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53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537B1
KR101244537B1 KR1020120079031A KR20120079031A KR101244537B1 KR 101244537 B1 KR101244537 B1 KR 101244537B1 KR 1020120079031 A KR1020120079031 A KR 1020120079031A KR 20120079031 A KR20120079031 A KR 20120079031A KR 101244537 B1 KR101244537 B1 KR 10124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pedestal
wheel
g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수
Original Assignee
엄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수 filed Critical 엄성수
Priority to KR102012007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537B1/ko
Priority to PCT/KR2013/005438 priority patent/WO20140142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2Removal, transportation or shipping of refrigerating devices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8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냉장고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냉장고;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부; 상기 받침대부와 연동하며,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는 받침대구동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와 연동하며, 상기 바퀴부를 승강시키는 바퀴부구동부; 및,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되, 상기 받침대구동부에 제1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를 일정거리 하강시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부구동부에 제2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바퀴부를 하방으로 일정거리 하강시켜 상기 바퀴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바퀴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구동부에 제3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를 일정거리 상승시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바퀴부만이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이동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를 받치는 승강되는 받침대를 설치함과 동시에 받침대 주변에 승강되는 바퀴부를 설치함으로써, 냉장고의 이동시에 받침대를 냉장고에 내삽시키고, 바퀴부를 하부로 돌출시켜 냉장고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구비된 통체형 냉장고와 김치의 보존 및 숙성을 위한 김치냉장고가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업소에서는 대형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분되는 업소용냉장고가 많이 쓰이고 있다.
요즘에는 가정에서도 대형타입의 냉장고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김치냉장고와 업소에서 쓰이는 업소용냉장고는 무게가 매우 무거워 이동시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1-0001898호에서는 냉장고의 저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기구와;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고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높이조절기구는 하단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냉장고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선행문헌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종래 선행문헌은 냉장고의 네 퀴퉁이에 부착된 바퀴 각각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냉장고의 수평이 틀어져 내부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보관된 음식물들이 한쪽 방향으로 쏠려 음식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냉장고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장고를 쉽게 밀어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형성하는 경우에 냉장고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냉장고의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부; 상기 받침대부와 연동하며,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는 받침대구동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와 연동하며, 상기 바퀴부를 승강시키는 바퀴부구동부; 및,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되, 상기 받침대구동부에 제1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를 일정거리 하강시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부구동부에 제2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바퀴부를 하방으로 일정거리 하강시켜 상기 바퀴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바퀴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구동부에 제3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를 일정거리 상승시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바퀴부만이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이동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어부를 구동시켜 냉장고의 하부에 바퀴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냉장고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냉장고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냉장고의 하부에 받침대부를 하강시켜 필요시에 냉장고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퀴부와 받침대부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부로 이동하므로, 냉장고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뒤집은 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의 정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의 지지부와 바퀴부의 구동에 따른 위치를 표시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냉장고에 삽입되는 바퀴부구동부의 일예에 따른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장고에 삽입되는 바퀴부구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
도 9는 냉장고에 삽입되는 받침대구동부의 일예에 따른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냉장고에 삽입되는 받침대구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를 뒤집은 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의 지지부와 바퀴부의 구동에 따른 위치를 표시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냉장고에 삽입되는 바퀴부구동부의 일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장고에 삽입되는 바퀴부구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냉장고에 삽입되는 받침대구동부의 일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냉장고에 삽입되는 받침대구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고(10), 받침대부(20), 받침대구동부(30), 바퀴부(40), 바퀴부구동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0)는 본 실시예의 경우,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포함한 통체형상으로 모든 냉장고(10)에 해당한다.
상기 받침대부(20)는 냉장고(10)의 하부를 지지하며, 냉장고(10)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냉장고(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부(20)는 네 개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구동부(30)는 받침대부(20)와 연동하며, 받침대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 경우, 받침대구동부(30)는 받침대부(20)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40)는 냉장고(10)의 하부를 지지하며, 냉장고(10)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냉장고(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바퀴부(40)는 네 개로 구성된다.
