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607B1 - 식물 해충 기피제 및 기피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해충 기피제 및 기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607B1
KR101246607B1 KR1020077007929A KR20077007929A KR101246607B1 KR 101246607 B1 KR101246607 B1 KR 101246607B1 KR 1020077007929 A KR1020077007929 A KR 1020077007929A KR 20077007929 A KR20077007929 A KR 20077007929A KR 101246607 B1 KR101246607 B1 KR 101246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in
repellent
fatty acid
winged
sorbit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879A (ko
Inventor
유타카 아리모토
Original Assignee
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켄 filed Critical 리켄
Publication of KR2007009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wherein Cn means a carbon skeleton not containing a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및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이 기피제를 식물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Description

식물 해충 기피제 및 기피 방법{REPELLENT FOR PLANT PEST AND METHOD FOR REPELLING PLANT PEST}
본 발명은 식물 해충의 기피제 및 기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루이, 진딧물, 총채벌레 등의 날개달린 해충에 의한 농작물, 과채, 과수, 화훼 등에 대한 피해는 막대하다. 이러한 날개달린 해충 방제를 위한 수단으로는 약제 방제, 생물적 방제, 물리적 방제 등이 제안되어 있으며, 약제로는 유기인제, 카바메이트제, 합성 피레스로이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약제를 사용하면 많은 해충은 이들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여, 결국은 효과가 저감하거나 혹은 효과를 모두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약제는 인간과 가축에 대하여 유해 작용을 갖는 것이 많아, 다량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생물적 방제나 물리적 방제에도 유효한 것이 있지만, 비용, 범용성 등의 점에서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없는 것이 현상이다(타케다 약품 공업 주식회사 1996년 2월 발행 '타케다 식물 방역 총서 제 9권 최근 화제의 신해충' 참조). 따라서, 저비용이며 범용성이 높고, 인간과 가축에 대하여 안전한, 해충의 방제 수단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해충, 특히 날개달린 해충의 기피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 해충, 특히 날개달린 해충의 기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물 해충의 기피제 및 기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및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2.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모노·디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유지,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합성 유지, 지방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및 대두유계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3. 날개달린 해충이 가루이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4.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올레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린폴리리시놀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야자유/해바라기유(1:3)(에스테르 교환), 팜유, 팜핵유, 잇꽃유, 폴리옥시에틸렌(20~80)솔비탄,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 n-카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솔비탄,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5. 날개달린 해충이 진딧물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6.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올레이트, 솔리탄팔미테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디아세틸주석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린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폴리(2-3)글리세린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야자유/해바라기유(1:3)(에스테르 교환), 야자유, 팜유, 팜핵유, 잇꽃유, 폴리옥시에틸렌(40~60)솔비탄,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 n-카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솔비탄,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7. 날개달린 해충이 총채벌레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8.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글리세린디·트리올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폴리(2-3)글리세린올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주석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팔미테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솔비톨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40)솔비탄, 야자유/유채유(1:2), 야자유/해바라기유(1:3), 야자유/잇꽃유(1:3), 팜유, 야자유,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2),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미리스테이트(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팔미테이트(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 솔비톨, 자당올레이트, 자당라우레이트, 및 올레인산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피제를 식물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
10.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피제를 밭 내의 식물에 산포하여 상기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밭 내에 상기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의 유인제 및/또는 살충제 및/또는 포착용 접착제를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방법.
12.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이 대상 식물보다도 좋아하는 다른 종의 식물을 생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방법.
