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917B1 -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917B1
KR102028917B1 KR1020180033278A KR20180033278A KR102028917B1 KR 102028917 B1 KR102028917 B1 KR 102028917B1 KR 1020180033278 A KR1020180033278 A KR 1020180033278A KR 20180033278 A KR20180033278 A KR 20180033278A KR 102028917 B1 KR102028917 B1 KR 10202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oking utensil
shaf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306A (ko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Priority to KR102018003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조리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부,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리는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캐스터(CASTER)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대차는 조리기구를 옮기면서 조절부를 통해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릴 수 있다. 조리기구의 기울어짐으로 조리기구에 남아 있는 개숫물이 경사진 바닥에서 토출구 방향으로 흘러 완전하게 배수되어 조리기구의 배수 및 세척성이 높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대차{MOVING CART}
본 발명은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대형식당, 단체급식소에서는 음식을 대량으로 조리하므로 대용량의 조리기구(솥, 국통 등)를 사용하게 된다. 조리기구 내부 세척으로 발생한 개숫물을 배출하기 위해 작업자는 조리기구를 기울이고 세워야 하나, 조리기구가 대 용량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직접 기울이고 세우는데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에 조리기구 하부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조리기구를 기울이지 않아도 개숫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배출구가 조리기구 내부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개숫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대용량의 조리기구를 작업자가 들고 운반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공개특허 제10-2011-0032139호. (2011.03.30) 등록특허 제10-1521587호. (2015.05.13)
본 발명은 조리기구를 운반할 수 있고, 조리기구를 기울일 수 있는 이동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는, 조리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부,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리는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캐스터(CASTER)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발판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 회전으로 상기 조리기구를 기울이는 적어도 하나의 판캠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회전한 상기 샤프트가 복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판캠,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기울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판캠과 접하는 로드,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판캠과 접하는 롤러,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를 기울어트리는 발판 및 상기 기울어진 상기 로드가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의 기울어짐으로 상기 판캠은 상기 본체부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리기구 하면과 접하여 상기 조리기구를 들어올려 기울일 수 있다.
상기 판캠의 외부둘레에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의 외부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일측과 힌지 연결된 지지체, 상기 플레이트 아래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발판,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 타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캠, 상기 판캠과 접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 및 회전한 상기 샤프트가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회전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기 판캠의 지지력이 해제되면 상기 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리기구의 하면과 접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조리기구의 1/2을 감싸는 고정테두리 및 상기 고정테두리가 감싸지 않은 상기 조리기구 1/2을 감싸며 상기 베이스와 경첩으로 연결된 회동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동테두리에는 상기 조리기구의 토출구가 통과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테두리는 기울어지는 상기 조리기구를 따라 상기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테두리와 상기 회동테두리를 결합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리기구의 하면과 접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두리에는 상기 조리기구의 토출구가 통과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리기구 하면과 접하는 상기 조절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대차는 조리기구를 옮기면서 조절부를 통해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릴 수 있다. 조리기구의 기울어짐으로 조리기구에 남아 있는 개숫물이 경사진 바닥에서 토출구 방향으로 흘러 완전하게 배수되어 조리기구의 배수 및 세척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절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8은 도 7의 C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6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D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E 부분 확대도.
도 14는 도 12의 측면도.
도 15는 도 12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절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10)는 본체부(100), 캐스터(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하며 조리기구(1)를 운반할 수 있고 조리기구(1)가 이동대차(10)에 놓인 상태에서 기울어지도록 하여 조리기구(1) 내의 개숫물 등이 토출구(1a)를 통해 모두 배수되도록 한다.
본체부(100)는 베이스(110) 및 테두리(120)를 포함하며 이동대차(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한다. 도 1 내 도 5에서 본체부(100) 형상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본체부(100)의 형상은 조리기구(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베이스(110)와 테두리(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조리기구(1)가 반듯하게 놓인다. 테두리(120)는 베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테두리(120)에 의해 본체부(100)에는 조리기구(1)의 하부가 수용되는 배치공간(121)이 형성되며, 테두리(120)는 조리기구(1)가 베이스(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조리기구(1) 하부둘레를 고정한다.
한편, 베이스(110)의 기설정된 위치에는 베이스(110)를 상하 관통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120)에는 조리기구(1)의 일측에 연결된 토출구(1a)가 관통하는 개방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개방홀(122)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a)는 테두리(120) 위에 위치한다.
