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51B1 -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51B1
KR101243451B1 KR1020110061102A KR20110061102A KR101243451B1 KR 101243451 B1 KR101243451 B1 KR 101243451B1 KR 1020110061102 A KR1020110061102 A KR 1020110061102A KR 20110061102 A KR20110061102 A KR 20110061102A KR 101243451 B1 KR101243451 B1 KR 10124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insert
wire
coupled
connec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548A (ko
Inventor
최현욱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엘이디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1006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4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2045/1454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injecting between inserts not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6Plugs, connector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커넥터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플러그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소켓커넥터에 삽입되는 평면형의 삽입부; 일정한 폭을 갖는 구리박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전단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접면토록 구비되며, 끝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ㄷ'자형의 접속편; 상기 접속편과 연결되되,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으로 결합되는 전선;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과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고 삽입부의 상하면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편을 분리하는 구분돌기;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로 플러그커넥터에 연결되는 전선이 분리되지 않는 동시에 사용시 발생하는 전기저항손실을 없애 플러그커넥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커넥터의 침수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A PLUG CONNECTER HAVING STUCTURE OF DOUBLE INJECTION MOLDING AND THE PROCESS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차량이나 조명기구 등 전기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사출구조를 갖고 형성되어 사용시 전기저항의 손실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er)는 전기 기구와 코드, 코드와 코드를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기구로써, 전기기기나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커넥터는 소켓(Socket)커넥터와 플러그(Plug)커넥터가 결합하여 조명등과 같은 전기기기에 전류를 연결시킨다.
소형의 커넥터에는 전선을 핀에 압착하는 것이 많으며, 비교적 큰 커넥터의 경우, 전선을 나사로 고정하거나 납땜으로 접합하는 형식이 있다.
커넥터는 소켓커넥터와 소켓커넥터에 삽입되는 플러그커넥터와 전류가 흐르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커넥터는 전선과 연결되는 구리와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속핀과 상기 접속핀과 전선이 연결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일정모양으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우징형을 실시하고 있다.
소형의 커넥터인 경우, 상기와 같은 하우징 대신 상기 접속핀을 감싸는 몸체를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하여 실시하는데 접속핀의 일단은 상기 소켓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구성하고 접속핀의 타단은 상기 전선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 노출되게 형성하여 실시하는 사출성형몸체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커넥터의 전선연결은 보통 상기 접속핀에 나사구멍을 형성한 후 나사를 조임으로써, 전선을 고정 및 연결하는 방식 과 상기 접속핀에 전선의 끝단을 납땜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플러그커넥터 중 나사를 이용한 전선연결방식의 경우는 사용횟수가 늘어날수록 결합관계가 느슨해지거나 분리되어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커넥터에 사용되는 나사연결구조의 경우, 사용시 상당한 양의 전기저항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속핀에 몸체를 사출성형한 후 후단에 돌출되는 접속핀에 전선을 납땜하여 사용하는 경우, 결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관계로 접속부를 감싸는 별도의 커버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커넥터는 접속핀과 전선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형의 경우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사출성형몸체형의 경우는 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관계로 각 결합구조의 틈새로 습기 또는 우수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여 플러그커넥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러그커넥터의 삽입부를 1차적으로 사출성형한 후 접속편을 조립하고 전선을 연결한 다음 그립부를 2차적으로 사출성형하여 접속편과 전선이 분리되지 않는 동시에 사용시 발생하는 전기저항손실을 없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를 2차적으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접속편과 전선이 연결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를 감싸는 별도의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침수까지 방지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켓커넥터에 삽입되는 평면형의 삽입부; 일정한 폭을 갖는 구리박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전단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접면토록 구비되며, 끝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ㄷ'자형의 접속편; 상기 접속편과 연결되되,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으로 결합되는 전선;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과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고 삽입부의 상하면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편을 분리하는 구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후단에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사출성형 된 후 삽입부와 상기 그립부와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결합홈;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의 전면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의 표면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소켓커넥터와 결합시 소켓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대응토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소켓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소켓커넥터의 일부분과 맞물려져 방수하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켓커넥터에 삽입되는 평면형의 삽입부; 일정한 폭을 갖는 구리박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전단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접면토록 구비되며, 끝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ㄷ'자형의 접속편; 상기 접속편과 연결되되,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으로 결합되는 전선;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과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고 삽입부의 상하면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편을 분리하는 구분돌기;가 형성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구분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를 성형하는 제 1 사출성형공정; 상기 제 1 사출성형공정을 거쳐 형성된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상기 'ㄷ'자형의 접속편을 결합하는 조립공정; 상기 조립공정을 통해 결합된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과 전선을 연결하는 