13.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 및/또는 산포 영역에, 대상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유인 테이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 기피제의 유효 성분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고급 알콜지방산에스테르,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및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상기 지방산, 및 상기 지방산에스테르의 지방산 성분은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기 또는 환상의 지방산이고, 그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8~24,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8이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리놀레이트, 글리세린모노베헤네이트, 글리세린모노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디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리놀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베헤네이트, 글리세린모노·디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트리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트리올레이트), 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구연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주석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주석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유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유지(글리세린트리지방산에스테르), 합성유지(글리세린트리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팔미테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솔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솔비탄올레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 트, 솔비탄베헤네이트, 솔비탄트리베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디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디글리세린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올레이트, 디글리세린카프릴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테트라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린라우레이트, 헥사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테트라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린라우레이트, 헥사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폴리글리세린폴리리시놀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팔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베헤네이트 등이, 고급알콜지방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 등이,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의 구체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10~10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몰이다.
지방산의 구체예로는 n-카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이,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는 올레이트, 라우레이트가, 솔비탄의 구체예로는 솔비톨을 들 수 있다.
가루이류에 대한 기피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올레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트), 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린폴리리시놀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유지(예를 들면,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야자유/해바라기유(1:3)(에스테르 교환), 팜유, 팜핵유, 잇꽃유), 폴리옥시에틸렌(20~80)솔비탄(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60)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80)솔비탄), 합성유지(예를 들면,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 지방산(예를 들면, n-카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솔비탄,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이다.
진딧물류에 대한 기피제의 유효 성분으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올레이트, 솔비탄팔미테이트), 아 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디아세틸주석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린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폴리(2-3)글리세린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유지(예를 들면,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야자유/해바라기유(1:3)(에스테르 교환), 야자유, 팜유, 팜핵유, 잇꽃유), 폴리옥시에틸렌(20~80)솔비탄(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60)솔비탄), 합성유지(예를 들면,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 지방산(예를 들면, n-카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솔비탄,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이다.
