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768B1 - 무선통신시스템의 분산 다중 입출력(mimo)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의 분산 다중 입출력(mimo)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768B1
KR101245768B1 KR1020117004782A KR20117004782A KR101245768B1 KR 101245768 B1 KR101245768 B1 KR 101245768B1 KR 1020117004782 A KR1020117004782 A KR 1020117004782A KR 20117004782 A KR20117004782 A KR 20117004782A KR 101245768 B1 KR101245768 B1 KR 10124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ata
serv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480A (ko
Inventor
라비 파란키
파라그 에이. 아가쉬
나가 부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또는 협력적 다중포인트(CoMP)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시된다. 여기 제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셀들(예를 들면, 서빙 셀 및 보조 셀)은 협력하여 하나 이상의 연관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는 주어진 단말과 통신하는 단일 셀과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할 수 있고, 상기 주어진 단말은 그 후에 각각의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시그널링을 다른 셀(들)로 터널링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CoMP 통신이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투명해질 수 있고, 네트워크에 대한 변경을 요구함이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여기 추가로 제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서빙 셀 및/또는 보조 셀과 교환되는 다른 것들에 추가하여, 또는 이들 대신에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할당 및/또는 다른 정보를 배타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의 분산 다중 입출력(MIMO)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8년 8월 1일에 출원된 "NETWORK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이라는 제목의 U.S.가출원 일련번호 제61/085,7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인용참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협력 전송(cooperative transmission)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은 각종 통신 서비스, 예컨대 음성, 영상, 패킷 데이터, 방송 등을 제공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통신시스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messaging service)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하여 다수의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근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접근 시스템의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접근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은 포워드 및 리버스 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1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포워드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통신 링크를 말하고, 상기 리버스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말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SISO(single-in-single-out), MISO(multiple-in-single-out), 또는 MIMO(multiple-in-multiple-out) 시스템을 통해 수립될 수 있다.
MIMO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자원 및/또는 목적지는 통신시스템의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의 송수신,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기타 정보에 대하여 활용가능하다. MIMO 통신 시스템과 연계하여 각각의 송신을 위하여 다수의 소스 및/또는 목적지를 사용함으로써,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단일-입력 및/또는 단일-출력 통신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속도가 보다 빨라지고, 신호 품질이 개선되었으며, 여타의 장점들을 나타내었다.
MIMO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는 분산 MIMO(D-MIMO) 또는 CoMP(Cooperative Multipoint) 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여기서는 복수의 셀이 사용자 설비 장치(UE) 등과 같은 1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들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협력가능하다. 예시를 통하여, CoMP 시스템에서의 동일 Node B 또는 상이한 Node Bs와 연관된 각각의 셀들이 공동(joint) 처리 및/또는 유사 기술을 이용하여 협력가능하며, 여기서 다수의 패킷들은 다수의 셀로부터 송신가능하다. 하지만, CoMP 시스템을 수반하는 이러한 및/또는 여타의 시나리오에서는, 각각의 셀들 간의 효율적인 협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셀들 간에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아키텍처 및/또는 기술,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여타의 정보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기는 이러한 형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청구범위의 요지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 이러한 요약은 사고할 수 있는 모든 형태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고, 핵심이나 가장 중요한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이러한 형태들의 범위를 상세히 기술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혀 없다. 단지 추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문으로서 개시된 형태들의 일부 개념들을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고자 한다.
일 형태에 따르면,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서빙 네트워크 셀과 보조 네트워크 셀을 식별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과 제어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2형태는 서빙 네트워크 셀 및 보조 네트워크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적어도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과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그리고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진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3형태는, 서빙 셀(serving cell)과 1이상의 제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수단 및 1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데이터 통신들은, 상기 서빙 셀 및 적어도 한 보조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4형태는, 서빙 셀과의 1이상의 제어 통신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코드 및 1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데이터 통신들은, 상기 서빙 셀 및 적어도 한 보조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5형태는 무선통신환경에서 작동가능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제어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UE와 교환된 제어 정보를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6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및 보조 네트워크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제어 정보를 교환하도록, 그리고 교환된 제어 정보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7형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작동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1이상의 제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1이상의 제어 통신을 보조 셀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8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의 1이상의 제어 통신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코드 및 상기 1이상의 제어 통신을 컴퓨터가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제9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에 따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0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서빙 셀과 교환하도록, 그리고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1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위한 서빙 셀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의 1이상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1이상의 제어 통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각각의 후속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2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의 1이상의 통신을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코드 및 상기 1이상의 제어 통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각각의 후속 통신들을 컴퓨터가 관리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제13형태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교환하는 단계;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core network entity)와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세트의 정보 또는 상기 제2세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4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 및 보조 네트워크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제1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와 교환하도록, 제2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상기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나 상기 제2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5형태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교환하기 위한 수단;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교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세트의 정보 또는 상기 제2세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제16형태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정보를 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교환하도록 하는 코드;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정보를 컴퓨터가 코어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하는 코드; 및 상기 제1세트의 정보 또는 상기 제2세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컴퓨터가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7형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작동가능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1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교환하는 단계; 제2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와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에 대하여 교환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indication)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18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 및 서빙 네트워크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와 교환하도록,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상기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 또는 상기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와 교환되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19형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작동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제1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교환하기 위한 수단; 제2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와 교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에 대하여 교환된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0형태는,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세트의 정보를 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설비 장치(UE)와 교환하도록 하는 코드;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세트의 정보를 컴퓨터가 코어 네트워크와 교환하도록 하는 코드; 및 상기 제1세트의 정보 또는 상기 제2세트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컴퓨터가 서빙 네트워크 셀에 표시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요지의 1이상의 형태들은 이하 완전히 설명된 그리고 청구범위에 특별히 한정된 특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기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은 청구범위 요지의 소정의 예시적인 형태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들은 청구범위 요지의 원리가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가운데 소수만을 나타낸다. 또한, 개시된 형태들은 이러한 모든 형태들과 그 등가물을 포함하고자 의도되어 있다.
도 1은 각종 형태들에 따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설비 장치와 각각의 셀들 간의 정보의 교환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각종 형태들에 따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동으로 처리되는 송신을 촉진시키는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각종 형태들에 따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협력적 빔형성(cooperative beamforming)을 촉진시키는 시스템의 블럭도;
도 4 내지 도 6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협력적 다중점 송신(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을 촉진시키는 각각의 시스템들의 블럭도;
도 7 내지 도 8은 무선통신환경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셀들과의 공동 송신(coordinated transmission)을 행하기 위한 각각의 방법들의 흐름도;
도 9 내지 도 11은 무선통신환경에서 보조 네트워크 셀 및 단말과의 공동 통신을 위한 각각의 방법들의 흐름도;
도 12 내지 도 14는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 및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의 공동 통신을 위한 각각의 방법들의 흐름도;
도 15 내지 도 19는 무선통신네트워크에서 협력적 통신을 촉진시키는 각각의 장치들의 블럭도;
도 20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형태들에 따라 활용가능한 이동통신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형태들이 기능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례를 예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청구범위 요지의 각종 형태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들을 참조하는데 사용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1이상의 형태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수의 구체적인 상세들이 설명된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들)은 이들 구체적인 상세들이 없이도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는, 공지된 구조 및 디바이스들이 1이상의 형태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블럭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는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예컨대,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집적회로, 오브젝트, 익스큐터블(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에 의하면, 연산장치 상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연산장치 양자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1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존재가능하고, 구성요소는 2이상의 컴퓨터들 간에 분산된 및/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국부화가능하다. 또한, 이들 구성요소들은 각종 데이터 구조들이 그 위에 저장된 각종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실행가능하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1이상의 데이터 패킷(예컨대, 신호에 의하여 여타의 시스템들과 함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및/또는 분산 시스템, 로컬 시스템에서 또다른 구성요소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 등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가능하다.
