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293B1 - 블록 교각 - Google Patents
블록 교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293B1 KR101288293B1 KR1020120114348A KR20120114348A KR101288293B1 KR 101288293 B1 KR101288293 B1 KR 101288293B1 KR 1020120114348 A KR1020120114348 A KR 1020120114348A KR 20120114348 A KR20120114348 A KR 20120114348A KR 101288293 B1 KR101288293 B1 KR 1012882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pillar
- shear key
- blocks
- pi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교각에 관한 것으로, 교각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기둥블록이 상호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단을 이루고, 상기 단이 다수 적층되어 상기 교각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기둥블록들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어긋난 형태로 결합된 것으로, 소형화 및 규격화된 블록을 조합하여 기둥을 건설하는 것이므로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설계 사양 변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고 설계 후 즉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프리캐스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 교각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부구조물(도로가 건설되는 부분)은 교각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교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부(1)와, 상기 기초부(1) 상부에 설치되는 기둥(2)과, 상기 기둥(2)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더를 지지하는 코핑(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부(1)는 땅 속에 박히는 보강파일(4)에 연결되도록 타설된다.
한편, 상기 교각을 철근 콘크리트로 건설할 경우, 철근 배근, 거푸집 형성,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이에 교량 건설 공사의 공기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교각의 기둥(2)을 몇 개의 단으로 나누어 미리 제작한 기둥세그먼트(2a,2b,2c)를 현장에서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의 조립식 교각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건설하고자 하는 교량에 따른 교각 설계(형상, 하중, 높이 등)가 완성되어야만 그에 맞추어 기둥(2) 전체를 적당한 단수로 분할한 크기의 기둥세그먼트(2a,2b,2c)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설계 이후 시공까지 상기 기둥세그먼트(2a,2b,2c)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둥세그먼트(2a,2b,2c)가 비록 전체 기둥(2)을 적절히 분할한 크기의 것이라 하여도 대형 및 고중량 구조물이기 때문에 운반과 시공이 난해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교각의 크기가 매우 커서 상기 기둥세그먼트(2a,2b,2c)가 운반이 불가능한 정도의 크기가 될 경우에는 조립식 공법의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교각은 설계가 종료된 이후에 기둥세그먼트(2a,2b,2c)를 제작하는 후공정이 필수적이므로 기둥세그먼트(2a,2b,2c) 제작기간이 별도로 소요되고, 기둥세그먼트(2a,2b,2c)의 크기가 커서 운반 및 시공이 난해하며, 기둥세그먼트(2a,2b,2c)의 크기가 과도할 경우에는 운반 및 시공이 불가하여 조립식 교각의 건설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작과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한 크기의 블록을 선제작하여 두었다가 건설하고자 하는 교각의 기둥 설계 사양에 맞추어 상기 블록을 조립하여 교각 기둥을 건설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될 수 있도록 된 블록 교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각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기둥블록이 상호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단을 이루고,
상기 단이 다수 적층되어 상기 교각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기둥블록들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어긋난 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은 호형 평단면 또는 사각형 평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전단키에 비하여 상기 전단키홈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에 강선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강선구멍에 강선이 삽입되며, 상기 강선에 의해 상,하로 배치된 기둥블록과, 같은 단에 배치된 기둥블록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의 상,하 적층시, 상기 기둥블록과 기둥블록의 경계면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클립이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결합구조에 의해 최상단 기둥블록과 코핑의 사이 및 최하단 기둥블록과 기초부의 사이에 발생한 빈 공간에는 기둥블록과 동일한 형상의 스페이서블록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된 기둥블록들의 외주와 상기 결합된 스페이서블록과 기둥블록의 외주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클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들의 사이에 중간블록이 개재되어 대단면 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 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강선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블록이 연속 배치되어 상기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이 더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블록은 상기 대단면 기둥의 평면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기둥용 블록을 소형으로 규격화하여 미리 생산해 두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므로 교각 설계 후, 설계 사양에 맞춘 교각 블록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설계 후 즉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교각의 기둥 조립에 이용되는 블록 즉, 기둥블록과 연결블록들이 소형이어서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소형화 및 규격화된 블록을 조합하여 기둥을 건설하는 것이므로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설계 사양 변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계 변경에 따른 축소 및 확장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기둥 조립에 있어서, 전단키 및 강선을 매개로 한 건식 접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교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교각 기둥의 구성도,
도 3의 (a) 내지 (e)는 상기 기둥을 구성하는 기둥블록의 평면도,
도 4의 (a) 내지 (d)는 상기 기둥의 평면도,
도 5의 (a),(b)는 원형 기둥에 4각 중공이 형성되고, 사각 기둥에 원형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기둥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기둥블록을 강선으로 결속한 모습을 도시한 기둥의 평면도,
도 7의 (a) 내지 (d)는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의 실시예,
도 8은 조립성 향상을 위한 상기 전단키홈의 변형 실시예,
도 9의 (a) 내지 (f)는 기둥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의 위치 및 수가 다른 실시예,
도 10의 (a) 내지 (d)는 대단면 기둥을 구성하는 중간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구성된 대단면 기둥의 평면도,
도 11의 (a) 내지 (d)는 중간블록의 수 증가에 따른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 확장 예시도,
