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737A -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737A
KR20160034737A KR1020140126096A KR20140126096A KR20160034737A KR 20160034737 A KR20160034737 A KR 20160034737A KR 1020140126096 A KR1020140126096 A KR 1020140126096A KR 20140126096 A KR20140126096 A KR 20140126096A KR 20160034737 A KR20160034737 A KR 2016003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communica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권
김영궁
안상균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4737A/ko
Priority to PCT/KR2015/001119 priority patent/WO2016047872A1/ko
Priority to CN201580050868.5A priority patent/CN106717113B/zh
Publication of KR2016003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737A/ko
Priority to US15/466,124 priority patent/US1028502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는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판단부와,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통신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을 판별하는 단말 판별부와, 판별된 주 통신단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는 서비스 제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 통신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을 상호 배타적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각각 점유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TERMINAL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 통신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이동통신망에서는 하나의 통신단말에 하나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사용하며, 두 개의 통신단말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화번호를 부여 받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두 개의 통신단말에 한 개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멀티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특1998-085247(공개일자 1998년 12월 05일)에는 통신망에서 단일번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가입자가 보유한 다수의 통신단말기에 할당된 번호들을 통합하는 단일 번호를 별도로 부여 및 등록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화번호 자원이 낭비된다.
한편, 이러한 통신단말은 정보통신(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고도의 컴퓨팅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진화되었으며, 이러한 진화의 중심에 있는 통신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Operating System), 윈도우 모바일(windows mobile) 등과 같은 모바일 운영체제가 탑재되며,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여러 가지의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단말은 각종의 주변기기들과 연동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시계 또는 팔찌 형태로 착용하거나 안경 형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통해 생체리듬을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리듬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컴퓨팅 단말에게 전송하여 주는 웨어러블 단말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단말은 단독으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경우라 할지라도 스마트폰 등과 같은 주 통신단말에 종속되어 보조 통신단말로 이용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발신 및 착신에 의한 통신을 할 경우에는 주 통신단말과 근거리 통신방식 등을 통해 연결하여 반드시 주 통신단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웨어러블 단말에게 별도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단독으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주 통신단말과는 다른 전화번호를 이용함에 따라 그만큼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이 더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 통신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보조 통신단말에게 주 통신단말과는 무관하게 단독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각각 점유하지 않도록 상호 배타적으로 운용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는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판단부와, 상기 보조 통신단말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통신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을 판별하는 단말 판별부와, 상기 판별된 상기 주 통신단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는 서비스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방법은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통신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상기 주 통신단말에 의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 통신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보조 통신단말에게 주 통신단말과는 무관하게 단독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을 상호 배타적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각각 점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 통신단말을 추가로 운용하더라도 주 통신단말만을 운용할 때에 비교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이 추가로 소비되지 않는다.
예컨대, 운동이나 야외/레저 활동 시에 스마트폰은 휴대가 불편하고, 침수/낙하 등으로 인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단독 이동통신 기능이 내장된 웨어러블 단말은 휴대가 더 편리하여 침수/낙하 등으로 인하여 파손될 우려가 상대적으로 더 낮다. 이때, 스마트폰을 주 통신단말로 이용하고 웨어러블 단말을 보조 통신단말로 이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웨어러블 단말을 이용하여 단독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보조 통신단말이 주 통신단말을 대신할 때에 주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전화번호와 관련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유지시켜 주며, 주 통신단말의 발신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료 발생과 타인의 부정당한 사용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에 의한 통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네트워크는, 주 통신단말(100), 복수의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 등이 통신망(10)을 통해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다.
통신망(10)은 EPC(Evolved Packet Core)망을 사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통신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각종 이동통신 시스템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주 통신단말(100) 및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은 스마트폰, 웨어러블 단말, 노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블랙박스, 노트북, 카메라 등과 같이 이동통신을 위한 모뎀칩이 장착된 이동통신단말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주 통신단말(100)은 상대적으로 컴퓨팅 능력이 높은 스마트폰으로 구현하고,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은 상대적으로 휴대 능력이 높은 웨어러블 단말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보조 통신단말의 개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그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게 주 통신단말(100)과는 무관하게 단독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을 상호 배타적으로 운용하여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각각 점유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통신망(10)의 서비스 사용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에 의한 요청에 따라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통신망(10)을 제어한다.