납땜공정;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납땜공정을 통해 결합 된 결합부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그립부를 성형하는 제 2 사출성형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플러그커넥터의 삽입부를 1차적으로 사출성형한 후 접속편을 조립하고 전선을 연결한 다음 그립부를 2차적으로 사출성형하여 접속편과 전선이 분리되지 않는 동시에 사용시 발생하는 전기저항손실을 없애 플러그커넥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를 2차적으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접속편과 전선이 연결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를 감싸는 별도의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커넥터의 침수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절대도 및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도면과 설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구조의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는 도 4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절대도 및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는 첨부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커넥터(20)에 삽입되는 평면형의 삽입부(100); 일정한 폭을 갖는 구리박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100)의 전단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00)의 양측에 접면토록 구비되며, 끝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ㄷ'자형의 접속편(200); 상기 접속편(200)과 연결되되, 접속편(200)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LW)으로 결합되는 전선(EL); 및 상기 삽입부(100)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200)과 상기 전선(EL)이 결합되는 결합부(22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립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100)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100)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고 삽입부(100)의 상하면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편(200)을 분리하는 구분돌기(120); 를 형성하여 실시하였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의 제조방법은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구분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를 성형하는 제 1 사출성형공정(S1); 상기 제 1 사출성형공정(S1)을 거쳐 형성된 상기 삽입부(100)의 양측에 상기 'ㄷ'자형의 상기 접속편(200)을 결합하는 조립공정(S2); 상기 조립공정(S2)을 통해 결합된 접속편(200)의 겹쳐지는 끝단과 전선을 연결하는 납땜(LW)공정(S3); 및 상기 삽입부(100)의 후단과 납땜공정(S3)을 통해 결합 된 결합부(220)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그립부(300)를 성형하는 제 2 사출성형공정(S3);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제 1 사출성형공정(S1)을 통해 성형되는 상기 삽입부(100)의 재질은 플라스틱계열로 사용하되,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으로써, 카보네이트결합(탄산에스테르 결합이라고도 함) -O-R-O-CO-를 주사슬로 가진 중합체인바, 실용화된 것은 비스페놀 A인 나트륨염과 포스겐에서 얻을 수 있는 방향족의 폴리카보네이트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무색 또는 담황색의 투명한 재료로 인장강도, 휨강도, 내충격성이 크며, 내수성과 내산성은 좋으나 내알칼리성은 작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것으로 가전(家電)·전자통신·정밀기기·자동차 분야에서 구조재료, 기능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콤팩트디스크 재질로도 쓰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디스크(10)의 상기 삽입부(10)와 같이 소켓디스크(20)에 삽입과 분리되며 잦은 마찰을 받는 부분인 경우,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에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가 최적이다.
상기 제 2 사출성형공정(S4)을 통해 성형되는 상기 그립부(30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수지 즉, 아크릴로나이트릴과 뷰타다이엔의 혼성중합체 및 스타이렌과 뷰타다이엔의 혼성중합체를 혼합(블렌드)되어 구성되며, 각각의 혼성중합체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는 혼합수지를 얻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수지에 있어서, 혼성중합체의 성분 조합이 다르면 제품 성능도 미묘하게 변화하므로 용도에 따라 조합을 바꾼다. 일반적으로 가공하기 쉽고 내충격성(耐衝擊性)이 크고 내열성도 좋다.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내열성 80°에 대하여 93°, 내충격성 0.8에 대하여 4.5이다. 내충격성 4.5라는 것은 쇠망치로 때려도 깨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이므로 자동차부품·헬멧, 전기기기 부품·방적기계 부품 등 공업용품에 금속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BS수지는 용도에 따라 혼성중합체의 성분조합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바, 상기 그립부(300)는 상기 소켓플러그(100)와 결합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적으로 잡는 부분인기 때문에 견고하면서도 그립감을 필수로 하기 때문에 상기 그립부(300)의 재질은 ABS수지를 주요 재질로 구성하되 일정량의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내구성과 인장강도를 갖는 동시에 그립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ABS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량은 항상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량이 ABS수지혼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 즉, ABS수지 >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비율이 가장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사출성형공정(S2)를 통해 상기 그립부(300)를 사출성형하되, 상기 그립부(300)는 상기 접속편(200)과 연결되되, 접속편(200)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LW)으로 결합되는 전선(EL); 및 상기 삽입부(100)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200)과 상기 전선(EL)이 결합되는 결합부(220)를 감싸도록 형성기 때문에 종래의 플러그커넥터처럼 상기 결합부(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 사용시 상기 접속편(200)과 상기 전선(EL)이 분리되어 발생하는 접속불량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저항의 손실도 결과적으로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립부(300)는 상기 결합부(220)를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감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습기 또는 우수로 인한 커넥터의 침수로 인한 불량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의 상기 삽입부(100)는 첨부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0)의 후단에 구비되되,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300)가 사출성형 된 후 삽입부(100)와 상기 그립부(300)와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결합홈(140)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1 사출성형공정(S1)에서 상기 삽입부(100)를 사출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40)을 구성하여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제 2 사출공정(S2)에서 사출형성되는 상기 그립부(300)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일종의 혼합된(ABS수지+폴리카보네이트) 재료의 용해된 입자들이 상기 결합홈(140)에 충진되어 구성됨으로써, 소켓커넥터(20)에 본 발명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를 삽입하거나 연결분리하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도 상기 삽입부(100)와 상기 그립부(300)가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사출성형공정(S2)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그립부(30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300)의 전면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00)의 표면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소켓커넥터(20)와 결합시 소켓커넥터(2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320)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320)과 대응토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에 끼워져 상기 소켓커넥터(20)와 결합시 상기 삽입홈(320)에 삽입되는 소켓커넥터(20)의 일부분과 맞물려져 방수하는 고무링(400)을 구비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소켓커넥터(20)의 형상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300)의 삽입홈(3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그립부(300)에 추가적으로 삽입홈(320)을 형성하고 삽입홈(320)에 끼워지는 고무링(40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소켓커넥터(20)와 결합하여 사용시 발생하는 결합 틈새로 유입되는 습기와 같은 수분을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10)는 상기 삽입부(100)에 대응하는 삽입공을 갖되 상기 접속편(200)과 접면되어 전류를 연결하는 소켓접속편이 구비되는 소켓플러그(20)에 삽입되어 전선(EL)을 통해 전류를 전달하고자 하는 부품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10;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20; 소켓커넥터