나아가, 각종 형태들은 무선 단말 및/또는 기지국과 연계되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무선 단말은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연산장치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자가제어장치(self contained device)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또한 시스템, 가입자 장치, 가입국, 이동국, 모바일, 원격지국, 액세스포인트,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기기 또는 사용자 설비(UE)라고도 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가입국, 무선기기, 이동전화, PCS 전화, 무선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국,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접속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기타 처리 장치일 수 있다. 기지국(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또는 Node B)은 무선 단말과 함께 1이상의 섹터를 통하여, 에어-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를 말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나머지 액세스 네트워크와 무선 단말 간의 라우터로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수신된 에어-인터페이스 프레임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또한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속성의 관리를 조정하기도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종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 여하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 또는 1이상의 명령으로서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또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여하한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여하한의 가용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디스크저장장치, 자기디스크저장장치 또는 여타의 자기저장장치, 또는 데이터 구조나 명령어 형태의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를 지니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여하한의 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소정의 접속은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동축케이블, 광섬유케이블, 연선,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 등의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기타 원격 소스로부터 소프트웨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동축케이블, 광섬유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 등의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디스크(disk, disc)들은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저 디스크, 광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BD)를 포함하되, 여기서 디스크(disk)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고, 디스크(disc)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종 기술들은 각종 무선통신시스템,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DMA) 시스템, 및 기타 이러한 시스템들에 사용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란 용어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CDMA) 및 CDMA의 기타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첨언하면,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의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부분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하는 업커밍 릴리즈(upcoming release)이되, 이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A를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는 SC-FDMA를 채택한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으로 명명한 기관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CDMA2000 및 UMB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3GPP2)로 명명한 기관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각종 형태들은 수많은 디바이스, 구성요소,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의 관점으로 제시될 것이다. 각종 시스템은 추가적인 디바이스, 구성요소,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도면들과 연계하여 논의되는 모든 디바이스, 구성요소, 모듈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들의 조합도 사용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형태들에 따라 무선통신환경에서 UE(110)와 각각의 셀(120-130) 간의 정보 교환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 등의 1이상의 연관된 네트워크 셀들과 통신가능한 1이상의 사용자 설비 장치(UE)(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셀" 및 "보조 셀"이란 명칭은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셀(120-130)을 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셀(120-130)의 네이밍에 의하여 셀(120-130)의 기능성이 암시되도록 의도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조 셀(130)은 일부 경우에 있어서 서빙 셀(120) 이외에 또는 그를 대신하여 UE(110)를 위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함으로써 UE(110)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현재 첨부된 청구범위는 상기 청구항들에 의해 명백하게 인용된 것을 넘어서는 여하한의 셀(120-130)의 기능성을 요구하도록 의도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셀(120-130)은 예컨대 매크로 셀, 펨토 셀 또는 HNBs(Home Node Bs), 피코 셀, 릴레이 등을 포함하는 여하한의 적합한 셀 타입(들)일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일 형태에 따르면, UE(11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방식으로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에 대한 1이상의 업링크(UL, 리버스 링크(RL)라고도 함)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은 UE(110)에 대한 1이상의 다운링크(DL, 포워드 링크(FL)라고도 함)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은 공통 Node B(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eNB(Evolved Node B) 등) 또는 다른 Node Bs와 연관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로서,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은 UE(110)에서 1이상의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활용가능한 코어 네트워크(140)와도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40)는 여하한의 적합한 무선 액세스 기술 또는 기술들 및/또는 여하한의 적합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하에 동작하는 무선통신네트워크일 수 있고, 및/또는 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140)는 셀(120 및/또는 130)을 통해 UE(110)에 제공될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소스, 셀(120 및/또는 130)을 통해 UE(110)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싱크, 또는 UE(110)에 의해 활용되는 1이상의 데이터 서비스들과 연계되어 양자 모두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코어 네트워크(140)는, 시그널링 게이트웨이(SGW),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또는 UE(110)에 예정된 패킷들에 대한 소스 및/또는 UE(110)로부터 기인하는 패킷들에 대한 싱크로서의 역할을 하고,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100)에서의 각각의 디바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여하한의 적합한 엔티티(entity)의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구현할 수 있다.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시스템(100)은 MIMO 통신을 활용가능하되, 여기서 다수의 소스 및/또는 목적지(예컨대, 각각의 안테나, 엔티티 등에 대응함)는 시스템(100) 내의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기타 정보에 대하여 활용된다. MIMO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 개선된 신호 품질, 및 기타 이러한 장점들이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단일-입력 및/또는 단일-출력 통신 시스템에 걸쳐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시스템(100)은 CoMP(Cooperative Multipoint)(예컨대, 네트워크 MIMO(N-MIMO)라고도 함, 분산 MIMO(D-MIMO) 또는 Co-MIMO(Cooperative MIMO) 등) 송신의 형태로 MIMO를 활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과 같은 다수의 셀들은 1이상의 UE(110)와의 각각의 협력 또는 공동 통신을 행할 수 있다. UE(110)와 셀(120-130) 간의 CoMP 통신은, 예컨대 공동 처리(joint processing) 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은 다운링크 데이터를 UE(110)에 송신하고 및/또는 UE(110)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공동으로 수신할 때에 관여하도록 협력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110)와 셀(120-130) 간의 CoMP 통신은 조정된 빔형성(coordinated beamforming)을 활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은, 보조 셀(130)이 서빙 셀(120)로부터 떨어져 송신하기 위한 공간 빔을 형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어, 서빙 셀(120)로 하여금 저감된 간섭으로 UE(11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공동 처리 및 조정된 빔형성은 각각 도 2 및 도 3에 대하여 추가적인 상세 인프라(infra)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입장에서, CoMP 송신은 다수의 셀(120-130)을 레버리지(leverage)할 수 있되, 그 각각은 UE(110)에 관련되는 정보를 토대로 통신가능하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공통 Node B 또는 상이한 Node Bs와 연관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120-130)에 대하여 UE(110)와의 CoMP 통신과 연관되는 정보를 라우팅하기 위한 시스템(100) 내에서 1이상의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추가로 이해할 수 있다. 제1예시로서, 종래의 코어 네트워크는 단일 셀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여 동작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셀(120-130)과 UE(110) 간의 분산 통신을 레버리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셀(120-130)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을 지원하지 않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연관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각의 셀(120-130)에 대하여 관련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예시로서, UE(110)와 CoMP 송신을 행하는 각각의 셀(120-130)은 UE(110)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 생성,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취득 또는 레버리지할 수 있다. 따라서, 셀(120-130)들 간의 및/또는 각각의 셀(120 및/또는 13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의 제어 정보의 효율적인 패싱을 위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일 형태에 따르면, 시스템(100) 내에서 CoMP 통신을 지원하고, 적어도 상기 예시들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140) 및 UE(100)와 통신하는 소정의 UE(110)에 대한 서빙 셀(120) 및 UE(110)와 방송 중에(OTA) 통신하는 보조 셀(130)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빙 셀(120)은, 데이터, 제어 시그널링(예컨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어사인먼트(assignment) 또는 그랜트(grant), ACK(Ackmowledgement) 시그널링 등)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서빙 셀(120) 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S1-U 인터페이스 및/또는 또다른 적합한 E-UTRA 네트워크(E-UTRAN) 인터페이스 등)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40)와 패킷들을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40)와 패킷들을 교환하는 것 이외에, 서빙 셀(120)은 UE(110)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고 및/또는 백홀(backhaul) 인터페이스(예컨대, X2 인터페이스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인터페이스)에 걸쳐 보조 셀(130)과 각각의 패킷들을 교환할 수 있다.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링크 또는 백홀 인터페이스를 활용함으로써, 패킷들이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서빙 셀(120)로 송신될 수 있고, 후속해서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조 셀(130)로 라우팅될 수 있어,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구현 변경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보조 셀(130)이 코어 네트워크(14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고,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이 UE(110)와의 CoMP 통신 시에 관여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스템(100)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하여 UE(110)와 연관된 데이터,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기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직접 보조 셀(130)이 교환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 셀(13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조 셀(130)과 코어 네트워크(140) 사이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일례에서는, 데이터,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기타 정보의 각종 부분들이 서빙 셀(12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에만, 보조 셀(13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에만, 또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 양자 모두 간에 교환되도록 독립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시스템(100)은 UE(110)에 관련되는 모든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그 일부(예컨대, UE(110)에 대하여 할당 또는 부여된 대역폭, 코딩 레이트, 및/또는 기타 파라미터에 관련되는 PDCCH 할당 정보)가 코어 네트워크(140)에 의하여 서빙 셀(120)에 배타적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로서, 그랜트, ACK 등과 같은 UE(110)로부터 보조 셀(130)에서 수신되는 업링크 제어 정보는 보조 셀(130)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140)에 직접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후속 이송을 위한 서빙 셀(120)에 대하여 터널링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에 예시된 시스템(100)은 다양한 방식으로 CoMP 통신 시에 관여할 수 있다. 제1의 구체예에 의하면, 도 2의 시스템(200)은 공동 처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예시적인 통신 세션 동안 UE(110), 서빙 셀(120), 보조 셀(130), 및 코어 네트워크(140)의 동작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공동 처리는 각각의 셀이 1이상의 수신기(예컨대, UE(110))에 대하여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협력 또는 공동 송신을 수행하도록 협력하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변조 심볼 x를 제1의 UE에 송신하는 제1의 셀 및 변조 심볼 y를 제2의 UE에 송신하는 제2의 셀 대신에, 상기 셀들은 제1의 셀이 ax + by를 UE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송신하고, 제2의 셀이 cx + dy를 동일 UE(s)에 송신하도록 협력할 수 있는데, 여기서 a, b, c, d는 사용자의 신호대잡음비(SNR), 시스템 용량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메트릭(들)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된 계수들이다.
