신 혹은 검침단말기(1)의 식별코드를 설정된 주기 마다 혹은 야간의 휴유 시간을 통하여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로 유선 송신한다.
이를 유하여 수집기(3)는 I/O인터페이스(4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I/O인터페이스(49)는 소망의 이미지 테이타 및 식별코드 및 기타 정보를 유선 송수신하는 것이며,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를 조작하는 관리자가 현장에 설치된 검침단말기(1)의 시간, 수신 주기, 영상정보(예를 들어, 영상의 크기 X, Y좌표, 이치화 레벨 등)을 케리브레이션 원격 제어 명령을 입출력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머(27)(43)의 계수시간이 스탠바이 시간과 일치하면 메인프로세서(19)(39)는 전원스위치(29)(45)를 온동작시켜 전원부(31)(47)의 전원이 검침단말기(1) 및 수집기(3)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어 스탠바이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이때 적외선램프(33)는 점등되어 계량기(13)의 숫자표시부(15) 부분을 밝혀주게된다.
이와같은 스탠바이상태에서 타이머(27)의 계수시간이 검침시간과 일치하면, 메인프로세서(19)는 카메라(17)를 순간적으로 구동시켜 그때에 숫자표시부(15)에 표시된 숫자들이 카메라(17)에 의해 촬영되어 메인프로세서(19)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로세서(19)는 영상처리모듈(23)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 중에서 유효 정보만을 발췌하여 압축하고, 다시 숫자 부분의 최소 영역만을 흑백 혹은 칼라 모드로 압축 및 변환시키며, 무선통신모듈(25)을 통해 수집기(3)로 송출한다.
수집기(3)의 무선통신모듈(37)은 전송된 이미지 데이타와 검침단말기의 식별코드 및 자신의 식별코드를 연산 처리하고, 이를 설정된 주기 마다 혹은 야간의 휴유 시간에 I/O인터페이스(49)를 통해 유선 송신하며, 상기한 데이타는 유선단말기(7)와 유선 라인(9) 혹은 인터넷라인 및 전화국의 컴퓨터서버(11)를 통해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로 전송되어진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검침시간이 되면 각 가정이나 건축물의 계량기(13)에 설치된 검침단말기(1)로부터 검침된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가 동시 다발적으로 전화선, 전용회선, 인터넷라인 등으로 송신되어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로 입력되고, 상기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는 동시 다발적으로 입력되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를 연산하여 각 수용가에서 사용한 양에 대응하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 요금을 요금 연산프로그램과 연계 처리하며 요금 계산 고지서를 발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는 각각의 검침단말기(1)로부터 공급되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화 하여 저장하여 후에 연간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을 통계낼 때 사용하거나 누수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5)의 연산결과는 별도의 표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관리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적산 계량기의 숫자표시부를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으로부터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 데이타를 원격 유무선 송신하는 다수의 검침단말기를 구성하고, 각각의 검침단말기에서 숫자표시부를 촬영하되 그 영상 정보를 최소의 숫자 이미지 데이타로 압축 및 변환하여 검침센타로 송출함으로써, 데이타의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원격 검침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및 유선 송신 방식을 적절하게 혼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근거리 및 원거리의 현장에 있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량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원격 조종 및 자동 검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검침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집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Claims (8)

  1.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적산 계량기의 숫자표시부를 설정된 주기 마다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숫자의 최소 영역만을 취출하되 흑백 혹은 칼라 모드의 이미지 데이타로 압축 및 변환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메인프로세서와, 상기 이미지 테이타를 무선 송신하는 검침단말기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검침단말기;
    주택, 아파트 및 공장 등에 설치된 다수 검침단말기로부터 보내진 이미지 데이타를 수신하는 수집기 무선통신모듈과, 각 검침단말기의 이미지 데이타와 자신의 식별코드를 설정된 주기 마다 혹은 야간의 휴유 시간에 유선 송신하는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집기; 그리고
    상기 수집기에서 송신된 데이타를 검침센타의 관리컴퓨터로 전달하는 유선단말기 및 유선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선 송신된 이미지 데이타 및 각 수용가의 식별코드를 연산 처리하여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사용량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사용 요금을 연산 처리하며, 각 검침단말기로 원격 조정 신호를 전송 처리하는 검친센타의 관리컴퓨터를 포함하는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검침단말기는,
    상수도, 전기 및 가스 등의 압력, 수위, 밸브 개도율, 전압, 전류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디지털화 하는 A/D변환기와, 상기 디지털 정보와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각 구성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검침단말기는 실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집기는,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각 구성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각종 데이타를 유선 송수신하는 I/O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집기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집기로 무선전화기의 고정본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검침단말기는 카메라와 메모리 및 메인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판을 별도로 분리하여 설치하되 상호간 유선 통신되게 연결하고, 상기 카메라는 영상을 45도 내지 90도로 상변환시키는 프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KR1020030071635A 2003-10-15 2003-10-15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KR20050036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35A KR20050036080A (ko) 2003-10-15 2003-10-15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PCT/KR2004/002637 WO2005036493A1 (en) 2003-10-15 2004-10-15 Remote meter-reading system using in wire and wirel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635A KR20050036080A (ko) 2003-10-15 2003-10-15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080A true KR20050036080A (ko) 2005-04-20

