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81B1 -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 - Google Patents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81B1
KR101243481B1 KR1020107006676A KR20107006676A KR101243481B1 KR 101243481 B1 KR101243481 B1 KR 101243481B1 KR 1020107006676 A KR1020107006676 A KR 1020107006676A KR 20107006676 A KR20107006676 A KR 20107006676A KR 101243481 B1 KR101243481 B1 KR 10124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spray nozzle
obstacle
spinnere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903A (ko
Inventor
아키미츠 긱카와
요시오 와타나베
다카히로 이시하라
다카후미 아네자키
다츠키 엔도
Original Assignee
야마토 프로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프로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프로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저압의 소화액을 안개형상으로 한다. 소화용 분무 노즐(10)은 본체(30)와, 장애물(36)을 구비한다. 본체(30)는 소화액의 방사구(40)를 갖는다. 장애물(36)은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되는 소화액의 방사영역(102)내에 배치된다. 장애물(36)의 외주면은 뿔체형상의 경사면(62)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되어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 중인 소화액(70)과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되어 경사면(62)으로부터 반사되어 온 소화액(72)이 충돌해서 소화액의 안개(74)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안개(74)를 생성시킬 때,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되는 소화액의 압력은 저압이어도 좋다. 그 결과, 저압의 소화액을 안개형상으로 하는 소화용 분무노즐(10)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FIRE-EXTINGUISHING SPRAY NOZZLE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저압의 소화액을 안개형상으로 할 수 있는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노즐 헤드를 개시한다. 이 노즐 헤드는 2개 이상의 노즐 팁을 헤더 본체에 부착한 노즐 헤드이다. 이 노즐 팁은 미세한 물의 안개를 동일 방향으로 방사한다. 이 노즐 팁은 분출구가 헤더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10㎜이상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노즐 헤드에 의하면, 안개의 사정거리를 늘릴 수 있고, 안개에 의해 싸이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또한 노즐 헤드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2는 소화용 노즐을 개시한다. 이 소화용 노즐은 유체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체실은 액체 입구와, 기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갖는다. 이 유체실은 복수의 소실(小室)로 나누어져 있다. 이들 소실은 액체 입구와 기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개별적으로 갖는다. 이들 소실에는 유체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유체 제어장치는 그 소실에 도입된 액체를 유체 출구로부터 확산상태로 분출시킨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소화용 노즐에 의하면, 초기 소화를 넓은 범위에서 실행할 수 있고, 또한 화재 발생 초기에 있어서, 초기 소화에 유효한 분무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은 액체 분무 노즐을 개시한다. 이 액체 분무 노즐은 돔형상의 움푹패임부와, 움푹패임부의 선단부에 교차하는 잘라냄 홈을 갖는다. 이 잘라냄 홈은 관축으로부터 상측에 어긋나게 해서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액체 분무 노즐에 의하면, 수평으로 부착되었을 때에도 액체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특허문헌 4는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을 개시한다. 이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에 있어서, 급수용의 주배관에 접속되는 보조배관은 가요성<플렉시블>을 갖는 합성수지관을 이용하여 루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루프형상의 보조배관에 합성수지제의 분수용 헤더가 직렬로 개재되어 있다. 합성수지제의 분수용 헤더는 분기 접속부를 복수 개소에 갖는다. 분기 접속부는 합성수지제의 가요관과 연통된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은 시공 현장에 용이하게 반송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336370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7883호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9-988호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0-314332호
그러나,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안개를 방사하기 위해 공급하는 액체의 압력을 비교적 높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의 경우, 액체의 압력을 8MPa 정도로 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발명에 이르러서는 안개를 방사하는 것에 관한 개시도 시사도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그 목적은 저압의 소화액을 안개형상으로 하는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임의의 국면에 따르면, 소화용 분무 노즐(10)은 본체(30)와, 장애물(36)을 구비한다. 본체(30)는 소화액의 방사구(40, 41)를 갖는다. 장애물(36)은 이 방사구(40, 41)로부터 방사되는 소화액을 충돌시키기 위한 것이다. 장애물(36)은 이 방사구(40, 41)로부터 방사되는 소화액의 방사영역(102) 내에 배치된다. 장애물(36)의 외주면은 뿔체 형상의 경사면(62)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장애물(36)이 지지부(32)를 통해 본체(3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술한 지지부(32)는 적어도 장애물(36)과 대향하는 위치에 지주(52)를 갖고, 이 지주(52)의 장애물(36)의 대향부분(56)이 테이퍼 형상(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사구(40, 41)로부터 방사되어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 중인 소화액(70)과 방사구(40, 41)로부터 방사되어 경사면(62)으로부터 반사해 온 소화액(72)이 충돌해서 소화액의 안개(74)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안개(74)를 생성시킬 때, 방사구(40, 41)로부터 방사시키는 소화액의 압력은 저압이어도 좋다. 