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87B1 -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87B1
KR101243487B1 KR1020100079406A KR20100079406A KR101243487B1 KR 101243487 B1 KR101243487 B1 KR 101243487B1 KR 1020100079406 A KR1020100079406 A KR 1020100079406A KR 20100079406 A KR20100079406 A KR 20100079406A KR 101243487 B1 KR101243487 B1 KR 10124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phosphate
clay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888A (ko
Inventor
신원식
박준형
박혜옥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4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중금속 흡착 능력이 개선된 철 또는 망간 산화물 개질 점토 및 인산염계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A method of adsorbing and immobillizing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oil using modified clays and phosphates}
본 발명은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중금속 흡착 능력이 개선된 철 또는 망간 산화물 개질 점토 및 인산염계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의 오염은, 폐유의 무단방류 및 사고에 의한 유출, 폐광에서의 중금속의 지하수 유입, 소각장 및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나오는 다이옥신의 강우에 의한 지표수 흡수 그리고 매립장의 침출수에 의하여,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금속은 유해 유기물과는 달리 토양에 유입되면 자연적으로 처리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토양 내에 잔존하게 된다. 토양에 존재하는 많은 중금속들은 토양 내의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용해도가 낮은 상태로 존재하여 주변 환경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주변의 생태계에 있어 장기적인 누출에 의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을 처리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토양세척, 식물정화, 고형화/안정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토양세척의 경우 세척용액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며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식물정화법의 경우 오염물의 농도에 따른 식물의 적용이 제한되고 정기적으로 식물을 제거해야 하며 먹이사슬을 통해 생태계 오염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고, 고형화/안정화의 경우 토양 내 독성이 잠재적으로 남아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인산염 용액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제 10-2003-0021646호), 환경 유해 유기물의 선택적 흡착 및 여과, 촉매제로의 응용이 가능한 다공성 가교화 점토의 제조 방법(대한민국 특허 제 10-2000-0010120호), 환경에 유해한 금속이온을 제오라이트류(zeolite), 고토소석회(Ca(OH)2.Mg(OH)2) 등을 토양 속에 넣어 신광물상으로 전환시켜 오염토양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제 10-2004-0025437호), 다수의 안정화 제재의 조합을 통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안정화 처리 방법(대한민국 특허 제 10-2009-0129847), 인산염과 초음파를 이용한 중금속의 고정화 방법(대한민국 특허 제 10-2009-0127550)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인산염계 유리를 이용한 납 오염토양 및 지하수 정화에 대한 연구(Cho et. al., 대한환경공학회춘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 초록집, 1998), 중금속 오염토양에 대한 액상인산염 복원기술의 적용성 평가(Lee et. al., 한국페기물학회지, 제21권 제7호, 2004), 액상 인산염을 이용한 납 오염 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Jang et. al.,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등과 같은 연구에서 토양 내 중금속이 인산과 화학적으로 결합을 하여 불용성의 하이드록시파이로모르파이트(hydroxypyromorphite)를 형성하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산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에 대한 고정화 처리의 경우 오염물질의 깊이에 따라 적용의 제한과 높은 처리 비용 및 안정적인 처리를 위한 소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개질점토를 이용한 흡착처리의 경우 대부분이 대기오염물질 처리나 페놀과 같은 유기오염물질의 처리에 국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하던 중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중금속 흡착 능력이 개선된 철 또는 망간 산화물 개질 점토를 처리함으로써 이동성이 큰 중금속을 흡착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인산염계 화합물을 추가로 처리함으로써 중금속 고정화를 이루어 중금속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중금속 흡착 능력이 개선된 철 또는 망간 산화물 개질 점토 및 인산염계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중금속 흡착 능력이 개선된 철(Fe) 산화물 또는 망간(Mn) 산화물로 개질된 개질 점토를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과 혼합하여 상기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개질 점토와 함께 인산염계 화합물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의 제거 효율이 현저히 상승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질 점토"란, 천연 점토를 표면 개질제로 개질시켜 중금속에 대한 흡착용량을 개선시킨 점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개질 점토는 물 속에서 팽창하며, 양이온에 대한 흡착능과 이온교환성, 흡수성이 크고 표면적이 넓어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점토를 표면전하가 큰 금속산화물인 철(Fe) 또는 망간(Mn) 산화물을 이용하여 개질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질된 점토는 중금속에 대한 흡착 용량이 개선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중금속의 흡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토로는 규조토(diatoma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제올라이트(zeolite), 스멕타이트(smectite), 필로실리케이트(phyllosilica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할로사이트로(halloysite) 운모(mica), 백운모(muscovite), 파라고나이트(paragonite), 디카이트(dickite), 내크라이트(nacrite), 핼로이사이트(halloysite), 안티코라이트(antigorite), 크리소타일(chrysotile), 헥토라이트(hectorite), 클린토나이트(clintonite), 돈바사이트(donbassite), 쿡케이트(cookeite), 실리카(silica)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토의 구체적인 예로 점토의 구조적 차이를 가지는 규조토(diatomate)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를 각각 표면 개질제로서 철(Fe) 산화물 또는 망간(Mn) 산화물로 개질하여 사용하였다. 