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263B1 -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263B1
KR100576263B1 KR20030060017A KR20030060017A KR100576263B1 KR 100576263 B1 KR100576263 B1 KR 100576263B1 KR 20030060017 A KR20030060017 A KR 20030060017A KR 20030060017 A KR20030060017 A KR 20030060017A KR 100576263 B1 KR100576263 B1 KR 10057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telephone number
virtual
providing
subscriber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015A (ko
Inventor
좌정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3006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2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2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PSTN)에서 하나의 가입자 선로에 접속된 다수의 단말기 가입자들에게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신과 착신 호 처리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PSTN에서 하나의 가입자 선로(-일반 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한 후,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로 발신자가 전화를 걸면, 교환기는 가상 전화번호 맵핑되는 가입자 선로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가입자 선로로 착신 호를 연결하면서 착신번호(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고유 하드웨어(H/W) 번호를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러면, 하나의 가입자 선로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들은 수신한 착신 번호 및 고유 하드웨어(H/W) 번호를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개인 전화번호 및 고유한 하드웨어 번호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가입자 단말기만 벨을 울려 착신 호를 알린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번호 부여 및 호 착신 등을 통해 개인별 음성 사서함 제공에서부터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및 지정한 단말기로의 부재중 안내와 호 전환 등과 같은 각종 개인별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상 개인 전화번호, 공중전화망, 유무선 복합 서비스, 개인별 부가 서비스

Description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LY VIRTUAL TELEPHONE NUMBER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 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
111 : 클라이언트 관리부 112 : 번호 제공/관리부
113 : 통화중 확인부 114 : 통화 연결음 제공/관리부
115 : 벨소리 저장/관리부 116 :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제공부
117 : 음성사서함 서비스 제공부 118 : 부재중 CID 서비스 제공부
119 : 과금 부가 처리부
200 : 유무선 통신망 300 : 제1 가입자 단말기
400 : 공중전화망(PSTN) 500 : 제2 가입자 단말기
600 : 발신자
본 발명은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가상 전화번호를 개인별로 각각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공중 전화망, 이하'PSTN'이라 함)에서는 하나의 가입자 선로에 대해 하나의 대표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부여한 단일 전화번호(대부분 집 전화번호)는 댁내의 다수 가입자에 대해, 휴대폰 번호(이동 단말기 전화번호)와는 달리 다수의 가입자 전체를 대표하는 전화 번호로 사용된다.
이러한 PSTN에서의 대표 전화번호는 가입자에게 부여하는 평생 번호로서, 가입자가 서비스 지역을 옮기더라도 전화 번호를 바꾸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생적인 대표 전화번호는 이동성을 보장할 뿐, 오로지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를 통해서만 발 착신호가 이루어지며, 댁내의 각 개인 또는 여러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발착신호 및 개인적인 부가 서비스 제공에 있어 큰 제약을 갖는다.
자세히 설명하면, 기존의 평생 개인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가입자들은 단일 개수의 전화번호(즉, 일대일대응 하는 단말기)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가입자가 동시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와는 달리 통화 연결음 서비스, 개인별 벨소리 서비스 및 개인별 음성사서함 서비스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의 핵심 서비스(Killer Service)인 개인화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
또한, 평생 개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경우,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사람이 아닌 댁내의 다른 가입자가 전화를 받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되는데, 이는 전화를 받은 사람으로 하여금 특정인을 바꿔줘야 하는 불편함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번거로움은 시간 낭비 및 통화료 상승 등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화를 건 사람에게도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을 반드시 말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주게 된다. 이는 곧 다수의 서비스 가입자로 하여금 서비스 만족도 감소를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One Phone 서비스에서부터 유무선 복합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가입자 선로(-일반 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로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한 후,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착신호 처리 및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별 통화 연결음 선택에서부터 음성 사서함 서비스,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부재중 발신자 정보(CID) 서비스, 특정 벨소리 선택 및 발신자 정보 제공에 이르는 개인별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한 후, 상기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로 발신자가 전화를 걸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서 호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 및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로의 가상 개인 전화번호 제공에서부터 상기 제공한 가상 전화번호로의 착, 발신 호와 관련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는, 정보 검색을 통한 회원/비회원 판단에서부터 회원으로 판단한 제1 또는 제2 가입자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관리부; 상기 회원으로 판단한 제1 가입자의 단말기로 상기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번호 제공/관리부; 상기 부여한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인지, 전화 통화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상기 제1 가입자가 부재중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통화중 확인부;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 가능하면, 상기 제1 가입 자가 선택한 통화 연결음을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화 연결음 