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718B1 -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718B1
KR101247718B1 KR1020100123733A KR20100123733A KR101247718B1 KR 101247718 B1 KR101247718 B1 KR 101247718B1 KR 1020100123733 A KR1020100123733 A KR 1020100123733A KR 20100123733 A KR20100123733 A KR 20100123733A KR 101247718 B1 KR101247718 B1 KR 10124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otor
base
rotating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460A (ko
Inventor
이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일에스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일에스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일에스앤피
Priority to KR102010012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7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7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리젝터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된 로터; 상기 제1베이스에 상기 로터와 마주보게 장착된 캠;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캠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상기 로터의 일면과 캠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 둘레에 구비된 스프링; 상기 로터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에 구비된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가 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그리퍼와 로터의 사이가 개폐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Rejector and print register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지의 정합시 불필요한 종이, 인쇄지 또는 정합본 등을 정합 라인에서 배출하는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합 장치는 책자를 제본하기 위해 낱장으로 인쇄된 종이를 페이지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주는 장치이다. 정합 장치는 동일한 페이지의 인쇄지가 복수장씩 적층되는 급지대가 페이지 수에 따라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이 급지대로부터 스윙암에 의해 인쇄지를 인출하여 이송로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이송로에서는 급지대에서 순차적으로 인출된 인쇄지가 페이지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가장 아래쪽에 놓인 인쇄지는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이송로와의 마찰로 인해 흠집이 생기거나 이송로에 쓸려 나가면서 인쇄 상태가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인쇄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는, 인쇄지의 정합시 인쇄 에러나, 페이지 순서 에러와 같은 에러가 검출될 수 있다. 에러가 발견되면, 정합 장치의 작동을 멈추고, 에러로 검출된 인쇄지가 포함된 정합본을 수작업으로 빼낸다. 이와 같이 에러가 있는 정합본을 수작업으로 제거시 정합 작업을 멈추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인쇄지의 정합시 불필요한 종이, 인쇄지 또는 정합본 등을 정합 라인에서 배출하는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를 제공한다.
정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러를 제거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된 로터; 상기 제1베이스에 상기 로터와 마주보게 장착된 캠;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캠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상기 로터의 일면과 캠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 둘레에 구비된 스프링; 상기 로터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에 구비된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가 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그리퍼와 로터의 사이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베이스,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2베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구비된 제1풀리, 상기 제1풀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베이스에 장착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 및 2풀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3풀리, 상기 제1풀리, 제2풀리 및 제3풀리 둘레에 구비된 제1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1스크류축; 상기 제1스크류축에 연동되는 제2스크류축; 상기 제2스크류축과 제3풀리가 탑재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바디;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의 높이 변화에 따른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의 간격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2풀리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4풀리와, 상기 제4풀리와 제2벨트에 의해 결합된 제5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은 제1 평면 구간, 상기 제1 평면 구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제2평면 구간, 및 상기 제1평면 구간과 제2평면 구간 사이의 경사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는, 인쇄지를 페이지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되 온 인쇄지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리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젝터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된 로터, 상기 제1베이스에 상기 로터와 마주보게 장착된 캠,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캠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상기 로터의 일면과 캠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로드 둘레에 구비된 스프링, 상기 로터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에 구비된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가 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그리퍼와 로터의 사이가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는 인쇄지를 정합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정합본이나 더미 용지로 삽입한 종이와 같이 불필요한 인쇄지를 뽑아내어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젝터는 정합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자동으로 불필요한 인쇄지를 배출해 냄으로써 수동으로 배출 작업을 하는 것에 비해 정합 능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에 사용되는 캠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에 의해 인쇄지가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에 구비된 높이 조절부와 높이 조절 보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 장치는 여러 스테이션의 인쇄지를 페이지 순서대로 정렬하는 정렬부(1)와, 상기 정렬부(1)에서 이송된 정합본에서 불필요한 종이, 인쇄지, 또는 불필요한 인쇄지가 포함된 정합본을 따로 뽑아 배출해 내는 리젝터(1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정렬부(1)의 한 블록(B)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6개의 스테이션(S)이 하나의 블록(B)을 구성할 수 있다. 