이러한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를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와 독립적으로 구현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였으나,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와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가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서비스 등록부(310), 서비스 판단부(320), 단말 판별부(330), 서비스 제한부(340), 동기화부(350), 단말 정보 저장부(360)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등록부(31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상호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대응시켜서 사전 등록한다.
서비스 판단부(320)는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판별부(330)는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100)을 판별한다.
서비스 제한부(340)는 단말 판별부(330)에 의해 판별된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한부(340)는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할 수 있다. 또,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서 발생되는 발신 호의 발신번호를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변작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판단부(320)에 의해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미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재개할 수 있다.
동기화부(350)는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제한되면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통화 기록 또는 메시지 기록을 일치시킨다.
단말 정보 저장부(360)는 서비스 등록부(310)에 의해 상호 배타적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전 등록된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쌍으로 대응하여 저장한다. 또, 서비스 제한부(340)의 동작에 따라 주 통신단말(100)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사이의 착신 전환 정보, 발신번호 변작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에 의한 통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에 대한 상호 배타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개통 후에 사전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은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배타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가입을 요청한다(501).
그러면,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통신망(10)의 제어 등을 통해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한 서비스 개통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주 통신단말(100)에 전화번호 A를 부여할 수 있고,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는 임시전화번호 B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주 통신단말(100) 및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사용자는 임시전화번호 B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503).
이어서,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에게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쌍을 상호 배타적인 이동통신 서비스의 대상으로 사전이 가입 등록할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서비스 등록부(31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상호 배타적으로 제공하는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대응시켜서 사전 등록하며, 단말 정보 저장부(360)는 서비스 등록부(310)에 의해 상호 배타적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전 등록된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쌍으로 대응하여 저장한다. 이때,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은 단계 503에서 부여된 전화번호 A를 공유하도록 설정 및 사전 등록될 수 있다(505).
여기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은 제한하지 않고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할 것을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에게 요청한다(507).
그러면,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통신망(10)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한 발신 금지 상태를 설정하며, 주 통신단말(100)을 이용하여 통화, 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단말 정보 저장부(360)는 주 통신단말(100)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한 발신 금지 상태 정보 등을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50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통신단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로의 착신 지정 요청 등에 따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복수의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어느 하나가 통신망(10)을 통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여 착신 지정을 요청하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서비스 판단부(320)는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601).
이어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단말 판별부(330)는 단말 정보 저장부(360)에 쌍으로 사전 등록 및 저장된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따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100)을 판별한다(603).
다음으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서비스 제한부(340)는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응하여 등록된 것으로 판별된 주 통신단말(100)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제한할 것을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에게 요청한다. 즉,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발신 금지를 요청하고,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단계 601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로의 착신 전환을 요청한다(605).
그러면,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통신망(10)에 의한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발신 금지 상태를 설정하며,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단계 601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때,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발신 금지는 통화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데이터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모든 서비스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부 서비스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에는 전화번호와 직접적인 상관성이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허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이 데이터 사용량을 함께 공유하는 등의 요금제 정책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서비스 제한부(340)의 요청에 따라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 A로의 착신 호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할당된 임시전화번호 B로 착신 전환되도록 한다. 또,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할당된 임시전화번호 B에 의한 발신 호의 발신번호를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 A로 변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착신 전환 및 발신번호 변작은 통화 서비스, SMS 서비스, MMS 등을 포함하는 모든 서비스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607).
아울러,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게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 단계 601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임을 안내한다(609, 611).
그리고, 단말 정보 저장부(360)는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상태 정보 등을 저장 및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61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통신단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재개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로의 착신 지정 해제 요청 등에 따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복수의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어느 하나가 통신망(10)을 통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여 착신 지정 해제를 요청하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서비스 판단부(320)는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미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701).