또한, 각각의 셀들은 소정의 스케줄(예컨대, 동적 셀 선택을 통해)을 토대로 동시에(예컨대, 공동 송신을 통해) 및/또는 개별적으로 1이상의 UE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및/또는 여하한의 공동 처리 기술(들)의 경우에도, 공동 처리를 토대로 정보를 수신하는 UE가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소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결과로서 단일-포인트 송신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높은 SNR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0) 내의 엔티티들 간에 송신가능한데, 여기서 실선은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고, 일점쇄선은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시스템(200)이 예시됨에 따라,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서빙 셀(120) 간에 이송될 수 있고, 및/또는 백홀 링크를 통해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에 라우팅될 수 있어, 코어 네트워크(140)의 구현에 대한 변경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연관되는 여하한의 구성요소들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보조 셀(130)이 코어 네트워크(14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고, 공동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는, 시스템(200)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들이 코어 네트워크(140)와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 양자 모두 간에 선택적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을 이송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백홀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스타 네트워크 및/또는 유사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경우에,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백홀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는 코어 네트워크(140) 또는 또다른 중앙 라우팅 스테이션을 통해 다시 정보를 이송하는 것을 통해 및/또는 여타의 적절한 경우들로 구현된다.
또한, 데이터가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 양자 모두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어 평면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코어 네트워크(140) 및/또는 UE(110)로부터 서빙 셀(120)로만 라우팅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제어 정보를 보조 셀(130)에 넘길 수 있다. 소스 셀(120)에 의해 수신되는 제어 정보는, 예컨대 소정의 슬롯, PDCCH 어사인먼트 또는 그랜트 상의 소정의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요구, 및/또는 제어 정보의 여타의 타입(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시그널링의 통신을 위한 단일 셀을 지정함으로써, 스케줄링, 에러 핸들링 등과 같은 동작들이 각각의 셀들 간의 통신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단일 셀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시스템(200) 및/또는 시스템(200) 내의 셀들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시스템(200)에 도시된 것의 대안예로서, 코어 네트워크(140)는 서빙 셀(120)과 제어 정보의 제1부분을 교환할 수 있고, 보조 셀(130)과 제어 정보의 제2중첩부분 또는 비중첩부분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PDCCH 어사인먼트들이 코어 네트워크(140)와 서빙 셀(120) 간에 배타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한편, ACKs 등과 같은 기타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와 서빙 셀(120) 또는 보조 셀(130) 간에 이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스템(200)은 서빙 셀(120)로부터 UE(110)로의 단일 제어 인터페이스를 예시하고 있지만,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보조 셀(130)이 제어 정보를 UE(110)와 추가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 경우에 있어서 보조 셀(130)이 방송 중에 제어 정보(예컨대, 그랜트, ACK 등)를 UE(110)에 직접 송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서빙 셀(120)을 통해 UE(110)에 대하여 터널링된 제어 정보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셀(130)에 의해 픽킹된 빔 방향을 가리키는 그랜트는 UE(110)에 대하여 보조 셀(130)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 있어서는, UE(110)로부터 수신된 ACK 정보가 보조 셀(130)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서빙 셀(120)에 전달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디코딩된 ACK 정보를 후속 송신을 스케줄링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UE(110), 셀(120-130), 및 코어 네트워크(140) 간의 CoMP 통신의 또다른 예시로서, 도 3의 시스템(300)은 CBF(coordinated beamforming)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는 예시적인 통신 세션을 예시한다. 도 3이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은 서빙 셀(120)과 UE(110) 간의 통신에 대하여 CBF를 행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40)는 통신 세션과 연계하여 서빙 셀(120)과 각각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품질 정보, UE(110)에 의해 제공되는 간섭 리포트, UE(110) 및/또는 서빙 셀(120)의 장소에 관련되는 정보 등과 같은 서빙 셀(120) 및/또는 UE(110)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토대로, 보조 셀(130)은 서빙 셀(120) 및/또는 UE(110)로부터 떨어져 공간 빔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UE(110) 및/또는 서빙 셀(120)에서 관측되는 SNR을 개선하고, 간섭을 저감시키게 된다.