총채벌레류에 대한 기피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카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글리세린디·트리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글리세린디·트리올레이트), 디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2-3)글리세린올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아세 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유기산모노글리세라이드(예를 들면,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주석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솔비탄라우레이트, 솔비탄팔미테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솔비톨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80)솔비탄(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트리글리세라이드(유지)(예를 들면 에스테르 교환유(예를 들면, 야자유/유채유(1:2), 야자유/해바라기유(1:3), 야자유/잇꽃유(1:3)), 유지(예를 들면, 팜유, 야자유), 합성유지(예를 들면,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2),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미리스테이트(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팔미테이트(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 솔비탄(예를 들면, 솔비톨), 자당지방산에스테르(예를 들면, 자당올레이트, 자당라우레이트), 지방산(예를 들면, 올레인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피제는 식물 해충을 유효하게 기피하여, 식물을 그 충해로부터 방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피제가 특히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 해충은 날개달린 해충(특히, 총채벌레목, 반시목(이시류, 동시류), 날도래목, 인시목, 갑충목, 막시목, 쌍시목에 속하는 것)이며, 그 성충이 기피 대상이 된다.
본 발명 기피제의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의 구체예로는, 가루이과(예를 들면, 온실가루이, 은빛잎가루이, 담배가루이, 딸기가루이), 진딧물과(예를 들면,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국화꼬마수염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찔레수염진딧물, 꼬부랑진딧물, 파혹진딧물, 양딸기수염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딸기뿌리진딧물, 애못털진딧물, 붉은테두리진딧물), 총채벌레과(예를 들면, 오이총채벌레, 꽃노랑총채벌레, 양파총채벌레, 글라디올러스총채벌레, 볼록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관총채벌레과, 사과좀나방과(예를 들면, 배추좀나방), 잎굴파리과(예를 들면, 아메리카잎굴파리, 토마토잎굴파리, 가지잎굴파리, 양상추잎굴파리, 카네이션잎굴파리), 명나방과(예를 들면, 작은각시들명나방), 밤나방과(예를 들면,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왕담배나방, 담배나방, 잔디밤나방), 배추흰나비, 밝은색장님노린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 기피제의 산포 대상 식물은 날개달린 해충에 의한 피해를 받는 식물로서, 대표적인 식물로는 박과(예를 들면, 오이, 메론, 수박, 호박, 월과, 참외, 수세미외, 덩굴여지), 가지과(예를 들면, 토마토, 가지, 피망, 페튜니아, 미국까마중, 감자), 콩과(예를 들면, 강낭콩, 누에콩, 팥, 대두, 광저기, 완두콩), 국화과(예를 들면, 매리골드, 우엉, 쑥갓, 양상추, 국화, 거베라, 시네라리아), 평지과(예를 들면, 배추, 양배추, 무, 순무, 브로콜리, 청경채, 스톡), 아욱과(예를 들면, 오크라), 미나리과(예를 들면, 샐러리, 당근, 파슬리), 참깨과(예를 들면, 참깨), 백합과(예를 들면, 양파, 부추, 아스파라거스, 파), 석죽과(안개초, 카네이션), 운향과(예를 들면, 귤), 장미과(예를 들면, 장미, 딸기, 사과, 배, 서양배, 복숭아, 승도복숭아), 포도과(예를 들면, 포도), 차조기과(예를 들면, 차조기), 아 욱과(예를 들면, 목화), 명아주과(예를 들면, 시금치), 용담과(예를 들면, 꽃도라지), 제비꽃과(예를 들면, 팬지), 앵초과(예를 들면, 시클라멘), 미나리아재비과(예를 들면, 클레마티스), 대극과(예를 들면, 포인세티아) 등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피제는 상기 유효 성분만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추가로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보조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보조제의 구체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5)모노도데실에테르, 디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테르+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대두유(1:1:1)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조제의 함유량은 유효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7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기피제에는 추가로 일반적인 계면활성제, 탈크 등의 보조제를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기피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화제, 유제, 분제, 플로어블(floabl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피제에는 추가로 살충제, 살균제, 식물생장 조정제 등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제화를 위한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 통상의 제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기피제를 식물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피제는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5질량% 정도가 되도록 물 등으로 희석하여, 0.2㎏/10a~8㎏/10a,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a~3㎏/10a의 범위로 작물에 산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포 시기는 날개달린 해충이 날아들기 전이 바람직하지만, 해충이 날아든 것을 확인한 후에 산포해도 유효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기피제를 밭 내의 식물에 산포하여 이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밭 내에 상기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비산포 영역이라 함은 상기 기피제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미치지 않는 영역을 말하며, 예를 들면, 밭의 입구 또는 환기구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의 유인제 및/또는 살충제 및/또는 포착용 접착제를 산포하는 것,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이 대상 식물보다도 좋아하는 다른 종의 식물을 생육시키는 것,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 유인 테이프를 설치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밭 내에 설치하는 상기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을 설치하는 경우, 그 수, 넓이는 대상 식물 및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대상 밭 5~10a에 대하여 5~10개소, 각 개소의 넓이는 1~5㎡ 정도가 적당하다.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산포하는 유인제 및/또는 살충제 및/또는 포착용 접착제의 산포량은 통상의 사용량이면 되는데, 예를 들면,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 10a당 0.2~6kg, 바람직하게는 0.1~2kg 정도가 적당하다. 유인제, 살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포착용 접착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합성 고무계 풀, 아크릴수지계 풀 등이 있다. 시판품으로는 상품명 '킨류 스프레이'(마르젠 화공) 등이 있으며, 사무용의 스프레이 풀이어도 무방하다.