도 12의 (a),(b)는 원판형 연결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3의 (a),(b)는 상기 원판형 연결블록에 보강벽체가 더 형성된 실시예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4는 원형 클립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5의 (a),(b)는 사각판형 연결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6의 (a),(b)는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에 보강벽체가 더 형성된 실시예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7는 사각 클립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8의 (a) 내지 (c)는 상기 단순 판형 연결블록과, 보강벽체가 형성된 연결블록과, 클립의 설치 상태도,
도 19의 (a) 내지 (f)는 대단면 기둥용 연결블록 및 클립의 실시예,
도 20의 (a),(b)는 장주형 기둥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장주형 기둥블록으로 이루어진 기둥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21의 (a),(b)는 상기 클립의 평면도와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의 클립 설치 상태도,
도 22의 (a),(b)는 상기 기둥불록들의 또 다른 조립 형태를 도시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교각 기둥의 구성도,
도 3의 (a) 내지 (e)는 상기 기둥을 구성하는 기둥블록의 평면도,
도 4의 (a) 내지 (d)는 상기 기둥의 평면도,
도 5의 (a),(b)는 원형 기둥에 4각 중공이 형성되고, 사각 기둥에 원형 중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기둥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기둥블록을 강선으로 결속한 모습을 도시한 기둥의 평면도,
도 7의 (a) 내지 (d)는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의 실시예,
도 8은 조립성 향상을 위한 상기 전단키홈의 변형 실시예,
도 9의 (a) 내지 (f)는 기둥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의 위치 및 수가 다른 실시예,
도 10의 (a) 내지 (d)는 대단면 기둥을 구성하는 중간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구성된 대단면 기둥의 평면도,
도 11의 (a) 내지 (d)는 중간블록의 수 증가에 따른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 확장 예시도,
도 12의 (a),(b)는 원판형 연결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3의 (a),(b)는 상기 원판형 연결블록에 보강벽체가 더 형성된 실시예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4는 원형 클립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5의 (a),(b)는 사각판형 연결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6의 (a),(b)는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에 보강벽체가 더 형성된 실시예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7는 사각 클립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18의 (a) 내지 (c)는 상기 단순 판형 연결블록과, 보강벽체가 형성된 연결블록과, 클립의 설치 상태도,
도 19의 (a) 내지 (f)는 대단면 기둥용 연결블록 및 클립의 실시예,
도 20의 (a),(b)는 장주형 기둥블록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장주형 기둥블록으로 이루어진 기둥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21의 (a),(b)는 상기 클립의 평면도와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의 클립 설치 상태도,
도 22의 (a),(b)는 상기 기둥불록들의 또 다른 조립 형태를 도시한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교각은 지반에 설치된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교량의 높이를 형성하고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이 놓여지는 거더를 지지하는 코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둥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둥블록(10)이 상호간의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한 단(段)을 이루고, 그러한 단이 다수 층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단 사이에 판형의 연결블록(2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기둥블록(10)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단 상부에 상기 연결블록(20)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블록(20)의 상부에 또 다른 기둥블록(10)들로 이루어진 또 다른 단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블록(10)은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기둥블록(10)은 도 3의 (a),(b)와 같이 원형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호형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c),(d),(e)와 같이 사각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사각형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4등분할의 경우를 예시하였다.)
즉, 상기 호형 기둥블록(11,12)은 등분할수 만큼의 개수가 서로 결합하여 원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형 기둥블록(13,14,15)은 등분할 수 만큼의 개수가 서로 결합하여 사각기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각 기둥블록(11,12,13,14,15)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전단키(11a,12a,13a,14a,15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면의 동일한 위치에는 하부 단을 구성하는 기둥블록의 상면 전단키(11a,12a,13a,14a,15a)가 삽입되는 전단키홈(11e,12e,14e,15e)이 형성된다.(전단키홈은 도 7 참조)
또한 상기 전단키홈(11e,12e,14e,15e)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21a,22a,23a,24a)가 삽입될 수 있다.(도 10,11,13,14 참조)
또한, 상기 기둥블록(11,12,13,14,15)에는 상하방향으로 강선구멍(11b,12b,13b,14b,15b)이 관통 형성되어, 상부 단의 기둥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 및 하부 단의 기둥블록(10)을 강선으로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구멍(11b,12b,13b,14b,15b)에 삽입되는 강선을 매개로 같은 단의 기둥블록(11,12,13,14,15)들도 상호 결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블록(11,12,13,14,15)의 일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전단키(11c,12c,13c,14c,15c)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전단키홈(11d,12d,13d,14d,15d)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 중공이 존재하는 중공형 기둥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의 (b),(e)와 같이 기둥블록(12,15)의 내측(기둥 중심쪽) 모서리 부분에 호형 또는 사각형의 중공(12f,15f)이 형성될 수 있다.(정확히는 기둥의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부이지만, 편의상 중공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사각형 기둥블록(14,15)의 경우에는 도 3의 (d),(e)와 같이 기둥의 외측면쪽 모서리가 모따기될 수 있다. 이는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안전성 및 미관을 향상시키고, 시공 및 운반 중에 기둥블록의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사각형 기둥블록(15)에 형성된 사각형 중공(15f)의 경우에는 내주면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직각의 모서리 부위가 충진 형성되어 둔각의 모서리들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서리에 응력 집중으로 인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기둥블록(11,12,14,15)들이 상호 결합되어 기둥을 형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b)는 각각 호형 기둥블록(11,12)들의 측면이 상호 결합되어 원형 기둥을 형성한 예이고, (c),(d)는 사각형 기둥블록(14,15)들의 측면이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기둥을 형성한 예이다.
