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647B1 -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647B1
KR100895647B1 KR1020070047285A KR20070047285A KR100895647B1 KR 100895647 B1 KR100895647 B1 KR 100895647B1 KR 1020070047285 A KR1020070047285 A KR 1020070047285A KR 20070047285 A KR20070047285 A KR 20070047285A KR 100895647 B1 KR100895647 B1 KR 10089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ceiving plate
paper receiving
printing paper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066A (ko
Inventor
이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일에스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일에스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일에스앤피
Priority to KR102007004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64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Abstract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종이 받이 판은,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에서 스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지를 픽업하여 인쇄지가 놓여지는 정합 장치의 종이 받이 판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받이 판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종이 받이 판은 공기 배출구를 가지고 있어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에 떨어질 때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인쇄지와 종이 받이 판 사이에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인쇄지와 종이 받이 판 사이에 공기 저항으로 인해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에 신속하게 안착되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의 고속 운전이 가능해져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Plate receiving papers and register employ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정합 장치의 일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정합 장치의 종이 받이 판에 인쇄지가 옮겨진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합 장치의 일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이 구비된 정합 장치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에 인쇄지 정렬 유닛이 구비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에 높이 조절 유닛이 구비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스윙 암, 110...지지 선반
120,121...집게, 150...스윙 장치
155..인쇄지, 157...적층부,
160...콘베이아 체인, 170...종이 받이 판
171...공기 배출구, 180...지지벽
200...종이 정렬 유닛, 205..아암
203...결합부, 250...높이 조절 유닛
253...지지대,
본 발명은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운전하는 정합 장치에 적합한 종이 받이 판 및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합 장치는 책자를 제본하기 위해 낱장으로 인쇄된 종이를 페이지 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주는 장치이다. 정합 장치는 동일한 페이지의 인쇄지가 복수 장씩 적층되는 급지대가 페이지 수에 따라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이 급지대로부터 스윙암을 이용하여 인쇄지를 한 장씩 인출하여 이송로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로에서는 급지대에서 순차적으로 인출된 인쇄지가 페이지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이송된다.
여기서, 복수 페이지의 인쇄지가 접지되어 한 단위의 스테이션을 구성하며, 이러한 스테이션을 복수 개 포함하여 한 단위의 블록을 이루며, 정합 장치는 복수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블록은 동시에 같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스테이션이 하나의 블록을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블록이 횡으로 배열되어 정합 장치가 구성된다.
만들고자 하는 책의 페이지 수에 따라 필요한 블록의 개수가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한 스테이션이 8페이지로 구성되고, 한 블록이 6개의 스테이션으로 구성될 때, 한 블록에 의해서 48페이지의 인쇄지가 모여질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블록을 사용한다면, 96페이지의 인쇄지가 모여질 수 있다. 만약, 96페이지의 책을 만들고자 한다면, 2 개의 블록을 이용하여 정합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정합 장치의 한 단위의 블록(B)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6개의 스테이션(S)이 하나의 블록(B)을 구성할 수 있다. 한 블록에는 복수 개의 스윙장치(50)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각 스윙장치(50)의 맞은 편에 인쇄지(55)가 적층되는 인쇄지 적층부(57)가 페이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스윙장치(50)와 인쇄지 적층부(57)는 1:1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스윙장치(50)의 하부 쪽에는 콘베이아 체인(60)이 구비된다. 콘베이아 체인(60)의 상부에는 상기 적층부(57)로부터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종이 받이 판(70)이 각 적층부(57)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복수 페이지의 인쇄지가 접지되어 한 단위의 스테이션을 구성하며, 각 스테이션마다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57)와, 적층부(57)로부터 접지된 인쇄지를 픽업해 내는 스윙장치(50)와, 적층부(57)로부터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종이 받이 판(70)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한 블록의 스윙장치(50)는 제1 내지 제6 스윙장치(50a)(50b)(50c)(50d)(50e)(50f)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합 장치에서 인쇄지가 정합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윙 장치에 의해 상기 적층부(57)로 부터 빼내진 인쇄지(55)는 종이 받이 판(70) 위로 옮겨진다. 상기 콘베이아 체인(60)의 전방에는 지지벽(80)이 세워지고, 이 지지벽(80)에 여러 가지 장치 들이 설치된다. 상기 종이 받이 판(70)은 상기 적층부(57)로부터 콘베이아 체인(60) 위쪽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벽(80)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종이 받이 판(70)에 옮겨진 인쇄지는 지지벽(80) 쪽으로 붙어 위치된다.