사용 방법으로는 포착용 식물에 골고루 분무 스프레이하고, 재배를 그대로 계속한다. 포착용 식물에 접촉한 가루이류 등은 풀에 포착된다. 풀을 스프레이하지 않으면 바람이나 사람과의 접촉에 의해 다시 비산하는 경우가 있지만, 풀을 스프레이한 식물에서는 확실하게 포착되어 다시 날아오르는 일은 없다. 이들 풀 자체는 기피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스프레이를 하지 않는 식물과 마찬가지로 가루이류가 날아든다.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생육시키는,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이 대상 식물보다도 좋아하는 다른 종의 식물은 대상 식물 및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가루이(특히, 은빛잎가루이)에서는, 대상 식물이 토마토인 경우에는 오이, 강낭콩 등을, 진딧물(특히, 목화진딧물)에서는 대상 식물이 피망인 경우에는 가지, 오이 등을, 총채벌레(특히, 오이총채벌레)에서는, 대상 식물이 딸기인 경우에는 오이, 강낭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 및/또는 산포 영역에,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 유인 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 유인 테이프는 착색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색은 대상이 되는 날개달린 해충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가루이, 진딧물 등에서는 황색 계통의 테이프가, 총채벌레 등에서는 청색 계통 또는 백색 계통의 테이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시판하는 '킨류' 등의 유인지는 황색 혹은 청색의 종이에 이 풀(포착용 접착제)을 스프레이한 것이다.
테이프의 재질, 폭, 길이, 두께도 적절하게 결정되면 되는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종이제의 폭 50~500㎜, 길이 100~700㎜, 두께 0.1~0.5㎜ 정도의 테이프를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 및/또는 산포 영역 10a당 테이프의 총면적으로 1~20㎡ 정도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유효 성분(주제) 80질량부와 보조제 A(폴리옥시에틸렌(5)모노도데실에테르) 20질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기피제 샘플을 조제하였다.
이 기피제를 200㎎/100㎖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강낭콩(품종:타이쇼킨토키)의 어린잎에 산포하였다. 대조 샘플로서, 보조제 A만을 사용한 것,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에 온실가루이 성충을 사육하고 있는 격리 온실 내에 22~30℃에서 3일간 유지하고, 날아드는 성충 수를 시간에 따라 계수하여 다음 식으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기피율(%)=100×(1-처리구의 성충수/증류수구의 성충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각종 샘플의 온실가루이 기피 효과
번호 유효 성분 기피율(%)
1-1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82
1-2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82
1-3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93
1-4 솔비탄라우레이트 92
1-5 솔비탄올레이트 80
1-6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96
1-7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73
1-8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76
1-9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80
1-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82
1-11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79
1-12 야자유 93
1-13 팜핵유 85
1-14 잇꽃유 77
1-15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70
1-16 폴리옥시에틸렌(60)솔비탄 73
1-17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85
1-18 n-카프린산 90
1-19 올레인산 84
1-20 이소스테아린산 72
1-21 솔비탄 74
1-22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81
1-23 보조제 A 5
1-24 증류수 0
실시예 2
표 2에 기재된 유효 성분(주제) 80질량부와 보조제 B(디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테르+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대두유(1:1:1)) 20질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기피제 샘플을 조제하였다.
이 기피제를 200㎎/100㎖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오이(품종:사가미 반백)의 어린잎에 산포하였다. 대조 샘플로서, 보조제 B만을 사용한 것,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에 은빛잎가루이 성충을 사육하고 있는 격리 온실 내에 22~30℃에서 3일간 유지하고, 날아드는 성충 수를 시간에 따라 계수하여 다음 식으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기피율(%)=100×(1-처리구의 성충수/증류수구의 성충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각종 샘플의 은빛잎가루이 기피 효과
번호 유효 성분 기피율(%)
2-1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73
2-2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70
2-3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95
2-4 솔비탄라우레이트 92
2-5 솔비탄올레이트 75
2-6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94
2-7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71
2-8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75
2-9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70
2-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73
2-11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76
2-12 야자유 91
2-13 팜핵유 83
2-14 잇꽃유 71
2-15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85
2-16 폴리옥시에틸렌(60)솔비탄 77
2-17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88
2-18 n-카프린산 86
2-19 올레인산 68
2-20 이소스테아린산 65
2-21 솔비탄 67
2-22 대두유계 지방산메틸에스테르 63
2-23 보조제 B 7
2-24 증류수 0
실시예 3
표 3에 기재된 유효 성분(주제) 80질량부와 보조제 A(폴리옥시에틸렌(5)모노도데실에테르) 20질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기피제 샘플을 조제하였다.