캐스터(300)는 베이스(110)의 하면에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대차(10)의 이동을 도모한다. 캐스터(30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캐스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절부(400)는 샤프트(420), 발판(430) 및 판캠(440)을 포함하며 베이스(110) 하면에 배치되어 베이스(110) 상면에 반듯하게 놓인 조리기구(1)를 기울여 조리기구(1) 내의 개숫물 등이 토출구(1a)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10)의 관통홀(111)과 이웃한 베이스(110) 하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410)이 간격을 두고 배수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42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복수의 베어링 하우징(410)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판캠(440)은 일측이 샤프트(4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샤프트(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판캠(440) 및 관통홀(111)의 개수는 이동대차(10)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판캠(440)의 타측은 샤프트(420)를 기준으로 일측보다 더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홀(111)에 위치한다. 판캠(440)은 샤프트(42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발판(430)은 본체부(100) 외부에 위치하여 샤프트(4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110)의 하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져 있다. 작업자가 발판(430)을 밟으면 샤프트(42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판캠(440)의 타측은 조리기구(1)의 하면과 접하여 조리기구(1)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00)는 탄성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50)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4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은 베어링 하우징(4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샤프트(420)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450)는 발판(43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한 샤프트(420)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샤프트(42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샤프트(42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이동대차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리기구(1)는 베이스(110) 상면에 놓이며 토출구(1a)는 개방홀(122)을 통해 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조리기구(1)는 베이스(110) 상면에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베이스(110)에 올려진 조리기구(1)는 조리장소에서 배식장소 등으로 옮겨질 수 있다. 배식 후 조리기구(1)를 세척할 수 있으며 이때 조리기구(1) 내부에 개숫물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발판을 밟으면 샤프트(4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판캡(440)이 회전하면서 타측이 베이스(110) 상부로 돌출되어 조리기구(1)의 타측을 들어올리게 된다. 샤프트(420) 회전시 탄성부재(450)는 압축된다. 조리기구(1)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되어 조리기구(1) 내부에 남아 있는 개숫물은 경사진 바닥을 따라 흘려 토출구(1a)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다.
작업자가 밟고 있는 발판을 놓게 되면 압축된 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420)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판캠(440)은 관통홀(111)에 위치하며 조리기구(1)는 베이스(110) 상면에 평행한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에, 이동대차(10)는 조리기구(1)를 옮기면서 조절부(400)를 통해 조리기구(1)를 기울일 수 있다. 조리기구의 기울어짐으로 조리기구(1)에 남아 있는 개숫물이 경사진 바닥에서 토출구 방향으로 흘러 완전하게 배수되어 조리기구의 배수 및 세척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동대차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7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D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20)는 본체부(100), 캐스터(300) 및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 및 캐스터(300)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캐스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절부(500)는 샤프트(520), 발판(530), 판캠(540), 로드(560), 롤러(570) 및 탄성부재(550)를 포함하며 베이스(110) 하면에 배치되어 베이스(110) 상면에 반듯하게 놓인 조리기구(1)를 기울여 조리기구(1) 내의 개숫물 등이 토출구(1a)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10)의 관통홀(111)과 이웃한 베이스(110) 하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510)이 간격을 두고 배수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52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복수의 베어링 하우징(510)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판캠(540)은 관통홀(111)에 위치하며 일측이 샤프트(5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판캠(540)은 샤프트(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판캠(540)의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샤프트(52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판캠(540)의 타측은 관통홀(111)에 위치하며 조리기구(1) 하면과 접하여 조리기구(1)를 들어올릴 수 있다. 판캠(540)의 외부둘레에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541)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560)는 베이스(110)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부분이 베이스(110) 하면에 브라켓(561)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로드(560)는 외력에 의해 브라켓(561)의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로드(560) 일측은 판캠(540)과 이웃하며 타측은 본체부(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롤러(570)는 로드(560)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판캡(540)과 접하여 판캠(540)의 타측을 들어올릴 수 있다. 롤러(570)의 외부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41)에 삽입된 가이드돌기(57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571)와 가이드홈(541)에 의해 롤러(570)가 판캠(540)을 들어올릴 때 판캠(540)과 롤러(570)는 비틀리지 않는다. 그러나 가이드돌기(571)와 가이드홈(541)은 생략될 수 있다.
발판(530)은 로드(560)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밟을 수 있다. 로드(560)는 발판(530)의 밟음으로 브라켓(561) 힌지를 기준으로 일측은 상승하고 타측은 하강할 수 있다. 로드(560)의 타측이 상승할 때 롤러(570)는 판캠(540)과 접하여 회전하면서 판캠(540) 타측을 들어올릴 수 있다. 판캠(540)은 들리면서 조리기구(1) 하면과 접하여 조리기구(1) 타측을 들어올리게 되며 조리기구(1) 내부에 남아 있는 개숫물은 경사진 바닥을 따라 흘려 토출구(1a)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다.