상기와 같이 기둥블록(11,12,14,15)들이 상호 결합될 때 서로 맞닿는 측면들에서는 일측 기둥블록의 전단키홈(11d,12d,14d,15d)에 타측 기둥블록의 전단키(11c,12c,14c,15c)가 삽입되어 기둥블록 사이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해준다.
상기 도 4의 (b)와 (d)는 중공(12f,15f)이 형성된 중공형 기둥의 예이다.
상기 도 4의 (b),(d)와 같이 원형 기둥에는 원형의 중공(12f)이 형성되고 사각형 기둥에는 사각형 중공(15f)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기둥에 사각형 중공(12f′)이 형성되고 사각형 기둥에 원형 중공(15f′)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같은 단을 이루는 기둥블록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구멍(11b)에 강선(30)을 삽입하여 긴장시킴으로써 상호 완전히 결속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선(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기둥블록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연결블록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호형 기둥블록(11)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기둥블록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도 7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블록(11,14)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단키(11c,14c)와 전단키홈(11d,14d)은 기둥블록(11,1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d)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전단키(12c,15c)와 전단키홈(12d,15d)은 기둥블록(12,15)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단키(12c,15c)와 전단키홈(12d,15d)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동일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키홈(11d)은 전단키(11c)에 비하여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단키홈(11d)이 전단키(11c)에 비하여 넓게 형성됨으로써 전단키나 전단키홈의 크기 및 위치의 허용 오차가 증가하여 기둥블록(11) 결합시 전단키와 전단키홈 간에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하므로 기둥블록(11)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단. 이때 전단키와 전단키홈의 외측단부(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의 단부)의 위치는 상호 일치하여 결합상태에서 상호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그와 같은 필요조건이 만족되어야만 기둥블록 상호간의 유동이 방지되어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도면에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호형 기둥블록(11)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사항은 다른 형태의 기둥블록(12,14,15)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키(11a,14a)는 기둥블록(11,14)의 상면에 1개만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호형 기둥블록(11)의 경우, 상기 전단키(11a)는 (a)와 같이 기둥블록(11)의 외측 원주면에 인접하여 동심 원주선상의 중간 부분에 1개 형성될 수도 있고, (b)와 같이 동일 반경선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강선구멍(11b)은 외측에 위치한 전단키와 동일 원주선상에서 그 전단키의 양측 옆에 동 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단키(11a)는 (c)와 같이 동일 원주선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단키(11a)의 사이에도 강선구멍(11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각형 기둥블록(14)의 경우에는 (d)와 같이 기둥블록 상면의 외측 중앙 모서리에 인접하여 1개의 전단키(11a)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외측면과 평행하게 강선구멍(14b)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e)와 같이 대각선상에 2개의 전단키(14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f)와 같이, 상면의 외측 중앙 모서리에 인접하여 강선구멍(14b)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외측면과 평행하게 각각 1개씩의 전단키(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9와 같이 기둥블록(11,14)의 상면에 전단키(11a,14a)가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기둥블록(11,14)의 하면에는 상면과 동일한 위치에 전단키홈(11e,14e)이 형성된다.(도 7참조)
한편, 도 9의 (a),(d)에서는 도 3의 (a),(d)의 경우와는 다른 형태 즉,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전단키 및 전단키홈이 형성된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그 도번을 도 3의 11c,11d,14c,14d와 구별하여 11c′,11d′,14c′,14d′로 표시하였다.
도 10의 (a) 내지 (d)에는 상기 호형 기둥블록(11,12)과 사각형 기둥블록(14,15)을 중간블록(40,41,42,43)과 조합하여 대단면 원형(정확히는 일측방향으로 확장되어 양측부가 반원형으로 형성된 기둥) 기둥이나 대단면 사각형 기둥을 형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중간블록으로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에 사용되는 대(大)중간블록(40,42)과, 중공(12f,15f)이 형성되는 기둥에 사용되는 소(小)중간블록(41,43)이 마련된다.