일례로서, UE(110)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는 서빙 셀(120)에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UE(110)에 의해 서빙 셀(120)에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110)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는 서빙 셀(120)과의 백홀 링크를 통해 보조 셀(130)에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UE(110)에 의하여 방송 중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UE(110),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이 동작할 수 있는 방식들의 다양한 예들을 예시한 각각의 시스템(400-600)이 제공된다. 하지만, 도 4 내지 도 6 및 그와 관련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를 통해 제공되는 것일 뿐, 여하한의 적합한 디바이스 구현(들)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CoMP 통신을 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1시스템(400)은 UE(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서빙 셀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서빙 셀(120)과 통신할 수 있고, 및/또는 보조 셀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보조 셀(13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UE(110)는 라우팅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서빙 셀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서빙 셀(120)과의 제어 정보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및/또는 서빙 셀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보조 셀(130)과의 데이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서빙 셀 인터페이스(412)를 통해 서빙 셀(120)과 교환되는 제어 정보는, 예컨대 PDCCH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PDCCH 할당 프로세서(420)를 이용하여 UE(11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일례로서, PDCCH 할당 정보는 빔 방향 정보 및/또는 여하한의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UE(110)는 PDCCH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정보를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0)는 데이터/제어 소스(440)와 연관되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과 교환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데이터/제어 소스(440)와 연관된 정보는, 예컨대 ACK 정보, 간섭 정보(예컨대, 간섭 리포터(442)에 의해 식별된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UE(110)는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따라서, 제1예시에서는, UE(110)가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공동 송신 시에 각각의 인터페이스(412-414) 및 라우팅 모듈(430)을 통해 서빙 셀(120) 및 보조 셀(130) 양자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공동 송신은 각각의 빔형성 가중치가 송신 엔티티 또는 엔티티들(예컨대, 업링크 송신의 경우에는 UE(110) 또는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에는 셀(120-130))에 의해 적용가능한 변조 심볼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은 UE(110)에 대하여 다운링크 상에서 송신될 변조 심볼에 적용되는 각각의 빔형성 가중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UE(110)는, 데이터/제어 소스(440) 및/또는 기타 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과의 통신에 앞서, 업링크 상에서 송신될 정보에 소정의 스케줄링, 빔형성 가중치 등을 적용하도록 송신 코디네이터(45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구성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협력 전송의 제2예시에서는, UE(110)가 상기 도 3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셀(120-130)들 간에 수행되는 협력 또는 조정된 빔형성을 토대로 서빙 셀(120) 또는 보조 셀(130) 중 어느 하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는, UE(110)가 프로세서(462) 및/또는 메모리(46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된 기능성 및/또는 UE(110)에서 구현되고자 원하는 여타의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CoMP 통신을 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2시스템(500)은 서빙 셀(1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UE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UE(110)와, 보조 셀 인터페이스(514)를 통해 보조 셀(130)과,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6)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4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서빙 셀(120)은 UE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UE(110)와의 제어 정보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라우팅 모듈(52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UE(110)와 제어 정보의 교환 시, 서빙 셀(120)은 보조 셀 인터페이스(514)를 통해 보조 셀(130)에 대하여 UE(110)와 교환되는 제어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로 예시된 일례로서, 서빙 셀(120)과 UE(110) 간에 교환되는 제어 정보는 PDCCH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6)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및/또는 서빙 셀(120)에서 국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예컨대, 및/또는 제어/데이터 소스(530)에 의해 식별될 수 있음). 식별된 PDCCH 정보는 이어서 각각의 인터페이스(512-514)를 통해 UE(110) 및 보조 셀(130)에 제공될 수 있다.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서빙 셀(120)은 코어 네트워크(140)(예컨대, 서빙 셀(12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의 S1-U 인터페이스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통신 링크를 통해), 제어/데이터 소스(53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소스(들)로부터 다운링크 상에서 UE(110)로 송신될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UE(110)로 전송될 데이터의 식별 시, 상기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보조 셀(130)과의 협력 전송 시에 UE(110)에 대하여 라우팅 모듈(52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빙 셀(120)은, (예컨대, X2 인터페이스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백홀 링크를 통해) 상기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보조 셀(130)에 제공할 수 있어, 보조 셀(130)에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가 보조 셀(130)과의 공동 송신 시에 UE(110)에 대하여 전송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보조 셀(130)은 코어 네트워크(14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소스(들)로부터의 공동 송신 시에 통신될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 따르면, 서빙 셀(120)은 X2 인터페이스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백홀 링크 또는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조 셀(13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어서, 서빙 셀(120)은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라우팅 모듈(520)을 이용하여 UE(110)에 대하여 지정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시에 의하면, 보조 셀(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가 UE(110)에 관련되는 ACK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서빙 셀(120)의 또다른 적합한 구성요소 및/또는 라우팅 모듈(520)에서의 송신 스케줄러(522)는 상기 수신된 ACK 정보를 토대로 지정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위한 송신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지정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UE(110)에 전송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서는, 서빙 셀(120)이 UE(11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기타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UE(110)로부터의 이러한 정보의 수신 시, 서빙 셀(120)은 상기 정보를 보조 셀(130), 코어 네트워크(14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하여 중계할 수 있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500)에 의해 추가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빙 셀(120)은 프로세서(542) 및/또는 메모리(54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서빙 셀(120)에서 구현되고자 원하는 여타의 기능성 및/또는 상술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CoMP 통신을 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3시스템(600)은 보조 셀(13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UE 인터페이스(61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UE(110)와, 서빙 셀 인터페이스(614)를 통해 서빙 셀(130)과,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6)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4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보조 셀(130)은 서빙 셀 인터페이스(614)를 통해 서빙 셀(120)과의 적어도 하나의 UE(110)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라우팅 모듈(62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서빙 셀(120)과 제어 정보의 교환 시, 보조 셀(130)은 상기 교환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시스템(600) 내의 1이상의 엔티티(예컨대, UE(110), 서빙 셀(120), 코어 네트워크(140) 등)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빙 셀(120)과 교환되는 제어 정보는 서빙 셀(120)로부터 수신되는 PDCCH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보조 셀(130)은 PDCCH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제어 정보를 UE(110) 및/또는 시스템(600) 내의 여타의 엔티티와 교환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보조 셀(130)은 UE(110)와 서빙 셀(120) 및/또는 보조 셀(130) 간의 1이상의 송신과 연계하여 서빙 셀(120)과 협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보조 셀(130)은 다운링크 상에서 UE(110)에 전송될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교환된 제어 정보에 따라 라우팅 모듈(620)을 이용하여 UE(110)에 송신할 수 있다. 보조 셀(13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여타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취득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상에서 UE(110)에 전송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X2 인터페이스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백홀 링크 또는 서빙 셀(120)과 보조 셀(130)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셀(120)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S1-U 인터페이스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E-UTRAN 또는 보조 셀(13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의 기타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서는, UE(110)로 전송될 데이터의 취득 시, 보조 셀(130)은 서빙 셀(120)과의 협력 또는 공동 송신 시에 UE에 대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업링크 상에서는, 보조 셀(130)이 적어도 하나의 UE(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보조 셀(130) 및/또는 시스템(600) 내의 보조 셀(130) 및 1이상의 기타 엔티티에 배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UE(110)에 의해 통신될 수 있다. UE(s)(11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시, 보조 셀(130)은 서빙 셀(120), 코어 네트워크(14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 또는 중계할 수 있다.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보조 셀(130)은 적어도 하나의 UE(110)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생성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셀(130)에 의해 식별된 제어 정보는 서빙 셀(120)에 대한 백홀 인터페이스(예컨대, X2 인터페이스 등)를 통해 및/또는 여타의 수단에 의해 서빙 셀(120)에 대해 터널링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에서도, 보조 셀(130)은 UE(110)에서 관측된 간섭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교환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빔형성 코디네이터(632) 및/또는 보조 셀(130)에서의 또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은 서빙 셀(120) 및/또는 시스템(600) 내의 1이상의 기타 엔티티와 CBF 및/또는 기타 유사한 프로시저들을 수행할 수 있다. 빔형성 코디네이터(632)는, 예컨대 UE(110)에서 관측된 간섭을 실질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한 각각의 송신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에 따라 (예컨대, 인터페이스(612-616) 및/또는 범용 송신기(634)를 통해) 통신을 디렉팅함으로써 CBF를 촉진시킬 수 있다. 빔형성 코디네이터(632)에 의해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는, 예컨대 송신 전력 파라미터, 빔 방향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600)에 의해 추가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셀(130)은 프로세서(642) 및/또는 메모리(64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보조 셀(130)에서 구현하고자 원하는 여타의 기능성 및/또는 상술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하,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종 형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방법들을 예시한다.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상기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으로 도시 및 기술되어 있지만, 상기 방법들이 동작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동작들은, 1이상의 형태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 도시 및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여타의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계의 당업자라면 방법이 대안적으로 상태 다이어그램에서와 같이 일련의 서로 관련이 있는 상태 또는 이벤트들로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1이상의 형태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된 모든 동작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환경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셀(예컨대, 셀(120-130))과의 공동 송신을 행하기 위한 방법 700이 예시되어 있다. 방법 700은 예컨대 단말(예컨대, UE(11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방법 700은 블럭 7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서빙 네트워크 셀(예컨대, 서빙 셀(120)) 및 보조 네트워크 셀(예컨대, 보조 셀(130))이 식별된다. 다음으로, 블럭 704에서, 제어 정보가 적어도 서빙 네트워크 셀과 교환된다. 그리고, 방법 700은 블럭 706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 데이터는 서빙 네트워크 셀 및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교환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환경에서 각각의 네트워크 셀들과 공동 송신을 행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 800의 흐름도가 예시되어 있다. 방법 800은 예컨대 UE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800은 블럭 8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서빙 네트워크 셀과 보조 네트워크 셀이 식별된다. 다음으로, 블럭 804에서, PDCCH 할당 정보가 서빙 네트워크 셀과 교환된다. 그 후, 방법 800이 종료될 수도 있고 또는 종료에 앞서 선택적으로 블럭 806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는 블럭 804에서 교환된 PDCCH 할당 정보와는 다른 기타 제어 정보 및/또는 ACK 정보가 서빙 네트워크 셀 및/또는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교환된다.