이 기피제 샘플을 200㎎/100㎖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오이(품종:사가미 반백, 0.7엽기)의 본잎에 산포하였다. 대조 샘플로서, 보조제 A만을 사용한 것,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에 날개달린 목화진딧물이 생육하고 있는 격리 온실 내에 22~30℃에서 7일간 유지하고, 날아드는 성충 수를 시간에 따라 계수하여 다음 식으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기피율(%)=100×(1-처리구의 성충수/증류수구의 성충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각종 샘플의 목화진딧물 기피 효과
번호 유효 성분 기피율(%)
3-1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88
3-2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85
3-3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92
3-4 솔비탄라우레이트 96
3-5 솔비탄올레이트 93
3-6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82
3-7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92
3-8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95
3-9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90
3-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82
3-11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88
3-12 팜유 76
3-13 잇꽃유 78
3-14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75
3-15 폴리옥시에틸렌(60)솔비탄 78
3-16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88
3-17 n-카프린산 76
3-18 올레인산 70
3-19 솔비탄 68
3-20 보조제 A 3
3-21 증류수 0
실시예 4
표 4에 기재된 유효 성분(주제) 80질량부와 보조제 B(디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테르+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대두유(1:1:1)) 20질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기피제 샘플을 조제하였다.
이 기피제를 200㎎/100㎖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가지(품종:천량 2호)의 어린잎에 산포하였다. 대조 샘플로서, 보조제 B만을 사용한 것,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에 날개달린 복숭아혹진딧물이 생육하고 있는 격리 온실 내에 22~30℃에서 7일간 유지하고, 날아드는 성충 수를 시간에 따라 계수하여 다음 식으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기피율(%)=100×(1-처리구의 성충수/증류수구의 성충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각종 샘플의 복숭화혹진딧물 기피 효과
번호 유효 성분 기피율(%)
4-1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76
4-2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81
4-3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88
4-4 솔비탄라우레이트 82
4-5 솔비탄올레이트 85
4-6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77
4-7 구연산불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81
4-8 데카글리세린올레이트 78
4-9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83
4-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76
4-11 야자유/유채유(1:2)(에스테르 교환) 81
4-12 팜유 77
4-13 잇꽃유 68
4-14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82
4-15 폴리옥시에틸렌(60)솔비탄 80
4-16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1) 86
4-17 n-카프린산 68
4-18 올레인산 70
4-19 솔비탄 62
4-20 보조제 B 5
4-21 증류수 0
실시예 5
표 5에 기재된 유효 성분(주제) 80질량부와 보조제 A(폴리옥시에틸렌(5)모노도데실에테르) 20질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기피제 샘플을 조제하였다.
이 기피제 샘플을 200㎎/100㎖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가지(품종:천량 2호, 3.5엽기)의 본잎에 산포하였다. 대조 샘플로서, 보조제 A만을 사용한 것,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에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이 생육하고 있는 격리 온실 내에 22~30℃에서 10일간 유지하고, 식해(食害)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즉, 식해 없음:0, 극히 경미한 식해:1, 경미한 식해:3, 두드러진 식해:5, 중증의 식해:10으로 하여 식해의 정도를 합계하고, 다음 식으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기피율(%)=100×(1-처리구 식해 정도의 합계/무처리구의 식해 정도의 합계)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각종 샘플의 꽃노랑총채벌레 기피 효과
번호 유효 성분 기피율(%)
5-1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62
5-2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58
5-3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68
5-4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82
5-5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60
5-6 폴리(2-3)글리세린올레이트 58
5-7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77
5-8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68
5-9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70
5-10 솔비탄라우레이트 53
5-11 솔비탄팔미테이트 72
5-12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80
5-13 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 68
5-14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75
5-15 야자유/유채유(1:2) 66
5-16 야자유/해바라기유(1:3) 71
5-17 팜유 68
5-18 야자유 82
5-19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2) 58
5-20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미리스테이트(2:1) 80
5-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팔미테이트(1:1) 75
5-22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 82
5-23 솔비톨 61
5-24 자당지방산에스테르(올레이트) 58
5-25 자당지방산에스테르(라우레이트) 55
5-26 올레인산 76
5-27 보조제 A 8
5-28 증류수 0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보조제 A 대신에 보조제 B(디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테르+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대두유(1:1:1))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기피제를 조제하였다.
