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777B1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777B1
KR101243777B1 KR1020120117111A KR20120117111A KR101243777B1 KR 101243777 B1 KR101243777 B1 KR 101243777B1 KR 1020120117111 A KR1020120117111 A KR 1020120117111A KR 20120117111 A KR20120117111 A KR 20120117111A KR 101243777 B1 KR101243777 B1 KR 10124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bridge
steel sheet
mold support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2011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7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corrugated steel plate composite type rahmen bridge with a lower flange concrete introduced a tensile for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minimize the depth of a girder by significantly improving a load carrying capacity and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by reducing an arranged amount of reinforcing bars. CONSTITUTION: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rrugated steel plate composite type rahmen bridge with a lower flange concret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building a bridge wall(2), composing a corrugated steel plate, lower flange concrete and upper flange concrete, making a corrugated steel plate girder(1) composed by connecting a horizontal lower plate with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fixing a main girder bearing(3) on the upper side of the bridge wall, placing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composite girder on the main girder bearing to be located in between the bridge walls, connecting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composite girder to the main girder bearing in a fixed-end shape on one bridge wall, connecting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composite girder to the mail girder bearing in a movable-end shape before the concrete is hardened on the other bridge wall and forming an edge part by placing concrete to bury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and the main girder bearing.

Description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부(web)는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플랜지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복합 파형강판 거더를 이용하여 라멘교량을 구축하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거더를 보강하고, 거더를 교량벽체 사이에 거치한 상태에서는 거더가 단순보 구조계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거더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여서 거더의 형고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되는 강재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정성 향상, 그리고 교량의 미관 개선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ramen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flange concrete, specifically, the abdomen (web) is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the upper, lower flanges are made of concrete corrugated steel girders The ramen bridge is constructed using, but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lower flange concrete to reinforce the girder, and when the girder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the girder is supported by the simple beam structure system, thereby reducing the stress applied to the gir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construction of a ra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minimize the mold height and reduce the amount of steel used, thereby improving economics and structural stability and improving the beauty of the bridge.

종래 기술에 따른 라멘교량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6144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라멘교량은, 제한된 교량 경간장 때문에 하천설계기준에 만족하는 최소 경간장에 한계가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라멘교량의 교축방향(종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교량벽체의 기초공사비가 과다하게 된다는 점, 교량벽체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거더의 형고 증가에 따른 도로종단 선형 불량 및 그에 따른 공사비 증가와 불리한 미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An example of a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hat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66144. Such a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ramen bridge has a limit on the minimum span length that satisfies the river design standards due to the limited bridge span length, and the foundation construction cost of the bridge wall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men bridge is excessiv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bad road terminal linear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gird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bridge walls, and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and unfavorable aesthetics.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량, H형강을 합성한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량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라멘교량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종래의 라멘교량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충분하지 못하였다. Although several types of ramen bridges, such as a ra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and a ramen bridge using a girder composed of H-beams, have been proposed, the conventional ramen bridges proposed to date are not suffici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wa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6144호(2010. 06. 25. 공고) 참조.Se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66144 (Jun. 25, 201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부(web)는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플랜지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복합 파형강판 거더를 이용하여 라멘교량을 구축하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거더를 보강하고, 거더를 교량벽체 사이에 거치한 상태에서 거더가 단순보 구조계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거더의 형고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사용되는 강재량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정성 향상, 그리고 교량의 미관 개선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specifically, the abdomen (web) is made of corrugated steel sheet and the upper, lower flanges are constructed by using a composite corrugated steel sheet girder made of concrete, By reinforcing the girder by introducing tension force to the lower flange concrete, and supporting the girder with the simple beam structure system while the girder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the girder can be minimized and the amount of steel used can be reduced. Therefore, it aims to provide a new construction ramen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improve economics and structural stability and improve the beauty of the bridg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교량벽체를 구축하고; 파형강판과, 상기 파형강판의 하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와, 상기 파형강판의 상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의 양단부는 파형강판으로 양단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양단부의 파형강판에는 수평하부판이 결합되어 있도록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를 제작하고; 하판,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체로 존재하는 중간부로 이루어진 주형받침을 교량벽체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를 인양하여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양단부가 상기 주형받침에 놓이도록 교량벽체 사이에 거치하되, 일측 교량벽체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단부를 