탄성부재(55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로드(560) 일측과 베이스(110)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드(560) 일측이 상승할 때 압축될 수 있다. 밟고 있는 발판(530)을 놓으면 압축된 탄성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560)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베이스(110) 하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동대차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 부분 확대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30)는 본체부(100), 캐스터(300) 및 조절부(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 및 캐스터(300)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및 캐스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절부(600)는 샤프트(620), 발판(630), 판캠(640), 탄성부재(650), 플레이트(660), 지지체(670), 스토퍼(680)를 포함하며 조리기구(1)를 기울여 조리기구(1) 내의 개숫물 등이 토출구(1a)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트(660)는 베이스(1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배치공간(121)에 위치하여 베이스(110) 상면과 이격되어 있다. 플레이트(660)의 외부둘레 또한 배치공간(232)의 둘레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조리기구(1)는 배치공간(121)에 위치하며 하면이 플레이트(660)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110) 상면과 플레이트(660) 일측 하면 사이에는 샤프트(620), 판캠(540), 탄성부재(650) 및 스토퍼(680)가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110) 상면과 플레이트(660) 타측 하면 사이에는 지지체(670)가 배치되어 있다. 판캠(640)과 접하는 플레이트(660) 하면 일측에는 가이드홈(66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670)는 제1 링크(671), 제2 링크(672) 및 힌지(673)를 포함하며, 제1 링크(671)는 베이스(110) 상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2 링크(672)는 플레이트(660) 하면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671)와 제2 링크(672)는 서로 접하며 접하는 부분에는 힌지(673)가 관통한다. 제1 링크(671)와 제2 링크(672)는 힌지(673)를 통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다.
가이드홈(661)과 이웃한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610)이 간격을 두고 배수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620)는 복수의 베어링 하우징(610)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양단이 테두리(1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발판(630)은 본체부(100) 외부에서 샤프트(620)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620)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판캠(640)은 일측이 샤프트(620)와 연결되어 있고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타측은 가이드홈(661)에 위치한다. 판캠(640)은 샤프트(6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샤프트(620)를 따라 회전한다. 판캠(640)의 타측은 가이드홈(661)에서 플레이트(660)의 일측을 지지한다. 플레이트(660)는 판캠(640)의 지지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판캠(640)이 샤프트(620)를 따라 회전하여 눕혀지면 플레이트(660)는 지지체(670)의 힌지(673)를 기준으로 일측이 기울어질 수 있다.
스토퍼(680)는 판캠(640)과 이웃하여 베이스(110)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판캠(64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판캠(640)의 회전범위를 한정한다. 스토퍼(680)는 판캠(640)의 일측 외부둘레와 접한다.
탄성부재(650)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620)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은 베어링 하우징(6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샤프트(620)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65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한 샤프트(620)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샤프트(62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샤프트(62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판캠(640)이 세워져 플레이트(660)가 평행한 상태에서 조리기구(1)를 지지하고 있으며, 조리기구(1)를 기울이기 위해 발판(630)을 밟으면 샤프트(620)가 회전하고 세워진 판캠(640)은 눕혀진다. 이때 플레이트(660)는 힌지(673)를 기준으로 일측이 기울어지고 조리기구(1) 또한 플레이트(660)를 따라 기울어진다. 이에 조리기구(1) 내부에 남아 있는 개숫물은 경사진 바닥을 따라 흘려 토출구(1a)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동대차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조리기구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대차(40)는 본체부(200), 캐스터(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300) 및 조절부(400)는 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및 조절부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0)는 베이스(210) 및 테두리(22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베이스(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220)가 배치되어 있다. 테두리(220)는 고정테두리(223) 및 회동테두리(224)를 포함한다.
고정테두리(223)는 베이스(210)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테두리(223)는 베이스(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테두리(223)는 조리기구(1)의 1/2부분을 감싼다.