이 기피제를 200㎎/100㎖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가지(품종:천량 2호, 3.5엽기)의 본잎에 산포하였다. 대조 샘플로서, 보조제 B만을 사용한 것,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에 오이총채벌레 성충이 생육하고 있는 격리 온실 내에 22~30℃에서 10일간 유지하고, 식해(食害)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즉, 식해 없음:0, 극히 경미한 식해:1, 경미한 식해:3, 두드러진 식해:5, 중증의 식해:10으로 하여 식해의 정도를 합계하고, 다음 식으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기피율(%)=100×(1-처리구 식해 정도의 합계/무처리구의 식해 정도의 합계)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각종 샘플의 오이총채벌레 기피 효과
번호 유효 성분 기피율(%)
6-1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65
6-2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62
6-3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71
6-4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83
6-5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55
6-6 폴리(2-3)글리세린올레이트 68
6-7 데카글리세린스테아레이트 70
6-8 글리세린모노아세토모노스테아레이트 55
6-9 호박산포화지방산모노글리세라이드 71
6-10 솔비탄라우레이트 63
6-11 솔비탄팔미테이트 73
6-12 프로필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81
6-13 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 54
6-14 폴리옥시에틸렌(40)솔비탄 69
6-15 야자유/유채유(1:2) 56
6-16 야자유/해바라기유(1:3) 85
6-17 팜유 56
6-18 야자유 85
6-19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올레이트(1:2) 76
6-20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미리스테이트(2:1) 83
6-21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글리세린트리팔미테이트(1:1) 78
6-22 글리세린트리라우레이트 90
6-23 솔비톨 55
6-24 자당지방산에스테르(올레이트) 62
6-25 자당지방산에스테르(라우레이트) 68
6-26 올레인산 69
6-27 보조제 B 9
6-28 증류수 0
본 발명의 기피제는 숙주 식물에 미리 산포해 둠으로써, 날개달린 해충의 성충이 날아드는 것, 산란, 증식이 억제되어 날개달린 해충에 의한 피해를 방지 내지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날개달린 해충이 날아드는 것을 방지 내지 경감할 수 있어, 바이러스병의 발생을 방지 내지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피제의 유효 성분은 인간과 가축에 대한 독성이 극히 적기 때문에, 농작물, 과채, 과수, 화훼 등에 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로서, 상기 날개달린 해충은 가루이류 및 총채벌레류로 이루어지는 해충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달린 해충은 가루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글리세린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모노·디올레이트, 글리세린디아세토모노라우레이트 및 야자유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기피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기피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기피제를 식물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기피제를 밭 내의 식물에 산포하여 상기 식물에 대한 날개달린 해충을 기피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밭 내에 상기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의 유인제, 살충제 및 포착용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에, 대상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이 대상 식물보다도 좋아하는 다른 종의 식물을 생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기피제의 비산포 영역 또는 산포 영역에, 대상으로 하는 날개달린 해충 유인 테이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07929A 2004-09-08 2005-09-08 식물 해충 기피제 및 기피 방법 KR101246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0744 2004-09-08
JP2004260744 2004-09-08
PCT/JP2005/016513 WO2006028170A1 (ja) 2004-09-08 2005-09-08 植物害虫の忌避剤及び忌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879A KR20070090879A (ko) 2007-09-06
KR101246607B1 true KR101246607B1 (ko) 2013-03-25

Family