주형받침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없는 고정단 형태로 주형받침과 결합하고, 타측 교량벽체에서는 모서리부의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단부가 주형받침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가동단 형태로 주형받침과 결합하며;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단부와 주형받침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되어 교량벽체의 상면에서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가 일체로 되도록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량의 시공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구축되는 라멘교량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uild a bridge wall in the longitudinally spaced state of the bridge; It consists of a corrugated steel plate, a lower flange concrete synthesized integrally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and an upper flange concrete integrally synthesiz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by corrugated steel sheets. Produc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so that the horizontal lower plate is coupled to the corrugated steel sheets at both ends; A mold support consisting of a lower plate, an upper plate, and an intermediate part integrally existing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Lifting the composite corrugated steel girder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so that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are placed on the mold support. On one side of the bridge wall,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can be moved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It is combined with the mold support in the form of fixed end, and in the other bridge wall, the mold support in the form of movable end allows the end of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to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until the concrete at the edge is hardened. To combin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portion is embedded so that the end portion and the mold support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girder is embedded to form a corner portion so that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is integ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Ramen bridges are provided.

본 발명의 라멘교량에서는, 거더의 하중 부담 능력 즉, 강성이 크게 향상되며, 그에 따라 거더의 형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및 상부플랜지 콘크리트에 배치되는 보강철근의 배근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구조적 안성성의 향상 및 미관의 개선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girder, that is, the rigidity is greatly improved, thereby minimizing the mold height of the girder, and also greatly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the lower flange concrete and the upper flange concre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al efficiency,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nd improve aesthetics.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를 이용하여 라멘교량의 주경간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저형고의 장경간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거더의 웨브(web)에는 콘크리트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가벼운 자중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를 나란하게 배치하였을 때, 콘크리트 가로보가 아닌 강재 가로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별도의 제작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대 설치를 위한 부지확보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span of the ramen bridge is formed by using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it is possible to have a long span of low height, and because the web of the girder does not have concrete, You can have your own weight.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since the steel cross beams can be used instead of the concrete cross beams, construction properties and econo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eparate fabrication table is not required in manufacturing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ite for the fabrication of the fabrication platform,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saving construction costs. It becomes possible to exert the effect.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가 교량벽체 사이에 거치된 후부터 모서리부의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까지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는 교량벽체에 의해 단순보 구조계로 지지되는 상태에 있으며, 그에 따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 및 바닥판의 자중에 의해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특히, 모서리부의 철근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면 모서리부의 철근 콘크리트와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가 완전히 일체화되어,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와 교량벽체의 일체 합성 후 작용하는 하중(포장,방호벽 등의 하중 및 활하중)에 대한 모서리부의 부모멘트는 일체화된 합성 단면이 저항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라멘교량의 구축에 필요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단면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교량 벽체와 기초의 단면 역시 줄일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단면의 설계를 통한 공사비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and until the corner concrete is completely hardene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is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simple beam structure system by the bridge wall, and thus the corrugated steel sheet Due to the weight of the composit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the size of the parent moment generated at the corners is reduced. In particular, when the reinforced concrete at the corner is completely hardened, the reinforced concrete at the corner and the composite corrugated steel sheet girder are completely integrated, and the load acting after the combined composite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bridge wall is applied (packing, protection wall, etc.) The parental portion of the edge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composite cross section is resis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 but also to reduce the cross section of the bridge wall and the foundation,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through the economical design of the cross section. Will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라멘교량을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교량벽체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교량벽체 사이에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가 거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원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6의 원 C부분에 대해 주형받침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 및 결합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교량벽체 상부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원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원 E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라멘교량이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used to construct a rame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idge wall is constructed.
5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A portion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is mounted between bridge walls subsequent to the state of FIG. 4.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B portion of FIG. 6.
8A and 8B are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mold support and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for the circle C portion of FIG. 6, respectively.