도 2는 상기 종이 받이 판(70)에 인쇄지(55)가 이송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로서, 상기 종이 받이 판(70)과 지지벽(80)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베이아 체인(60)의 상기 지지벽(80)쪽에 가까운 곳에는 소정 간격으로 송정봉(8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송정봉(85)은 콘베이아 체인(60)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갭(G)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상기 송정봉(85)은 종이 받이 판(70)에 옮겨진 인쇄지(55)를 밀어 인쇄지(55)가 콘베이아 체인(60)으로 떨어져 이웃하는 종이 받이 판 밑을 통과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스윙장치(50a)에 의해 제1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콘베이아 체인(60)으로 옮겨지고, 제1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콘베이아 체인에 의해 이웃하는 종이 받이 판 밑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그리고, 제2 스윙장치(50b)에 의해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으로 옮겨진 다음 송정봉에 의해 가이드되어 콘베이아 체인으로 옮겨지는데, 이때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인쇄지 위에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떨어지면서 적층된다. 다음, 제1 및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콘베이아 체인에 의해 다음의 종이 받이 판 밑을 통과하여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3 스윙장치(50c)에 의해 제3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을 거쳐 콘베이아 체인으로 옮겨져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지의 인쇄지 위에 제3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적층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페이지 순서대로 제1 내지 제6 스테이지의 인쇄지가 적층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스윙 장치(50)가 인쇄지(55)를 픽업하여 종이 받이 판(70)으로 떨어뜨릴 때 인쇄지(55)와 종이 받이 판(70)과의 사이에 공기 저항이나 정전기로 인해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70)에 착지되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인쇄지(55)가 종이 받이 판(70)에 정렬되기 전에 송정봉(85)이 지나가는 경우 송정봉(85)이 인쇄지의 밑으로 들어가 인쇄지(55)를 가이드하지 못하여 해당 페이지의 인쇄지가 빠지는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한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인쇄지의 페이지수가 적거나 인쇄지의 크기가 크거나 인쇄지의 무게가 적을 때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 많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정합 장치를 고속으로 운전하는 경우 콘베이아 체인이 고속으로 이동하는데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70)에 떨어질 때 공기 저항이나 종이 받이 판의 정전기 등으로 인해 인쇄지가 빨리 정렬되지 못하여 에러 발생률이 증가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정합 장치를 고속으로 운전하여 생산률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종이 받이 판에 인쇄지를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공기 저항이나 정전기를 억제하여 인쇄지가 신속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종이 받이 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속 운행 중에도 종이 받이 판에 인쇄지가 신속하게 안착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정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에서 스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지를 픽업하여 인쇄지가 놓여지는 정합 장치의 종이 받이 판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받이 판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종이 받이 판을 제공한다.
상기 종이 받이 판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에 힌지 결합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다른 쪽 단부에 결합되어 아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전후진 운동하는 종이 정렬부;를 더 포함하여, 종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종이 정렬부의 위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에 종이 받이 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체결된 복수 개의 볼트; 상기 종이 받이 판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있는 복수 개의 볼트의 둘레에 삽입되어 상기 종이 받이 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쇄지를 페이지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정합 장치에 있어서,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 상기 적층부에서 상기 인쇄지를 픽업하는 스윙 장치; 상기 스윙 장치에 의해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것으로, 공기 배출구 를 가지는 종이 받이 판; 상기 종이 받이 판으로부터 인쇄지를 가이딩하기 위한 송정봉을 구비하여 인쇄지를 이송하는 콘베이아 체인;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합 장치의 한 단위의 블록(B)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6개의 스테이션(S)이 하나의 블록(B)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 블록에 복수 개의 스윙장치(150)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각 스윙장치(150)의 맞은 편에 인쇄지(155)가 적층되는 인쇄지 적층부(157)가 페이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스위장치(150)는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6 스윙장치(150a)(150b)(150c)(150d)(150e)(150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장치(150)와 인쇄지 적층부(57)는 1:1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스윙장치(150)의 하부 쪽에는 이동 가능한 콘베이아 체인(160)이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 페이지의 인쇄지(155)가 접지되어 한 단위의 스테이션을 구성하며, 각 스테이션마다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157)와, 적층부(157)로부터 접지된 인쇄지를 픽업해 내는 스윙장치(150)와, 스윙장치(150)에 의해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종이 받이 판(170)이 구비된다. 상기 종이 받이 판(170)은 콘베이아 체인(16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적층부(157)의 앞쪽에 각 적층부(157)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종이 받이 판(170)은 상기 적층부(157)의 앞에 구비된 지지 선반(110)에 결합되고, 상기 콘베이아 체인(160)의 전방에는 일정 갭을 두고 지지벽(180)이 구비된다.