규조토는 비정질의 비결정 구조를 가진 천연 점토이며 몬모릴로나이트는 2:1 판상 구조를 가지는 스멕타이트(smectite)계 천연 점토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상기 개질 점토로는 망간(Mn)으로 개질된 비결정 구조의 규조토가 오염 토양 내 중금속 제거 효율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질 점토는 바람직하기로는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만일 개질 점토가 0.1 중량부보다 적게 혼합되면 중금속 제거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10 중량부보다 많이 혼합되더라도 중금속 제거 효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질 점토는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128 mg as P/g 인산염계 화합물 이상인 인산염계 화합물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원활한 공급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상업용 비료로서, 수용성 인산으로 비료 내 인의 함량이 128 mg as P/g 인산염계 화합물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사용 가능한 인산염계 화합물로는 디암모늄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폐인산, K3PO4, K2PO4, KH2PO4, CaHPO4, FeH2PO4, FeHPO4, AlH2PO4, AlHPO4, Na2HPO4, NaH2PO4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로 디암모늄 포스페이트(diammonium phosphate, DAP)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3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을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험예를 통해 개질 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중금속 제거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중금속 흡착 능력이 개선된 철 또는 망간 산화물 개질 점토를 처리함으로써 이동성이 큰 중금속을 흡착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인산염계 화합물을 추가로 처리함으로써 중금속 고정화를 이루어 중금속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몬모릴로나이트의 개질 전후 표면 형태 변화를 보여주는 SEM 분석 결과이다. 이때 (a)는 개질 전의 Montmorillonite, (b)는 Fe-Montmorillonite, (c)는 Mn-Montmorillonite이다.
도 2는 규조토의 개질 전후 표면 변화를 보여주는 SEM 분석 결과이다. 이때 (a)는 개질 전의 Diatomite, (b)는 Fe-Diatomite, (c)는 Mn-Diatomite이다.
도 3은 몬모릴로나이트의 개질 점토에 대한 Pb 흡착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규조토의 개질 점토에 대한 Pb 흡착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인산염(DAP)을 이용한 Pb 고정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개질점토 Mn-Diatomite와 인산염(DAP)을 혼합한 시료에 대한 중금속 흡착 및 고정화 후 용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a)는 DAP 0.0039 g을 처리한 경우, (b)는 DAP 0.0077 g, (c)는 DAP 0.0155 g, (d)는 DAP 0.0310 g을 각각 처리한 경우이다. 아울러, Fraction 1(exchangeable)은 양이온교환에 의한 흡착에 대한 것으로 중금속의 이동성과 생이용성이 가장 큰 단계이고, Fraction 2(carbonate)는 무기탄소와의 결합에 의한 Me(CO3)의 형성에 대한 것으로 Fraction 2에서의 중금속은 탄산염과 결합하여 침전된 상태를 의미하며, Fraction 3(reducible)은 Metal oxide(Iron, manganese oxide)와의 결합에 대한 것으로 중금속이 광물의 결정성 격자(crystalline lattice) 내에 존재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상태이며, Fraction 4(organic material)는 토양내 존재하는 biomass, humic substance와 결합된 부분을 의미하며, Fraction 5(residual)는 토양내 존재하는 phosphate, sulfur, hydroxide 등과 결합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7은 개질점토인 Mn-Diatomite와 인산염(DAP)을 이용하여 Pb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후 Pb 오염 토양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철 산화물로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제조
먼저, FeCl3(7.8g/L, 28mmol/L)와 FeSO4(3.9g/L, 14mmol/L)의 혼합용액 400 ml에 15g의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를 넣고 NaOH(100ml, 5M)를 공급하여 산화철(Iron oxide)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때 산화철(Iron oxide)의 입자 하나하나가 독립적으로 합성되도록 교반하였으며, 충분하게 반응이 진행되도록 수산화나트륨(NaOH)은 느린 속도(0.8 ml/min)로 공급하였다. 제조된 Fe-Montmorillonite는 Montmorillonite/Iron oxide의 무게비로 1:1에 해당하는 양이며, Fe-Montmorillonite는 공기 중에서 충분히 산화시키고 60℃에서 건조한 후 유리병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망간 산화물로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의 제조
표면 개질제로 FeCl3와 FeSO4 대신 MnCl2 (5.6g/L, 28mmol/L)와 MnSO4 (2.4g/L, 14mmol/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Mn-Montmorillonit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철 산화물로 개질된 규조토의 제조