상기 대중간블록(40,42)은 중공이 없는 호형 및 사각형 기둥블록(11,14)으로 구성되는 원형 기둥 및 사각형 기둥의 지름 또는 세로길이와 같은 세로길이를 가지고, 가로길이는 호형 기둥블록(11)의 반경이나 사각형 기둥블록(14)의 일측 변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가로길이는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중간블록(40,42)는 양측 세로변의 상부에 각각 전단키(40c,42c)와 전단키홈(40d,42d)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의 것과 반대 방향으로(같은 변에서) 전단키(40c,42c)와 전단키홈(40d,42d)이 형성된다.
또한,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키(40a,42a)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면의 전단키(40a,42a)와 동일한 위치에 전단키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강선구멍(40b,4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대중간블록(40,42)의 양측면에 각각 서로 결합된 2개의 호형 기둥블록(11)이나 사각형 기둥블록(14)을 결합(대중간블록의 전단키(40c,42c)가 호형 기둥블록(11) 또는 사각형 기둥블록(14)의 전단키홈(11d,14d)에 삽입되고, 호형 기둥블록(11) 또는 사각형 기둥블록(14)의 전단키(11c,14c)가 대중간블록(40,42)의 전단키홈(40d,42d)에 삽입된다.)됨으로써 중공 없는 대단면의 원형 또는 사각형 기둥이 조립된다.
한편, 상기 소중간블록(41,43)은 가로길이가 상기 대중간블록(40,42)의 가로길이와 동일하고, 세로길이는 상기 중공(12f,15f)이 형성된 호형 기둥블록(12)이나 사각형 기둥블록(15)의 일측 내측변 길이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소중간블록(41,43)의 양측 면(세로 변)에는 각각 전단키(41c,43c)와 전단키홈(41d,43d)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도 각각 동일한 위치에 전단키(41a,43a)와 전단키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강선구멍(41b,43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중간블록(41,43) 2개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시켜 배치한 후, 그 양측부에 각각 상호 연결된 2개씩의 중공(12f,15f)이 형성된 호형 또는 사각형 기둥블록(12,15)을 결합하면 내부에 중공(12f,15f)이 존재하는 대단면의 원형 또는 사각형 기둥이 조립된다.
한편, 상기 사각형 기둥에 사용되는 대중간블록(42)과 소중간블록(43)은 기둥의 외측면을 이루는 면의 양단 모서리가 모따기 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중공(15f)의 모서리부는 충진 성형된다. 모따기 및 충진 성형의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중간블록(40,42)과 소중간블록(41,43)을 복수 개 적용하여 상기 대단면기둥의 단면적을 보다 더 확장할 수 있다.
상기 도 11의 (a),(c)와 같이 상기 대중간블록(40,42)은 그 적용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기둥의 단면적을 장축(횡축) 방향으로 더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d)와 같이 상기 소중간블록(41,43)은 가로변과 세로변에 적용되는 수를 자유로이 조절함으로써 기둥의 단면적을 횡축 및 종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는 횡축 및 종축에 모두 2개씩의 소중간블록(41,43)이 적용된 예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원형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 단을 연결하는 원판형 연결블록(21,22)과 원형 클립(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a)는 단순 원형판 형상의 연결블록(21)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21a)와 전단키홈(21e)이 형성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강선구멍(21b)들이 형성된다.
상기 전단키(21a)와 전단키홈(21e) 및 강선구멍(21b)들은 연결블록(21)의 테두리에 근접한 동심원 상에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된 전단키(21a)의 양쪽 측부에 동수의 강선구멍(21b)들이 형성된다.
도 12의 (b)는 중공형 원형 기둥에 사용되는 중공 원판형 연결블록(22)으로서, 연결블록(22)의 중심에 원형의 중공(22f)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전단키(22a), 전단키홈(22e), 강선구멍(22b)) 구성에 관한 사항은 상기 단순 원판형 연결블록(21)과 동일하다.
도 13의 (a),(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도 12의 (a),(b)의 연결블록(21,22)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벽체(21g,22g)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벽체(21g,22g)는 상기 원판형 연결블록(21,22)들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연결블록(21,22)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21,2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 단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14는 원형 클립(50)으로서, 상기 보강벽체(21g,22g)와 같은 폭(여기서는 상하길이를 의미)을 가지는 철판이 원형으로 구부려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에는 상호 맞대지는 플랜지(5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51)가 볼트(52)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는 사각형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 단을 연결하는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과 사각형 클립(6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a)는 단순 사각판 형상의 연결블록(23)으로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23a)와 전단키홈(23e)이 형성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강선구멍(23b)들이 형성된다.