Family

ID=3443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635A KR20050036080A (ko) 2003-10-15 2003-10-15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36080A (ko)
WO (1) WO20050364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19B1 (ko) * 2006-03-02 2013-03-27 (주)파이브텍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CN110782647A (zh) * 2019-11-06 2020-02-11 重庆神缘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智能抄表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7478A (zh) * 2012-12-31 2013-05-01 邢台县供电有限责任公司 抄表管理方法
CN103761849A (zh) * 2014-01-03 2014-04-30 沈阳中科博微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cmc芯片的低功耗无线抄表采集器
CN103996274B (zh) * 2014-05-21 2016-02-03 石红坤 电表无线读取装置及方法
CN107884021A (zh) * 2017-12-28 2018-04-06 湖北骏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防盗水表
CN110191281A (zh) * 2019-05-31 2019-08-30 北京安诺信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识别抄表终端及系统、图像识别引擎服务器、智能表
CN110379146A (zh) * 2019-07-29 2019-10-25 广州邦讯信息系统有限公司 远程抄表方法
CN111145525B (zh) * 2020-01-14 2024-03-19 青岛数能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水气电三表无线自组织抄表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8099B1 (en) * 1998-05-01 2004-08-17 Elster Electricity, Llc Wireless area network communications module for utility meters
KR100353206B1 (ko) * 2000-01-14 2002-09-19 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상수도 무선 검침 자동화 시스템
JP2001266284A (ja) * 2000-03-23 2001-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ータ自動読取装置
JP2003208684A (ja) * 2002-01-15 2003-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ータ検針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19B1 (ko) * 2006-03-02 2013-03-27 (주)파이브텍 원격 유량검침 지원장치
CN110782647A (zh) * 2019-11-06 2020-02-11 重庆神缘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图像识别的智能抄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36493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678B2 (en) Wireless terminal for checking the amount used of gauge and a gauge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171092A1 (en) Automated meter reading system
CN107918306A (zh) 现场设备的物理位置信息确定
KR100970419B1 (ko) 계량기 자동 검침 시스템
KR20050036080A (ko) 유무선을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KR100353206B1 (ko) 상수도 무선 검침 자동화 시스템
JP2013003032A (ja) 水道メータ検知装置
KR20190026305A (ko) 홈 오토 원격 검침 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홈 오토 원격 검침 및 첨단 계량 인프라 시스템
JP5476602B2 (ja) ガスメータ遠隔管理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携帯型情報端末
JPH06152775A (ja) 検針方法
KR20040000031A (ko) 원격검침시스템
KR200388471Y1 (ko) 저전력 다중감지 무선 원격검침장치
CN101452630A (zh) 自动抄表装置及系统
KR101871734B1 (ko) Cctv비상벨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수도 자동 검침 시스템
GB2371169A (en) Remote monitoring of a utility meter via a digital camera
KR20010085246A (ko) 상수도 계량기 무인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40003836A (ko) 유무선 겸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한 원격제어감시시스템
KR102638376B1 (ko) 카메라를 구비한 가스데이터 수집기 및 가스소비량 계측시스템
EP1368618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CN212696113U (zh) 一种带分户分项计量功能的可视对讲门禁系统
KR20030023247A (ko) 계량기 검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CN220231655U (zh) 一种回潮测试设备
KR100436403B1 (ko) 계량기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및 누수패트롤 시스템
KR200191213Y1 (ko) 상수도 계량기 무인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349266Y1 (ko) 자동 원격 검침 및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