상기 바퀴부구동부(50)는 바퀴부(40)와 연동하며, 바퀴부(40)를 승강시키게 된다. 이 경우, 바퀴부구동부(50)는 바퀴부(40)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받침대구동부(30)와 바퀴부구동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받침대구동부(30)와 바퀴부구동부(50)에 제어신호를 보내 받침대구동부(30)와 바퀴부구동부(50)를 선택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60)의 구동에 의해 설명하면, 최초 냉장고(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40)가 냉장고(10)의 하부에 내삽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어부(60)에 위치한 냉장고(10) 이동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구동부(30)에 제1제어신호를 보내 받침대구동부(30)를 일정거리 하강시켜 받침대부(20)가 냉장고(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구동부(50)에 제2제어신호를 보내 바퀴부(40)를 하방으로 일정거리 하강시켜 바퀴부(40)가 냉장고(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가 냉장고(1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받침대구동부(30)에 제3제어신호를 보내 받침대구동부(30)를 일정거리 상승시켜 받침대부(20)가 냉장고(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40)가 냉장고(10)의 밀착된 상태로 냉장고(10)를 이동시켜 힘을 들이지 않고도 냉장고(10)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냉장고(10)를 특정 위치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안착스위치를 눌러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바퀴부(40)와 받침대부(20)를 구동시켜 냉장고(10)를 특정 위치에 안착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고(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바퀴부(40)가 자동으로 하강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냉장고(1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1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받침대부(20)를 하강시켜 냉장고(10)를 특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냉장고(10) 내부의 음식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받침대구동부(30)에 대한 일 예로써, 받침대구동부(30)는 제1구동모터(31), 제1기어부(32), 제2기어부(33), 제1체인(34) 및, 제1구동링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터(31)는 냉장고(10)의 하부공간의 내측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구동모터(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제1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계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게 되고, 제3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기어부(32)는 제1구동모터(31)의 모터축단과 중심축이 연결되어 제1구동모터(31)의 회전시에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기어부(33)는 제1기어부(32)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중심축이 냉장고(10)의 하부공간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체인(34)은 제1기어부(32)와 제2기어부(33)를 두르며, 제1기어부(32)와 제2기어부(33)를 연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구동링크부(35)는 일단이 제2기어부(33)의 축단과 연결되어 제2기어부(33)와 회동시에 제2기어부(33)와 함께 회동하고, 타단이 받침대부(20)와 핀결합되어 받침대부(20)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구동모터(31)는 제어부(60)로부터 제1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일정구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기어부(32)와 제2기어부(33) 제1체인(34)을 연동시킨 상태로 구동시켜 제1구동링크부(35)를 일정거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대부(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바퀴부구동부(50)에 대한 일 예로써, 바퀴부구동부(50)는 제2구동모터(51), 제3기어부(52), 제4기어부(53), 제2체인(54) 및, 제2구동링크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터(51)는 냉장고(10)의 하부공간의 내측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구동모터(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제2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시계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게 되고, 제2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3기어부(52)는 제2구동모터(51)의 축단과 중심축이 연결되어 제2구동모터(51)의 회전시에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4기어부(53)는 제3기어부(52)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중심축이 냉장고(10)의 하부공간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체인(54)은 제3기어부(52)와 제4기어부(53)를 두르며, 제3기어부(52)와 제4기어부(53)를 연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구동링크부(55)는 일단이 제3기어부(52)의 축단과 연결되어 제3기어부(52)와 회동시에 제4기어부(53)와 함께 회동하고, 타단이 받침대부(20)와 핀결합되어 바퀴부(40)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2구동모터(51)는 제어부(60)로부터 제2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일정구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기어부(52)와 제4기어부(53) 제2체인(54)을 연동시킨 상태로 구동시켜 제2구동링크부(55)를 일정거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대부(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받침대구동부(30)와 바퀴부구동부(50)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일예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즉,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의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냉장고 20 ; 받침대부
30 ; 받침대구동부 40 ; 바퀴부
50 ; 바퀴부구동부 60 ; 제어부
31 ; 제1구동모터 32 ; 제1기어부
33 ; 제2기어부 34 ; 제1체인
35 ; 제1구동링크부
51 ; 제2구동모터 52 ; 제3기어부
53 ; 제4기어부 54 ; 제2체인
55 ; 제2구동링크부

Claims (4)

  1. 냉장고;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부; 상기 받침대부와 연동하며,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는 받침대구동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내삽되도록 상기 냉장고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와 연동하며, 상기 바퀴부를 승강시키는 바퀴부구동부; 및,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와 상기 바퀴부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키되,