도 9는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예컨대, UE(110)) 및 보조 네트워크 셀(예컨대, 보조 셀(130))과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900을 예시하고 있다. 방법 900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 셀(예컨대, 서빙 셀(12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900은 블럭 9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UE와 교환된다. 방법 900은 그 후에 블럭 904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블럭 902에서 교환된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한 보조 네트워크 셀에 표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 및 보조 네트워크 셀과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 1000이 예시되어 있다. 방법 1000은 예컨대 서빙 네트워크 셀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방법 1000은 블럭 10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PDCCH 할당 정보 및/또는 기타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UE와 교환된다. 다음으로, 블럭 1004에서, 적어도 하나의 UE로 전송될 데이터가 식별된다. 방법 1000은 그 후에 선택적으로 블럭 1006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블럭 1004에서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보조 네트워크 셀에 제공된다. 블럭 1004 및/또는 1006에 기재된 동작들의 종료 시, 방법 1000은 블럭 1008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블럭 1004에서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보조 네트워크 셀과의 협력 전송 시에 적어도 UE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 및 보조 네트워크 셀과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 1100이 예시되어 있다. 방법 1100은 예컨대 서빙 네트워크 셀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100은 블럭 11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가 보조 네트워크 셀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수신된다. 방법 1100은 그 후에 블럭 1104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지정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가 블럭 1102에서 수신된 제어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UE에 전송된다.
도 12는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예컨대, UE(110)) 및 상기 단말용 서빙 네트워크 셀(예컨대, 서빙 셀(120))과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200을 예시하고 있다. 방법 1200은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 셀(예컨대, 보조 셀(130))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200은 블럭 12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 교환된다. 방법 1200은 그 후에 블럭 1204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블럭 1202에서 교환된 제어 정보에 따라 통신이 행하여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 및 상기 단말용 서빙 네트워크 셀과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 1300이 예시되어 있다. 방법 1300은 예컨대 보조 네트워크 셀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방법 1300은 블럭 13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 교환된다. 다음으로, 블럭 1304에서, 적어도 하나의 UE로 전송될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 및/또는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식별된다. 방법 1300은 그 후에 블럭 1306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식별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블럭 1304에서 교환된 제어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의 협력 전송 시에 적어도 하나의 UE에 전송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환경에서 단말 및 상기 단말용 서빙 네트워크 셀과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 1400이 예시되어 있다. 방법 1400은 예컨대 지정된 보조 네트워크 셀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1400은 블럭 1402에서 시작하되,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가 식별된다. 방법 1400은 그 후에 선택적으로 블럭 1404로 진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식별된 제어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백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에 대하여 터널링된다. 블럭 1402 및/또는 1404에 기재된 동작들의 종료 시, 방법 1400은 블럭 1406으로 계속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1이상의 송신 파라미터가 상기 식별된 제어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다. 방법 1400은 그 후에 블럭 1408에서 종료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블럭 1406에서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따라 통신이 행하여진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형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각각의 장치(1500-1900)가 예시되어 있다. 장치(1500-1900)는 기능 블럭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는데, 상기 기능 블럭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예컨대,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표현하는 기능 블럭일 수 있다.
우선,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협력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1500)가 예시되어 있다. 장치(1500)는 UE(예컨대, UE(110)) 및/또는 또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로 구현될 수 있고, 서빙 셀과의 1이상의 제어 통신을 행하기 위한 모듈(1502) 및 상기 서빙 셀과 적어도 한 보조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수행되는 1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모듈(15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협력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또다른 장치(1600)를 예시하고 있다. 장치(1600)는 지정된 서빙 네트워크 셀(예컨대, 서빙 셀(120)) 및/또는 또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로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1이상의 제어 통신을 행하기 위한 모듈(1602) 및 보조 셀에 1이상의 제어 통신을 표시하기 위한 모듈(16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협력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제3의 장치(1700)가 예시되어 있다. 장치(1700)는 지정된 보조 네트워크 셀(예컨대, 보조 셀(130)) 및/또는 또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로 구현될 수 있고, 단말을 위한 서빙 셀과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의 1이상의 제어 통신을 행하기 위한 모듈(1702) 및 1이상의 제어 통신의 적어도 일부를 토대로 각각의 후속 통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17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협력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제4의 장치(1800)를 예시하고 있다. 장치(1800)는 1이상의 사용자를 위한 서빙 네트워크 셀(예컨대, 서빙 셀(120))로 구성된 네트워크 셀 및/또는 또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로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UE(예컨대, UE(110))와 제1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1802),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와 제2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1804), 및 상기 제1세트 또는 제2세트의 제어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 네트워크 셀(예컨대, 보조 셀(130))에 표시하기 위한 모듈(180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협력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제5의 장치(1900)가 예시되어 있다. 장치(1900)는 보조 네트워크 셀(예컨대, 보조 셀(130))로 구성된 네트워크 셀 및/또는 또다른 적합한 네트워크 엔티티로 구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UE와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1902), 코어 네트워크와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모듈(1904), 및 교환된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과 함께 표시하기 위한 모듈(19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이 예시되어 있다. 일례로서, 시스템(2000)은 수많은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각종 개시된 실시예들과 형태들이 구현가능하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에 의하면, 시스템(2000)은 다수의 셀(2002)(예컨대, 매크로 셀 2002a-2002g)에 대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되, 각각의 셀은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AP)(2004)(예컨대, AP 2004a-2004g)에 의해 서비스된다. 일례로서, 1이상의 셀이 각각의 섹터(도시되지 않음)로 추가 분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AP는 기지국, Node Bs, eNBs(Evolved Node Bs)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20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ATs 2006a-2006k를 포함하는 각종 액세스 단말(ATs) 2006은 시스템(2000)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ATs는 단말, 사용자, UE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AT 2006은 AT가 활성인 지의 여부에 따라 그리고 소프트 핸드오프 및/또는 또다른 유사한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소정의 순간에 포워드 링크(FL) 및/또는 리버스 링크(RL) 상에서 1이상의 APs 2004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고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AT 2006은 사용자 설비(UE), 휴대 단말, 및/또는 여타의 적합한 명명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시스템(2000)은 실질적으로 큰 지리학적인 영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 2002a-2002g는 이웃하는 복수의 블럭 및/또는 이와 유사하게 또다른 적합한 커버리지 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형태들이 기능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통신시스템(2100)을 예시한 블럭도가 제공되어 있다. 일례로서, 시스템(2100)은, 송신기 시스템(2110) 및 수신기 시스템(2150)을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이다. 하지만, 상기 송신기 시스템(2110)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2150)은, 예컨대 다수의 송신 안테나(예컨대, 기지국 상의)가 1이상의 심볼 스트림을 단일 안테나 장치(예컨대, 이동국)에 송신할 수 있는 다중-입력 단일-출력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점은 자명하다. 첨언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송신기 시스템(2110)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2150)의 형태들이 단일 출력 대 단일 입력 안테나 시스템과 연계되어 활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 형태에 따르면, 수많은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21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114)로의 송신기 시스템(2110)에 제공된다. 일례로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그 후에 각각의 송신 안테나(2124)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첨언하면, TX 데이터 프로세서(21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마다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토대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인코딩 및 인터리빙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그 후에 OFDM 기술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데이터는, 예컨대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기지의 데이터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럿 데이터는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신기 시스템(21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송신기 시스템(2110)에서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가, 변조 심볼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마다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컨대, BPSK, QSPK, M-PSK 또는 M-QAM)을 토대로 변조(즉, 심볼 매핑)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속도,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2130)에 의해 제공되는 및/또는 그 위에서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프로세서(2120)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변조 심볼(예컨대, OFDM용)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2120)는 그 후에 NT 변조 심볼 스트림을 NT 송수신기(2122a 내지 2122t)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각각의 송수신기(2122)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1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송수신기(2122)는 그 후에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로 컨디셔닝(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승압)하여, MIMO 채널에 걸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송수신기(2122a 내지 2122t)로부터의 NT 변조된 신호들이 그 후에 각각 NT 안테나(2124a 내지 2124t)로부터 송신될 수 있게 된다.