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197B1 - 다주형 모듈러 교각 - Google Patents

다주형 모듈러 교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197B1
KR101245197B1 KR1020100093926A KR20100093926A KR101245197B1 KR 101245197 B1 KR101245197 B1 KR 101245197B1 KR 1020100093926 A KR1020100093926 A KR 1020100093926A KR 20100093926 A KR20100093926 A KR 20100093926A KR 101245197 B1 KR101245197 B1 KR 101245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odule
piers
modular
c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332A (ko
Inventor
한만엽
이치호
강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앤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앤시티
Priority to KR102010009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주형 모듈러 교각에 관한 것으로, 소형으로 규격화되어 프리캐스트된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를 다수 조합하여 기둥(20)을 형성한다.
교각 설계 후, 설계사양에 따른 기둥세그먼트의 제작이 필요 없으므로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의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고, 이들의 조합방식과 사용량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설계 사양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주형 모듈러 교각{multi-column type modular pier}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다주형 교각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부구조물(도로가 건설되는 부분)은 교각에 의해 지지된다.
통상 교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부(1)와, 상기 기초부(1) 상부에 설치되는 기둥(2)과, 상기 기둥(2)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하는 코핑(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부(1)는 땅 속에 박히는 보강파일(4)에 연결되도록 타설된다.
한편, 상기 기둥(2)을 철근 콘크리트로 건설할 경우, 철근 배근, 거푸집 형성,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이에 교량 건설 공사의 공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기둥(2)을 몇 개의 단으로 나누어 미리 제작한 기둥세그먼트를 현장에서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의 일주형 조립식 교각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교량 각각에 따른 교각 설계(형상, 하중, 높이 등)가 완성되어야만 그에 맞추어 교각 전체를 적당한 단수로 분할한 크기의 기둥세그먼트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설계 이후 시공까지 상기 기둥세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둥세그먼트가 비록 전체 교각을 적절히 분할한 크기의 것이라 하여도 대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운반과 시공이 난해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교각의 크기가 매우 커서 상기 기둥세그먼트가 운반이 불가능한 정도의 크기일 경우에는 조립식 공법의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일주형 조립식 교각은 설계가 종료된 이후에 기둥세그먼트가 제작되는 후공정이 필수적이므로 기둥세그먼트 제작기간이 별도로 소요되고, 기둥세그먼트의 크기가 커서 운반 및 시공이 난해하며, 기둥세그먼트의 크기가 과도할 경우에는 운반 및 시공이 불가하여 조립식 교각의 건설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작과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한 크기의 모듈을 선제작하여 두었다가 건설하고자 하는 교량의 교각 설계 사양에 맞추어 상기 모듈을 조립하여 교각을 건설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도록 된 다주형 모듈러 교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규격화되어 공장에서 미리 대량 생산된 다수의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이 반복 적층되어 형성된 다수의 단위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코핑;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초부와 기둥모듈과 연결모듈 및 코핑은 이들을 관통하는 긴장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통해 긴장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핑은 상기 기둥에 지지되는 주코핑과, 상기 주코핑의 양쪽 측부에 결합되는 측부코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코핑과 측부코핑은 이들을 관통하는 긴장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모듈은 중공이 형성된 기둥이고, 상기 기둥모듈의 테두리 부분에 긴장재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판상의 물품이고, 상기 기둥모듈과 동수의 중공과 긴장재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은 상면에 전단키가 형성되고, 하면에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연결되는 기둥모듈과 동일한 형태의 외주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은 서로 다른 종류의 것이 연속적으로 적층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모듈은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기둥중 서로 다른 열의 두 단위기둥이 하나의 강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선의 중간부분은 상기 기초부에 매립되며, 상기 강선의 양단부는 상기 코핑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은 상기 기초부에 매립된 U자형 가이드파이프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부와 단위기둥 사이에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테이퍼 형상의 하부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코핑과 단위기둥 사이에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의 상부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모듈들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클립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는 2개의 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두 부재는 각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호 볼트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모듈을 소형으로 규격화하여 미리 생산해 두고 사용하므로 교각 설계 후, 설계 사양에 맞춘 교각 모듈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설계 후 즉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교각의 기둥 조립에 이용되는 모듈 즉, 기둥모듈과 연결모듈들이 소형이어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다.