100; 삽입부
120; 구분돌기
140; 결합홈
200; 접속편
220; 결합부
300; 그립부
320; 삽입홈
400; 고무링
EL; 전선
LW; 납땜

Claims (4)

  1. 소켓커넥터에 삽입되는 평면형의 삽입부;
    일정한 폭을 갖는 구리박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전단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접면토록 구비되며, 끝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ㄷ'자형의 접속편;
    상기 접속편과 연결되되,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으로 결합되는 전선;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과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고 삽입부의 상하면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편을 분리하는 구분돌기;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후단에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사출성형 된 후 삽입부와 상기 그립부와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결합홈;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전면에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의 표면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소켓커넥터와 결합시 소켓커넥터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과 대응토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상기 소켓커넥터와 결합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소켓커넥터의 일부분과 맞물려져 방수하는 고무링;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4. 소켓커넥터에 삽입되는 평면형의 삽입부;
    일정한 폭을 갖는 구리박판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전단면과 상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접면토록 구비되며, 끝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ㄷ'자형의 접속편;
    상기 접속편과 연결되되,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에 납땜으로 결합되는 전선;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상기 접속편과 상기 전선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그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고 삽입부의 상하면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편을 분리하는 구분돌기;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구분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를 성형하는 제 1 사출성형공정;
    상기 제 1 사출성형공정을 거쳐 형성된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 상기 'ㄷ'자형의 접속편을 결합하는 조립공정;
    상기 조립공정을 통해 결합된 접속편의 겹쳐지는 끝단과 전선을 연결하는 납땜공정; 및
    상기 삽입부의 후단과 납땜공정을 통해 결합 된 결합부를 포함하여 감싸도록 형성되는 그립부를 성형하는 제 2 사출성형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110061102A 2011-06-23 2011-06-23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43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102A KR101243451B1 (ko) 2011-06-23 2011-06-23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102A KR101243451B1 (ko) 2011-06-23 2011-06-23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48A KR20130000548A (ko) 2013-01-03
KR101243451B1 true KR101243451B1 (ko) 2013-03-13

Family

ID=4783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102A KR101243451B1 (ko) 2011-06-23 2011-06-23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2461A (zh) * 2023-05-18 2023-08-11 乐清市合达电子有限公司 一种旋转注塑机及注塑成型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734A (ko) * 1995-12-14 1997-07-31 문정환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0410750Y1 (ko) *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인라인 커넥터용 스프라이스팩
KR20060104120A (ko) * 2005-03-29 2006-10-0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431728Y1 (ko) * 2006-08-23 2006-11-24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의 컴프레셔에 접속되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734A (ko) * 1995-12-14 1997-07-31 문정환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4120A (ko) * 2005-03-29 2006-10-0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410750Y1 (ko) *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인라인 커넥터용 스프라이스팩
KR200431728Y1 (ko) * 2006-08-23 2006-11-24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의 컴프레셔에 접속되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48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39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US7618286B2 (en) Shield connector
US792253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8162672B2 (en) High power receptacle connector
TWI573351B (z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able connector having the electrical connector
JP3160807U (ja) 電気コネクタ
TW201725795A (zh) 電連接器及其組裝方法
US8047873B1 (en) Waterproof electric plug with transformer
US8348700B1 (en) Cable connector having a metallic shield slidably disposed in a groove
US1007493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xcellent waterproof property
KR10213584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TW201739120A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2013033768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function
US7785136B2 (en) Power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power connector
TWM500383U (zh) 電連接器及具有該電連接器的線纜連接器
US20100291794A1 (en) Sata to ipass cable connector
TWM450111U (zh) 電連接器
CN111326936B (zh) 电连接器组件及其组装方法
US783751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unitary connector molded with another connector
KR101243451B1 (ko) 이중사출구조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206639959U (zh) TypeC插头连接器
US7972168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apparent member
CN218525804U (zh) 一体式外圈密封板端连接器
CN114824903B (zh) 线缆连接器组件
CN109449638B (zh) 一种直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