FIG. 9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rner portions of an upper portion of a bridge wall are formed by concrete pouring subsequent to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6.
FIG. 10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of FIG. 9.
FIG. 11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of FIG. 9.
1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라멘교량에서 양측의 교량 벽체(2)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거더는 파형 강판 합성형 거더(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라멘교량을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girders provid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on both sides are constituted by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used to construct a rame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shown in FIG. 1. A schematic side view is shown, and FIG. 3 show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 2.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는, 교축방향(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주름이 잡혀 있는 파형강판(10)과, 상기 파형강판(10)의 하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와, 상기 파형강판(10)의 상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경우, 종방향의 양단부에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파형강판(10)으로 양단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양단부의 파형강판(10)의 하부에는 수평한 강재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수평하부판(13)이 연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위와 같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거더 양단부에서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도 존재하지 아니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rrugated steel sheet-like girder 1 is integral with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rruga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is synthesized as, and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is integrally synthesiz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do not have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are forme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The lower part of the (1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made of a horizontal steel plate memb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does not exist at both ends of the girder where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does not exist as described above.

한편,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에는 스트랜드 등의 긴장재(15)가 배치되고 긴장됨으로써,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에 긴장력이 도입되는데, 이와 같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에 긴장력이 도입됨으로 인하여, 파형강판(10)에도 압축력이 가해지는데, 파형강판(10)은 종방향으로 파형을 이루도록 주름져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코디언 효과가 발생하게 되어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에도 압축력이 도입된다. 즉, 본 발명의 라멘교량을 이루는 상기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경우, 전단력에 대해서는 입체적인 파형형상을 가지고 있어 높은 전단좌굴강성을 가지는 파형강판(10)이 저항하게 되고, 휨모멘트에 대해서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에 배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저항하게 되는 효율적 구조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거더의 하중 부담 능력 즉, 강성이 크게 향상되며, 그에 따라 거더의 형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 및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에 배치되는 보강철근의 배근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의 향상은 물론이고 구조적 안성성의 향상 및 미관의 개선 효과가 발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ension material 15, such as strands are arranged and tensioned in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as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so that the waveform The compressive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steel sheet 10. Since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has a corrugated shape to form a corru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ccordion effect is generated and a compressive force is also introduced to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That i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constituting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having a three-dimensional corrugated shape with respect to the shear force is resistant to the bending moment and resists the bending moment. In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is to have an efficient structural system to resist the tensio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tension force. Therefore,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girder, that is, the rigidity is greatly improved, thereby minimizing the mold height of the girder, and also greatly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amount of the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and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al efficiency,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and improve aesthetics.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이용하여 라멘교량의 주경간을 구성하게 되므로, 저형고의 장경간(약 20 내지 45m)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종방향으로 거더의 중간부분에서 거더의 웨브에는 콘크리트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가벼운 자중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폭방향(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나란하게 배치하였을 때, 콘크리트 가로보가 아닌 강재 가로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제작함에 있어서 별도의 제작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대 설치를 위한 부지확보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Not only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span of the ramen bridge is configured us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long span (about 20 to 45 m) of a low height. In the middle of the girder, no concrete is present in the web of the girder, so that it has a light weight.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bridge width direction (lateral direction), steel cross beams may be used instead of concrete cross beams,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fabrication table is not required in manufacturing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ite for installing the fabrication platform,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saving construction costs. Effect is exerted.

다음에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멘교량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시공방법의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12,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amen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위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지도록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제작하는 것과 별도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교량벽체(2)를 구축한다. 교량벽체(2)를 구축함에 있어서, 교량벽체(2)의 상단에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가 놓여서 결합될 주형받침(3)을 설치한다. Apart from manufacturing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to hav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bridge wall 2 which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structed. In constructing the bridge wall (2), at the upper end of the bridge wall (2),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placed to install a mold support (3) to be coupled.