소형화 및 규격화된 모듈을 조합하여 기둥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설계 사양 변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계 변경에 따른 축소 및 확장 시공이 용이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주형 교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의 사시도,
도 5의 (a) 내지 (d)는 기둥모듈의 다양한 형태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서 교각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사용된 연결모듈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의 강선 설치 상태도,
도 10은 장형기둥모듈의 결속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로서, 본 발명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부(10)와, 다수의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이 반복 적층되어 이루어진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부에 설치된 코핑(30)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부(10)는 지반 깊숙이, 또는 암반에 박힌 다수의 보강파일(40)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20)은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이 다단으로 반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단은 2개 이상 즉, 복수의 기둥모듈(21)을 포함하며, 단과 단의 사이에 상기 연결모듈(22)이 설치된다.
상기 기초부(10)와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 및 코핑(30)은 상호 긴장재(23)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긴장재(23)로서는 강봉이나 강선이 이용되며, 이들이 기초부(10)로부터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 및 코핑(30)을 관통하여 긴장 상태로 정착됨으로써 교각의 각 구성부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코핑(30)은 상기 기둥(20)에 직접 지지되는 중앙의 주코핑(31)과, 상기 주코핑(31)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부코핑(32)으로 분할 제작된다.
상기 주코핑(31)과 그 양쪽의 측부코핑(32) 역시 기둥(20)과 동일한 종류의 긴장재(33)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 그리고 상기 주코핑(31)과 측부코핑(32)은 프리캐스트 제품으로서 공장에서 대량으로 선 제작된다.
상기 기둥모듈(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단면의 기둥 형상이고, 중심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중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모듈의 테두리 부분에 등 간격으로 긴장재삽입홀(21b)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도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긴장재삽입홀(21b)은 한 부분에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통 한 부분에 여러 개를 같이 형성하여 다수의 긴장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긴장재삽입홀(21b)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중공(21a)을 긴장재삽입홀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연결모듈(22)에 있어서도 동일하다.(도 9참조)
또한, 상기 기둥모듈(21)은 상면에 전단키(21c)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단키(21c)는 상기 긴장재삽입홀(21b) 형성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호 간의 간격은 등 간격이다.
또한, 상기 전단키(21c)에 대응하는 전단키홈(도시되지 않음)이 기둥모듈(21) 하면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전단키(21c)와 전단키홈은 측면이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하단면적보다 상단면적이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호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모듈(21)들은 사각 단면 및 원형 단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사각 단면형인 경우에는 각 모서리가 모따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의 중심에 원형의 중공(2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d)와 같이 상기 기둥모듈(21)은 외주면과 상기 중공(21a)의 내주면이 스틸튜브(21d,21e)로 이루어진 CFT(Concrete Filled Tube)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의 (d)와 같이 긴장재삽입홀(21b)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연결모듈(22)(도 4 참조)은 복수의 기둥모듈(2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판상의 물품으로서, 연결하려는 기둥모듈(21)과 동일한 수로 중공(22a)이 형성되고, 각 중공(22a) 주변의 동일한 위치에 긴장재삽입홀(22b)과 전단키(22c)및 전단키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도시된 연결모듈(22)은 2×2 형으로서 가로세로 2개씩 총 4개의 기둥모듈(21)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연결모듈(22)에는 총 4개의 기둥모듈(21)에 대응되는 중공(22a)과 긴장재삽입홀(22b)과 전단키(22c) 및 전단키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을 차례로 적층하면, 중공(21a,22a)과 긴장재삽입홀(21b,22b)들이 상호 일치되고, 하부 물품 상면의 전단키(21c,22c)는 상부 물품 하면의 전단키홈에 삽입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긴장재삽입홀(21b,22b)에 강봉이나 강선을 삽입하고,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그 단부를 고정하면 기초부(10)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된 모든 기둥모듈(21)들과 연결모듈(22)들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단키(21c,22c)와 전단키홈의 작용에 의해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 사이의 수평방향 거동이 억제되어 기둥(20)의 견고함 즉, 구조적 안정성이 강화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의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2×2형 교각으로서 각 단마다 가로 세로 2개씩 총 4개의 기둥모듈(21)을 배치하고, 각 단의 사이에 2×2형 연결모듈(22A,22A′)을 배치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4개의 단위기둥(상하 동일선상에 배치된 기둥모듈(21)들로 이루어진 전체 기둥(20)의 부분을 이루는 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20)을 형성한 예이다.
