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891B1 - 샤클 조립체 - Google Patents

샤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891B1
KR101246891B1 KR1020100073536A KR20100073536A KR101246891B1 KR 101246891 B1 KR101246891 B1 KR 101246891B1 KR 1020100073536 A KR1020100073536 A KR 1020100073536A KR 20100073536 A KR20100073536 A KR 20100073536A KR 101246891 B1 KR101246891 B1 KR 10124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ckle
pin
hole
insertion ho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601A (ko
Inventor
손영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8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샤클 조립체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샤클 몸체 및 상기 샤클 몸체에 관통되는 샤클핀을 포함하는 샤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클 몸체는, 상기 샤클 몸체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샤클핀이 관통하도록 원형의 주관통공 및 상기 주관통공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주관통공과 연결되는 보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클핀은 상기 주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샤클핀 몸체; 상기 샤클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주관통공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샤클핀 헤드; 및 상기 샤클핀 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 가능한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의 상기 양단부의 상기 보조관통공들을 완전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샤클핀 몸체가 회전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걸린다.

Description

샤클 조립체{Shackle assembly}
본 발명은 샤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샤클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중량물의 운송과정에서, 상기 중량물을 끌어올리는 크레인과 같은 견인장치와 상기 중량물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다.
상기 샤클 조립체의 일측은, 상기 견인장치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연장되는 연결끈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샤클 조립체의 타측은 상기 중량물에 형성되는 중량물측 연결부에 연결된다.
즉, 상기 샤클 조립체는 상기 운송 수단의 상기 연결끈과 상기 중량물을 연결시켜, 상기 견인장치에 의하여 상기 중량물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샤클 조립체의 구성이 도시된다.
일반적인 샤클 조립체(100)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견인장치로부터 연장된 상기 연결끈이 연결되는 샤클 몸체(110)와, 샤클 몸체(110)의 양단부(111,112)에 관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이 지지되는 샤클핀(120)과, 샤클핀(120)이 샤클 몸체(110)의 양단부(111,112)에 관통된 상태에서, 샤클핀(12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는 샤클핀 고정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샤클핀(120)은 샤클핀 몸체(121)와, 샤클핀 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샤클핀 몸체(121)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샤클핀 헤드(122)로 구성되며, 샤클핀 몸체(121)의 타측에는 나사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샤클핀 고정부재로서는 너트(130)가 마련된다. 그리고, 너트(130)는, 샤클핀 몸체(121)가 샤클 몸체(110)의 양단부(111,11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샤클핀 몸체(121)의 타측에 형성되는 나사부(123)에 체결됨으로써, 샤클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샤클핀 고정부재(130)가 샤클핀(120)에 고정되면, 샤클핀(120)이 샤클 몸체(1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샤클 조립체(100)에서는, 샤클 몸체(110)에 샤클핀(120)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샤클핀 고정부재(130)를 회전시켜 샤클핀(120)에 고정시키게 되며, 샤클 조립체(100)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조립 과정에 대하여 역순으로 분해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샤클 조립체(100)에 대하여 조립 및 분해가 빈번하게 요구되는 상기 중량물의 운송과정에서, 샤클 조립체(100)에 대한 조립 및 분해 과정이 복잡해지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샤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샤클 조립체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샤클 몸체 및 상기 샤클 몸체에 관통되는 샤클핀을 포함하는 샤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클 몸체는, 상기 샤클 몸체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샤클핀이 관통하도록 원형의 주관통공 및 상기 주관통공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주관통공과 연결되는 보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클핀은 상기 주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샤클핀 몸체; 상기 샤클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주관통공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샤클핀 헤드; 및 상기 샤클핀 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관통공에 삽입 가능한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의 상기 양단부의 상기 보조관통공들을 완전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샤클핀 몸체가 회전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걸린다.