상기 전단키(23a)와 전단키홈(23e)은 연결블록(23)의 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각 전단키(23a)의 양쪽 측부에 동수의 강선구멍(23b)들이 형성되되, 상기 강선구멍(23b)들은 사각판형 연결블록(23)의 변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연결블록(23)의 각 테두리면의 중앙에는 모서리가 모따기된 사각형 기둥블록(14,15)이 결합되어 기둥을 이룰 때 기둥 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V형상의 요홈과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동일한 V형상의 요홈(23h)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23h)은 상기 기둥 중앙의 요홈 형상과 일치하여 일관된 외형을 이루므로 교각 기둥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5의 (b)는 중공형 사각형 기둥에 사용되는 중공 사각판형 연결블록(24)으로서, 연결블록(24)의 중심에 사각형의 중공(24f)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전단키(24a), 전단키홈(24e), 강선구멍(24b), 요홈(24h) 등) 구성에 관한 사항은 상기 단순 사각판형 연결블록(23)과 동일하다.
도 16의 (a),(b)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도 15의 (a),(b)의 연결블록(23,24)의 테두리 부분에 보강벽체(23g,24g)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벽체(23g,24g)는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들의 테두리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연결블록(23,24)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의 상부와 하부에도 사각형 기둥블록으로 이루어진 상부 단과 하부 단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벽체(23g,24g)의 내측면 각 변의 중앙에는 상기 요홈(23h,24h)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부(23i,24i)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i,24i)는 상기 보강벽체(23g,24g)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벽체(23g,24g) 및 돌출부(23i,24i)가 형성된 사각판형 연결블록(23,24)의 경우에는 테두리면의 중앙에 상기 요홈(23h,24h)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부(23i,24i)가 형성됨으로써 보강벽체(23g,24g)의 내부 공간으로 사각형 기둥블록(14,15)들이 삽입될 때 상기 돌출부(23i,24i)에 상기 기둥블록(14,15)들의 모따기면이 밀착되어 걸려짐으로써 기둥블록(14,15)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둥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연결블록의 경우에도 원형 연결블록에 사각형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의 연결블록에 원형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형상의 연결블록을 사용할 건인지는 기둥에 형성된 중공의 형태에 따른다. 즉, 기둥과 연결블록의 중공 형상은 상호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사각형 클립(60)으로서, 상기 보강벽체(23g,24g)와 같은 폭(여기서는 상하길이를 의미)을 가지는 철판이 사각형으로 절곡된 형상(기둥 모서리의 모따기 형상부 포함)으로 되어 있고, 양단에는 상호 맞대지는 플랜지(6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61)가 볼트(62)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사각형 클립(60)의 내측면 각 변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블록(23,24)의 외측면의 각 중앙에 형성된 요홈(23h,24h)에 대응되는 돌출부(6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63)는 상기 보강벽체(23g,24g)의 돌출부(23i,24i)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동일한 작용을 수행한다.
도 18은 상기 연결블록(20) 및 클립(50,60)을 이용하여 기둥블록(10)으로 이루어진 기둥의 상부 단과 하부단을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평단면의 형상과는 상관없이(원형이던 사각형이던 상관없이) 단순 평판형 연결블록인 경우에는 (a)와 같이 기둥블록(1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하부 단의 상부에 연결블록(20)을 올려놓고, 그 상부에 또 다른 기둥블록(10)들로 이루어진 상부 단을 올려놓는다. 이때 하부 단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는 연결블록(20)의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홈에 삽입되고, 연결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키는 상부 단의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홈에 삽입되어 기둥을 이루는 기둥블록(10)들 및 연결블록(20)의 횡방향 거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b)는 테두리에 보강벽체(21g,22g,23g,24g)가 형성된 연결블록(20)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이 경우 상기 보강벽체(21g,22g,23g,24g)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로 기둥블록(10)으로 이루어진 상부 단과 하부 단이 삽입된다.
즉, 하부 단의 상단이 연결블록(20)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부 단의 하단이 연결블록(20)의 상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기둥의 상부 단과 연결블록과 하부 단의 경계면을 상기 보강벽체(21g,22g,23g,24g)가 감싸주게 되므로 기둥블록(10)들과 연결블록(20) 상호 간의 횡방향 거동이 완전히 억제됨으로써 기둥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c)는 상기 연결블록(20)을 사용하지 않고, 기둥블록(10)으로 이루어진 상부 단과 하부 단을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서, 하부 단의 전단키가 상부 단의 전단키홈에 직접 삽입되고, 상기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경계면을 상기 클립(50,60)이 감싸서 상부 단과 하부 단 사이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클립(50,60)은 기둥을 둘러싼 후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51,61)가 맞대어져 볼트(52,62)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됨으로써 기둥에서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경계면 둘레를 강하게 조여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50,60) 자체의 설치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단과 하부 단의 기둥블록(10)들 간의 횡방향 거동을 억제하여 기둥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50,60)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 단과 하부 단 사이에 연결블록(20)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18(a)의 구조에 상기 클립(50,6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클립(50,60)의 폭(상하길이)이 상기 보강벽체(21g,22g,23g,24g)의 상하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단과 연결블록 및 연결블록과 하부 단 사이의 경계면을 상기 클립(50,60)이 안정적으로 감싸줄 수 있다.