도 4에는 교량벽체(2)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원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교량벽체(2)의 상단에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가 놓여서 결합될 주형받침(3)이 설치되는데, 상기 주형받침(3)은, 교량벽체(2)의 상단면에 놓여 결합되는 하판(31)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에 구비된 수평하부판(13)이 놓여서 결합되는 상판(32)과, 상기 하판(31)과 상판(32) 사이에서 일체로 존재하는 소정 높이의 중간부(33)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교량벽체(2)에 매립되어 상단면으로 돌출된 앵커볼트(21)가 상기 하판(31)을 관통하여 너트(22)로 체결되는 방식에 의해 상기 하판(31)이 교량벽체(2)의 상단면에 놓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33)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듯이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wall 2 is constructed, and FIG. 5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A portion of FIG. 4. As shown in the figure, at the upper end of the bridge wall (2),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placed, and a mold support (3) to be coupled is installed, and the mold support (3) is a bridge wall (2). The lower plate 3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2, the upper plate 32 to which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and coupled, and the lower plate 31 and the upper plate 32 It consists of an intermediate portion 33 of a predetermined height existing integrally between the).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lower plate 31 is bridged by a method in which the anchor bolt 21 embedded in the bridge wall 2 and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nut 22 through the lower plate 31. It can be placed and fixed on the top surface of the wall 2. The intermediate portion 33 may be made of corrugated steel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한편, 본 발명의 라멘교량에서는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위와 같은 주형받침(3)은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개수에 맞추어서 교량벽체(2)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교량벽체(2)에 주형받침(3)이 설치되고,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제작이 완료되면, 크레인 등의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인양하여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가 상기 주형받침(3)에 놓이도록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하게 된다. 도 6에는 교량벽체(2) 사이에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거치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고정(固定)단 형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결합되는 도 6의 원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mold support 3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ccording to the number of bridge walls ( 2) is installed on the top. In this way, when the mold support 3 is installed on the bridge wall 2 and the production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complete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lifted by using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so as to be placed on the mold support 3.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and FIG. 7 shows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n the form of a fixed end.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B portion of FIG. 6 in which the end of is coupled with the mold bearing 3 is shown.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교량벽체(2) 사이에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거치될 때,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에 구비된 수평하부판(13)은 각각 주형받침(3)의 상판(32) 위에 놓여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 종방향으로 일측 교량벽체(2)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이 전혀 불가능한 고정단 형태로 결합되지만, 타측 교량벽체(2)에서는 모서리부의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가동단 형태로 결합된다. As mentioned above, when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the horizontal lower plates 1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are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fixed at the end of the mold support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other bridge wall (2), but combined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that allows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to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3) until the corner concrete is cured do.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고정단 형태의 결합에 대한 일예를 살펴보면, 주형받침(3)의 상판(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32) 위에 놓이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이 상판(32) 위에 놓이면, 볼트부재를 관통공에 관통삽입하여 너트(22)로 체결함으로써, 수평하부판(13)은 상판(32)과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결합되고, 그에 따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는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이 전혀 불가능한 고정단 형태로 결합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7, an example of the coupling of the fixed end shape is describe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f the mold support 3, and the horizontal shape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The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late 13 as well. Whe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with the through holes facing each other, the horizontal lower plate (by inserting the bolt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fastening with the nut 22) 13 is firmly integrated with the upper plate 32, and thus,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combined in the form of a fixed end which is completely impossible to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3.

한편, 이러한 고정단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교량벽체(2)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가동단 형태로 결합된다. 도 8a 및 도 8b에는 각각 가동(可動)단 형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결합되는 도 6의 원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a는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b는 결합된 후를 보여주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ridge wall (2) located opposite to the fixed end,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coupled to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8A and 8B show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ircle C portion of FIG. 6 in which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coupled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n movable end, respectively, FIG. 8a shows the state before the bonding, and FIG. 8b shows the state after the bonding.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단 형태의 결합에 있어서도, 앞서 고정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형받침(3)의 상판(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판(32) 위에 놓이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8a에 예시되어 있듯이, 가동단 형태의 결합에서는, 상기 수평하부판(13)에 형성된 관통공(19)이나 상판(32)에 형성된 관통공(36)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또는 두 개의 관통공 모두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8a의 경우, 수평하부판에 형성된 관통공(19)이 종방향으로 길게 된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이 상판(32) 위에 놓이고 볼트부재(23)가 관통공(33, 19)에 관통 삽입되어 너트(22)로 체결된 상태일지라도, 외력이 가해지면 볼트부재(23)가 상기 장공형태의 관통공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되어,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As shown in FIGS. 8A and 8B, in the coupling of the movable end form, as in the case of the fixed end, the through plat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f the mold support 3, and the corrugated steel sheet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mpound type girder 1, too. However, as illustrated in FIG. 8A, in the coupling of the movable end form, one or two of the through holes 19 formed i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r the through holes 36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are provided. All of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orm of long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e of FIG. 8A, the through hole 19 formed in the horizontal lower plate is formed as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even if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and the bolt member 23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and 19 and fastened with the nut 22,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bolt member 23 can move along the long hole through hole, and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allowed to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3.