또한, 상기 샤클핀 헤드에는 상기 샤클핀 몸체의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편심 중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클핀의 상기 잠금부 및 상기 편심 중량부는, 상기 샤클핀 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클 몸체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샤클핀의 상기 잠금부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되는 샤클 몸체측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과 정렬되는 샤클핀측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샤클 몸체에 대하여 상기 샤클핀을 고정시키는 안전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클 몸체는, 상기 잠금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이 정렬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핀은,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에 삽입되는 안전핀 몸체 및 상기 안전핀 몸체에 대하여 절곡되는 안전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안전핀 몸체가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핀 헤드가 걸리는 안전핀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샤클 몸체의 양 단부를 관통하는 샤클핀을 단순히 회전시켜, 상기 샤클핀의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샤클핀이 샤클 몸체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샤클 조립체의 조립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샤클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클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샤클 조립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샤클핀이 샤클 몸체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샤클 몸체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5의 샤클핀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샤클 몸체에 안전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Ⅶ-Ⅶ의 선도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클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샤클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샤클 조립체(1)는 샤클 몸체(10)와, 샤클핀(20)과, 안전핀(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샤클 몸체(10)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샤클 몸체(10)의 양단부(12,13)에는 샤클핀(20)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공(141,142,151,152)이 형성된다.
관통공(141,142,151,152)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과,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에 대하여 각각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며,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과 연결되는 제1보조관통공(151) 및 제2보조관통공(152)을 포함한다. 이때, 제1주관통공(141) 및 제1보조관통공(151)은 샤클 몸체(10)의 일측 단부(12)에, 제2주관통공(142) 및 제2보조관통공(152)은 샤클 몸체(10)의 타측 단부(13)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보조관통공(151) 및 제2보조관통공(152)은 각각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에 대하여, 샤클 몸체(10)의 상방, 즉 샤클 몸체(10)에서 U 자 형상으로 라운드지는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샤클 몸체(10)의 일측 단부(12)의 외면(121)측에는 안전핀(30)의 일부가 삽입되는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몸체측 삽입공(17)이 인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스토퍼(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샤클핀(20)은 샤클핀 몸체(21)와, 샤클핀 헤드(22)와, 잠금부(23)와, 편심 중량부(24)를 포함한다.
샤클핀 몸체(21)는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샤클핀 몸체(21)는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형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샤클핀 몸체(21)의 단면적의 크기는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의 크기와 같거나 그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샤클핀 몸체(21)는 먼저 제2주관통공(142)을 관통한 상태에서, 중량물(5)에 형성되는 연결부(51)의 연결홀(511)을 관통한다. 그 다음, 샤클핀 몸체(21)의 타단(212)이 제1주관통공(141)을 관통하면, 중량물(5)과 샤클 조립체(1)의 연결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샤클핀 헤드(22)는 샤클핀 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주관통공(141) 및 제2주관통공(142)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23)는 샤클핀 몸체(2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제1보조관통공(151) 및 제2보조관통공(152)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부(23)가 차례로 제2보조관통공(152) 및 제1보조관통공(151)을 완전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샤클핀 몸체(21)가 회전되면, 잠금부(23)는 샤클 몸체(10)의 일측 단부(12)의 외면(121) 측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부(23)에는 샤클핀 몸체(21)의 타단(212)에서 샤클핀 헤드(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샤클핀측 삽입공(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편심 