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480B1 - 차량의 동일형 루프 - Google Patents

차량의 동일형 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480B1
KR101241480B1 KR1020100084855A KR20100084855A KR101241480B1 KR 101241480 B1 KR101241480 B1 KR 101241480B1 KR 1020100084855 A KR1020100084855 A KR 1020100084855A KR 20100084855 A KR20100084855 A KR 20100084855A KR 101241480 B1 KR101241480 B1 KR 10124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link
slide rail
lift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920A (ko
Inventor
박태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8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동일형 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루프 판넬 및 리어 루프 판넬과; 양측의 루프 사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의 양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을 상하 방향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트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이 상기 리프트 유닛에 의해 상향 이동된 후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리프트 유닛이 리어 루프 판넬의 측부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프론트 루프 판넬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리프트 유닛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종래의 동일형 루프와 달리 루프의 길이를 설계할 때 제약이 덜 하므로 레이아웃 면에서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렌즈형 루프와 달리 프론트 루프 판넬이 개방된 상태에서 프론트 루프 판넬과 리어 루프 판넬 사이의 공간이 적게 차지하므로, 트렁크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좋다.

Description

차량의 동일형 루프{ROOF OF CORRESPONDENCE TYP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동일형 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제약이 적을 뿐만 아니라 레이아웃 면에서 유리한 차량의 동일형 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드탑 오픈카 루프 시스템은 루프를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링크 기구를 사용하여 트렁크에 루프를 적재하여 오픈카를 구현한다.
이러한 하드탑 오픈카 루프 시스템은 루프를 트렁크에 적재하는 형상에 따라 렌즈형, 동일형, 렌즈형과 동일형을 조합한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도 1의 (a)는 종래 차량의 렌즈형 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렌즈형 루프는 제1 루프 판넬(170), 제2 루프 판넬(175), 링크 기구(120)로 구성되어, 제1 루프 판넬(170) 및 제2 루프 판넬(175)이 링크 기구(120)에 의해 힌지부(173)를 중심으로 접철된 후 트렁크의 내부에 적재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루프 판넬(170)과 제2 루프 판넬(175)이 접철되었을 때, 링크 기구(12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각 루프 판넬(170, 175)의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루프 디자인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그런데, 제1 루프 판넬(170)과 제2 루프 판넬(175)이 접철된 상태에서는, 제1 루프 판넬(170)과 제2 루프 판넬(175)의 곡률 방향이 서로 다르므로, 제1 루프 판넬(170)과 제2 루프 판넬(175) 사이의 공간이 커서 트렁크의 적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의 (a)는 종래 차량의 동일형 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a)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한편, 차량의 동일형 루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루프 판넬(270), 제2 루프 판넬(275), 링크 기구(220, 225)로 구성되어, 제1 루프 판넬(270) 및 제2 루프 판넬(275)이 링크 기구(220, 225)에 의해 접철된 후 트렁크의 내부에 적재 가능하다.
이러한 동일형 루프는, 상기 렌즈형 루프와는 달리, 제1 루프 판넬(270)과 제2 루프 판넬(275)이 접철된 상태일 때 제1 루프 판넬(270)과 제2 루프 판넬(275)의 곡률 방향이 서로 동일하므로, 제1 루프 판넬(270)과 제2 루프 판넬(275) 사이의 공간이 적으므로 트렁크의 적재 공간을 적게 차치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제1 루프 판넬(270)과 제2 루프 판넬(275)이 접철된 경우,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한 링크 기구(220, 225)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각 루프 판넬의 길이를 짧게 구성해야 하므로 루프 디자인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제약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레이아웃 면에서 유리한 차량의 동일형 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동일형 루프에 따라, 프론트 루프 판넬 및 리어 루프 판넬과; 양측의 루프 사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의 양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을 상하 방향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트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이 상기 리프트 유닛에 의해 상향 이동된 후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적재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일단이 상기 리어 루프 판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의 타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링크를 90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레일 몸체와; 상기 레일 몸체를 감싸며, 상기 링크의 타단 및 상기 구동 모터가 장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레일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링크는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측면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절곡 부분에 보강 리브가 형성된 프론트 링크와; 상기 프론트 링크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링크의 후방에 회전축과 결합된 리어 링크와; 상기 프론트 링크 및 상기 리어 링크의 각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리어 루프 판넬과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 링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에는 역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 브래킷이 장착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보강 브래킷 및 상기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프론트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 유닛이 리어 루프 판넬의 측부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프론트 루프 판넬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리프트 유닛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종래의 동일형 루프와 달리 루프의 길이를 설계할 때 제약이 덜 하므로 레이아웃 면에서 유리한 차량의 동일형 루프가 제공된다.
뿐만 아니라, 렌즈형 루프와 달리 프론트 루프 판넬이 개방된 상태에서 프론트 루프 판넬과 리어 루프 판넬 사이의 공간이 적게 차지하므로, 트렁크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좋은 차량의 동일형 루프가 제공된다.
도 1의 (a)는 종래 차량의 렌즈형 루프를 나타낸 도면, (b)는 (a)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의 (a)는 종래 차량의 동일형 루프를 나타낸 도면, (b)는 (a)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일형 루프에서 프론트 루프 판넬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 상태의 저면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리어 루프 판넬이 리프트 유닛에 의해 윗방향으로 리프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 상태에서 프론트 루프 판넬이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X-X선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일형 루프에서 루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 상태의 저면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일형 루프는 리어 루프 판넬(75)을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 유닛(20)을 리어 루프 판넬(75)의 측부에 구성하고 프론트 루프 판넬(70)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종래와 달리 루프의 전후 방향에 링크 기구의 돌출 없이 프론트 루프 판넬(70)과 리어 루프 판넬(75)을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일형 루프는 프론트 루프 판넬(70), 리어 루프 판넬(75),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10), 리어 루프 판넬(75)을 상하 방향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트 유닛(20)으로 구성된다.