사용되는 기둥모듈(21)이 원기둥형일 때는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인 연결모듈(22A′)을 사용하고, 사각기둥형일 때는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는 직사각형 판재 형상의 연결모듈(22A)을 사용한다. 이는 기둥모듈(21)을 적층하여 단위기둥을 형성할 때 기둥의 측면으로 연결모듈(22)의 모서리가 돌출되어 안전성과 미관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기둥모듈(21)의 단면형상에 따라서 같이 사용되는 연결모듈(22)의 종류가 결정되는 것은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2×1형 교각으로서 각 단마다 2개씩의 기둥모듈(21)을 배치하고, 각 단의 사이에 2×1형 연결모듈(22B,22B′)을 배치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2개의 단위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20)을 형성한 예이다.
도 8은 3×2형 교각으로서 각 단마다 가로 3개, 세로 2개씩 총 6개의 기둥모듈(21)을 배치하고, 각 단의 사이에 3×1형 연결모듈(22C,22C′)과 2×1형 연결모듈(22B,22B′)을 조합 배치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6개의 단위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20)을 형성한 예이다.
즉, 3×1형 연결모듈(22C,22C′)을 가로 2열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2×1형 연결모듈(22B,22B′)을 세로 3열로 배치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3×2형 연결모듈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이때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모듈들의 적층 순서는 바뀌어도 무관하며, 단일 물품으로 제작된 3×2형 연결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모듈을 조합하여 다양한 배열의 단위기둥으로 이루어진 기둥(20)을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체 기둥(20)을 구성하는 각 단위기둥들은 상호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기둥모듈(21)들은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는 각 기둥모듈(21)간에 간격을 둠으로써 기둥(20) 전체의 단면2차 모멘트를 증가시켜 기둥(20)의 강성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지진 발생시 지진하중이 작용하여 교각이 흔들리는 경우 이웃한 부재끼리의 마찰을 피하여 교각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들을 연결하는 긴장재(23)로서는 강봉 또는 강선이 이용된다.
이들 강봉 또는 강선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기초부(10)와 코핑(30)에 정착장치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이 보통의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에서는 긴장재(23)로서 강선을 사용하되, 서로 다른 열의 긴장재삽입홀에 삽입되는 강선의 하단이 상기 기초부 내부에서 하나로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즉, 2열의 긴장재삽입홀에 각각 1개씩의 강선을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강선이 2열의 긴장재삽입홀 전체에 걸쳐 삽입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이때 2열의 긴장재삽입홀은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마주보는 상태의 것일 수도 있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위치의 것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10)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강선 유도를 위한 U자형의 가이드파이프(11)가 매립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의 중간 부분은 상기 기초부(10) 내부의 가이드파이프(11)에 걸려 있게 되고, 코핑(30)의 상부로 돌출된 양쪽 단부는 정착장치(50)를 이용하여 코핑(30) 상면에 정착(잡아당긴 상태에서의 고정)된다.
따라서, 기초부(10)에 강선의 정착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고, 교각의 상부에서 정착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작업을 한층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긴장재 정착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강봉에 비해 강선의 강도가 더 우수하기 때문에 강선을 사용함으로써 기초부와 기둥 및 코핑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긴장재의 사용량이 감소된다. 이에 재료의 사용량 감소분만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경우(시공 편의)에 따라서는 상기 강선은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의 긴장재삽입홀(21b,22b)을 통과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21a,22a)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기둥(20)의 하단과 상단 즉, 기초부(10) 및 코핑(30)과의 연결 부분에는 안정적인 하중 전달을 위하여 별도의 지지부재(24,25)를 설치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24,25)는 단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하부 지지부재(24)는 상면은 기둥모듈(21)과 유사한 정도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하면이 상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지부재(25)는 그 반대로서, 하면이 기둥모듈(21)과 유사한 정도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장되어 상면이 하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지지부재(25)는 코핑(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좁은 면적의 기둥모듈(21)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24)는 기둥모듈(21)의 하중을 기초부(10)에 효과적으로 분산 전달하여 교각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은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되는 제품이다. 이들의 규격 즉, 제품의 크기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는 정도로서, 제조 공장에서 건설 현장으로의 용이하고 신속한 운송이 가능하다.