도 19는 대단면 기둥에 적용되는 연결블록과 클립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의 (a)는 도 10의 (a),(b)에 도시된 대단면 원형 기둥에 적용되는 중공이 없는 연결블록(25)과 중공(26f)이 있는 연결블록(26)을 도시한 것이고, 도 19의 (b)는 상기 대단면용 원판형 연결블록(25,26)의 테두리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보강벽체(25g,26g)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9의 (c)는 대단면 원형 기둥에 적용되는 클립(50′)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9의 (d)는 도 10의 (c),(d)에 도시된 대단면 사각형 기둥에 적용되는 중공이 없는 연결블록(27)과 중공(28f)이 있는 연결블록(28)을 도시한 것이고, 도 19의 (e)는 상기 대단면용 사각판형 연결블록(27,28)의 테두리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보강벽체(27g,28g)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9의 (f)는 대단면 사각형 기둥에 적용되는 클립(60′)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단면 기둥의 경우에도 상기 도 12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단순 연결블록(21,22,23,24)과 보강벽체(21g,22g,23g,24g)가 형성된 연결블록(21,22,23,24) 및 클립(50,60)과 동일한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단, 도시된 바와 같이 대단면 기둥의 확대된 단면 형상과 면적에 맞추어 연결블록의 단면적이 확장되고, 클립의 둘레길이가 증가하였을 뿐이다.
한편, 도 20의 (a),(b)는 장주(長柱)형 기둥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호형 평단면을 갖는 장주형 기둥블록(70)이고, (b)는 사각형 평단면을 갖는 장주형 기둥블록(71)이다.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70,71)은 이상에서 설명한 단주형 기둥블록(10)과 평단면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하고, 또한 전단키(70a,70c,71a,71c), 전단키홈(70d,70e,71d,71e), 강선구멍(70b,71b) 등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둥블록(70,71)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70c,71c)가 인접한 다른 기둥블록(70,71)의 전단키홈(70d,71d)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기둥블록(70,71)간 횡방향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도 동일하다.
또한, 이들 장주형 기둥블록(70,71)에도 중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장주형 기둥블록(70,71)은 한 단의 기둥블록만으로 교각의 기둥을 구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교각 기둥의 높이가 낮은 경우로서 사용되는 기둥블록의 수가 감소됨으로써 기둥 건설을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기둥블록(70,71)간의 결속 및 좌굴 방지를 위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50,60)을 이용한다. 상기 클립(50,60)을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블록(70,71)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기둥블록(70,71)의 길이가 더욱 증가된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도 적절한 간격마다 필요한 수의 클립(50,60)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교각 기둥의 높이가 매우 높아서 단주형 기둥블록의 적층만으로 기둥을 건설하기에 부적절한 경우,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70,71)을 다수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블록 및 클립을 이용하여 도 18의 (b) 또는 (c) 또는 (a)와 (c)를 조합한 구조로 장주형 기둥블록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주형 기둥블록 역시 도 10과 같이 중간블록을 이용하여 대단면 기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간블록도 장주형으로 제작됨은 물론이다.
한편, 도 22는 상기 기둥불록들의 또 다른 조립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장주형 기둥블록(70)을 예시하였으나 단주형 기둥블록(1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 실시예는 상호 측면이 결합되는 기둥블록(70)간에 높이차가 존재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상호 측면이 결합되는 기둥블록(70)간에 단차가 존재하도록 상호 상하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도 22의 (a)에는 4등 분할된 원호형 기둥블록 중에서 2개씩 쌍을 이루어 같은 쌍의 기둥블록은 동일 높이로 결합되고, 각 쌍이 상호 단차를 두고 결합된 조립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2의 (b)에는 4등 분할된 원호형 기둥블록 모두가 상호 단차를 두고 결합된 조립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원호형 기둥블록을 예시하였으나 사각형 기둥블록 등 기둥의 평면을 등분할한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기둥블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차를 두고 기둥블록이 결합되는 실시예에서도 기둥블록(7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전단키(70a)와 전단키홈(70e)이 형성되어 기둥블록간 상하 결합이 가능하고, 양쪽 측면에도 각각 전단키(70c)와 전단키홈(70d)이 형성되어 기둥블록간 횡방향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측면의 전단키(70c)와 전단키홈(70d)은 기둥블록의 상하 길이에 있어서 일정 거리마다 다수 개 형성되거나 또는 기둥블록의 상하 길이 전체에 걸쳐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기둥블록(70)들의 외주에는 상기 클립(50)이 체결되어 기둥 전체의 결속을 견고히 해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기둥블록들이 단차를 두고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결합된 경우, 최상단의 기둥블록들과 코핑의 사이 및 최하단의 기둥블록들과 기초부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빈 공간을 메꿔 주기 위해 기둥블록과 동일한 평단면 형상을 가진 스페이서블록(80)이 해당 위치에 조립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80)은 평단면 형상뿐만 아니라 상면과 하면 및 양 측면의 형상과 강선구멍도 기둥블록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둥블록들이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어긋나게 결합된 경우 동일 단의 기둥블록들이 모두 같은 높이로 일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부단과 하부단의 경계가 하나의 평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위치(높이)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횡방향 하중(충격)에 대한 기둥의 전단저항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기둥의 구조적 강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기둥블록의 사이에 중간블록을 배치하여 기둥의 단면적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상기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은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되는 제품이다. 이들의 규격 즉, 제품의 크기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대형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는 정도로서, 제조 공장에서 건설 현장으로의 용이하고 신속한 운송이 가능하다.