그 결과, 저압의 소화액을 안개형상으로 하는 소화용 분무 노즐(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장애물(36)은 경사면(62)에 부가하여, 홈(6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화설비에는 상술한 노즐의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는 저압의 소화액을 안개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화살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에 있어서 방사구로부터 방사된 소화액이 안개가 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살포각과 소화용 분무 노즐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을 나타내는 제1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살포각과 소화용 분무 노즐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을 나타내는 제2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A화살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B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있어서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 소화액이 안개가 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살포각과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을 나타내는 제1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있어서의 살포각과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을 나타내는 제2의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을 「직하(直下) 살포량」이라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은 분수용 헤더(17)를 갖고 있다. 분수용 헤더(17)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체이다. 분수용 헤더(17)는 스트레이트형 이음매(18)로부터 유입된 물을 복수의 분수관(20)에 분수하거나, 분수 후의 잔여수를 보조 배관(16)에 유출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과 같이 주배관(15)에 접속되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보조배관(16)은 루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배관(16)의 루프형상은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이어도 원환형이어도 좋다. 이 보조배관(16)에는 폴리에틸렌관과 같은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관이 이용되고 있다. 분수용 헤더(17)는 보조배관(16)에 스트레이트형 이음매(18)를 통해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루프형상의 보조배관(16)에 직렬로 개재되어 있다. 스트레이트형 이음매(18)는 합성수지제이다.
분수관(20)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또, 모든 분수관(20)은 분수용 헤더(17)를 보조배관(16)에 접속 시공함에 앞서, 그 분기 접속부에 미리 공장에서 열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수관(20)으로서, 그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밀전<密栓>부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수관(20)을 미리 접속해 두면, 분수용 헤더(17)에 접속된 분수관(20)의 선단 개구가 그 밀전부에 의해서 수밀하게 막힌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낸 주배관(15)으로부터 분수용 헤더(17)에 이르는 배관계의 시공이 종료한 시점에서 그 수압시험을 실시할 때에, 그 시공의 종료시점에서 여분의 작업을 실행하는 일 없이 즉시 수압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수압시험을 실행한 후, 그 분수관(20)의 축방향의 원하는 개소를 절단해서 그 밀전부를 철거하면, 그 분수관(20)에 소화용 분무 노즐(10)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수용 헤더(17)에 접속된 복수의 분수관(20) 중의 일부의 것을 밀전부를 가진 채 남기고, 다른 분수관(20)에 대해서만 밀전부를 철거하여 가요관을 접속해 두도록 하면, 밀전부의 남아 있는 분수관(20)을, 사후적으로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설치 수를 증가시킬 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가요관에는 폴리에틸렌관과 같은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관이 채용된다. 분수관(20)과 그 가요관의 접속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스트레이트형 이음매를 이용해서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요관에는 내면 평활한 합성수지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관)을 이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하면, 1개의 분수용 헤더(17)에 다수의 가요관을 접속해도,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충분한 압력으로 충분한 배출수량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가요관이 경량이 되기 때문에 가요관을 접속하는 것에 의한 중량 부하를 그다지 의식할 필요가 없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은 본체(30)와, 지지부(32)와, 장애물(36)을 구비한다. 본체(30)는 방사구(40)를 갖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펌프로부터 공급된 소화액(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물)은 이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다. 방사된 소화액은 장애물(36)에 충돌하며, 안개(74)가 된다. 소화액이 안개(74)가 되는 원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지지부(3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부(32)는 빔(들보; beam)(50)과 지주(52)를 갖는다. 빔(50)은 장애물(36)이 고정되는 부재이다. 지주(52)는 본체(30)에 고정되며, 장애물(3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빔(5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주(52)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에 의해, 빔(50)은 양단 지지 빔으로 되어 있다. 지주(52)의 장애물(36)과 대향하는 대향부분(56)은 장애물(36)을 향해 뾰족해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장애물(3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장애물(36)은 대향면(60)과 경사면(62)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향면(60)은 방사구(40)의 중심축(100)의 연장선에 직교하고, 방사구(40)에 대향하는 평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향면(60)은 방사구(40)의 형상과 상사한다. 도 2 및 도 4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방사구(40)의 형상과 대향면(60)의 형상은 원형이다. 또, 대향면(60)의 중심축은 방사구(40)의 중심축(100)에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향면(60)의 직경(202)은 방사구(40)의 내경(200)의 90%이다. 또, 빔(50)과 경사면(62)의 접합부분(64)의 외경은 방사구(40)의 내경과 동등하다. 이 때문에, 장애물(36)은 방사영역(102)내에 배치되게 된다. 방사영역(102)은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 소화액이 통과할 영역을 의미한다. 도 5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영역(102)이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방사구(40)의 중심축(100)의 연장선을 회전축으로 하고, 방사구(40)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직선을 모선으로 하는 뿔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은 방사영역(102)에 포함된다고 고려해도 좋다.