천연 점토로 몬모릴로나이트 대신 규조토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Fe-Diatomit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망간 산화물로 개질된 규조토의 제조
표면 개질제로 FeCl3와 FeSO4 대신 MnCl2 (5.6g/L, 28mmol/L)와 MnSO4 (2.4g/L, 14mmol/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Mn-Diatomite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제조
자연 토양 50g에 PbNO3(Aldrich Chemical Co, >98%) 1500ppm을 투입하여 25℃에서 200rpm으로 3일간 인공적으로 오염시켜 Pb 인공오염 토양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개질점토의 표면 형태 변화 조사
개질 전의 몬모릴로나이트와 규조토의 표면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같이 개질된 개질 점토의 표면의 형태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천연 점토와 개질 점토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몬모릴로나이트의 개질 전후 표면 형태 변화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규조토의 개질 전후 표면 변화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a)는 개질 전의 Montmorillonite, (b)는 Fe-Montmorillonite, (c)는 Mn-Montmorillonite이며, 도 2에서 (a)는 개질 전의 Diatomite, (b)는 Fe-Diatomite, (c)는 Mn-Diatomite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개질 후 산화물의 형성으로 인하여 몬모릴로나이트 및 규조토의 표면적이 더욱 넓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개질점토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 효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개질점토를 이용하여 중금속 수용액에서 중금속 흡착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Pb 오염토양 1g에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Fe-Montmorillonite, Mn-Montmorillonite, Fe-Diatomite, Mn-Diatomite를 각각 약 0.05 g씩 각각의 50ml vial에 담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수분함량이 50%가 되도록 MES((2-N-Morpholino)Ethanesulphonic Acid) buffer를 이용하여 제조한 pH 완충용액을 주입하여 중금속을 고정화 시켰다. 고정화 실험 후 시료를 원심분리(2,000 rpm, 20 min)시킨 후 0.2 μm cellulose nitrate membrane filter(Whatman)를 이용하여 상등액의 입자성 물질과 용존성 물질을 분리하고 일정하게 희석시킨 후 원자흡수분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AS)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3 내지 도 4에 몬모릴로나이트 및 규조토 각각의 개질 점토에 대한 Pb 흡착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천연 점토에 비해 철 산화물 또는 망간 산화물로 개질된 개질 점토에서 중금속 흡착량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하기 표 1에 개질 전후의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와 규조토(Diatomite)의 중금속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개질점토의 Pb 최대 흡착량
최대흡착량 규조토 Fe-
diatomite
Mn-
diatomite
몬모릴로나이트 Fe-
montmorillonite
Mn-
montmorillonite
mmol/g 0.0248 0.45 1.07 0.233 0.329 0.178
mg/g 5.13 93.2 221.69 47.67 68.17 148.76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Fe와 Mn으로 개질 후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와 규조토(Diatomite)의 최대 흡착량은 mg/g 기준으로 Mn으로 개질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의 경우 약 3배 이상, 규조토(Diatomite)의 경우 약 40배 이상으로 향상되었으며 Fe로 개질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의 경우 약 18배 이상, 규조토(Diatomite)의 경우 약 1.4배 정도 향상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고정화 효율 측정
인산염계 화합물로서 디암모늄 포스페이트(DAP)를 이용하여 중금속 수용액에서 중금속 고정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1g에 DAP(Diammonium phosphate)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농도별로 50ml vial에 담고 Tumbler(20℃, 10 rpm)에서 24시간 동안 고정화 시켰다. 이때 수분함량이 50%가 되도록 MES((2-N-Morpholino)Ethanesulphonic Acid) buffer 용액을 주입하였다. 고정화 실험 후 시료를 원심분리(2,000 rpm, 20 min) 시킨 후 0.2 μm cellulose nitrate membrane filter(Whatman)를 이용하여 상등액의 입자성 물질과 용존성 물질을 분리하고 일정하게 희석시킨 후 원자흡수분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AS)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구분(DAP mmol) 중금속오염토양(g)  DAP(g)
0 1 0
16 1 0.0039
32 0.0077
64 0.0155
128 0.0310
도 5에 인산염(DAP)을 이용한 Pb 고정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5를 통해, 인산염을 처리한 경우 중금속인 납(Pb)이 고정화되어 토양 시료로부터 중금속 용출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 및 고정화 복합 효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로서 디암모늄 포스페이트(DAP)를 이용하여 중금속 수용액에서 중금속 흡착 및 고정화 효율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3과 같이 중금속 오염 토양에 개질점토로서 상기 실험예 2에서 흡착 능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난 개질 점토 Mn-Diatomite와 DAP(Diammonium phosphate)를 각각의 50ml vial에 담고 상기 실험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금속 흡착 및 고정화 실험 후 용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분 중금속오염토양(g) Mn-Diatomite(g)  DAP(g)
(a) 1 0.05 0.0039
(b) 0.0077
(c) 0.0155
(d) 0.0310