중량부(24)는 샤클핀 헤드(22)에 형성되며, 샤클핀 몸체(21)의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샤클핀(20)의 무게 중심은, 샤클핀 몸체(21)의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23)와 편심 중량부(24)는 샤클핀 몸체(2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샤클핀(20)의 상기 무게 중심의 편심 정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핀(30)은 샤클핀(20)의 잠금부(23)가 차례로 제2보조관통공(152) 및 제1보조관통공(151)을 완전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샤클핀 몸체(21)가 회전되어,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이 정렬되면,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에 일부가 동시에 삽입되어, 샤클핀(20)이 샤클몸체(10)에 대하여 탈거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안전핀(30)은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에 삽입되는 안전핀 몸체(31)와, 안전핀 몸체(31)에 대하여 절곡되는 안전핀 헤드(32)를 포함한다.
이하에선 샤클 조립체(10)가 조립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샤클핀이 샤클 몸체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샤클핀(20)의 샤클핀 몸체(21)의 타단(212)과, 잠금부(23)가 각각 샤클 몸체(10)의 타측 단부(13)에 형성되는 제2주관통공(142) 및 제2보조관통공(153)가 서로 마주보도록, 샤클 몸체(10)와 샤클핀(20)을 서로 정렬시킨다.
그 다음, 샤클핀(200을 관통 방향(D1)으로 이동시켜 샤클핀 몸체(21)의 타단(212) 및 잠금부(23)가 제2주관통공(142) 및 제2보조관통공(152)과 제1주관통공(141) 및 제1보조관통공(151)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한다.
샤클핀 몸체(21)의 타단(212) 및 잠금부(23)가 제1주관통공(141) 및 제1보조관통공(151)을 관통하면, 샤클핀(20)의 샤클핀 헤드(22)는 샤클 몸체(10)의 타측 단부(13)의 외면에 걸려, 샤클핀(20)이 더 이상 관통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에 대하여 고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샤클 몸체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샤클핀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샤클 몸체에 안전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Ⅶ-Ⅶ의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샤클핀(20)의 잠금부(23)가 샤클 몸체(10)의 일측 단부(12)에 형성되는 제1보조관통공(151)을 완전하게 관통하면, 샤클핀(20)은 샤클 몸체(1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샤클핀(20)의 상기 무게 중심이 샤클핀 몸체(2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클핀(20)에 대하여 회전 방향(R1)으로 미소한 크기의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편심에 따른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어, 샤클핀(20)이 회전 방향(R1)으로 손쉽게 회전될 수 있다.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에 대하여 회전되면, 샤클핀(20)의 잠금부(23)는 제1보조관통공(151)과의 정렬위치로부터 벗어나, 샤클 몸체(10)의 일측 단부(12)의 외면(12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샤클 조립체(1)에서, 샤클 몸체(10)의 일측 단부(12)에 형성되는 상기 샤클몸체측 삽입공(17)은 잠금부(23)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샤클핀 몸체(21)가 샤클 몸체(10)의 양단부(12,13)를 관통한 상태에서, 샤클핀(20)이 일정 각도, 일례로 180° 회전되면, 샤클핀(20)의 샤클핀측 삽입공(27)과 샤클몸체(10)의 샤클몸체측 삽입공(17)은 서로 정렬된다.
또한,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이 정렬된 상태에서는, 샤클핀(20)의 잠금부(23)가 샤클 몸체(10)의 상기 스토퍼(16)에 걸림으로써, 샤클핀(20)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7을 참조하면,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이 정렬된 상태에서, 안전핀(30)의 안전핀 몸체(31)가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에 동시에 삽입되어,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은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에 대하여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외력, 일례로 진동에 의하여 안전핀 몸체(31)가 샤클몸체측 삽입공(17) 및 샤클핀측 삽입공(27)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잠금부(23)에서 샤클핀측 삽입공(27)에 인접된 위치에는, 안전핀 헤드(32)가 걸리는 걸림단(23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단(231) 주위에는 사용자가 안전핀 헤드(32)를 샤클핀측 삽입공(27)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하기 위한 탈거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샤클 조립체(10)를 분해하는 경우, 먼저 안전핀(30)을 제거한 다음, 샤클핀(20)을 회전시켜, 샤클핀(20)의 잠금부(23)가 샤클 몸체(10)의 제1보조관통공(151)과 정렬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샤클핀(20)을 관통 방향(D1)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샤클핀(20)과 샤클 몸체(10)가 완전하게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샤클 몸체(10)의 양 단부(12,13)를 관통하는 샤클핀(20)을 단순히 회전시켜, 샤클핀(20)의 잠금부(23)가 샤클 몸체(1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샤클핀(20)이 샤클 몸체(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샤클 조립체(1)의 조립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샤클 조립체 10 : 샤클 몸체
141, 142 : 주관통공 151,152 : 보조관통공
16 : 스토퍼 17 : 샤클몸체측 삽입공
20 : 샤클핀 21 : 샤클핀 몸체
22 : 샤클핀 헤드 23 : 잠금부
24 : 편심 중량부 30 : 안전핀
31 : 안전핀 몸체 32 : 안전핀 헤드