한 블록(B)에는 복수 개의 스윙 장치(50)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각 스윙장치(50)의 맞은 편에 인쇄지(55)가 적층되는 인쇄지 급지대(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지 급지대(57)에는 인쇄지가 페이지 순서에 맞게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스윙장치(50)의 하부 쪽에는 플레이트(60)가 구비된다. 플레이트(60)의 상부에는 상기 급지대(57)로부터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종이 받이 판(70)이 급지대(57)에 적층되어 있는 각 페이지의 인쇄지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복수 페이지의 인쇄지가 접지되어 한 단위의 스테이션을 구성하며, 각 스테이션마다 해당 유닛의 인쇄지가 적층되어 있고, 인쇄지를 픽업해 내는 스윙장치(50)와,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종이 받이 판(70)이 구비될 수 있다. 인쇄지를 픽업하는 장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레이트(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부(8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80)에 소정 간격으로 송정봉(85)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80)는 상기 송정봉(85)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콘베이아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송정봉(85)은 이송부(80)가 이동됨에 따라 인쇄지(55)를 밀어 인쇄지(55)를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블록의 스윙장치(50)는 제1 내지 제6 스윙장치(50a)(50b)(50c)(50d)(50e)(50f)로 구성되고, 상기 적층부(57)로부터 인쇄지(55)를 빼내어 플레이트(60)로 이동시킨다. 제1 스윙장치(50a)에 의해 제1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종이 받이판(70)을 거쳐 플레이트(60)로 옮겨지고, 제1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송정봉(85)에 의해 이웃하는 스윙장치 즉, 제2 스위장치(50b)가 있는 쪽으로 옮겨진다. 다음, 제2 스윙장치(50b)에 의해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종이 받이판(70)을 거쳐 플레이트(60)로 옮겨지는데, 이때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인쇄지 위에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옮겨져 적층된다. 다음, 제1 및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송정봉에 의해 제3 스윙장치(50c)가 있는 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3 스윙장치(50c)에 의해 제3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옮겨져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 위에 제3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적층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페이지 순서대로 제1 내지 제6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적층된 정합본(M)이 이송된다. 상기 플레이트(60)는 정렬부(1)가 끝나는 곳에서 점진적으로 지면에 대해 세워지게 되어 있으며, 이 플레이트(60)를 따라 이송되는 정합본(M)도 세워지면서 이송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정합본(M)은 가이드(90)를 따라 리젝터(100)를 통과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100)의 정면도를, 도 3은 평면도를, 도 4는 측면도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정합본(M)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세워진 상태로 가이드(90)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송되어 상기 리젝터(100)를 통과한다. 상기 리젝터(100)는 지지 플레이트(101) 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젝터(100)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을 배출해 내는 배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0)는 제1베이스(120)와, 상기 제1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25)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도록 회전축(125)에 로터(1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베이스(120)에는 상기 로터(130)와 마주보게 캠(14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가 상기 로터(130)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는 예를 들어 제1로드(141), 제2로드(142), 제3로드(143), 및 제4로드(14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는 그 일단이 상기 캠(1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130)의 일면(130a)과 캠(140) 사이의 로드 둘레에 각각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로드(141) 둘레에 제1스프링(151)이, 제2로드(142)에 제2스프링(152)이, 제3로드(143) 둘레에 제3스프링(153)이, 제4로드(144) 둘레에 제4스프링(154)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 부호 167은 상기 제1베이스(120)에 결합된 지지판으로서, 상기 회전축(125)이 지지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이 상기 로터(130)의 다른 면(130b)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에 각각 그리퍼(15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그리퍼(15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몸체로 구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캠(140)에 접촉하는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일단이 이러한 역할을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로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한편, 별도의 몸체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일단에 스프링 지지대(161)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대(161)에 상기 캠(140)과 접촉되는 접촉부(1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63)는 지지대(16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결합 부재(165)를 통해 지지대(161)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1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비해 로터(130)가 9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회전축(125)이 회전되면, 회전축(125)에 결합된 로터(130)가 회전된다. 