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송신된 변조 신호들이 NR 안테나(2152a 내지 2152r)에 의해 수신기 시스템(2150)에 수신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21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그 후에 각각의 송수신기(2154)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각각의 송수신기(21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강압)하고, 상기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한 다음, 상기 샘플들을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RX MIMO/데이터 프로세서(2160)는 그 후에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토대로 NR 송수신기(2154)로부터 상기 NR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NT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은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송신된 변조 심볼들의 추정치인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RX 프로세서(2160)는 그 후에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RX 프로세서(2160)에 의한 처리가, 송신기 시스템(2110)에서 TX MIMO 프로세서(2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16)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상보적일 수 있게 된다. RX 프로세서(2160)는 처리된 심볼 스트림을 데이터 싱크(2164)에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르면, RX 프로세서(2160)에 의해 생성되는 채널 응답 추정치는, 수신기에서 공간/시간 처리를 수행하는데, 파워 레벨을 조정하는데, 변조 속도 또는 방식을 변경하는데, 및/또는 여타의 적절한 동작들에 사용될 수 있다. 첨언하면, RX 프로세서(2160)는, 예컨대 상기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의 신호대잡음및간섭비(SNRs)와 같은 채널 특성을 추가로 추정할 수 있다. RX 프로세서(2160)는 그 후에 추정된 채널 특성을 프로세서(2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RX 프로세서(2160) 및/또는 프로세서(2170)는 상기 시스템에 대한 "동작 중" SNR의 추정치를 추가로 도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70)는 그 후에 채널 상태 정보(CSI)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 및/또는 통신 링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동작 중의 SN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SI는 그 후에 TX 데이터 프로세서(211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180)에 의해 변조되며, 송수신기(2154a 내지 2154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송신기 시스템(2110)으로 다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시스템(2150)에서의 데이터 소스(2116)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118)에 의해 처리될 추가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송신기 시스템(2110)에서는, 수신기 시스템(2150)으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이 그 후에 안테나(2124)에 의해 수신되고, 송수신기(21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21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1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2150)에 의해 보고된 CSI를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상기 보고된 CSI는 그 후에 프로세서(2130)에 제공되어, 1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될 코딩 및 변조 방식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속도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은 그 후에 수신기 시스템(2150)에 대한 추후 송신 시의 사용 및/또는 양자화를 위하여 송수신기(2122)에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보고된 CSI는 프로세서(2130)에 의해 사용될 수 있어, TX 데이터 프로세서(2114) 및 TX MIMO 프로세서(2120)에 대한 각종 제어들을 만들어내게 된다. 또다른 예시에서는, CSI 및/또는 RX 데이터 프로세서(2142)에 의해 처리된 기타 정보가 데이터 싱크(2144)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송신기 시스템(2110)에서의 프로세서(2130) 및 수신기 시스템(2150)에서의 프로세서(2170)는 그들 각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총괄한다. 첨언하면, 송신기 시스템(2110)에서의 메모리(2132) 및 수신기 시스템(2150)에서의 메모리(2172)는 각각 프로세서(2130, 217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에 대한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시스템(2150)에서는, 각종 처리 기술들이 NR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NT 송신 심볼 스트림을 검출하게 된다. 이들 수신기 처리 기술들은, 이퀄라이제이션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공간 및 공간-시간 수신기 처리 기술, 및/또는 "연속 간섭 상쇄" 또는 "연속 상쇄" 수신기 처리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는 "연속 널링/이퀄라이제이션 및 간섭 상쇄" 수신기 처리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형태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그 여하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스템 및/또는 방법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나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되는 경우, 그들은 저장 구성요소와 같은 기계-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펑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여하한의 명령 조합,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문을 표현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컨텐츠를 패싱 및/또는 수신하여, 또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패싱, 토큰 패싱, 네트워크 송신 등을 포함하는 여하한의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패싱, 포워딩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프로시저, 펑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각종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된 것은 1이상의 형태들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된 형태들을 기술할 목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구성요소 또는 방법들의 모든 조합을 기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당업계의 당업자라면 각종 형태들의 수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재된 형태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이러한 모든 변경, 수정 및 변형예들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나아가, "포함하는"이란 용어가 상세한 설명이나 청구범위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용어는 "포함하는"이란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의미로 의도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포함하는"이 청구항에서 접속사로 채택될 때 해석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세한 설명이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또는"이란 용어도 "비배타적 또는(non-exclusive or)"을 의미하고 있다.

Claims (113)

  1.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장비 유닛(UE)으로 라우팅(routing)될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을,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UE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UE에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을 통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라우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동일한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변조 심볼들의 세트에 대응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은,
    상기 변조 심볼들의 세트에서의 각각의 변조 심볼들에 각각의 빔형성 가중치(beamforming weight)를 인가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또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빔형성 가중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 라우팅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는 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제어 정보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어 정보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ACK)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통신장치로서,
    서빙 네트워크 셀 및 보조 네트워크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장비 유닛(UE)으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된 제어 시그널링을,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UE에서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UE에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을 통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라우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무선통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joint) 송신 시에 상기 서빙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동일한 일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 간에 수행되는 조정된 빔형성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제어 정보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과 확인응답(ACK) 정보를 교환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17.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장비 유닛(UE)으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서빙 셀로부터 상기 UE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통신에 따라 보조 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UE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보조 셀을 통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라우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상기 서빙 셀 및 적어도 상기 보조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서빙 셀 및 적어도 상기 보조 셀에 의해 공동으로 행하여지는 하나 이상의 송신 시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보조 셀 간에 수행되는 조정된 빔형성에 기초하여, 상기 서빙 셀 또는 상기 보조 셀 중 하나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보조 셀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송신을 상기 보조 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컴퓨터로 하여금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장비 유닛(UE)으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상기 UE에서,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어 통신에 따라 보조 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UE에서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셀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보조 셀을 통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라우팅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상기 서빙 셀 및 적어도 상기 보조 셀에 의해 협력적으로 수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서빙 셀 및 적어도 상기 보조 셀에 의해 공동으로 행하여지는 하나 이상의 송신 시에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서빙 셀과 보조 셀 간에 수행되는 조정된 빔형성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셀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보조 셀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송신을 상기 보조 셀로부터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27. 서빙 네트워크 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유닛(UE)으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
    상기 제어 정보를 보조 네트워크 셀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협력적으로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 라우팅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적으로 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과의 협력 송신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 모두로 동시에 라우팅되는,
    방법.