한편, 도 2∼도 5에 있어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면(62)은 형상이 뿔체형상인 장애물(36)의 외주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장애물(36)의 형상은 뿔대형상이다. 즉, 뿔체의 꼭대기의 부분을 저면에 평행한 면에서 잘라낸 후에 남는 부분의 형상이다. 물론, 장애물(36)의 형상은 진짜 의미에서의 뿔체형상이어도 좋다.
도 6을 참조하면서,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 소화액이 안개(74)가 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 소화액의 일부가 대향면(60)에 충돌하여 반사된다. 이것이, 도 6에 있어서 대향면(60)으로부터 반사된 소화액(72)이다. 소화액의 다른 일부는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한다. 이것이 도 6에 있어서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하는 소화액(70)이다. 대향면(60)으로부터 반사된 소화액(72)은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하는 소화액(70)에 충돌한다. 충돌에 의해서,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하는 소화액(70)은 안개(74)가 되어 주위로 비산한다. 대향면(60)에 충돌한 소화액(72)도 안개(74)가 되어 주위로 비산한다.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 소화액의 일부는 장애물(36)의 경사면(62)에도 충돌하고, 반사된다. 이 경사면(62)으로부터 반사된 소화액(76)도,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하는 소화액(70)에 충돌한다. 충돌에 의해서, 장애물(36)의 주위를 통과하는 소화액(70)은 안개(74)가 되어 주위로 비산한다. 경사면(62)으로부터 반사한 소화액(76)도 안개(74)가 되어 주위로 비산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52)의 장애물(36)과 대향하는 대향부분(56)이 장애물(36)을 향해 뾰족해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성된 안개(74)는 지주(52)의 측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또,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안개(74)를 생성시키기 때문에, 중심축(100)의 연장선에 대한 대향면(60)의 각도는 반드시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이 각도는 다음에 설명하는 요건을 만족시키면 좋다. 그 요건은 안개(74)의 생성에 필요한 압력의 소화액이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되고, 대향면(60)에 충돌하며, 장애물(36)의 주위에 반사한다고 하는 현상이 대향면(60)상의 다음에 설명하는 복수의 점에 있어서 생긴다고 하는 요건이다. 그리고, 그 복수의 점은 중심축(100)의 연장선에 대해 서로 대칭인 점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은 방사구(40)로부터 방사된 소화액끼리가 충돌하는 것에 의해, 안개(74)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발생한 안개(74)는 불꽃에 의해서 가열되고 수증기가 된다. 그 수증기의 체적은 원래의 안개(74)의 체적에 비해 대폭 큰 것으로 된다. 그 수증기가 공중을 떠도는 것에 의해, 공기 중의 산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저하하게 된다. 산소 농도가 저하하는 결과, 산소 결핍 상태가 발생하므로, 그 안에서 가연물이 타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특히, 기름은 잘 타지 않게 된다.
소화를 위해서는 소화용 분무 노즐(10)로부터 살포된 안개(74)는 가능한 한 광범위, 또한 균일하게 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안개를 충분히 살포하는 것은 지금까지 그다지 용이하지 않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은 그 바로 아래에도 안개(74)를 충분히 살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방사구(40)의 내경에 대한 대향면(60)의 직경의 비율이 살포각과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에 주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것은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공급하는 소화액의 압력이 0.4MPa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그 압력이 1.0MPa의 경우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과 마찬가지의 구조로서 방사구(40)의 내경과 대향면(60)의 직경이 서로 다른 각종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대해 살포각과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의 살포량을 측정하여 얻은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결과에 의하면, 방사구(40)의 내경에 대한 대향면(60)의 직경의 비율이「0.9」이하인 경우,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공급하는 소화액의 압력을 올림으로써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살포되는 소화액의 양은 증가한다고 고려된다. 한편, 그 비율이「1」을 넘는 경우,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공급하는 소화액의 압력을 올려도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살포되는 소화액의 양은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비율을「0.9」이하로 함으로써, 소화용 분무 노즐(10)의 바로 아래에 소화액을 충분히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고려된다.