한편, 이와 같은 가동단 형태로 결합되는 교량벽체(2)에서는, 관통공(33, 19)에 관통 삽입되어 수평하부판(13) 위로 돌출되어 너트(22)가 체결된 볼트부재(23)의 단부를 덮을 수 있는 보호캡(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5)은 후술하는 것처럼, 주형받침(3)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모서리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었을 때, 상판(32)과 수평하부판(13)을 결합하는 볼트부재(23)의 단부 및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직접 콘크리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ridge wall (2) coupled in the form of such a movable end, the end of the bolt member 23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33, 19) and protrudes over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the nut 22 is fastened A protective cap 5 may be further installed to cover the cover. The protective cap (5),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ends of the mold support (3) and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embedded in the concrete, the upper plate 32 and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The end of the bolt member 23 to be coupled and the through-hole in the form of a long hole performs a function to protect the direct contact with the concrete.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하고,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를 주형받침(3)에 결합하는 작업을 각각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에 대해 수행한 후, 필요에 따라서는 횡방향으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 사이에 가로보를 설치하여 연결한다. 본 발명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는 복부(web)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파형강판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횡방향으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보로서, 콘크리트 가로보가 아닌 강재 가로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re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an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sheet girders 1 After joining both ends of the mold to the mold support (3) for each corrugated sheet composite girder (1), if necessary, install a cross beam between the corrugated sheet composite girders (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f necessary To connect. The composite corrugated steel sheet gird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rrugated steel sheet having an abdomen (web), and the corrugated steel sheet is exposed. Steel crossbeams can be used instead of crossbeams, thus improving workability and economics.

위와 같이 필요한 경우 가로보의 설치 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교량벽체(2) 상부의 모서리부를 형성한다.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 사이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를 횡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키는 것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음에서는 모서리부의 형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fter perform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cross beam if necessary as above,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wall (2) is formed by concrete pouring. When a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of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integrated using concrete. . Integrating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of the plurality of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s 1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use a conventional general metho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t explains in detail.

도 9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교량벽체(2) 상부의 모서리부(6)를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의 원 D부분 즉, 고정단 부분에서 주형받침(3)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모서리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9의 원 E 부분 즉, 가동단 부분에서 주형받침(3)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모서리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1의 경우에는 주형받침(3)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실선으로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FIG. 9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ner portion 6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wall 2 is formed by concrete pouring subsequent to the state shown in FIG. 6, and FIG. 10 is a circle D of FIG. 9. In part, that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nds of the mold support 3 an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t the fixed end portion are embedded in concrete poured at the corners, and FIG. A schematic enlarged view is shown showing the state where the ends of the mold bearing 3 an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n the circle E part, that is, the movable end part,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that is poured at the corners. For reference, in FIG. 11, the ends of the mold support 3 an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shown as solid lines.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교량벽체(2)의 상단에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가동단 형태 또는 고정단 형태로 결합된 후,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와 주형받침(3)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모서리부(6)가 형성된다. 즉,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에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2) 없이 파형강판(10)만 노출되어 있는 부분과 수평하부판(13), 그리고 주형받침(3)이 완전히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모서리부(6)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보호캡(5)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주형받침(3)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모서리부(6)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었을 때, 상판(32)과 수평하부판(13)을 결합하는 볼트부재(23)의 단부 및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직접 콘크리트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9 to 11,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at the top of the bridge wall (2) is combined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or a fixed end, then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end of the compound type girder 1 and the mold support 3 are embedded to form an edge portion 6. That is, at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like girder 1, the portion where only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is exposed without the lower flange concrete 2,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and the mold support 3 are completely embedded in concrete. The part 6 is formed. As shown in FIG. 11, when the protective cap 5 is provided, when the ends of the mold support 3 and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embedded in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corners 6, The end of the bolt member 23 that couples the upper plate 32 and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and the through-hole of the long hole form do not directly contact the concrete.