스윙 장치(150)는 상기 적층부(157)로부터 인쇄지(155)를 픽업하여 종이 받이 판(170)에 떨어뜨리는 동작을 한다. 스윙 장치(150)는 스윙암(100)과 상기 스윙암(100)의 스윙 운동에 종동되어 상하운동하는 개폐암(115)을 포함한다. 상기 스윙암(100)의 하단부에 제1집게(120)가, 상기 개폐암(115)의 하단부에 제2집게(121)가 결합된다. 제2집게(121)는 상기 개폐암(115)의 운동에 종동되어 회동가능하게 상기 개폐암(115)의 하단부와 상기 제1집게(120)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윙암(100)의 상단부에는 스윙암(100)을 스윙시키는 스윙축(123)이 결합되고, 상기 개폐암(115)의 상단부에는 개폐암(115)을 직선 운동시켜 상기 제2집게(121)가 제1집게(120)로부터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도록 하는 개폐암 구동축(125)이 결합된다. 상기 스윙축(123)이 적층부(157) 쪽으로 이동하고, 제1집게(120)와 제2집게(121) 사이가 벌어지면서 인쇄지(155)가 그 사이로 들어오고 이어서 제1집게(120)와 제2집게(121)가 오무려지면서 인쇄지가 픽업되어 종이 받이 판(170)으로 옮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170)은 공기 배출구(171)를 포함하여 인쇄지(155)가 종이 받이 판(170)에 떨어질 때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17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인쇄지(155)에 대한 공기 저항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4는 종이 받이 판(170)의 동작을 보이기 위해 스위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선반(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종이 받이 판(17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종이 받이 판(170)은 한 쪽 가장 자리에 마련된 결합부(173)를 가지고, 상기 결합부(173)가 지지 선반(110)에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17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종이 받이 판(170)은 지지벽(180)으로부터 일정 갭(G) 만큼 떨어져 위치되고, 콘베이아 체인(160)에는 상기 갭(G) 사이에 위치하는 송정봉(185)이 구비된다. 따라서, 콘베이아 체인(160)이 이동할 때 송정봉(185)이 종이 받이 판(170)과 지지벽(180) 사이의 갭(G)을 통과하여 지나간다.
적층부(157)로부터 픽업된 인쇄지(155)가 종이 받이 판(170)으로 옮겨졌을 때 인쇄지(155)가 상기 지지벽(180) 쪽으로 자동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종이 받이 판(170)이 지지벽(18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지(155)가 지지벽(180)쪽으로 밀착되어야 송정봉(185)이 상기 종이 받이 판(170)과 지지벽(180) 사이의 갭(G)을 지나갈 때, 상기 송정봉(185)이 인쇄지(155)를 끌고 종이 받이 판(170)의 밑에 있는 콘베이아 체인(160)으로 이송한다. 그런 다음 인쇄지는 콘베이아 체인(16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종이 받이 판(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배출구(17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구(171)는 인쇄지 적층부(157)로부터 인쇄지(155)가 픽업되어 종이 받이 판(157)에 내려졌을 때 인쇄지(155)와 종이 받이 판(170) 사이의 공기 저항으로 인해 인쇄지(155)가 빠르게 종이 받이 판(170)에 착지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인쇄지(155)는 가볍기 때문에 공기 저항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더욱이, 인쇄지의 크기가 크고 가벼울 때는 공기 저항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쇄지(155)가 종이 받이 판(170)에 떨어질 때 공기 배출구(171)를 통해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공기 배출구(171)의 개수나 크기 그리고 배열 방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71)의 크기는 여러 가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인쇄지(155)가 종이 받이 판(155)에 떨어질 때 인쇄지가 공기 배출구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공기 배출구(171)가 지지벽(180) 쪽으로 갈수록 지지 선반(110)쪽보다 그 크기가 작아지거나 그 개수가 작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왜냐 하면 종이 받이 판(170)과 지지벽(180) 사이에는 갭(G)이 있기 때문에 그 갭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지지 선반(110) 쪽보다 공기 배출의 필요가 적으므로 위치에 따라 공개 배출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171)는 인쇄지와 종이 받이 판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 저항을 줄임과 아울러 정전기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얇은 종이는 정전기가 일어나기 쉽고, 정전기는 종이 받이 판(170)에 인쇄지가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인쇄지와 종이 받이 판 사이의 공기가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공기 저항이 줄고, 이에 따라 공기 저항에 의한 마찰로 인해 발생되던 정전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인쇄지(155)가 종이 받이 판(170)에 신속하게 착지됨에 따라 고속 운전에도 에러 없이 인쇄지가 빠르게 이송될 수 있다. 인쇄지는 페이지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적층되면서 콘베이아 체인(160)을 통해 이송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170)에 인쇄지 정렬 유닛(200)이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인쇄지 정렬 유닛(200)은 인쇄지(155)의 크기에 따라 인쇄지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인쇄지 정렬 유닛(200)은 상기 종이 받이 판(170)의 한 쪽 가장 자리 부에 마련된 결합부(173)에 힌지 결합된 아암(205)과, 상기 아암(205)의 단부에 결합되어 아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전후진 운동하도록 된 종이 정렬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아암(205)의 힌지 운동에 따라 종이 정렬부(210)의 위치가 조절되며, 인쇄지의 크기에 따라 종이 정렬부(2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종이 받이 판(170)에서 인쇄지가 쉽게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종이 정렬부(210)가 앞으로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작은 사이즈의 인쇄지를 정렬할 때 적용 가능하며, 가상 선으로 도시된 것은 종이 정렬부(210)가 뒤로 후퇴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큰 사이즈의 인쇄지를 정렬할 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아암(205)은 일단이 결합부(173)에 제1체결부(207)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종이 정렬부(210)에 제2체결부(208)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아암(205)을 제1체결부(207)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종이 정렬부(210)가 전후진된다. 