제공/관리부;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 가능하면, 상기 제1 가입자가 선택한 벨소리가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서 송출되도록 하는 벨소리 저장/관리부; 상기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이면, 상기 제1 가입자가 지정한 상기 제2 가입자 단말기로 호를 전환하는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제공부; 상기 제1 가입자가가 부재중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이면, 상기 제1 가입자가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로 발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부재중 CID 서비스 제공부; 상기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통화중 상태이면, 상기 발신자에게 부재중 안내 멘트를 전송한 후, 상기 발신자의 음성 메시지 또는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제1 가입자에게 제공한 부가 서비스별 과금 데이터를 수집한 후, 상기 집한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금 부가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입자 단말기는, 가상적인 개인 전화 번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말기에 있어서, 제조사로부터 부여받은 고유 하드웨어 번호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부여받는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가입자 단말기별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가입자 선로 상태 표시용 LED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번호 및 하드웨어 번호가 상기 저장한 전화 번호 및 하드웨어 번호가 일치하면, 가입자가 선택한 벨소리를 외부로 송출한 후, 상대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 b)상기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로 발신자가 전화를 걸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가입자 선로의 상태를 검색하는 단계; 및 c)상기 검색한 가입자 선로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d)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가 상기 부여한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와 제조사로부터 부여받은 인증 번호인 고유 하드웨어(H/W) 번호를 함께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기능; b)상기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로 발신자가 전화를 걸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가입자 선로의 상태를 검색하는 기능; 및c)상기 검색한 가입자 선로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와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제1 가입자 단말기(30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공중전화망(PSTN, 400)을 통해 제2 가입자 단말기(500)와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 가입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접속 모듈과 일반 전화기, 개인 전화번호 전화기, 무선 전화기, 유무선 복합 단말기 및 One Phone 등을 포함하며, 제2 가입자 단말기(5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및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서부터 One Phone 및 유무선 복합 단말기 등과 같은 복합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유무선 통신망(200) 외부에 설치되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중전화망(PTSN, 400) 내부에 설치되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먼저, 하나의 가입자 선로(-일반 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한다.
즉, 제1 가입자에게 각각의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부여하면, 제1 가입자는 자신의 개인 전화 단말기인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부여받은 전화 번호를 각각 저장시킨다.
그리고, 제1 가입자 단말기(300)는 단말기 제조 과정에서 각각 부여받은 고유 하드웨어(H/W)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데, 이는 각 단말기별 인증 번호로서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앞서 언급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후, 발신자(600)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가상 개인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착신 호에 대해 가상 개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가입자 선로를 찾은 후, 찾은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그 가입자 선로로 호를 연결함과 동시에 착신 번호(-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전달한다.
이때,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각 단말기의 인증 번호인 고유 하드웨어(H/W) 번호를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1 가입자 단말기(300)는 자신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벨을 울린다. 이때, 고유 하드웨어(H/W) 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가입자 단말기(3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하드웨어(H/W) 번호까지 함께 비교하며, 일치할 경우 그때 벨을 울린다.
이처럼, 하나의 가입자 선로와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가상 개인 전화번호 단말 장치 중 해당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갖고 있는 단말 장치만이 벨을 울리게 된다.
한편, 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대응하는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이거나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부재중인 제1 가입자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부재중인 제1 가입자가 휴대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가입자 단말기, 500)으로의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이면,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가입자가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로 착신 호를 전환하여 연결해 주며, 부재중 CID(Caller ID) 서비스 가입자이면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에서 발신자 정보(발신 단말기 번호 등)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러한 특징을 이루는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 템(100)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1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20)를 포함한다.
개인별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관리부(111)와 번호 제공/관리부(112), 통화중 확인부(113), 통화 연결음 제공/관리부(114), 벨소리 저장/관리부(115),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제공부(116),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부(117), 부재중 CID 서비스 제공부부(118) 및 과금 부가 처리부(119)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120)는 클라이언트 DB(121)와 가상 전화번호 DB(122), 통화 연결음 DB(123), 벨소리 DB(124), 안내멘트 DB(125), 호 DB(126) 및 과금 DB(127)를 포함한다.