  30. 삭제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상기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백홀 인터페이스(backhaul interface)를 통해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관련되는 확인응답(ACK)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ACK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지정된 정보를 상기 송신 스케줄에 기초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정보는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5. 무선통신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 및 보조 네트워크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빙 네트워크 셀에 의해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
    상기 송신된 제어 정보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 표시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협력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에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 라우팅되는,
    무선통신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되는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37. 삭제
  38. 삭제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 상기 송신된 제어 정보를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무선통신장치.
  42. 서빙 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어 통신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보조 셀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어 통신에 따라 상기 보조 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협력적으로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보조 셀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된 일부는 상기 서빙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셀로 라우팅되는,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적으로 행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보조 셀과의 적어도 하나의 협력적 송신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서빙 셀 및 상기 보조 셀 모두로 동시에 라우팅되는,
    장치.
  45. 삭제
  46. 제42항에 있어서,
    백홀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셀과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링크는 X2 인터페이스인,
    장치.
  48. 컴퓨터로 하여금, 서빙 네트워크 셀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유닛(UE)으로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어 통신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보조 네트워크 셀로 표시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어 통신에 따라 상기 보조 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을 협력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에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 의해 송신되어,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 라우팅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제어 통신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0. 삭제
  51. 삭제
  52. 제48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백홀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과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3.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유닛(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보조 네트워크 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서 수신됨 ― ;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UE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와는 다른 제어 정보를, 상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와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와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로의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에 터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방법.
  62.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서 관측된 간섭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서 관측된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에 따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는 송신 전력 파라미터 또는 빔 방향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4. 무선통신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유닛(U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셀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와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보조 셀에서 수신하고 ― 상기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
    상기 코어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보조 셀에서 수신하며 ―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셀에서 수신됨 ―; 그리고
    상기 서빙 셀과 협력적으로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에,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셀로부터 상기 UE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66. 삭제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빙 셀과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인,
    무선통신장치.
  69.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서 관측된 간섭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서빙 셀과 교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서 관측된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를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에 따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장치.
  70. 보조 셀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관련되는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보조 셀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보조 셀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됨 ―;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에서 보조 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빙 셀과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72. 삭제
  73. 제70항에 있어서,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정보를 상기 서빙 셀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관측된 간섭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관측된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에 따라 각각의 후속 통신들을 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75.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유닛(UE)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로부터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어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로 라우팅될 데이터와 관련됨 ―;
    컴퓨터로 하여금 보조 네트워크 셀에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데이터의 일부는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을 통해서는 라우팅되지 않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에서 수신됨 ―; 및
    컴퓨터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송신에서 상기 보조 네트워크 셀로부터 상기 UE로 상기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은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과 협력적으로 행하여지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과 관련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할당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77. 삭제
  78. 제75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빙 네트워크 셀과 제어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79.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어 정보의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서 관측된 간섭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교환하게 하기 위한 코드;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에서 관측된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나 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송신 파라미터들에 따라 각각의 후속 통신들을 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KR1020117004782A 2008-08-01 2009-07-31 무선통신시스템의 분산 다중 입출력(mimo)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45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76208P 2008-08-01 2008-08-01
US61/085,762 2008-08-01
US12/505,126 2009-07-17
US12/505,126 US8942165B2 (en) 2008-08-01 2009-07-17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9/052516 WO2010014969A1 (en) 2008-08-01 2009-07-31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80A KR20110039480A (ko) 2011-04-18
KR101245768B1 true KR101245768B1 (ko) 2013-03-22

Family

ID=4160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782A KR101245768B1 (ko) 2008-08-01 2009-07-31 무선통신시스템의 분산 다중 입출력(mimo)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42165B2 (ko)
EP (1) EP2313987B1 (ko)
JP (2) JP2011530238A (ko)
KR (1) KR101245768B1 (ko)
CN (1) CN102113237B (ko)
BR (1) BRPI0916584A2 (ko)
CA (1) CA2730342C (ko)
RU (1) RU2482629C2 (ko)
TW (1) TWI475821B (ko)
WO (1) WO2010014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1880B (zh) * 2008-08-11 2013-12-25 株式会社Ntt都科摩 多小区协作发送方法
US8830926B2 (en) * 2008-10-27 2014-09-09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network co-ord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RU2474975C2 (ru) * 2008-10-28 2013-02-10 Фудзицу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спользующее систему совместной передачи harq,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3179075B (zh) * 2008-11-20 2017-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协作多点传输中确定资源映射的方法、网络设备及系统
KR101559797B1 (ko) * 2008-12-04 201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WO2010073700A1 (ja) 2008-12-26 2010-07-0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無線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記憶媒体
US8442566B2 (en) * 2009-01-07 2013-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d multipoint (CoMP) joint transmission using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and higher rank dedicated beam-forming
EP2398155A4 (en) * 2009-02-10 2011-12-28 Huawei Tech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OPERATIVE MULTIPORT TRANSMISSION
WO2011100673A1 (en) 2010-02-12 2011-08-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ell-edge user performance and signaling radio link failure conditions via downlink cooperative component carriers
US20100232336A1 (en) * 2009-03-13 2010-09-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tenna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N101841496B (zh) 2009-03-17 2013-03-1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系统中用于多小区协作通信的方法及装置
CN101873675B (zh) * 2009-04-22 2015-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点协作传输协作组信息的发送方法及基站
WO2010126052A1 (ja) * 2009-04-27 2010-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CN102449924B (zh) * 2009-05-29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使用空间静默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WO2010137917A2 (ko) 2009-05-29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간 사일런싱을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08782B1 (ko) * 2009-06-05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CoMP 방식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US8442545B2 (en) * 2009-06-17 2013-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wide inter-cell interference minimization via coordinated multipoint cell scheduling coordination
CN101945444B (zh) * 2009-07-06 2016-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WO2011045658A1 (en) * 2009-10-16 2011-04-21 Nortel Networks Limited Joint uplink data processing by plural base stations
ES2748499T3 (es) 2009-10-30 2020-03-17 Sun Patent Trust Aparat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procedimiento de generación de señal de referencia
US8780853B2 (en) * 2009-11-06 2014-07-15 Kyocera Corporation Control channel management
US8917614B2 (en) * 2010-02-05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miss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9392515B2 (en) 2010-02-12 2016-07-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ata split between multiple sites
CN102244935A (zh) * 2010-05-11 2011-11-1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建立通信关系的方法
US10375689B2 (en) * 2010-06-18 2019-08-06 Kyocera Corporation Control channel architecture with control information distributed over multiple subframes on different carriers
CN102378181B (zh) * 2010-08-10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协作多点通信技术中数据交互的方法及系统