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교량벽체(2) 사이에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거치되었을 때, 일측 교량벽체(2)에서는 고정단 형태가 되고 타측 교량벽체(2)에서는 가동단 형태가 된다. 즉,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된 후부터 모서리부(6)의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까지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는 교량벽체(2)에 의해 단순보 구조계로 지지되는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자중으로 인한 휨모멘트 및 전단력은 단순보 구조계의 상태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모서리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의 상태 및 모서리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아직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자중에 의한 휨모멘트는 교량벽체(2)의 상부에서는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추후 모서리부(6)의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교량의 사용에 필요한 방호벽, 포장 등을 설치하여 라멘교량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라멘교량이 완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모서리부(6)의 콘크리트가 경화되고 방호벽 등의 고정하중 및 차량 통행에 의한 활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그에 따라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에 휨모멘트 및 전단력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부(6)에도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the bridge end 2 has a fixed end shape and the other bridge wall 2 has a movable end shape. do. That is,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simple beam structure system by the bridge wall 2 until it is completely hardened after the concrete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 As such, the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supported in the state of a simple beam structure system, so that the concrete is still completely In the uncured state, the bending moment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does not occu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wall 2. Later, when the concrete of the corner portion 6 is hardened, the construction of the ramen bridge is completed by installing a protective wall, pavement, etc.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bridge. 1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When the concrete of the edge portion 6 is hardened and the fixed load such as the barrier wall and the live load due to the vehicle traffic, the bending moment and the shear force act on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ccordingly, and the edge portion 6 ), The bending moment also acts.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된 후부터 모서리부(6)의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까지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는 교량벽체(2)에 의해 단순보 구조계로 지지되는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활하중이 작용할 때 모서리부(6)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의 크기는 줄어들게 된다. 그에 따라 거더의 단면의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강성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단면의 설계를 통한 공사비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supported by the bridge wall 2 as a simple beam structure system after being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and until the concrete of the corner portion 6 is completely hardened. Therefore, when the live load is applied, the size of the parent generated in the corner portion 6 is reduce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can be reduced or the rigidity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through the economical design of the cross section.

1: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
2: 교량벽체
3: 주형받침
1: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s
2: bridge wall
3: mold support

Claims (4)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교량벽체(2)를 구축하고;
파형강판(10)과, 상기 파형강판(10)의 하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와, 상기 파형강판(10)의 상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의 양단부는 파형강판(10)으로 양단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양단부의 파형강판(10)에는 수평하부판(13)이 결합되어 있도록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제작하고;
주형받침(3)을 교량벽체(2)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를 인양하여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가 상기 주형받침(3)에 놓이도록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하되, 일측 교량벽체(2)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를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없는 고정단 형태로 주형받침(3)과 결합하고, 타측 교량벽체(2)에서는 모서리부(6)의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가동단 형태로 주형받침(3)과 결합하며;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와 주형받침(3)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벽체(2)의 상면에서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일체로 되도록 모서리부(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To build the bridge wall 2 in the longitudinally spaced state of the bridge;
Corrugated steel sheet 10,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is integrally synthesiz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and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is integrally synthesiz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with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of the both ends to produce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to be coupled;
The mold support 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2;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s 1 are lifted and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so that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s 1 are placed on the mold support 3, but in one bridge wall 2 the corrugated steel sheets The end of the composite girder 1 is combined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fixed end which cannot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3, and in the other bridge wall 2, the concrete of the edge 6 is Engages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that allows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s 1 to horizontally move longitudinally over the mold support 3 until it is hardened;