종이 정렬부(210)의 위치를 인쇄지의 크기에 맞게 조절한 다음, 인쇄지를 종이 받이 판(170)에 내려놓으면 인쇄지를 쉽게 정렬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7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받이 판(170)보다 낮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종이 받이 판(170)과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종이 받이 판(170)의 인쇄지 이송 방향의 선행부(176)는 상부로 돌출되게 꺽여 있고, 후행부(177)는 하부로 기울어지게 꺽여 있을 수 있다. 선행부(176)가 상부로 돌출된 것은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170)에 떨어질 때 선행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후행부(177)가 하부로 기울어져 있는 것은 인쇄지(155)가 이송될 때 좀더 쉽게 종이 받이 판(170)을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종이 받이 판(170)은 높이 조절 유닛(2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 유닛(250)은 종이 받이 판(170)의 결합부(203) 하부에 지지대(253)를 구비하고, 지지대(253)와 결합부(20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종이 받이 판(17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는, 결합부(203)가 종이 받이 판(170)으로부터 "L"자 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가 보다 쉽게 종이 받이 판(170)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선행부(176) 쪽이 후행부(177) 쪽보다 높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높이 조절 유닛(250)에 대해 살펴보면, 높이 조절 유닛(250)은 지지대(253)와, 상기 결합부(203)와 지지대(253)를 체결하는 제1볼트 및 제2볼트(255a)(255b)를 포함한다. 제1볼트(255a)와 제2볼트(255b)는 결합부(203)의 양쪽 끝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03)와 지지대(253) 사이의 제1 및 제2 볼트(255a)(255b) 둘레에 탄성 부재(257)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203)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볼트(255)를 조이면 종이 받이 판(170)의 높이가 낮아지고, 제1 및 제2 볼트(255)를 풀면 종이 받이 판(170)의 높이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제1 볼트(255a)를 조이고, 제2 볼트(255b)를 풀면 제1 볼트쪽이 낮아지고, 제2볼트쪽은 높아진다. 제1볼트쪽이 인쇄지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후행 방향이고, 제2볼트쪽이 선행 방향이므로 후행 방향이 낮아지게 되어 인쇄지의 흐름을 부드럽고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결합부(263)의 양 모서리부에 가이드홈(26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253)에 상기 가이드홈(260)에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봉(263)을 형성하여 상기 종이 받이 판(17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지지대(253)를 도 1에 도시된 지지 선반(110)에 결합하여 종이 받이 판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은 공기 배출구를 가지고 있어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에 떨어질 때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인쇄지와 종이 받이 판 사이에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인쇄지와 종이 받이 판 사이에 공기 저항으로 인해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에 신속하게 안착되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인쇄지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정전기로 인해 인쇄지가 빨리 안착되지 못하거나 이송에 방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받이 판을 구비한 정합 장치는 고속으로 운전하여도 종이 받이 판에 인쇄지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착지되어 바로 송정봉에 의해 이송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해 고속 운전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생산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인쇄지가 종이 받이 판과의 사이에서 공기 저항으로 인해 늦게 떨어지면서 발생되는 에러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정합 장치의 운전을 멈추고 다시 작업해야하는 것을 감안할 때 생산 효율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이 받이 판에 인쇄지의 사이즈에 따라 종이 정렬 유닛을 이용하여 인쇄지가 떨어지는 위치를 잡아주어 인쇄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정 렬한다. 그리고, 종이 받이 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인쇄지의 이송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에서 스윙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지를 픽업하여 인쇄지가 놓여지는 정합 장치의 종이 받이 판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받이 판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에 힌지 결합된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다른 쪽 단부에 결합되어 아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전후진 운동하는 종이 정렬부;를 포함하여, 종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종이 정렬부의 위치가 달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받이 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에 종이 받이 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받이 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체결된 복 수 개의 볼트;
    상기 종이 받이 판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있는 복수 개의 볼트의 둘레에 삽입되어 상기 종이 받이 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받이 판.