KR20120032777A (ko) 2010-09-29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셀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빔포밍 벡터 결정 방법 및 장치
JP4923161B1 (ja) 2010-09-29 2012-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20120120890A1 (en) * 2010-11-12 2012-05-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system
KR101584999B1 (ko) 2010-12-0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 단말 및 협력 단말의 협력 통신 방법
KR102407395B1 (ko) 2010-12-03 2022-06-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멀티 무선 액세스 기술 캐리어 결합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2099520A1 (en) * 2011-01-17 2012-07-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multipoint transmission
CN102611540A (zh) * 2011-01-20 2012-07-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反馈ack/nack信息的方法
KR101579357B1 (ko) * 2011-01-31 2015-12-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JP5796832B2 (ja) * 2011-01-31 2015-10-21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566095B1 (ko) * 2011-01-31 2015-11-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2638295A (zh) * 2011-02-12 2012-08-1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协作控制信息发送、数据发送方法、装置及系统
CN102651916A (zh) * 2011-02-24 2012-08-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多点协作的分布式有线接口数据传输方法及系统
WO2012118357A2 (ko) * 2011-03-03 2012-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06311B1 (ko) 2011-03-04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규준화된 빔포밍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
CN102740360B (zh) * 2011-04-12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小区负荷控制方法及装置
CN103733538A (zh) * 2011-04-14 2014-04-16 诺基亚西门子网络公司 利用单载波小区聚合的联合传输CoMP
US20120269140A1 (en) * 2011-04-25 201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wnlink control signal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N108419273B (zh) * 2011-06-01 2021-06-08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中的增强的本地接入
EP2720503A4 (en) 2011-06-06 2014-10-29 Fujitsu Ltd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3000140A1 (zh) 2011-06-30 2013-01-03 富士通株式会社 协作多点传输系统的下行预编码方法、数据交互方法和装置
CN110519847B (zh) 2011-07-29 2023-11-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多无线电接入技术无线系统中的无线电资源管理的方法和设备
EP2742627B1 (en) 2011-08-10 2021-03-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 feedback for multi-site scheduling
CN102958146B (zh) 2011-08-17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发射上行信号的方法和终端
KR102092579B1 (ko) 2011-08-22 2020-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 밴드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3026818A1 (en) * 2011-08-24 2013-02-28 Nokia Siemens Networks Oy Enhancement of radio access network in the processing and forwarding of user plane data among access points
AU2013208385A1 (en) 2012-01-09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US20140334371A1 (en) 2012-01-27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9559818B2 (en) * 2012-01-31 2017-01-31 Sca Ipla Holdings Inc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EP3982580A1 (en) 2012-05-09 2022-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8850A1 (ko) 2012-05-09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3621353A1 (en) 2012-05-21 2020-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740490B (zh) * 2012-06-20 2014-10-29 东南大学 利用长时信道信息的大规模分布式mimo系统调度方法
KR101925764B1 (ko) 2012-08-23 2018-12-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다중 스케줄러들을 이용한 동작
EP2888918B1 (en) 2012-08-23 2020-1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viding physical layer resources to different serving sites
CN109743785B (zh) * 2012-09-28 2023-01-17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KR102024059B1 (ko) * 2012-11-14 201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750003B2 (en) 2012-12-21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by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98542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by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185956B (zh) * 2013-01-11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多输入多输出发射方法及基站
WO2014186624A1 (en) * 2013-05-15 2014-11-20 Entropic Communications, Inc. Hybrid wired an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93822B1 (ko) * 2013-12-19 2021-08-26 비자 인터네셔널 서비스 어소시에이션 클라우드-기반 트랜잭션 방법 및 시스템
US9887907B2 (en) 2014-09-18 2018-02-06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initiated control mechanism for supporting supplemental link
KR20160034737A (ko) * 2014-09-22 2016-03-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05634682B (zh) * 2014-10-27 2019-11-05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调整调度cqi的方法及装置
CN106571866B (zh) 2015-10-10 2019-09-1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无线接入系统
JP6093058B1 (ja) * 2016-02-23 2017-03-08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7204673A1 (en) * 2016-05-24 2017-11-30 Limited Liability Company "Topcon Positioning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determination of a mobile station using modified wi-fi signals
US11601820B2 (en) * 2017-01-27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control channel for shared spectrum
EP4007182A1 (en) * 2017-02-06 2022-06-01 Altiostar Networks, Inc. Multi-site mimo communications system with hybrid beamforming in l1-split architecture
EP3614756B1 (en) 2017-04-27 2021-08-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des
CN109150445B (zh) * 2017-06-16 2021-08-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发送与接收方法及设备
US11695462B2 (en) * 2019-01-29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ordinated beamforming in millimeter wave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320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수신 데이터의컴바이닝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0272B2 (en) * 2001-04-02 2009-01-20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oft handoff in IP-based CDMA networks by IP encapsulation
DE10124397A1 (de) * 2001-05-18 2002-11-21 Siemens Ag Verfahren zum steuern der Strahlformung in einem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 und Basisstation hierfür
US7042858B1 (en) * 2002-03-22 2006-05-09 Jianglei Ma Soft handoff for OFDM
DE60306519T2 (de) 2003-08-14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Synchronisation von Basisstationen während Soft-Handover
US7046648B2 (en) * 2003-11-05 2006-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Node-B's and supporting enhanced uplink transmissions during handover
KR100800797B1 (ko) 2004-01-2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7295811B2 (en) * 2004-02-05 2007-11-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s for handoff of a mobile unit operating with a switched beam antenn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ystem
KR101351270B1 (ko) * 2004-06-07 2014-01-14 애플 인크. 무선 접속망에서 핸드오프 및 핸드오프 선택
KR100965694B1 (ko) 2004-06-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299048B2 (en) 2004-06-25 2007-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oft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359709B2 (en) 2004-06-29 2008-04-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BSC soft handoff
JP2006115119A (ja) 2004-10-13 2006-04-27 Nec Corp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US7428268B2 (en) 2004-12-07 2008-09-23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WO2006103737A1 (ja) 2005-03-28 2006-10-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8050222B2 (en) * 2005-03-28 2011-11-01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mobile terminal
JP2006311460A (ja) 2005-05-02 2006-11-09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4789557B2 (ja) 2005-08-24 2011-10-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データの送信方法及び無線回線制御局
US20070047495A1 (en) * 2005-08-29 2007-03-01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soft handoff in a wireless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54667A1 (en) * 2006-04-28 2007-11-01 Joanna Jokinen Inter-MME handover in evolved communication systems
US7697485B2 (en) * 2006-10-11 2010-04-1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y using beamformed virtual antennas
JP2008103865A (ja) 2006-10-18 2008-05-01 Nec Corp ハンドオー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US8072918B2 (en) * 2007-04-03 2011-1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based inter-cell power control for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US8218500B2 (en) * 2007-04-30 2012-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synchronization method for hard handovers in wireless networks
KR101340108B1 (ko) * 2007-07-19 2013-12-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빔포밍 벡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EP2028890B1 (en) * 2007-08-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Handover method with link failure recovery,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KR101361829B1 (ko) * 2007-10-24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빔포밍 방식에 기반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WO2009087808A1 (ja) 2008-01-07 2009-07-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アナログビームフォーミング通信システム
RU2474975C2 (ru) 2008-10-28 2013-02-10 Фудзицу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спользующее систему совместной передачи harq,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320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수신 데이터의컴바이닝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0342A1 (en) 2010-02-04
RU2011107598A (ru) 2012-09-10
JP5726994B2 (ja) 2015-06-03
WO2010014969A1 (en) 2010-02-04
TWI475821B (zh) 2015-03-01
JP2014078989A (ja) 2014-05-01
EP2313987A1 (en) 2011-04-27
EP2313987B1 (en) 2016-04-06
JP2011530238A (ja) 2011-12-15
US8942165B2 (en) 2015-01-27
BRPI0916584A2 (pt) 2015-11-10
US20100027471A1 (en) 2010-02-04
RU2482629C2 (ru) 2013-05-20
CN102113237A (zh) 2011-06-29
CN102113237B (zh) 2015-11-25
CA2730342C (en) 2015-06-02
KR20110039480A (ko) 2011-04-18
TW201025891A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768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분산 다중 입출력(mimo)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965341B2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542592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内のアップリンクネットワークmimo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359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q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65741B (zh) 用于协作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A2806510C (en) Communication setting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KR101428695B1 (ko) 네트워크 mimo에서 앵커 셀 지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920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nor Access Node selection
KR20160062084A (ko) 안테나 선택을 갖는 멀티플로우
WO2014163576A2 (en) Radio base stations, wireless terminal, methods therein and a system
US102127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wireless device select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N116614866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Mkrtchyan LTE Advanced: Technology and Performanc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