또한, 로터(130)에 결합된 제1 내지 제4 로드(141)(142)(143)(144)가 회전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 로드(141)(142)(143)(144)의 일단에 각각 구비된 접촉부(163)가 캠(140) 면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캠(140)은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두께(d1)를 가지는 제1구간(140a), 상기 제1두께보다 두꺼운 제2두께(d2)를 가지는 제2구간(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140a)과 제2구간(140b) 사이에는 제3구간(140c)과 제4구간(140d)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140a)은 제1두께를 가지는 평면 구간일 수 있으며, 제2구간(140b)은 제2두께를 가지는 평면 구간일 수 있다. 그리고, 시계 방향을 기준으로 제3구간(140c)은 두께가 d1에서 d2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된 경사 구간일 수 있으며, 제4구간(140d)은 두께가 d2에서 d1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된 경사 구간일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접촉부(163)가 상기 제1구간(140a)을 따라 이동할 때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그리퍼(157)가 로터(130) 쪽으로 당겨져 그리퍼(157)와 로터(130)가 밀착하게 된다. 이때, 그리퍼(157)와 로터(130) 사이가 닫혀지게 된다(도 4의 아래에 있는 그리퍼). 다음, 상기 로드의 접촉부(163)가 제3구간(140c)을 거치면서 제3구간(140c)의 두께 증가에 따라 그리퍼(157)와 로터(130)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벌어진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접촉부(163)가 제2구간(140b)를 통과할 때 그리퍼(157)와 로터(1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도 4의 위에 있는 그리퍼). 상기 로드의 접촉부(163)가 제4구간(140c)를 통과할 때, 제4구간(140d)의 두께 감소에 따라 그리퍼(157)와 로터(130)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진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접촉부(163)가 제1구간(140a)을 따라 이동될 때 그리퍼(157)와 로터(130)가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부터는 앞서 설명한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리퍼(157)가 하부에 도착하기 전부터 로터(130)와 그리퍼(157) 사이가 좁혀지기 시작하고(제3구간(140c)) 로터(130)와 그리퍼(157) 사이로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이 들어온다. 그리고, 로터(130)와 그리퍼(157) 사이가 밀착될 때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이 그리퍼(157)에 의해 잡혀진 상태로 로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제1구간(140a)). 그리고, 로드가 캠의 제4구간(140d)을 이동하기 시작할 때 로터(130)와 그리퍼(157) 사이가 벌어지기 시작하고, 그 사이에 끼어 있던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이 떨어져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로드가 캠의 제2구간(140b)을 이동할 때 로터와 그리퍼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이동되어 그리퍼가 하부로 내려온다. 로터와 그리퍼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가이드(90)를 따라 이동되는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이 그리퍼와 만나고, 로터와 그리퍼 사이로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이 들어온다. 그런 다음, 캠의 제3구간(140c)에서 로터와 그리터 사이가 밀착됨에 따라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이 픽업될 수 있다.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로터에 그리퍼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두 개의 그리퍼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그리퍼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2,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리젝터(100)는 상기 로터(130)와 그리퍼(15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 제1베이스(120)의 전방에서 바라본 후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높이 조절부(200)는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그리퍼(157)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쇄지 또는 정합본(M)의 높이와 그리퍼(157)의 높이와 다를 때 그리퍼(157)에 의해 정합본(M)이 픽업될 수 없다. 이런 경우, 그리퍼(157)의 최소 높이(그리퍼가 가장 낮은 높이로 왔을 때의 높이)가 정합본(M)의 높이에 대응되게 그리퍼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리퍼(157)는 로터(13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로터(130)이 높이 또는 회전축(125)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그리퍼(15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0)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125)이 제1베이스(120)를 통과해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구비된 제1풀리(210)와, 상기 제1풀리(21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풀리(220)와, 상기 제1풀리(210) 및 2풀리(2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3풀리(230)와, 상기 제1풀리(210), 제2풀리(220) 및 제3풀리(230) 둘레에 구비된 제1벨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베이스(120)로부터 이격되어 제2베이스(205)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125)이 상기 제2베이스(205)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된 회전축의 단부에 상기 제1풀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풀리(220)는 제1풀리(2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베이스(205)에 장착된 제1축(222)에 장착될 수 있다. 