  5. 삭제
  6. 인쇄지를 페이지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정합 장치에 있어서,
    인쇄지가 적층된 적층부;
    상기 적층부에서 상기 인쇄지를 픽업하는 스윙 장치;
    상기 스윙 장치에 의해 픽업된 인쇄지가 놓여지는 것으로, 공기 배출구를 가지는 종이 받이 판;
    상기 종이 받이 판으로부터 인쇄지를 가이딩하기 위한 송정봉을 구비하여 인쇄지를 이송하는 콘베이아 체인;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에 힌지 결합된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아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전후진 운동하는 종이 정렬부;를 포함하여, 종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종이 정렬부의 위치가 달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에 결합된 종이 받이 판의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유닛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대;
    상기 종이 받이 판의 한 쪽 가장 자리 부분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체결된 복수 개의 볼트;
    상기 종이 받이 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있는 복수 개의 볼트의 둘레에 삽입되어 상기 종이 받이 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합 장치.
KR1020070047285A 2007-05-15 2007-05-15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KR10089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85A KR100895647B1 (ko) 2007-05-15 2007-05-15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85A KR100895647B1 (ko) 2007-05-15 2007-05-15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66A KR20080101066A (ko) 2008-11-21
KR100895647B1 true KR100895647B1 (ko) 2009-05-07

Family

ID=4028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285A KR100895647B1 (ko) 2007-05-15 2007-05-15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743B1 (ko) * 2020-10-26 2024-02-19 (주) 진일에스앤피 인쇄지 정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8661A (ja) 1985-04-12 1986-10-23 Hitachi Koki Co Ltd 用紙折りたたみ装置
JPH0891577A (ja) * 1994-09-29 1996-04-09 Daiichi Kogyo Kk 書籍等の自動化ラインへの切出し装置
JPH09278216A (ja) * 1996-04-09 1997-10-28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KR20020007960A (ko) * 1998-05-28 2002-01-29 메리 이. 보울러 벌크 텍스타일 섬유를 처리하기 위한 개선된 유입구 디자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8661A (ja) 1985-04-12 1986-10-23 Hitachi Koki Co Ltd 用紙折りたたみ装置
JPH0891577A (ja) * 1994-09-29 1996-04-09 Daiichi Kogyo Kk 書籍等の自動化ラインへの切出し装置
JPH09278216A (ja) * 1996-04-09 1997-10-28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KR20020007960A (ko) * 1998-05-28 2002-01-29 메리 이. 보울러 벌크 텍스타일 섬유를 처리하기 위한 개선된 유입구 디자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66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8643A (en) Coating apparatus for boards
US7971877B2 (en) Transfer out device
RU25272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борки плоских предметов
US6659455B2 (en) Sheet set position adjuster means for moving sheet indexer
EP1911710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aging and processing documents
US8056892B2 (en) Apparatus for collating flat objects and for conveying the collated objects further
SE466701B (sv) Anordning foer stapling av satsvis anordnade foeremaal
CN109368168B (zh) 衬套外管全自动内涂胶生产线的送管系统
US8434609B2 (en) Method for aligning flat products on a side edge and conveying device for realizing the method
KR20130139313A (ko) 프린팅 테이블 어셈블리, 프린팅 테이블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방법
CN105692225A (zh) 一种异型烟分拣机
KR100895647B1 (ko)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US707378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rinted products
EP1972583B1 (en) High speed shingled sheets compiler
US7740239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9156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tacks of printed products supplied in an overlapping flow
US5716190A (en) Transport process and apparatus for use in bookbinding
CN108908514B (zh) 对心机构及建筑用板生产系统
CN109350935B (zh) 一种羽毛球传送机构及羽毛球设备
CN207917780U (zh) 一种气门生产线基础储料装置
JP5887631B2 (ja) 製本装置
CN215401802U (zh) 一种用于纸品印刷品的自动配页粘页机的堆书装置
US6325592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printed products from a conveying stream and for stacking the removed printed products
US6588741B2 (en) Stacking device of a printing press
CN216402967U (zh) 一种进回料导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