자세히 알아보면, 먼저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10)는 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며, 제1 가입자의 개인별 부가 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서부터 벨소리 서비스,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부재중 CID 서비스 및 음성 사서함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개인별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클라이언트 관리부(111)는 정보 검색을 통한 회원/비회원 판단에서부터 회원으로 판단된 클라이언트(-제1 및 제2 가입자-)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대표 전화번호에서부터 과금 청구를 위한 주소 및 성명, 계좌번호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클라이언트 및 그 클라이언트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관리부(111)는 클라이언트별 각종 개인화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 및 가입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가입자의 휴대폰 번호 등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으로, 번호 제공/관리부(112)는 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며,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 및 그 대표 전화 번호를 가입자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즉,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화번호인 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 로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가입자 선로별로 관리한다.
그리고, 번호 제공/관리부(112)는 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대응하는 가입자 선로를 검색하여 발신 단말기(600)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검색한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호를 연결함과 동시에 착신 번호를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착신번호를 전달하기 위해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 복합 주파수 부호)를 사용한다.
통화중 확인부(113)는 검색한 가입자 선로와 대응하는 제1 가입자 단말기(300)가 통화중 상태인지 아니면 전화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제1 가입자가 부재중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참고로, 부재중 전화 확인시에는 통화 응답 시간이 미리 정해 놓은 기준 시간을 초과할 경우, 부재중 전화로 간주하는 방법 등을 이용한다.
통화 연결음 제공/관리부(114)는 제1 가입자 단말기(300)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선택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화 연결음 및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통화 연결음 제공/관리부(114)는 제1 가입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할 통화 연결음을 미리 들어보거나 또는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벨소리 저장/관리부(115)는 제1 가입자 단말기(300)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고 자동착신 기능과 함께 벨소리 발생이 가능하면, 착신번호 전달 후 제1 가입자가 선정한 벨소리를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며 관련 정보 역시 저장 및 관리한다. 그리고, 벨소리 저장/관리부(115)는 제1 가입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할 벨소리를 미리 들어보거나 또는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제공부(116)는 검색한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이거나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로 착신 호를 전환한다.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부(117)는 검색한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이거나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발신자(600)에게 부재중임을 알리고 음성 사서함에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면,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부(117)는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로 단문 메시지를 통해 음성 사서함에 메시지가 있음을 알린다. 이에 대해 제 1 가입자가 음성 메시지 확인을 요청하면, 음성 사서함 서비스부(117)는 인증을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들려준다.
부재중 CID 서비스 제공부(118)는 검색한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이거나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로 발신자 번호(Caller ID)를 전달하여 상기 휴대폰의 모니터 상에서 전달한 발신자 번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과금 부가 처리부(119)는 가상 개인 전화번호 서비스와 관련한 각종 개인별 부가 서비스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과금 데이터를 고객 정보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과금 부가 및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과금 부가 처리부(119)는 제1 또는 제2 가입자가 상세한 과금 관련 데이터를 요구하면 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220)는 클라이언트별(제1 및 제2 가입자) 가상 개인 전화번호 제공에서부터, 통화 연결음 서비스, 개인 음성 사서함 서비스, 휴대폰으로 개인 호 전환 서비스, 휴대폰으로 부재중 발신자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등과 관련되는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한다.
클라이언트 DB(121)는 회원 등록한 클라이언트 관련 정보(예를 들어, 성명, 대표 전화번호(가입자선로), 주소, 계좌 번호 및 서비스 가입 여부 등)에서부터 변경 및 추가되는 클라이언트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가상 개인 전화번호 DB(122)는 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에 연결 된 댁내 가입자들에게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 및, 가상 개인 전화번호에 대한 휴대폰 번호 등을 포함하는 번호 관련 정보가 모두 저장된다.
통화 연결음 DB(123)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양한 통화 연결음 및 그와 관련된 정보(통화 연결음별 제공한 횟수, 제공 시간 및 수신자 등)가 저장되며, 신규로 추가되는 통화 연결음 역시 그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벨소리 DB(124)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양한 벨소리 및 그와 관련된 정보(벨소리별 제공된 횟수, 제공 시간 및 수신자 등)가 저장되며, 신규로 추가되는 벨소리 역시 그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안내멘트 DB(125)는 클라이언트가 부재중이거나 통화중일 경우 해당 단말기로 제공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양한 부재중 안내 멘트가 주제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며, 이러한 안내 멘트에 따라 발신자가 남긴 음성 메시지 역시 클라이언트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호 DB(126)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착, 발신 호와 관련된 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과금 DB(127)는 과금을 위한 데이터 처리 결과 및, 클라이언트별 통화 내역이 가상 전화번호별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 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00)의 번호 제공/관리부(112)는 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로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한다(S301).