즉, 교각 건설에 사용될 자재는 미리 준비 완료된 상태에서, 교각 설계가 완료되면 상기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들을 필요한 만큼 조합하여 설계 사양을 만족하는 교각을 즉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기존의 조립식 교각이 공통적으로 프리캐스트 제품을 이용하고 있지만, 기존에는 교각 설계 후, 그 설계 사양에 따라 기둥세그먼트를 제조해야만 하였고, 본 발명 블록교각은 교각 설계 후 별도의 기둥세그먼트를 제조하는 공정 없이 즉시 필요한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을 구입하여 교각 기둥 조립을 실시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교각 설계 후 시공까지의 사이에 기둥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별도의 기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교각 설계 후 즉시 시공에 착수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은 종래 조립식 교각의 세그먼트에 비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운반 및 현장에서의 적층 작업이 용이하고, 이 또한 공기를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소형으로 미리 제작된 블록을 다수 조합하여 교각을 조립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서 기둥블록과 연결블록 및 중간블록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을 순차적으로 반복 적층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기둥블록과 기둥블록, 또는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을 상호 연속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건설하고자 하는 교각의 크기, 높이, 지지하중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최적의 조합을 통한 맞춤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계 변경에 따른 축소 및 확장 시공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블록과 기둥블록의 사이,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의 사이 등, 개별 부재들이 상호 연결된 경계면에는 방수재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블록 간의 연결 경계면에 방수재를 도포하여 기둥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둥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10,11,12,13,14,15 : 기둥블록 11a,12a,14a,15a : 전단키
11b,12b,14b,15b : 강선구멍 11c.12c,14c,15c : 전단키
11d,12d,14d,15d : 전단키홈 11e,12e,14e,15e : 전단키홈
12f,15f : 중공 20,21,22,23,24 : 연결블록
21a,22a,23a,24a : 전단키 21b,22b,23b,24b : 강선구멍
21e,22e,23e,24e : 전단키홈 22f,24f : 중공
22g,24g : 보강벽체 23h,24h : 요홈
23i,24i : 돌출부 25,26,27,28 : 대단면용 연결블록
26f,28f : 중공 25g,26g,27g,28g : 보강벽체
30 : 강선 40,41,42,43 : 중간블록
40a,41a,42a,43a : 전단키 40b,41b,42b,43b : 강선구멍
40c,41c,42c,43c : 전단키 40d,41d,42d,43d : 전단키홈
50,60 : 클립 51,61 : 플랜지
52,62 : 볼트 63 : 돌출부
70,71 : 장주형 기둥블록
11b,12b,14b,15b : 강선구멍 11c.12c,14c,15c : 전단키
11d,12d,14d,15d : 전단키홈 11e,12e,14e,15e : 전단키홈
12f,15f : 중공 20,21,22,23,24 : 연결블록
21a,22a,23a,24a : 전단키 21b,22b,23b,24b : 강선구멍
21e,22e,23e,24e : 전단키홈 22f,24f : 중공
22g,24g : 보강벽체 23h,24h : 요홈
23i,24i : 돌출부 25,26,27,28 : 대단면용 연결블록
26f,28f : 중공 25g,26g,27g,28g : 보강벽체
30 : 강선 40,41,42,43 : 중간블록
40a,41a,42a,43a : 전단키 40b,41b,42b,43b : 강선구멍
40c,41c,42c,43c : 전단키 40d,41d,42d,43d : 전단키홈
50,60 : 클립 51,61 : 플랜지
52,62 : 볼트 63 : 돌출부
70,71 : 장주형 기둥블록
Claims (13)
- 교각 기둥의 평단면을 등분할한 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는 다수의 기둥블록이 상호 측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단을 이루고,
상기 단이 다수 적층되어 상기 교각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기둥블록들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어긋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기둥블록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블록은 호형 평단면 또는 사각형 평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전단키와 전단키홈은,
상기 전단키에 비하여 상기 전단키홈의 폭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블록에 강선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강선구멍에 강선이 삽입되며,
상기 강선에 의해 상,하로 배치된 기둥블록과, 같은 단에 배치된 기둥블록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블록의 상,하 적층시, 상기 기둥블록과 기둥블록의 경계면을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클립이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구조에 의해 최상단 기둥블록과 코핑의 사이 및 최하단 기둥블록과 기초부의 사이에 발생한 빈 공간에는 기둥블록과 동일한 형상의 스페이서블록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기둥블록들의 외주와 상기 결합된 스페이서블록과 기둥블록의 외주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클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블록들의 사이에 중간블록이 개재되어 대단면 기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전단키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기둥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단키 및 전단키홈과 결합되는 전단키와 전단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블록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강선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이 연속 배치되어 상기 대단면 기둥의 단면적이 더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록은 상기 대단면 기둥의 평면상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교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348A KR101288293B1 (ko) | 2012-10-15 | 2012-10-15 | 블록 교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4348A KR101288293B1 (ko) | 2012-10-15 | 2012-10-15 | 블록 교각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6241A Division KR101284198B1 (ko) | 2010-11-22 | 2010-11-22 | 블록 교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214A KR20120119214A (ko) | 2012-10-30 |