제3풀리(230)는 상기 제2베이스(205)로부터 연장된 평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풀리(210), 제2풀리(220), 및 제3풀리(230)은 같은 평면 상, 예를 들어 제2베이스(20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풀리(210), 제2풀리(220), 및 제3풀리(230)는 제1벨트(240)에 의해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축(12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125)을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홈(225)이 제2베이스(205)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225)은 예를 들어 제2베이스(205)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 조절홈(225)의 형상이나 형성 방향 등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125)의 높이를 조절할 때 손으로 직접 회전축(125)을 이동시키고, 고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205)에 제1스크류축(228)이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스크류축(228)에 제1베이스(120)가 스크류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베이스(205)에 제1스크류축(228)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가이드 레일(234)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이동부(235)가 제1스크류축(228)의 스크류 부분(228a)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235)는 제1베이스(1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스크류축(228)을 조이거나 풀므로써 상기 제1베이스(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류축(228)을 회전시키면, 제1스크류축(228)이 제자리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제1스크류축(228)에 스크류 결합된 이동부(235)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37)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235)에 결합된 제1베이스(120)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120)의 높이를 조절하면 제1베이스(120)에 결합된 회전축(125)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5)은 상기 높이 조절홈(22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축(125)의 높이 변화에 따라 로터(130)의 높이가 변하고, 그럼으로써 로터(130)와 그리퍼(157)의 높이가 변하여 인쇄지(M)의 사이즈에 알맞은 그리퍼(157)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125)의 높이가 조절되면 제1풀리(210)와 제2풀리(220) 사이의 간격이 변한다. 회전축(125)의 높이 조절시에도 회전축(125)의 구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제1풀리(210), 제2풀리(220), 및 제3풀리(230) 사이의 둘레 길이가 제1벨트(240)의 길이로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125)의 높이 조절시 변하는 제1풀리(210)와 제2풀리(220) 사이의 간격의 변화를 보상하여 제1풀리, 제2풀리 및 제3 풀리 둘레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보상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보상부(250)는 상기 제2베이스(205)에 배치된 제2 가이드 레일(251)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5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54)는 돌출부(255)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255)를 관통하여 제2스크류축(26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류축(26)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제2 베이스(205)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스크류축(260)은 상기 돌출부(255)에 스크류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스크류축(260)의 일단은 상기 제1스크류축(228)에 벨벳 기어(26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크류축(228)이 회전되면 상기 제2스크류축(26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크류축(260)과 같은 방향으로 제2스크류축(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베이스(205)에 홈(2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254)에 축(270)이 구비되고, 상기 축(270)이 상기 홈(265)을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축(270) 둘레에 상기 제3풀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보상부(2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스크류축(228)의 회전시 제2스크류축(260)이 함께 회전되고, 제2스크류축(260)이 제자리에서 회전되므로 바디(254)가 제2가이드 레일(25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바디(254)가 이동되면, 바디(254)에 장착된 축(27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축(270)에 결합된 제3풀리(230)가 홈(265)을 따라 이동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125)의 높이가 낮아져 제1풀리(210)와 제2풀리(220) 사이의 간격이 커질 때 상기 축(270)은 도 2의 도면 상 오른 쪽으로 이동하여 제1풀리(210)와 제2풀리(220) 사이의 간격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축(125)의 높이가 높아져 제1풀리(210)와 제2풀리(22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질 때 상기 축(270)은 도 2의 도면 상 왼쪽으로 이동하여 제1풀리(210)와 제2풀리(220) 사이의 간격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축(125)의 높이가 조절되더라도 제1벨트(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회전축(125)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125)은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앞서 설명한 정렬부(1)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정렬부(1)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정렬부(1)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8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88)에 제1벨벳 기어(305)에 의해 제1축(3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310)의 상부쪽에 제2벨벳 기어(320)에 의해 제2축(32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축(325)에 제4풀리(33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풀리(220)가 결합된 축(222)에 제5풀리(335)가 결합된다. 상기 제2풀리(220)와 제5풀리(335)는 동축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풀리(330)와 제5풀리(335) 둘레에 제2벨트(350)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25)이 구동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축(88)이 회전되면 제1축(310), 제2축(325)이 연동되고, 상기 제2축(325)의 회전에 따라 제2벨트(350)가 회전되고, 제2벨트(350)에 의해 제4풀리(330)가 구동된다. 