Claims (6)

  1.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샤클 몸체 및 상기 샤클 몸체에 관통되는 샤클핀을 포함하는 샤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샤클 몸체는, 상기 샤클 몸체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샤클핀이 관통하도록 원형의 주관통공 및 상기 주관통공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주관통공과 연결되는 보조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샤클핀은 상기 주관통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샤클핀 몸체; 상기 샤클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주관통공의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샤클핀 헤드; 및 상기 샤클핀 몸체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관통공에 삽입 가능한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의 상기 양단부의 상기 보조관통공들을 완전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샤클핀 몸체가 회전되어, 상기 잠금부가 상기 샤클 몸체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걸리게 되며,
    상기 샤클 몸체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관통공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샤클핀의 상기 잠금부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되는 샤클 몸체측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과 정렬되는 샤클핀측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샤클 몸체에 대하여 상기 샤클핀을 고정시키는 안전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핀은,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에 삽입되는 안전핀 몸체 및 상기 안전핀 몸체에 대하여 절곡되는 안전핀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안전핀 몸체가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핀 헤드가 걸리는 안전핀 걸림단이 형성되는 샤클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핀 헤드에는 상기 샤클핀 몸체의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편심 중량부가 형성되는 샤클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핀의 상기 잠금부 및 상기 편심 중량부는, 상기 샤클핀 몸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클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 몸체는, 상기 잠금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샤클 몸체측 삽입공 및 상기 샤클핀측 삽입공이 정렬된 상태에서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샤클 조립체.
  6. 삭제
KR1020100073536A 2010-07-29 2010-07-29 샤클 조립체 KR10124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36A KR101246891B1 (ko) 2010-07-29 2010-07-29 샤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36A KR101246891B1 (ko) 2010-07-29 2010-07-29 샤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01A KR20120011601A (ko) 2012-02-08
KR101246891B1 true KR101246891B1 (ko) 2013-03-25

Family

ID=4583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536A KR101246891B1 (ko) 2010-07-29 2010-07-29 샤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352B1 (ko) * 2012-08-29 2014-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엄빌리컬 호스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125A (ja) * 1995-12-18 1997-06-24 Takoman Kk ワンタッチシャックル
JP2000055141A (ja) * 1998-08-06 2000-02-22 Masaaki Mizuta シャックル
JP2001208033A (ja) 2000-01-21 2001-08-03 Masaaki Mizuta シャックル状吊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125A (ja) * 1995-12-18 1997-06-24 Takoman Kk ワンタッチシャックル
JP2000055141A (ja) * 1998-08-06 2000-02-22 Masaaki Mizuta シャックル
JP2001208033A (ja) 2000-01-21 2001-08-03 Masaaki Mizuta シャックル状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01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4922B2 (en) Connecting pin
KR101973876B1 (ko) 템플릿 조립용 연결 클램프
US9976627B2 (en) Block lock with a twist lock
US20200094666A1 (en) Circumferential lock mechanism, battery locking device,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EP2625435B1 (en) Pivot connection with locking element
WO2007073108A1 (en) Coupling apparatus for moving concrete structure
KR101246891B1 (ko) 샤클 조립체
US20130022394A1 (en) Joint structure for furniture
KR101873123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볼트
US8613427B2 (en) Hoist lock block
CN105569277A (zh) 一种钢筋连接头
KR101271580B1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EP3680424A1 (en) Auto locked lock cylinder after destruction
US20110041570A1 (en) Two-way opened padlock
CN201176738Y (zh) 机柜锁扣装置
EP2892839A1 (en) Joining device
CN107438688A (zh) 用于作业机械的地基锚定
CN212530720U (zh) 一种限位机构和限位装置
KR200466886Y1 (ko) 컨테이너 선박용 컨테이너 소켓과 핸들 레일의 결속구조
NO20170015A1 (en) A hinge pin
JP3146547U (ja) コンテナ盗難防止器具及びコンテナ
CN205277040U (zh) 一种用于斗栓的锁销
KR101402836B1 (ko) 복합재 구조물 결합용 볼트체결구
JP3155048U (ja) シャックル
KR20120051226A (ko) 조립 위치 설정을 위한 가이드 핀 및 가이드 핀을 이용한 어셈블리 조립 위치 설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