ID=3603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929A KR101246607B1 (ko) 2004-09-08 2005-09-08 식물 해충 기피제 및 기피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40314B2 (ko)
EP (2) EP1787514A4 (ko)
JP (1) JP5013329B2 (ko)
KR (1) KR101246607B1 (ko)
ES (1) ES2605883T3 (ko)
MA (1) MA28923B1 (ko)
WO (1) WO20060281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38A (ko) 2022-08-17 2024-02-26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보페로몬을 이용한 총채벌레용 왁스형 기피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943B2 (ja) * 2004-11-15 2010-11-10 花王株式会社 農薬組成物
TWI414238B (zh) 2006-04-07 2013-11-11 Riken 除蟲除卵組成物及除蟲除卵方法
WO2007117002A1 (ja) * 2006-04-07 2007-10-18 Riken 殺虫殺卵組成物及び殺虫殺卵方法
JP2007326832A (ja) * 2006-06-09 2007-12-20 Kao Corp 農園芸用害虫忌避剤
EP1869979B1 (de) * 2006-06-23 2017-09-20 Alpha-Biocare GmbH Mittel gegen kopfläuse
WO2008082028A1 (en) * 2006-12-28 2008-07-10 Bio & Hnt, Inc. Mosquito repellent comprising an esterified glycerol.
GB0803153D0 (en) 2008-02-20 2008-03-26 Univ Keele Insect attractants and their use in methods of insect control
WO2010088645A2 (en) * 2009-02-02 2010-08-05 Ecoblend, Llc Pes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1016737A (ja) * 2009-07-07 2011-01-27 Miyazaki Prefecture 防虫ネットの処理方法
US8986722B2 (en) * 2010-03-01 2015-03-24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est control composition
US9055745B2 (en) 2011-04-13 2015-06-16 Natureza, Inc. Compositions for internal and external insecticides, ovicides, repellents and wound healing
EP2907388B1 (en) 2012-10-12 2018-06-27 Riken Use of a control agent for plant pest and/or plant disease
JP2016527233A (ja) * 2013-07-18 2016-09-08 エフ エム シー コーポレーションFmc Corporation 線虫防除用組成物
CA2917695C (en) * 2013-07-18 2021-12-21 Fmc Corporation Insect repellent
CN105451552B (zh) * 2013-08-14 2018-04-03 禾大公司 喷雾漂移减少
BR112016002917B1 (pt) 2013-08-14 2020-07-28 Croda, Inc formulação agroquímica, formulação concentrada, e, método para tratamento de vegetação para controlar pestes
RS62420B1 (sr) 2014-03-28 2021-10-29 Ishihara Sangyo Kaisha Postupak sprečavanja infekcije biljnim virusom
BR112017006851B1 (pt) * 2014-10-08 2021-08-17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ções autoemulsificantes e uso das composições autoemulsificantes
CN112089635A (zh) * 2020-08-19 2020-12-18 广州市浪奇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添加剂来源不含有机溶剂的防蚊组合物
JPWO2022158590A1 (ko) 2021-01-25 2022-07-28
KR102313917B1 (ko) * 2021-03-12 2021-10-18 (주)에코그린업 친환경 다기능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23176614A1 (ja) * 2022-03-15 2023-09-21 日本化薬株式会社 農用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4368A1 (en) * 1997-03-07 2001-10-25 The Institute Of Physical And Chemical Res. Insecticides, miticides and method for killing insects and mites
US20030049297A1 (en) 2000-09-11 2003-03-13 Toshikazu Tomioka Insect pest-repellent film, insect pest repelling coating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2B2 (ko) * 1973-02-10 1981-01-13
EP0166683A3 (de) * 1984-05-25 1987-09-02 Ciba-Geigy Ag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US6001874A (en) * 1992-08-18 1999-12-14 Veierov; Dan Arthropod control composition for plant protection
US5658851A (en) * 1993-10-13 1997-08-19 Osi Specialties, Inc. Lipophilic siloxanes as adjuvants for agriculture