    상기 받침대구동부에 제1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를 일정거리 하강시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부구동부에 제2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바퀴부를 하방으로 일정거리 하강시켜 상기 바퀴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바퀴부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가 상기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구동부에 제3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받침대구동부를 일정거리 상승시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냉장고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바퀴부만이 냉장고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이동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구동부는,
    상기 냉장고의 하부공간 내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축단과 중심축이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시에 회동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중심축이 상기 냉장고의 하부공간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를 두르며,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를 연동시키는 제1체인; 및,
    일단이 상기 제2기어부의 축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회동시에 상기 제2기어부와 함께 회동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부와 핀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부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링크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구동부는,
    상기 냉장고의 하부공간 내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구동모터;
    상기 제2구동모터의 축단과 중심축이 연결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시에 회동하는 제3기어부;
    상기 제3기어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중심축이 상기 냉장고의 하부공간의 내측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기어부;
    상기 제3기어부와 상기 제4기어부를 두르며, 상기 제3기어부와 상기 제4기어부를 연동시키는 제2체인; 및,
    일단이 상기 제4기어부의 축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4기어부와 회동시에 상기 제4기어부와 함께 회동하고, 타단이 상기 바퀴부와 핀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부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링크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20079031A 2012-07-19 2012-07-19 냉장고 KR10124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31A KR101244537B1 (ko) 2012-07-19 2012-07-19 냉장고
PCT/KR2013/005438 WO2014014208A1 (ko) 2012-07-19 2013-06-2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031A KR101244537B1 (ko) 2012-07-19 2012-07-1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537B1 true KR101244537B1 (ko) 2013-03-18

Family

ID=4818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031A KR101244537B1 (ko) 2012-07-19 2012-07-19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4537B1 (ko)
WO (1) WO20140142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56B1 (ko) 2008-01-03 2014-03-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251897A (zh) * 2021-12-27 2022-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及车载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8483U (ko) 1984-09-20 1986-04-19
JPH1082579A (ja) * 1996-09-09 1998-03-31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KR19980083986A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가전제품의 안착장치
KR100198007B1 (ko) * 1995-10-31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8483U (ko) 1984-09-20 1986-04-19
KR100198007B1 (ko) * 1995-10-31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JPH1082579A (ja) * 1996-09-09 1998-03-31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KR19980083986A (ko) * 1997-05-20 1998-12-05 배순훈 가전제품의 안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56B1 (ko) 2008-01-03 2014-03-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251897A (zh) * 2021-12-27 2022-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及车载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4208A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30913C (zh) 具有拉篮提升装置的冰箱
KR101244537B1 (ko) 냉장고
KR100671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477247B (zh) Kitchen with lift hanging cabinet
KR200465383Y1 (ko)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JP2008037322A (ja) 蓋体開閉機構
US3641945A (en) Discontinuous oven
US6696678B2 (en) Over turntable apparatus
CN106724735A (zh) 一种滚筒式烹饪器具
KR200461286Y1 (ko) 교반기
KR20180039908A (ko) 부품 공급용 반전장치
US10702098B2 (en) Oven based non-powered accessory system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CN207712998U (zh) 一种食品容器倾倒机构
CN212066507U (zh) 一种用于自动烹饪设备的物料台及自动烹饪设备
CN210144523U (zh) 煎烤机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KR102028917B1 (ko) 이동대차
KR100767856B1 (ko) 냉장고
KR101816715B1 (ko) 양면 파렛트를 적재 가능한 스태커
KR100412945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지지장치
JP2012254879A (ja) 容器の搬送装置
US11618989B2 (en) Appliance lift system
CN211985060U (zh) 炒菜机出菜装盘机构
JP4424172B2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