An edge part 6 is plac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nd the mold support 3 are embedded so that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integ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2.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받침(3)은, 하판(31), 상판(32) 및 상기 하판(31)과 상판(32) 사이에서 일체로 존재하는 중간부(33)로 이루어지며;
일측 교량벽체(2)의 상면에서 상기 주형받침(3)의 상판(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이 상판(32) 위에 놓이면, 볼트부재(23)를 관통공에 관통삽입하여 너트(22)로 체결함으로써,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고정단 형태로 결합되며;
타측 교량벽체(2)의 상면에서 상기 주형받침(3)의 상판(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평하부판(13)에 형성된 관통공이나 상판(32)에 형성된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또는 두 개의 관통공 모두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이 상판(32) 위에 놓이면, 볼트부재(23)를 관통공에 관통삽입하여 너트(22)로 체결함으로써, 볼트부재(23)가 상기 장공형태의 관통공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가동단 형태로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old support (3) consists of a lower plate (31), an upper plate (32) and an intermediate portion (33) integrally present between the lower plate (31) and the upper plate (32);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f the mold support 3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bridge wall 2, and through-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respectively. Whe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with the through holes facing each other, the bolt member 23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to the nut 22. By fastening, the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re coupled to the mold holder 3 in a fixed end form;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f the mold support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bridge wall 2, and the through-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r one of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r both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is Whe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the bolt member 23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fastened with the nut 22 so that the bolt member ( 23)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combined with the mold bearing (3)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that can move along the through-hole of the long hole type.
교량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축되어 배치되는 교량벽체(2); 상기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되어 양단이 각각 교량벽체(2)의 상면에 놓이게 되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 및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와 상기 교량벽체(2)를 결합하도록 상기 교량벽체(2)의 상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멘교량으로서;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는, 파형강판(10)과, 상기 파형강판(10)의 하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와, 상기 파형강판(10)의 상부에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12)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의 양단부는 파형강판(10)으로 양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단부의 파형강판(10)에는 수평하부판(13)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교량벽체(2)의 상면에는 주형받침(3)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양단부가 상기 주형받침(3)에 놓이도록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가 교량벽체(2) 사이에 거치되는데, 일측 교량벽체(2)에서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없는 고정단 형태로 주형받침(3)과 결합되어 있고, 타측 교량벽체(2)에서는 모서리부(6)의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는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 위에서 종방향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가동단 형태로 주형받침(3)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와 주형받침(3)은 모서리부(6)를 이루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량.
A bridge wall (2) construct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2); And an edge portion (6)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2) to couple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to the bridge wall (2);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integral with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the lower flange concrete 11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Consists of the upper flange concrete 12 is synthesized,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with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is coupled to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of both ends Have;
A mold support 3 is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all 2;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walls 2 so that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are placed on the mold support 3, in one side of the bridge wall 2, the corrugated steel sheet. The end of the composite girder 1 is coupled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fixed end which cannot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ld support 3, and in the other bridge wall 2, the concrete of the edge 6 is formed. Until the end is hardened,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engaged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allowing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ve the mold support 3;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s (1) and the mold support (3) is embedded in the concrete forming the corner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받침(3)은, 하판(31), 상판(32) 및 상기 하판(31)과 상판(32) 사이에서 일체로 존재하는 중간부(33)로 이루어지며;
일측 교량벽체(2)의 상면에서 상기 주형받침(3)의 상판(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이 상판(32) 위에 놓인 상태에서, 볼트부재(23)가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너트(22)로 체결됨으로써,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고정단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 교량벽체(2)의 상면에서 상기 주형받침(3)의 상판(32)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수평하부판(13)에 형성된 관통공이나 상판(32)에 형성된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또는 두 개의 관통공 모두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수평하부판(13)이 상판(32) 위에 놓이면, 볼트부재(23)가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너트(22)로 체결됨으로써, 볼트부재(23)가 상기 장공형태의 관통공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가동단 형태로 상기 파형강판 합성형 거더(1)의 단부가 주형받침(3)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량.