도 6은 개질점토 Mn-Diatomite와 인산염(DAP)을 혼합한 시료에 대한 중금속 흡착 및 고정화 후 용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질점토와 인산염(DAP)을 혼합하여 주입한 경우 중금속 용출시 개질점토만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과 인산염(DAP)만을 이용한 중금속 고정화 처리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중금속 처리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7은 개질점토인 Mn-Diatomite와 인산염(DAP)을 이용하여 Pb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후 Pb 오염 토양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통해, 중금속 오염 토양에 대해 개질점토와 인산염을 이용한 흡착 및 고정화 처리 시에도, 인산염만을 이용한 고정화 처리 시와 같이, 불용성의 hydroxypyromorphite를 형성하게 되어 중금속의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철 산화물 또는 망간 산화물을 포함한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처리는 개질점토만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 혹은 인산염계 화합물만을 이용한 중금속 고정화 효율 보다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오염된 토양 내 중금속 처리에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철(Fe) 산화물 또는 망간(Mn) 산화물로 개질된 개질 점토 및 128 mg as P/g 인산염계 화합물 이상인 인산염계 화합물을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과 혼합하여 상기 오염 토양 내 중금속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규조토(diatoma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제올라이트(zeolite), 스멕타이트(smectite), 필로실리케이트(phyllosilica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카올리나이트(kaolinite), 할로사이트로(halloysite) 운모(mica), 백운모(muscovite), 파라고나이트(paragonite), 디카이트(dickite), 내크라이트(nacrite), 핼로이사이트(halloysite), 안티코라이트(antigorite), 크리소타일(chrysotile), 헥토라이트(hectorite), 클린토나이트(clintonite), 돈바사이트(donbassite), 쿡케이트(cookeite), 실리카(silica) 또는 이들의 조합인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규조토 또는 몬모릴로나이트인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점토는 망간(Mn)으로 개질된 규조토인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점토는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 점토는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로 혼합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디암모늄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폐인산, K3PO4, K2PO4, KH2PO4, CaHPO4, FeH2PO4, FeHPO4, AlH2PO4, AlHPO4, Na2HPO4, NaH2PO4 또는 이들의 조합인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계 화합물은 오염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중금속 오염 토양의 처리 방법.
KR1020100079406A 2010-08-17 2010-08-17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KR10124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06A KR101243487B1 (ko) 2010-08-17 2010-08-17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06A KR101243487B1 (ko) 2010-08-17 2010-08-17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88A KR20120016888A (ko) 2012-02-27
KR101243487B1 true KR101243487B1 (ko) 2013-03-13

Family

ID=4583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406A KR101243487B1 (ko) 2010-08-17 2010-08-17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36B1 (ko) * 2012-11-20 2013-1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격장 내 화약류 및 중금속 이동성 저감을 통한 오염토양 처리방법
KR101348806B1 (ko) * 2013-08-19 2014-01-29 김영선 간척지 또는 염해지의 토양 개질 방법
WO2015108347A1 (ko) * 2014-01-20 2015-07-2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팽창질석을 이용한 중금속 흡착 제거 방법
CN106315909B (zh) * 2015-06-29 2019-12-3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去除冷轧稀碱废水中cod和铁、镍两种重金属的装置和方法
KR101951093B1 (ko) * 2016-11-18 2019-05-1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As(V)의 제거를 위한 Fe-Sericite 가교 비드 및 그의 제조 방법
RU2675866C1 (ru) * 2018-03-14 2018-12-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ИУ "БелГ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сорбента
CN108976074A (zh) * 2018-06-30 2018-12-11 浙江瑞美生态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重金属钝化修复剂及其修复方法
CN109135753B (zh) * 2018-07-12 2021-09-03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锰污染土壤治理的修复药剂及其修复方法
CN109499523B (zh) * 2018-11-28 2021-11-05 北京工业大学 一种FeOOH/MnO2@硅藻土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9809949A (zh) * 2019-04-04 2019-05-28 贵州净界科技有限公司 用于修复锰污染土壤的肥料及其制备方法
KR102359809B1 (ko) * 2020-08-13 2022-02-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중오염물질 흡착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7722B1 (ko) * 2021-08-19 2023-07-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릴산 개질 점토광물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25793B1 (ko) * 2022-04-13 2022-07-27 박기호 천연광물 루미라이트 생태 복원제 및 제조방법
CN114702962B (zh) * 2022-04-24 2023-11-03 广东省地质实验测试中心 一种铁基改性纳米羟基磷灰石材料及其制备方法与在Cd污染土壤修复中的应用