KR101288293B1 true KR101288293B1 (ko) | 2013-07-26 |
Family
ID=4728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4348A KR101288293B1 (ko) | 2012-10-15 | 2012-10-15 | 블록 교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2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2968A (ko) * | 2016-12-22 | 2018-07-02 | 정만식 |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60367B (zh) * | 2018-02-09 | 2019-06-07 | 石家庄铁道大学 | 一种抗震不倒桥墩 |
CN109778681A (zh) * | 2019-03-04 | 2019-05-21 | 北京工业大学 | 一种模块化预制节段拼装铁路实心桥墩 |
CN110158484A (zh) * | 2019-07-03 | 2019-08-23 |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 一种高速铁路装配式桥梁预制拼装结构及施工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3714A (ja) * | 1995-06-09 | 1996-12-17 | P S Co Ltd | ハイブリッドプレファブセグメントを用いた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
KR100905317B1 (ko) * | 2009-03-17 | 2009-07-02 | (주)유림이엔디 | 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KR20100054889A (ko) * | 2008-11-15 | 2010-05-2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파형 강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씨에프티 교각 및 그 시공방법 |
-
2012
- 2012-10-15 KR KR1020120114348A patent/KR1012882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3714A (ja) * | 1995-06-09 | 1996-12-17 | P S Co Ltd | ハイブリッドプレファブセグメントを用いた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
KR20100054889A (ko) * | 2008-11-15 | 2010-05-26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파형 강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씨에프티 교각 및 그 시공방법 |
KR100905317B1 (ko) * | 2009-03-17 | 2009-07-02 | (주)유림이엔디 | 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2968A (ko) * | 2016-12-22 | 2018-07-02 | 정만식 |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
KR101983719B1 (ko) * | 2016-12-22 | 2019-05-29 | 정만식 |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214A (ko) | 2012-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8293B1 (ko) | 블록 교각 | |
KR101067001B1 (ko) | 철근을 이용한 스틸 박스 거더 교량의 슬래브 시공 공법 | |
KR20130043324A (ko) |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 |
KR102160952B1 (ko) | Pc 복합보, pc 복합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pc 복합보를 이용한 거더의 시공방법 | |
KR101284198B1 (ko) | 블록 교각 | |
JP2007254974A (ja) | 形鋼を用いた鋼・コンクリートの複合構造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橋とこ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橋の施工方法 | |
KR20120032332A (ko) | 다주형 모듈러 교각 | |
KR100762166B1 (ko) | 프리캐스트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779449B1 (ko) | 중공박스형 강재 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889338B1 (ko) |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 |
KR101228034B1 (ko) | 블록 교각 | |
JP2016033318A (ja) | 組立式ユニット橋梁キット | |
KR101170897B1 (ko) | 별도의 내화피복이 필요 없는 층고절감형 합성보 및 그를 이용한 보-슬래브 접합부 구조 | |
AU770799B2 (en) | Method of constructing formwork and an element for casting concrete components | |
JP2004131988A (ja) | 橋脚・橋台用の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と、該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を用いた橋脚・橋台及び該橋脚・橋台の施工方法 | |
KR101010109B1 (ko) |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 |
KR20090001058U (ko) | 석재 판넬 | |
KR101043086B1 (ko) | 프리캐스트 거푸집 구조물 | |
JP6966208B2 (ja) | 柱梁接合構造 | |
KR100599768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합성 중공 교각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72001B1 (ko)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 |
KR101029991B1 (ko) | 아치형 피에스씨 빔 제작 방법 | |
KR101457796B1 (ko) | 철골 골조와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복합구조 건축물 | |
CN220184761U (zh) | 装配式空腔结构停车库及建筑物 | |
JP4902377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の基礎構造及びその塀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