JP3113161B2 (ja) * 1994-11-25 2000-11-27 花王株式会社 農薬用効力増強剤組成物及び農薬組成物
US5661181A (en) * 1995-02-16 1997-08-26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Non-cyclic esters for pest control
JP3156918B2 (ja) * 1996-10-02 2001-04-16 カネボウ株式会社 きのこ栽培用害虫駆除剤及び人工ホダ木並びに害虫駆除方法
JP2001122706A (ja) * 1999-10-21 2001-05-08 Palace Chemical Co Ltd 花卉葉面施与剤
JP2002265305A (ja) * 2001-03-09 2002-09-18 Kao Corp 農作物用増収剤
US20040142822A1 (en) 2001-03-09 2004-07-22 Tadayuki Suzuki Method of improving crop
JP4336158B2 (ja) * 2003-07-25 2009-09-30 花王株式会社 アブラムシの忌避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4368A1 (en) * 1997-03-07 2001-10-25 The Institute Of Physical And Chemical Res. Insecticides, miticides and method for killing insects and mites
US20030049297A1 (en) 2000-09-11 2003-03-13 Toshikazu Tomioka Insect pest-repellent film, insect pest repelling coating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38A (ko) 2022-08-17 2024-02-26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보페로몬을 이용한 총채벌레용 왁스형 기피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7514A4 (en) 2011-07-13
JP5013329B2 (ja) 2012-08-29
KR20070090879A (ko) 2007-09-06
US8940314B2 (en) 2015-01-27
EP1787514A1 (en) 2007-05-23
EP2923572B1 (en) 2016-11-09
EP2923572B8 (en) 2017-01-18
JPWO2006028170A1 (ja) 2008-05-08
WO2006028170A1 (ja) 2006-03-16
MA28923B1 (fr) 2007-10-01
ES2605883T3 (es) 2017-03-16
US20070190096A1 (en) 2007-08-16
EP2923572A1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07B1 (ko) 식물 해충 기피제 및 기피 방법
TWI592095B (zh) 一種農藥和一種用於防控多種害蟲方法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10145122A (ko) 항균 나노 에멀젼
JP6526650B2 (ja) 昆虫防除
EP0583774A1 (en) An arthropod control composition for plant protection
US7956092B2 (en) Non-toxic insecticide
JP2009545578A (ja) シメンを含む殺虫性組成物
Lösel et al.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attract and kill strategy for the control of the codling moth, Cydia pomonella
CA2184042C (en) Triglyceride enhanced pyrethrin-based arthropodicidal composition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836763B2 (ja) アザミウマ類防除剤
KR20180082174A (ko) 갈색날개매미충 방제용 조성물
US8663620B2 (en) Murgantiol as a stink bug synergistic attractant for use outdoors
Lina et al. Safety and effectiveness of mixed plant extracts formulation against cabbages pests under field conditions
KR101885083B1 (ko) 달마시안제충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Rizzo et al. Effectiveness of spinosad and mineral oil based commercial products on oviposition and egg hatching of Grapholita funebrana Treitschke.
KR101879472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CN103583558B (zh) 一种高效反式氯氰菊酯和苯氧威的水乳剂及应用
KR20120072894A (ko) 복숭아유리나방 유인용 성페로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oomro et al. Synchronization of Synthetic Insecticides with Aggregation Pheromone Against Rhynchophorus ferrugenius (Oliver).: Compatibility of Ferrolure+ with Insecticides
WO2024011164A1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hemiptera insects
AU706835B2 (en) An arthropod control composition for plant protection
Pereira et al. Imported fire ants and their management
Stark et al. Potential of Neem to Control Root Weevil in Strawber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