CN115155516B (zh) * 2022-09-09 2022-11-22 淄博正河净水剂有限公司 重金属废水吸附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996B1 (ko) * 1996-05-30 1999-10-15 조재연 점토광물을 이용한 중금속 처리용 흡착제 및 그이 제조방법
KR20040087629A (ko) * 2003-04-07 2004-10-15 이의상 액상 인산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복원방법
KR20090127550A (ko) * 2008-06-09 2009-12-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산염과 초음파를 이용한 중금속의 고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996B1 (ko) * 1996-05-30 1999-10-15 조재연 점토광물을 이용한 중금속 처리용 흡착제 및 그이 제조방법
KR20040087629A (ko) * 2003-04-07 2004-10-15 이의상 액상 인산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복원방법
KR20090127550A (ko) * 2008-06-09 2009-12-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산염과 초음파를 이용한 중금속의 고정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산염계 화합물과 개질점토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고정화, 금오공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박준형, 2005.06.) *
인산염계 화합물과 개질점토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고정화, 금오공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박준형, 2005.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88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487B1 (ko) 개질점토와 인산염계 화합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의 흡착 및 고정화 처리 방법
Huang et al. Remediation of lead-contaminated sediment by biochar-supported nano-chlorapatite: Accompanied with the change of available phosphorus and organic matters
Arif et al. Synthesis, characteristics and mechanistic insight into the clays and clay minerals-biochar surface interactions for contaminants removal-A review
Monda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removal of arsenic using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easily available waste materials
Biswal et al. Biochar-based bioretention systems for removal of chemical and microbial pollutants from stormwater: A critical review
Liu et al. A critical review of biochar-based materials for the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environment: Applications and practical evaluations
Vareda et al. Heavy metals in Iberian soils: Removal by current adsorbents/amendments and prospective for aerogels
Wang et al. Stabilization of an elevated heavy metal contaminated site
Nzihou et al. Role of phosphate in the remediation and reuse of heavy metal polluted wastes and sites
O'Day et al. Mineral-based amendments for remediation
Zhang et al. Mineral materials as feasible amendments to stabilize heavy metals in polluted urban soils
CN106903158B (zh) 一种土壤氧化-固化稳定化修复药剂及其使用方法
Moghal et al. Sorptive response of chromium (Cr+ 6) and mercury (Hg+ 2)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chemically modified soils
Ma et al. Investigation of an eco-friendly aerogel as a substrate for the immobilization of MoS2 nanoflowers for removal of mercury species from aqueous solutions
Brown et al.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on pillared montmorillonite with a grafted chelate ligand
Jing et al. Insight into the co-adsorption behaviors and interface interactions mechanism of chlortetracycline and lead onto struvite loaded diatomite
Rivera et al. Removal of chromate anions and immobilization using surfactant-modified zeolites
Marszałek et al. Simultaneous adsorp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micropollutants from rainwater by bentonite and bentonite‑carbon nanotubes composites
Cui et al. Heavy metal stabilization remediation in polluted soils with stabilizing materials: a review
Peng et al. Heavy metal leachability in soil amended with zeolite-or biochar-modified contaminated sediment
Usman et al. Recent trends in the use of fly ash for the adsorption of pollutants in contaminated wastewater and soils: Effects on soil quality and plant growth
Yang et al. Capture and recover dissolved phosphorous from aqueous solutions by a designer biochar: Mechanism and performance insights
Es-saidi et al. Characterization and valorization of natural phosphate in removing of heavy metals and toxic organic species from water
Dong et al. A Review of modified clay minerals for thallium absorption from aqueous environment: preparation, application, and mechanism
El-Denglawey et al. Tertiary nanocomposites of metakaolinite/Fe3O4/SBA-15 nanocomposite for the heavy metal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