또, 도 7 및 도 8은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공급하는 소화액의 압력이 살포각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고 고려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그 압력이 달라도 살포각에 차이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방사구(40)의 내경에 대한 대향면(60)의 직경의 비율이「0.9」에서「1.0」까지의 범위에 있는 임계값을 넘는지 넘지 않는지는 살포각에 영향을 준다고 고려된다. 도 7 및 도 8에 의하면, 방사구(40)의 내경에 대한 대향면(60)의 직경의 비율이「0.9」이하인 경우, 살포각은 π/3라디안∼π/2라디안이고, 이 비율이「1.0」을 넘는 경우, 살포각은 2π/3라디안∼5π/6라디안으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화용 분무 노즐(10)에 있어서, 대향면(60)의 직경은 방사구(40)의 내경의 90%이므로, 1.0MPa의 소화액을 공급하면 바로 아래에도 소화액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설계변경을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경사면(62)에 홈(63)을 설치해도 좋다. 도 9는 경사면(62)에 홈(63)을 마련했을 때의 소화용 분무 노즐의 정면도이다. 대향면(60)과 경사면(62)의 경계에 라운드(65)를 마련해도 좋다. 도 10은 그와 같은 라운드를 마련했을 때의 소화용 분무 노즐의 정면도이다.
또, 방사구(40)의 내경에 대한 대향면(60)의 직경의 비율은「0.9」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체(30)는 원형의 방사구(40) 대신에, 원형과는 다른 형태의 방사구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장애물(36)은 원형의 대향면(60) 대신에, 그 밖의 형태의 대향면을 가져도 좋다. 도 11은 본체(30)가 삼각형의 방사구(41)를 갖고, 장애물(36)이 삼각형의 대향면(61)을 갖는 경우의 소화용 분무 노즐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경우, 대향면(61)의 중심축과 방사구(41)의 중심축은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물론, 그들이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 대향면의 형상과 방사구의 형상은 상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10; 소화용 분무 노즐 15; 주배관
16; 보조배관 17; 분수용 헤더
18; 스트레이트형 이음매 20; 분수관
30; 본체 32; 지지부
36; 장애물 40, 41; 방사구
50; 빔 52; 지주
56; 대향부분 60, 61; 대향면
62; 경사면 63; 홈
64; 접합부분 65; 라운드
70, 72, 76; 소화액 74; 안개
100; 중심축 102; 방사영역
200; 내경 202; 직경
204, 208; 폭 206, 210; 길이

Claims (5)

  1. 소화액의 방사구를 갖는 본체와, 이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소화액을 충돌시키는 장애물을 구비하는 소화용 분무 노즐로서,
    상기 장애물은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소화액의 방사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장애물의 외주면은 뿔체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상기 장애물을 고정하는 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장애물과 대향하는 위치에 지주를 갖고, 이 지주의 상기 장애물과의 대향부분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분무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은 상기 경사면에 부가하여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분무 노즐.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소화용 분무 노즐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
KR1020107006676A 2008-06-16 2008-06-16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 KR101243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0953 WO2009153848A1 (ja) 2008-06-16 2008-06-16 消火用噴霧ノズルおよび消火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903A KR20100047903A (ko) 2010-05-10
KR101243481B1 true KR101243481B1 (ko) 2013-03-13

Family

ID=4143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676A KR101243481B1 (ko) 2008-06-16 2008-06-16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81083A1 (ko)
EP (1) EP2289601B1 (ko)
JP (1) JPWO2009153848A1 (ko)
KR (1) KR101243481B1 (ko)
CN (1) CN101808696A (ko)
WO (1) WO20091538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19B1 (ko) * 2018-11-27 2019-08-05 (주)창연 난반사형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무화 분무노즐
KR20190125235A (ko) 2019-09-19 2019-11-06 거림소방(주) 표준 모듈화된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7999B2 (ja) * 2010-06-29 2012-05-09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液体噴霧ノズルおよび液体噴霧システム
DK2696940T3 (da) 2011-04-12 2020-06-15 Prevent System As En brandslukningsdyse, en fremgangsmåde til produktion af en sådan dyse, samt en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spray af fine smådråber
CN102284163B (zh) * 2011-07-11 2013-06-12 苏州辰泰鸿业安全技术有限公司 闭式中低压细水雾喷头