회동테두리(224)는 고정테두리(223)가 위치하지 않은 베이스(210)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테두리(223)가 감싸지 않은 조리기구(1)의 1/2 부분을 감싼다. 회동테두리(224)는 경첩(225)으로 베이스(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조절부(400) 조작으로 조리기구(1)가 기울어질 때 경첩(225)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0)는 클램프(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226)는 회동테두리(224)와 고정테두리(223)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회동테두리(224)와 고정테두리(223)를 연결한다. 클램프(226)에 의해 회동테두리(224)가 베이스(210)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회동테두리(224)는 배치공간(221)의 조리기구(1)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조리기구(1)를 기울일 때 클램프(226)는 회동테두리(224)와 고정테두리(223)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조리기구(1)가 기울어질 때 회동테두리(224)가 조리기구(1)를 따라 움직임으로 테두리(220)와 조리기구(1)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조리기구(1)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조리기구 1a: 토출구
10, 20, 30, 40: 이동대차
100, 200: 본체부 110, 210: 베이스
111, 211: 관통홀 120, 220: 테두리
121, 221: 배치공간 122, 222: 개방홀
223: 고정테두리 224: 회동테두리
225: 경첩 226: 클램프
300: 캐스터 400, 500, 600: 조절부
410, 510, 610: 베어링 하우징 420, 520, 620: 샤프트
430, 530, 630: 발판 440, 540, 640: 판캠
541, 661: 가이드홈 450, 550, 650: 탄성부재
560: 로드 561: 브라켓
570: 롤러 571: 가이드돌기
660: 플레이트 670: 지지체
671: 제1 링크 672: 제2 링크
673: 힌지 680: 스토퍼

Claims (9)

  1. 조리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부,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리는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캐스터(CASTER)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판캠,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어 기울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판캠과 접하는 로드,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판캠과 접하는 롤러,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를 기울어트리는 발판 및
    상기 기울어진 상기 로드가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의 기울어짐으로 상기 판캠은 상기 본체부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리기구 하면과 접하여 상기 조리기구를 들어올려 기울이는
    이동대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판캠의 외부둘레에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의 외부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대차.
  6. 조리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부,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리는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캐스터(CASTER)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일측과 힌지 연결된 지지체,
    상기 플레이트 아래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샤프트,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발판,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 타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캠,
    상기 판캠과 접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 및
    회전한 상기 샤프트가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회전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상기 판캠의 지지력이 해제되면 상기 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이동대차.
  7. 조리기구가 위치할 수 있는 본체부,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리기구를 기울어트리는 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캐스터(CASTER)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리기구의 하면과 접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
    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는
    상기 조리기구의 1/2을 감싸는 고정테두리 및
    상기 고정테두리가 감싸지 않은 상기 조리기구 1/2을 감싸며 상기 베이스와 경첩으로 연결된 회동테두리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테두리에는 상기 조리기구의 토출구가 통과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테두리는 기울어지는 상기 조리기구를 따라 상기 경첩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이동대차.
  8. 제7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테두리와 상기 회동테두리를 결합하는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이동대차.
  9.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리기구의 하면과 접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
    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에는 상기 조리기구의 토출구가 통과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리기구 하면과 접하는 상기 조절부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대차.
KR1020180033278A 2018-03-22 2018-03-22 이동대차 KR10202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78A KR102028917B1 (ko) 2018-03-22 2018-03-22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278A KR102028917B1 (ko) 2018-03-22 2018-03-22 이동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06A KR20190111306A (ko) 2019-10-02
KR102028917B1 true KR102028917B1 (ko) 2019-10-08

Family

ID=6820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278A KR102028917B1 (ko) 2018-03-22 2018-03-22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4726B2 (en) * 2021-12-02 2023-08-15 Ivan Weldon Dish carrying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87B1 (ko) * 2015-01-22 2015-05-20 박관철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이동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584Y1 (ko) * 1987-08-25 1990-07-26 문재덕 전기 저항을 이용한 전자식 습도 측정기
KR20110032139A (ko) 2009-09-22 2011-03-30 박진원 확장 및 절첩 가능한 이동대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87B1 (ko) * 2015-01-22 2015-05-20 박관철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이동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06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72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heating of food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US7090094B2 (en) Handle for cookware
US7523697B2 (en) Tiltable cooking appliance
WO2001087133A1 (en) Dishwasher basket with vertically adjustable rack
US20050205727A1 (en) Mobile stand
US7665456B2 (en) Barbecue apparatus with swingout shelf
CA2889040C (en) Bucket for a mop
KR102028917B1 (ko) 이동대차
MX2010012462A (es) Parrillas articuladas para cubiertas.
KR101379484B1 (ko) 경사조절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구이기
JP4555705B2 (ja) 焼き具保持装置
US4062275A (en) Grill appliance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101865631B1 (ko) 도마 받침대
CN207394305U (zh) 一种脚架
US2804288A (en) Bowl supported mixer
KR20090010979U (ko) 이동식 테이블
KR200271812Y1 (ko) 테이블의 내부로 함몰 장착되는 꼬치구이기
CN210276463U (zh) 一种升降装置及升降柜
NL2009878C2 (nl) Keukensamenstel.
CA2008002A1 (en) Device for fireplace cooking
KR100394462B1 (ko) 의자의 스테킹장치
JPS6130506Y2 (ko)
CN210077412U (zh) 一种可调式蒸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