이어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단말 판별부(330)는 단말 정보 저장부(360)에 쌍으로 사전 등록 및 저장된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따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100)을 판별한다(703).
다음으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서비스 제한부(340)는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응하여 등록된 것으로 판별된 주 통신단말(100)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재개할 것을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에게 요청한다. 즉, 주 통신단말(100)에 대한 발신 금지를 해제 및 착신 허용할 것으로 요청하고,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단계 701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로의 착신 전환을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705).
그러면,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통신망(10)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한 발신 금지 상태를 설정하며, 주 통신단말(100)을 이용하여 통화, 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400)는 서비스 제한부(340)의 요청에 따라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 A로의 착신 호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할당된 임시전화번호 B로 착신 전환하였던 것이 해제되도록 한다. 또,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할당된 임시전화번호 B에 의한 발신 호의 발신번호를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 A로 변작하였던 것이 해제되도록 한다(707).
아울러,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는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게 주 통신단말(100)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임을 안내한다(709, 711).
그리고, 단말 정보 저장부(360)는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서비스 상태 정보 등을 저장 및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71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의 통화 기록 또는 메시지 기록을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일치시키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단계 60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 통신단말(100)에 할당된 전화번호 A로의 착신 호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할당된 임시전화번호 B로 착신 전환이 지정(801)되면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은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에게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에 대한 동기화를 요청한다(803).
그러면,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단말 판별부(330)는 단말 정보 저장부(360)에 쌍으로 사전 등록 및 저장된 주 통신단말(100)의 식별정보와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의 식별정보를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따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100)을 판별한다(805).
이어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300)의 동기화부(350)는 단계 805에서 판별된 주 통신단말(100)에게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을 요청하며, 주 통신단말(100)로부터 해당하는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동기화부(350)는 단말 정보 저장부(360)에 기 저장된 동기화 이력 정보에 의거하여 최근 동기화 시각 이후의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에 대해서만 발췌를 요청하여 해당 기록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는, 도 4의 단계 607에 의한 주 통신단말(100)의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제한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을 요청 및 전달받을 수 있다(807, 809).
다음으로, 동기화부(350)는 주 통신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을 단계 801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에게 전달하여, 주 통신단말(100)과 보조 통신단말(210, 220, 230) 중에서 단계 801에 의한 보조 통신단말의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이 일치되도록 한다(811).
그리고, 단말 정보 저장부(360)는 단계 811에 의한 통화 기록 및/또는 메시지 기록의 동기화 이력을 나타내는 동기화 이력 정보 등을 저장 및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813).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 통신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을 상호 배타적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각각 점유하지 않는다.
아울러, 보조 통신단말이 주 통신단말을 대신할 때에 주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동일 전화번호와 관련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유지시켜 주며, 주 통신단말의 발신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료 발생과 타인의 부정당한 사용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 통신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통신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을 상호 배타적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주 통신단말과 보조 통신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각각 점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주 통신단말로 이용하고 웨어러블 단말을 보조 통신단말로 이용하는 경우 등과 같이 멀티단말을 대상으로 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0 : 이동통신망 100 : 주 통신단말
210, 220, 230 : 보조 통신단말 300 :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310 : 서비스 등록부 320 : 서비스 판단부
330 : 단말 판별부 340 : 서비스 제한부
350 : 동기화부 360 : 단말 정보 저장부
400 : 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버

Claims (7)

  1.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판단부와,
    상기 보조 통신단말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통신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을 판별하는 단말 판별부와,
    상기 판별된 상기 주 통신단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제한하는 서비스 제한부를 포함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통신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보조 통신단말의 식별정보를 대응하여 사전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한부는, 상기 주 통신단말에 할당된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를 상기 보조 통신단말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한부는, 상기 보조 통신단말에서 발생되는 발신 호의 발신번호를 상기 주 통신단말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한부는, 상기 단말 판별부에 의해 상기 보조 통신단말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미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 통신단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통신단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제한되면 상기 주 통신단말과 상기 보조 통신단말의 통화 기록 또는 메시지 기록을 일치시키는 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7. 기 등록된 보조 통신단말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 통신단말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주 통신단말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상기 주 통신단말에 의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에 의한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방법.