즉, 교각 건설에 사용될 자재는 미리 준비 완료된 상태에서, 교각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기둥모듈(21)과 연결모듈(22)들을 필요한 만큼 조합하여 설계 사양을 만족하는 교각을 즉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기존 일주형 조립식 교각과 본 발명에 따른 다주형 모듈러 교각이 공통적으로 프리캐스트 제품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일주형 조립식 교각의 경우 교각 설계 후, 그 설계 사양에 따라 기둥세그먼트를 제조하지만 본 발명 다주형 모듈러 교각은 교각 설계 후 별도의 기둥세그먼트를 제조하는 공정 없이 즉시 필요한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을 구입하여 교각 조립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각 설계 후 시공까지의 사이에 기둥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별도의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교각 설계 후 즉시 시공에 착수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둥모듈 및 연결모듈은 종래 일주형 교각의 세그먼트에 비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운반 및 현장에서의 적층 작업이 용이하고, 이 또한 공기를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소형으로 미리 제작된 모듈을 다수 조합하여 교각을 조립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서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을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기둥모듈과 기둥모듈, 또는 연결모듈과 연결모듈을 상호 연속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건설하고자 하는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최적의 조합을 통한 맞춤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계 변경에 따른 축소 및 확장 시공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모듈(21)이 길이가 긴 장형기둥모듈(21′)인 경우에는 상기 장형기둥모듈(21′)들을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클립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클립부재(60)는 복수의 장형기둥모듈(21′)을 둘러싸는 강재질의 부재로서 선형 블록 및 후판의 용접체이고, 사용되는 장형기둥모듈(21′)의 단면 형상에 따라 평면상의 단부 또는 모서리부가 라운드 형상이거나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부재의 중간 부분이 상호 분리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그 분리된 각 부재의 양단에 플랜지(6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61)에 볼트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된 두 부재로 장형기둥모듈(21′)을 감싼 후 양측의 플랜지(61)를 맞대고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클립부재(60)로 장형기둥모듈(21′)들을 횡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다.
상기 클립부재(60) 역시 다양한 규격으로 제품화 및 모듈화되어 있어, 기둥(20)의 구조 즉, 단위기둥의 수에 따라서 자유로이 선택,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2×2형 교각일 경우, 2×1형 클립부재 4개를 상,하 2개씩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측의 것과 하측의 것은 상호 직교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2×1형 교각일 경우 2×1형 클립부재를 1개만 설치하거나 또는 동일 방향으로 상하 2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3×2형 교각일 경우, 2×1형 클립부재 3개와 3×1형 클립부재 2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교각의 높이가 낮아 상기 장형기둥모듈(21′)을 1단만 사용하는 경우, 상기 판상의 연결모듈(22)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클립부재(60)만으로 단위기둥의 횡방향 결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장형기둥모듈(21′)의 길이에 따라서 1단의 장형기둥모듈(21′)에 서로 거리를 두고 2개소 이상 클립부재(60)를 설치할 수 있다.
10 : 기초부 20 : 기둥
21 : 기둥모듈 21′: 장형기둥모듈
22 : 연결모듈 21a,22a : 중공
21b,22b : 긴장재삽입홀 21c,22c : 전단키
23,33 : 긴장재 24,25 : 지지부재
30 : 코핑 31 : 주코핑
32 : 측부코핑 40 : 보강파일
50 : 정착장치 60 : 클립부재
61 : 플랜지

Claims (15)

  1. 지반에 설치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다수의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이 반복적층되어 이루어진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코핑;
    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모듈과 상기 연결모듈은 규격화되어 공장에서 미리 대량 생산된 것이고,
    상기 기둥은 복수의 기둥모듈을 포함한 각각의 단이 적층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모듈은 판상으로 상기 단과 단사이에 설치되어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모듈과 하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모듈을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기둥모듈과 연결모듈 및 코핑은 이들을 관통하는 긴장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통해 긴장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핑은 상기 기둥에 지지되는 주코핑과, 상기 주코핑의 양쪽 측부에 결합되는 측부코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코핑과 측부코핑은 이들을 관통하는 긴장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모듈은 중공이 형성된 기둥이고, 상기 기둥모듈의 테두리 부분에 긴장재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기둥모듈과 동수의 중공과 긴장재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모듈과 연결모듈은 상면에 전단키가 형성되고, 하면에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연결되는 기둥모듈과 동일한 형태의 외주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서로 다른 종류의 것이 연속적으로 적층 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모듈은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하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모듈로 이루어지는 단위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기둥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단위기둥중 서로 다른 열의 두 단위기둥이 하나의 강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강선의 중간부분은 상기 기초부에 매립되며, 상기 강선의 양단부는 상기 코핑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상기 기초부에 매립된 U자형 가이드파이프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하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모듈로 이루어지는 단위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기둥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기초부와 상기 단위기둥 사이에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테이퍼 형상의 하부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코핑과 상기 단위기둥 사이에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의 상부 지지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모듈들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클립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2개의 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2개의 부재는 각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호 볼트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주형 모듈러 교각.