참고로, 번호 제공/관리부(112)는 다수의 제1 가입자 단말기(300)별 제조 과정에서 부여한 고유 하드웨어 번호(H/W) 번호를 상기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함께 관리한다. 그리고, 각 단말기(300)별 고유 하드웨어(H/W) 번호 부여는 착신 호에 대해 특정 가입자 단말기만이 벨이 울리도록 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후, 발신자(600)는 자신의 단말기(제1 또는 제2 가입자 단말기가 될 수도 있음. 미도시)를 이용하여 특정 제1 가입자 단말기와의 호(call) 연결을 시도(S302)하는데, 통화중 확인부(113)는 특정 제1 가입자 단말기와 대응하는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한 상태인지를 검색한다(S303).
이후, 검색한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하면, 통화 연결음 제공/관리부(114)는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선택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자(600)의 단말기로 제공(S304)하며, 번호 제공/관리부(112)는 착신 번호(특정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DTMF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기로 제공한다(S305).
그러면, 착신 단말기인 제1 가입자 단말기(300)는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된 가상 개인 전화번호와 번호 제공/관리부(112)로부터 수신한 착신 번호를 비교(S306)하여 일치할 경우 벨을 울린다(S307).
이때, 번호 제공/관리부(114)는 해당 단말기만이 벨이 울리도록 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고유 하드웨어(H/W) 번호를 착신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는데, 그러면 착신 단말기는 자신의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하드웨어(H/W)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벨을 울린다.
이때, 착신 단말기인 제1 가입자 단말기(300)가 자동 착신과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통해 벨 소리를 지원하는 단말기이면, 벨소리 저장/관리부(115)는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선택한 벨소리를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음성신호를 통해 제공하며, 제1 가입자 단말기(300)는 수신한 벨소리를 스피커 등을 통해 송출한다.
한편, 검색한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이거나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제1 가입자의 사전 요청(또는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제공부(116)는 착신 호를 제1 가입자가 설정한 휴대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가입자 단말기, 500)으로 호를 전환한다(S308).
그러면, 제1 가입자는 제2 가입자 단말기(200)를 통해 발신자(600)와의 음성 통화(S309)를 수행한다.
한편,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부(117)는 제1 가입자가 통화 불가능한 상태이면, 그러한 상태를 알려주는 부재중 안내 멘트를 발신자(600)에게 제공(S310)하며, 발신자(600)는 들려오는 안내 멘트에 따라 자신의 단말기 번호 또는 자신의 음성이 담긴 음성 메시지를 해당 음성 사서함에 녹음한다(S311).
그러면,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부(117)는 발신자가 남긴 발신 단말기 번호또는 음성 메시지 등을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형태로 하여 제1 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로 제공한다(S312).
또한, 부재중 CID 서비스부(118)는 제1 가입자의 사전 요청(서비스 가입 유무)에 따라, 제1 가입자가 지정한 제2 가입자 단말기(500)로 발신 가입자 번호(Caller ID)를 전달한다.
이후, 과금 부가 처리부(119)는 단말기별 벨소리 제공에부터 통화 연결음 선택 및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 통화와 관련된 과금 부가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수집한 과금 데이터를 고객 정보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정확한 과금 처리 및 부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313).
이후,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110)는 클라이언트부터 추가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S314)한 후, 확인 결과 추가 서비스 요청이 없으면 서비스 이용자로의 서비스 제공을 종료(S315)하는 반면, 확인 결과 추가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앞서 언급한 동작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나의 가입자 선로(-대표 전화번호-)와 일대다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300)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한 후, 부여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서부터 벨소리 서비스,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음성사서함 서비스 및 부재중 CID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개인별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나의 가입자 선로(-일반 대표 전화번호-)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댁내의 다수 가입자들에게 가상적인 개인별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고, 댁내의 가입자 단말기가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지원하면 하나의 가입자 선로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개인별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개인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하여 휴대폰에서와 같은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서부터 벨소리 서비스, 음성 사서함 서비스, 부재중 호 전환 서비스 및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각종 개인별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로 인한 고수익의 매출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가입자 선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의 가상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
    상기 가상 전화번호로의 호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가입자 선로에 호 접속을 요청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는 저장된 가상 전화번호와 일치되는 호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벨을 울리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가입자 선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의 가상 전화번호 및 고유 하드웨어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
    상기 가상 전화번호로의 호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 및 상기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고유 하드웨어 번호와 함께 상기 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가입자 선로에 호 접속을 요청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는 저장된 가상 전화번호 및 고유 하드웨어 번호와 일치되는 호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벨을 울리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통화 연결음을 더 저장하고,
    상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통화 연결음을 발신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는,
    상기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상기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발신자 단말기에 부재중 안내 멘트를 제공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2 가입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더 저장하고,
    상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는,
    상기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상기 제1 가입자가 부재중이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2 가입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호 전환을 수행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관리 서버는,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제공한 부가 서비스별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금 부가 처리부를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가상적인 개인 전화 번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말기에 있어서,
    제조사로부터 부여받은 고유 하드웨어 번호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부여받는 가상적인 개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가입자 단말기별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가입자 선로 상태 표시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번호 및 하드웨어 번호가 상기 저장한 전화 번호 및 하드웨어 번호가 일치하면, 가입자가 선택한 벨소리를 외부로 송출한 후, 상대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가입자 단말기.