그럼으로써, 축(222)이 회전되고, 축(222)의 회전에 따라 제3풀리(230)가 구동되며, 제3풀리(230)의 구동에 따라 제1벨트(240)가 회전된다. 제1벨트(240)의 회전에 따라 제1풀리(210)가 회전되고, 제1풀리(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25)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렬부(1)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이용하여 회전축(125)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구동축(88)에 동기되어 인쇄지를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로터(130)에 배치된 그리퍼(197)의 개수에 따라 상기 회전축(12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125)의 회전 속도는 상기 구동축(88)에 결합된 제1벨벳 기어(305) 또는 제2벨벳 기어(320)의 톱니 개수를 조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5)은 상기 설명한 구동 방법에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예를 들어 인쇄지의 가장 아래쪽에 더미 용지(d)가 깔리고, 정렬부(1)에 의해 정렬된 정합본(M)이 리젝터(100)를 통과할 때, 상기 더미 용지(d)가 리젝터(100)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정렬부(1)에서 더미 용지(d)가 가장 밑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상적인 인쇄지가 적층된 정합본(M)이 이송부(80)에 의해 이송되어 리젝터(100)를 통과한다. 상기 더미 용지(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본(M)보다 큰 높이를 가지고, 정합본(M)보다 위로 올라와 있다.그리고, 정렬부(1)를 구동하는 구동축(88)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 구동축(88)에 연동되어 회전축(125)이 회전되고 있다. 회전축(125)의 회전 속도는 제1벨벳기어(305) 또는 제2벨벳기어(320)의 톱니 구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130)에 그리퍼(157)가 두 개 구비된 경우에는 구동축(85)의 속도보다 회전축(125)의 속도를 두 배 빠르도록 하여 정렬부(1)에서 전송되 오는 정합본(M)의 속도와 그리퍼의 픽업 속도가 동기될 수 있다.
정합본(M)이 가이드(90)에 의해 전달되어 리젝터(100) 근처에 올 때, 로터(130)에 구비된 로드와 캠(14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리퍼(157)와 로터(130) 사이 간격이 벌어져 있다. 이어서, 정합본(M)이 그리퍼(157)와 만날 때, 정합본(M) 중 더미 용지(d)가 그리퍼(157)와 로터(130) 사이로 들어오고, 로드와 캠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리퍼와 로터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더미 용지(d)만이 그리퍼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퍼의 높이가 더미 용지(d)의 높이에 맞춰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더미 용지만이 픽업되고, 나머지 정상적인 인쇄지로 된 정합본은 그대로 리젝터를 통과하여 그 다음 단계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퍼에 의해 픽업된 더미 용지(d)는 다시 로드와 캠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리퍼와 로터 사이의 간격이 벌어질 때 상기 정합본의 이송 경로와 다른 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쇄지를 적층시 가장 밑에 더미 용지(d)를 둠으로써 정합본이 이송될 때 마찰로 인해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인쇄지가 손상되거나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합본의 정렬이 완료되면 더미 용지를 리젝터(100)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함으로써 좋은 품질의 정합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더미 용지를 배출시 수동으로 하지 않고, 그리고 정합 공정의 중단 없이 자동으로 배출하므로 수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정합본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리젝터에서 정합본 전체를 배출해 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에러가 검출되고, 에러 검출 신호에 동기되어 리젝터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젝터는 더미 용지나 에러 발생 정합본과 같이 정합 과정에서 별도로 배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종이 또는 정합본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인쇄 품질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정렬부, 50...스윙 장치
57...급지대, 70...종이 받이판
80...이송부, 85...송정봉
90...가이드, 100...리젝터
110...배출부, 120...제1베이스
125...회전축, 130...로터
140...캠, 141,142,143,144...로드
151,152,153,154...스프링, 157...그리퍼,
200...높이 조절부, 205...제2베이스
210,220,230...풀리, 240...벨트
250...높이 조절 보상부

Claims (12)

  1.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된 로터;
    상기 제1베이스에 상기 로터와 마주보게 장착된 캠;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캠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상기 로터의 일면과 캠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 둘레에 구비된 스프링;
    상기 로터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에 구비된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가 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그리퍼와 로터의 사이가 개폐되는 리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리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베이스,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2베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구비된 제1풀리, 상기 제1풀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베이스에 장착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 및 2풀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3풀리, 상기 제1풀리, 제2풀리 및 제3풀리 둘레에 구비된 제1벨트를 포함하는 리젝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1스크류축; 상기 제1스크류축에 연동되는 제2스크류축; 상기 제2스크류축과 제3풀리가 탑재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바디;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의 높이 변화에 따른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의 간격 변화를 보상하는 리젝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풀리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4풀리와, 상기 제4풀리와 제2벨트에 의해 결합된 제5풀리를 더 포함하는 리젝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1 평면 구간, 상기 제1 평면 구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제2평면 구간, 및 상기 제1평면 구간과 제2평면 구간 사이의 경사면 구간을 포함하는 리젝터.