KR1020100093926A 2010-09-28 2010-09-28 다주형 모듈러 교각 KR10124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26A KR101245197B1 (ko) 2010-09-28 2010-09-28 다주형 모듈러 교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26A KR101245197B1 (ko) 2010-09-28 2010-09-28 다주형 모듈러 교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32A KR20120032332A (ko) 2012-04-05
KR101245197B1 true KR101245197B1 (ko) 2013-03-19

Family

ID=4613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926A KR101245197B1 (ko) 2010-09-28 2010-09-28 다주형 모듈러 교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31B1 (ko) * 2013-07-18 2014-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KR102598985B1 (ko) 2022-12-27 2023-11-06 (주)대우건설 충전강관 교각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피어 캡 간의 연결 공법
KR102616234B1 (ko) 2022-12-27 2023-12-21 (주)대우건설 충전강관 교각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기초간의 연결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666B1 (ko) * 2012-12-20 2019-06-12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발전장치
KR101587583B1 (ko) * 2015-03-10 2016-02-02 (주)센벡스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99484B1 (ko) * 2015-05-07 2016-03-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기둥 세그먼트 조립형 풍력발전타워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303A (ja) * 1993-04-30 1994-11-08 Toshiaki Ota 橋脚構造
KR200324563Y1 (ko) * 2003-05-16 2003-08-25 진성토건 주식회사 조립식 교각 구조물
KR20060088719A (ko) * 2005-02-02 2006-08-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 구조물 시공방법
KR20090008072A (ko) * 2007-07-16 2009-0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303A (ja) * 1993-04-30 1994-11-08 Toshiaki Ota 橋脚構造
KR200324563Y1 (ko) * 2003-05-16 2003-08-25 진성토건 주식회사 조립식 교각 구조물
KR20060088719A (ko) * 2005-02-02 2006-08-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 구조물 시공방법
KR20090008072A (ko) * 2007-07-16 2009-0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31B1 (ko) * 2013-07-18 2014-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KR102598985B1 (ko) 2022-12-27 2023-11-06 (주)대우건설 충전강관 교각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피어 캡 간의 연결 공법
KR102616234B1 (ko) 2022-12-27 2023-12-21 (주)대우건설 충전강관 교각 기둥과 철근 콘크리트 기초간의 연결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32A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97B1 (ko) 다주형 모듈러 교각
KR20140061031A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034185B1 (ko) 프리캐스트 코핑부와 교각 파일의 결합을 이용한 자전거 통행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8072A (ko)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KR101333780B1 (ko) 모듈러 코핑부용 조립식 거푸집
KR100905317B1 (ko) 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KR20120011043A (ko) 하프 프리캐스트 플로어판 및 그것을 사용한 슬래브 구축 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20090057180A (ko) 교량의 경량화된 코핑
KR101288293B1 (ko) 블록 교각
KR101329443B1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17316B1 (ko) 모듈식 조립 기초 및 그 시공방법
KR102433621B1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JP2004131988A (ja) 橋脚・橋台用の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と、該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を用いた橋脚・橋台及び該橋脚・橋台の施工方法
KR102429105B1 (ko) 응력흐름을 보강한 코핑부를 갖는 교각
KR101415699B1 (ko) 기둥용 거푸집
KR1010789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84198B1 (ko) 블록 교각
KR101043086B1 (ko) 프리캐스트 거푸집 구조물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1347556B1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20190131213A (ko) 기성바닥판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50009B1 (ko) 프리텐션 거더 제작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