  10. 가입자 선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에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부여한 가상 전화번호로의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호 접속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호 접속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가입자 선로에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11. 가입자 선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1 가입자 단말기에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로 가상 전화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부여한 가상 전화번호로의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호 접속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 및 상기 호 접속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제1 가입자 단말기의 고유 하드웨어 번호와 함께 상기 호 접속 요청된 가상 전화번호와 관련된 가입자 선로에 호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d) 상기 가입자 선로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통화 연결음을 상기 호 접속을 요청한 발신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 또는 제11에 있어서,
    d) 상기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되지 않으면, 상기 호 접속을 요청한 발신자 단말기에 부재중 안내 멘트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d) 상기 가입자 선로가 통화중 상태이거나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제2 가입자 단말기로 호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d)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되지 않으면, 상기 제1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제2 가입자 단말기로 상기 호 접속을 요청한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18. 삭제
KR20030060017A 2003-08-28 2003-08-28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0017A KR100576263B1 (ko) 2003-08-28 2003-08-28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0017A KR100576263B1 (ko) 2003-08-28 2003-08-28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015A KR20050023015A (ko) 2005-03-09
KR100576263B1 true KR100576263B1 (ko) 2006-05-22

Family

ID=3723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0017A KR100576263B1 (ko) 2003-08-28 2003-08-28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88B1 (ko) 2009-04-14 2010-12-17 박대웅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44535B1 (ko) * 2009-01-21 2011-06-27 김문식 안심 전화번호를 이용한 용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53A1 (en) * 2005-01-11 2006-07-20 Ktfreet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phone number
KR100942417B1 (ko) * 2008-12-12 2010-02-17 주식회사 브리지텍 수신자번호 은폐형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60034737A (ko) 2014-09-22 2016-03-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단말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535B1 (ko) * 2009-01-21 2011-06-27 김문식 안심 전화번호를 이용한 용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001788B1 (ko) 2009-04-14 2010-12-17 박대웅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015A (ko)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3348B2 (ja) 通信源識別方法
US5329578A (en)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with mobility manager
US6650746B1 (en) Urgency of call indication to called party through distinctive notification
US6928154B1 (en) Remote caller identification telephone system and method with internet retrieval
US7492884B2 (en) Call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EP0825752A2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personalized mailbox filters
JPH0936965A (ja) 電話番号を変更したネットワーク加入者への呼出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7146163B2 (en) Sender-address-based telecommunications operator callback system and method
KR930007167A (ko) 개별화된 전화 호출 특징을 제공하는 시스템
JPH07264302A (ja) セルラ電話システムのための入来呼の選択的スクリーニング
US9807563B2 (en) Transmission of loc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7060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reminder messages
SE512132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i ett kommunikationsnät
CN101646102B (zh) 电话业务
JP2006067006A (ja) 自立型電話番号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自立型電話番号クリーニング方法
KR100576263B1 (ko) 개인별 가상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44310A (ko) 원넘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US20040202305A1 (en) Supervised call redirection
KR20000070162A (ko) 전화 교환기 및 그 제어방법
US7295661B2 (en) Enhanced telecommunications alerting
KR20040013330A (ko)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의링백톤 대체음을 착신자의 링백톤 대체음으로 설정하는 방법
JP3536282B2 (ja) サービス制御装置
KR100792634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자별 디프링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제공 방법
KR20070059315A (ko) 유선전화에서의 부재중 착신 전화번호 안내시스템 및 그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