  7. 인쇄지를 페이지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로부터 이송되 온 인쇄지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리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젝터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결합된 로터, 상기 제1베이스에 상기 로터와 마주보게 장착된 캠,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고, 일단이 상기 캠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상기 로터의 일면과 캠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로드 둘레에 구비된 스프링, 상기 로터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의 타단에 구비된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가 캠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그리퍼와 로터의 사이가 개폐되는 정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정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베이스,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2베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구비된 제1풀리, 상기 제1풀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베이스에 장착된 제2풀리, 상기 제1풀리 및 2풀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3풀리, 상기 제1풀리, 제2풀리 및 제3풀리 둘레에 구비된 제1벨트를 포함하는 정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제1 스크류축; 상기 제1스크류축에 연동되는 제2스크류축; 상기 제2스크류축과 제3풀리가 탑재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바디;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의 높이 변화에 따른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 사이의 간격 변화를 보상하는 정합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1 평면 구간, 상기 제1 평면 구간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제2평면 구간, 및 상기 제1평면 구간과 제2평면 구간 사이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정합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젝터의 회전축이 상기 정렬부를 구동하는 구동축에 동기되어 구동되는 정합 장치.
KR1020100123733A 2010-12-06 2010-12-06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KR101247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33A KR101247718B1 (ko) 2010-12-06 2010-12-06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33A KR101247718B1 (ko) 2010-12-06 2010-12-06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460A KR20120062460A (ko) 2012-06-14
KR101247718B1 true KR101247718B1 (ko) 2013-03-26

Family

ID=4668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733A KR101247718B1 (ko) 2010-12-06 2010-12-06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83A (ja) 1985-07-11 1987-01-26 Fuji Insatsu Kk 印刷物の丁合包装システム
JPH0994939A (ja) * 1995-10-02 1997-04-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物検査装置における不良リジェクト方法
JP2000006549A (ja) 1998-06-23 2000-01-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レンダー製造装置及びカレンダー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83A (ja) 1985-07-11 1987-01-26 Fuji Insatsu Kk 印刷物の丁合包装システム
JPH0994939A (ja) * 1995-10-02 1997-04-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印刷物検査装置における不良リジェクト方法
JP2000006549A (ja) 1998-06-23 2000-01-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レンダー製造装置及びカレンダー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460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4133B2 (en) Device for delivering print shop products supplied in a product stream on two separate stacks
US7971877B2 (en) Transfer out device
US7762546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US86901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ut printed products from a stack
JP5921006B2 (ja) 給紙装置
US7992866B2 (en) Apparatus for aligning sheets on stops
KR101850256B1 (ko) 기계에 시트 요소들을 공급하는 방법, 공급 스테이션, 및 이를 구비하는 처리 기계
US8579274B2 (en) Cover feeder for multiple format covers
US20130099439A1 (en) Device for disbursing value notes comprising a stationary support element
US20130295285A1 (en) Printing table assembly, method for operating a printing table assembly
JP2011184116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414099B (zh) 用于板状件的装载台和该元件的加工机
EP2106916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20080290592A1 (en) Apparatus for Feeding Sheets to a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Loading the Apparatus
KR101247718B1 (ko) 리젝터 및 이를 구비한 정합 장치
EP3819131B1 (en) Book block feed device
US8038137B2 (en) Device with a displaceable stacking device or charging device to produce print matter
JP5294897B2 (ja) 紙受け装置における紙受け処理方法
CA2435366C (en) Devic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pile of flat objects
CN115210159A (zh) 用于在转换机中存储片材堆的设备和转换机
KR100514280B1 (ko) 용지정렬장치
KR100895647B1 (ko)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EP3772418A1 (en) Bookbinding apparatus
KR101147464B1 (ko)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JP4135923B2 (ja) 合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