The method of claim 3,
The mold support (3) consists of a lower plate (31), an upper plate (32) and an intermediate portion (33) integrally present between the lower plate (31) and the upper plate (32);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f the mold support 3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bridge wall 2, and through-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respec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with the through holes facing each other, the bolt member 2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nut 22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like girder 1 is coupled to the mold support 3 in a fixed end form by fastening with a screw);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f the mold support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bridge wall 2, and the through-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composite girder 1,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r one of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32 or both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is When the horizontal lower plate 13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placed on the upper plate 32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the bolt member 2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fastened to the nut 22 to thereby form the bolt member (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composite girder (1) is combined with the mold support (3) in the form of a movable end 23 is movable in the through-hole of the long hole form.
KR1020120117111A 2012-10-22 2012-10-22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243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11A KR101243777B1 (en) 2012-10-22 2012-10-22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111A KR101243777B1 (en) 2012-10-22 2012-10-22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777B1 true KR101243777B1 (en) 2013-03-25

Family

ID=4818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11A KR101243777B1 (en) 2012-10-22 2012-10-22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77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23B1 (en) * 2013-11-25 2014-04-29 주식회사 노빌테크 Rahmen bridge to reduce negative mo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58929B1 (en) * 2015-09-03 2016-09-22 (주)지아이건설 Precast box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72933B1 (en) * 2015-12-09 2016-11-04 (주)지아이건설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31025B1 (en) * 2016-06-08 2017-04-27 주식회사 삼원씨엔이 Combination Structure for Abutment
KR101892073B1 (en) * 2018-01-03 2018-08-28 박영호 Composite Structure Rahmen using Steel Pi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565A (en) * 2010-08-23 2012-03-05 권오근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psc beam using secondary tend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30968B1 (en) 2011-09-23 2012-03-28 신특수건설(주) The fixing structre using girder for rahmen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565A (en) * 2010-08-23 2012-03-05 권오근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psc beam using secondary tend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30968B1 (en) 2011-09-23 2012-03-28 신특수건설(주) The fixing structre using girder for rahmen brid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23B1 (en) * 2013-11-25 2014-04-29 주식회사 노빌테크 Rahmen bridge to reduce negative mo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658929B1 (en) * 2015-09-03 2016-09-22 (주)지아이건설 Precast box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72933B1 (en) * 2015-12-09 2016-11-04 (주)지아이건설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31025B1 (en) * 2016-06-08 2017-04-27 주식회사 삼원씨엔이 Combination Structure for Abutment
KR101892073B1 (en) * 2018-01-03 2018-08-28 박영호 Composite Structure Rahmen using Steel Pi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27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rhamen bridge
KR101178876B1 (en) Prestressed composit rahmen bridge construdtion method
JP5945418B2 (en) How to build a box girder bridge
KR100808057B1 (en)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07300B1 (en) Steel plate shear wall
KR101012759B1 (en) Box Girder Having Hybrid Cantilever and Bridge Using Such Box Girder
KR101243777B1 (en)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728106B1 (en) Cantilever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 bridg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169460B1 (en) Box girder inbased footing member to inner box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70733B1 (en)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Integrated with Steel De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uch Girder
KR100974305B1 (en) Continuous beam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multi-span
KR101264577B1 (en) Steel frame concre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004053A (en) Precast deckplate for composite slab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04966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nfine concrete member of steel plate girder with reinforced bending moment
KR100870068B1 (en)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KR20080093261A (en) Composite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200406615Y1 (en) T shape precast concrete panel
KR100621928B1 (en) Construction method of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railway bridge with precast concrete panels
KR100634344B1 (en) Composite slab and the joint structure
KR101232329B1 (en) Integra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rched and concrete-filled tube
KR20090075484A (en) Preflex composite girder bridge coupled width composite girder and method thereof
KR100894650B1 (en) Rahmen bridge with preflexion lo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09007287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additional prestress introduced by H-beam and steel plate
KR2013009070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20050080092A (en) Partial embedded composite bottom plate system using perforated steel sheet as shea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