CN108031032A (zh) * 2017-12-07 2018-05-15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电力小微空间用灭火系统
JP7233677B2 (ja) * 2018-06-19 2023-03-07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噴霧ヘッド、及びその噴霧ヘッドを含む噴霧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144A (en) * 1994-05-18 1998-06-09 Lueddecke; Werner Sprinkler nozzle
KR100258013B1 (ko) * 1991-12-04 2000-06-01 괴란 순트홀름 소화용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4614A (en) * 1953-01-09 1955-11-22 Automatic Sprinkler Corp Spray sprinkler
US2862565A (en) * 1957-07-15 1958-12-02 Eugene J Dukes Automatic sprinkler
JPS5648288Y2 (ko) * 1977-06-20 1981-11-11
US4580729A (en) * 1985-01-22 1986-04-08 Grinnell Fire Protection Systems Co., Inc. Sprinkler head with improved spray uniformity
US5392993A (en) * 1994-01-21 1995-02-28 Grinnell Corporation, Fire protection nozzle
JP3567019B2 (ja) 1995-06-20 2004-09-15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液体噴霧ノズル
JP3498231B2 (ja) * 1996-07-03 2004-02-16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101912B2 (ja) 1997-05-16 2000-10-23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消火配管
US6098718A (en) * 1997-12-03 2000-08-08 Senju Sprinkler Company Limited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head
JPH11178947A (ja) * 1997-12-19 1999-07-06 Nippon Dry Chem Co Ltd 消火用ヘッド
US6059044A (en) * 1998-05-15 2000-05-09 Grinnell Corporation Fire protection sprinkler and deflector
JP2001252370A (ja) * 2000-03-14 2001-09-18 Nohmi Bosai Ltd 可変噴霧ノズル
JP4621337B2 (ja) 2000-07-05 2011-01-26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消火用ノズル及び消火方法
JP2002336370A (ja) 2001-05-16 2002-11-26 Yamato Protec Co 微細水噴射ノズルヘッダー
JP2003062108A (ja) * 2001-08-23 2003-03-04 Senju Sprinkler Kk 泡水溶液噴霧ヘッド
CA2458421C (en) * 2004-02-12 2009-06-30 The Viking Corporation Fast response sprinkler assembly for a fire extinguish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013B1 (ko) * 1991-12-04 2000-06-01 괴란 순트홀름 소화용 설비
US5762144A (en) * 1994-05-18 1998-06-09 Lueddecke; Werner Sprinkler nozz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19B1 (ko) * 2018-11-27 2019-08-05 (주)창연 난반사형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무화 분무노즐
KR20190125235A (ko) 2019-09-19 2019-11-06 거림소방(주) 표준 모듈화된 스프링클러 소화 배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903A (ko) 2010-05-10
JPWO2009153848A1 (ja) 2011-11-17
CN101808696A (zh) 2010-08-18
US20100181083A1 (en) 2010-07-22
EP2289601B1 (en) 2016-11-02
EP2289601A4 (en) 2015-02-18
EP2289601A1 (en) 2011-03-02
WO2009153848A1 (ja)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481B1 (ko)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
KR101237109B1 (ko) 소화용 분무 노즐 및 소화설비
RU2427402C1 (ru) Форсунка кочетова
RU2428235C1 (ru) Форсунка вихревая кочетова
US10286240B2 (en) Automatic nozzle for firefighting systems
US858446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combustor for a gas turbine
RU2370294C2 (ru) Головка, производящая водяной туман
JP2011163753A (ja) 燃料噴射装置ノズル
US5769327A (en) Nozzle for spreading water fog
JP2011163750A (ja) 燃料噴射装置ノズル
RU2401679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акустического типа
KR102540259B1 (ko) 소화기의 분사노즐 구조
RU2622793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распылитель кочетова
US20220088620A1 (en) Modular fluid spray nozz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203023B2 (en) Modular fluid spray nozz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7056401A (ja) ノズル
AU2014101199A4 (en) A nozzle
JP2002524222A (ja) 消火液を噴出させるための消火ノズルヘッド
RU2069106C1 (ru) Щелевая насадка
CN112057788A (zh) 翼形喷头以及变压器喷雾灭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