KR1020140126096A 2014-09-22 2014-09-22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60034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096A KR20160034737A (ko) 2014-09-22 2014-09-22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CT/KR2015/001119 WO2016047872A1 (ko) 2014-09-22 2015-02-03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201580050868.5A CN106717113B (zh) 2014-09-22 2015-02-03 多终端通信服务装置及方法
US15/466,124 US10285024B2 (en) 2014-09-22 2017-03-22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terminal 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096A KR20160034737A (ko) 2014-09-22 2014-09-22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737A true KR20160034737A (ko) 2016-03-30

Family

ID=5558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096A KR20160034737A (ko) 2014-09-22 2014-09-22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85024B2 (ko)
KR (1) KR20160034737A (ko)
CN (1) CN106717113B (ko)
WO (1) WO20160478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36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 그룹의 대표 모회선 번호를 이용한 그룹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737A (ko) * 2014-09-22 2016-03-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WO2019000738A1 (zh) * 2017-06-26 2019-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号多终端的来电管理方法、装置、被管理设备及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074B1 (ko) 1997-05-28 1999-08-16 이계철 통신망에서 단일번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
US6915136B2 (en) * 2000-11-10 2005-07-05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78127A1 (en) * 2003-01-06 2009-07-09 Sony Corporatio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ng method, authenticating program, terminal, authentication requesting method, authentication request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040207719A1 (en) * 2003-04-15 2004-10-21 Tervo Timo P. Method and apparatus for exploiting video streaming services of mobile terminals via proximity connections
KR100576263B1 (ko) * 2003-08-28 2006-05-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20249A (ko) * 2006-06-19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의 전화번호를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선택적으로허용하는 전화번호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8102841B2 (en) * 2006-12-05 2012-01-24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peripheral for alerting a computer of an incoming call
US8032472B2 (en) * 2007-04-04 2011-10-04 Tuen Solutions Limited Liability Company Intelligent agent for distributed services for mobile devices
US8942165B2 (en) * 2008-08-01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52516B1 (ko) * 2009-07-13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으로 연결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KR101404251B1 (ko) * 2010-09-10 2014-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컨텐츠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보조 단말기에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158616B (zh) * 2011-04-25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融合电信网和互联网的通信系统及方法
JP5821726B2 (ja) * 2012-03-19 2015-1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イベント報知装置、及び、イベント報知システム
KR20160034737A (ko) * 2014-09-22 2016-03-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836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 그룹의 대표 모회선 번호를 이용한 그룹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17113A (zh) 2017-05-24
US20170195861A1 (en) 2017-07-06
WO2016047872A1 (ko) 2016-03-31
US10285024B2 (en) 2019-05-07
CN106717113B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963B2 (ja) デュアルsim無線通信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CN111345072A (zh) 接入控制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9432067B2 (en) Supporting SIM toolkit applications in embedded UICCs
EP27289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radio access technology for emergency call in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US11122404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20220321290A1 (en) Control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ntrol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113586A (zh) 用于基于用户活动改善多sim设备的sim从无服务状态恢复的系统和方法
WO2018170798A1 (zh) 一种会话迁移方法及设备
US20200344597A1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128632A1 (en) Dci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71763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服务器
US10721688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CN107041170A (zh) 数据发送方法、装置和终端
JP2020534760A (ja) Rbg分割方法およびユーザ端末
CN114270986A (zh) 带宽资源复用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1149377B (zh) 网络接入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34737A (ko)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220132616A1 (en) Methods for handling context information for mobile-terminated early data transmission
EP3376821B1 (en) Network registration of a dsds terminal
EP3258617B1 (en) Antenna configuration method and terminal
CN114667750B (zh) 信息上报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9883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age of manual PLMN selection mode
US10201023B2 (en) Establishing a local connection in a roaming location
CN110495209B (zh) 确定无线资源的方法及装置
WO2024148604A1 (zh) 部分带宽bwp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8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25

Effective date: 2017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