프론트 루프 판넬(70)의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73)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프론트 루프 판넬(70)은 슬라이드 레일(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된다.
리어 루프 판넬(75)은 프론트 루프 판넬(70)과 함께 적재될 때 프론트 루프 판넬(70)과 동일한 곡률 방향을 가지는 모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론트 루프 판넬(70) 사이의 공간이 적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레일(10)은 루프 사이드부(미도시)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리어 루프 판넬(75)이 리프트 유닛(20)에 의해 상향 이동된 후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슬라이드 레일(10)은 크게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레일 몸체(11)와, 레일 몸체(11)를 감싸며 플랜지(12a)가 형성된 레일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레일 몸체(11)는 프론트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안내홈(11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레일 프레임(12)은 ㄴ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레일 몸체(11)의 측면과 저면을 감싸며, 일측에는 후술할 링크(30)의 타단 및 구동 모터(50)가 장착되기 위한 플랜지(1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2a)의 내측에는 레일 프레임(12)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브래킷(6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강 브래킷(60)은 역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플랜지(12a)에 결합되고 타측은 메인 프론트 링크(3)와 메인 리어 링크(5)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링크(7)에 결합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한다.
리프트 유닛(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0)과 리어 루프 판넬(75)의 양측 사이에 마련되어,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리어 루프 판넬(75)의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되기 전에 리어 루프 판넬(75)을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리프트 유닛(20)이 리어 루프 판넬(75)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어 프론트 루프 판넬(70)과 리어 루프 판넬(75)이 적재된 상태에서 리프트 유닛(20)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종래 동일형 루프와 달리 각 루프 판넬(70, 75)의 길이를 길게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레이아웃 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리프트 유닛(20)은 크게 링크(30)와, 링크(30)와 일체로 결합된 구동축(40, 도 9 참조)과, 구동축(40)을 구동시켜 링크(30)를 90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50)로 구성된다.
링크(30)의 일단은 리어 루프 판넬(75)에 체결 부재(37, 도 9 참조)로 고정되고 타단은 레일 프레임(12)의 플랜지(12a)에 연결된다. 여기서, 링크(30)는 크게 프론트 링크(31), 리어 링크(32), 연결 링크(33)로 구성된다.
프론트 링크(31)와 리어 링크(32)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프론트 링크(31)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프론트 링크(31)는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도 7 및 도 8과 같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측면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1b, 도 9 참조)이 형성되도록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슬라이드 레일(1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 프론트 루프 판넬(70)의 측면이 프론트 링크(31)의 수용 공간(31b)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프론트 링크(3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축(40)과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구동 모터(50)가 작동하여 구동축(40)이 회전하면 구동축(40)과 함께 90도 정도 회전함으로써 리어 루프 판넬(75)이 도 6과 같이 상향 리프팅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구동축(40)은 보강 브래킷(60) 및 플랜지(12a)를 관통한 후 프론트 링크(31)의 타단과 볼트(43)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프론트 링크(31)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축(4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12a)와 보강 브래킷(60)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55)이 끼워져 있다.
프론트 링크(31)의 절곡 부분(B)에는 프론트 링크(3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31a)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리어 링크(32)는 프론트 링크(31)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링크(31)와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단은 연결 링크(33)에 의해 프론트 링크(31)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축(35)과 결합된다. 이에, 구동축(40)이 구동 모터(50)에 의해 회전하면, 구동축(40)과 직접 연결된 프론트 링크(31)가 회전하는 동시에 연결 링크(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리어 링크(32)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연결 링크(33)는 프론트 링크(31) 및 리어 링크(32)의 각 일단을 연결하여 프론트 링크(31)와 리어 링크(32)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어 루프 판넬(75)과 볼트(34)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동일형 루프의 작동 과정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폐쇄된 상태는 도 3과 같다.
그 후,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프론트 루프 판넬(70)의 개방 신호가 구동 모터(50)에 입력되면, 구동 모터(50)가 구동축(40)을 회전시켜 프론트 링크(31) 및 리어 링크(32)가 90도 회전되어 리어 루프 판넬(75)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리프팅된다.
다음,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도 7 및 도 8과 같이 슬라이드 레일(10)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리어 루프 판넬(75)의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 유닛(20)이 리어 루프 판넬(75)의 측부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리프트 유닛(20)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종래의 동일형 루프와 달리 루프의 길이를 설계할 때 제약이 덜 하므로 레이아웃 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렌즈형 루프와 달리 프론트 루프 판넬(70)이 개방된 상태에서 프론트 루프 판넬(70)과 리어 루프 판넬(75) 사이의 공간이 적게 차지하므로, 트렁크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10 : 슬라이드 레일 11 : 레일 몸체
12 : 레일 프레임 20 : 리프트 유닛
30 : 링크 31 : 프론트 링크
32 : 리어 링크 33 : 연결 링크
40 : 구동축 50 : 구동 모터
60 : 보강 브래킷 70 : 프론트 루프 판넬
75 : 리어 루프 판넬

Claims (5)

  1. 프론트 루프 판넬 및 리어 루프 판넬과;
    양측의 루프 사이드부에 고정되며,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의 양측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을 상하 방향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트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리어 루프 판넬이 상기 리프트 유닛에 의해 상향 이동된 후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일형 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일단이 상기 리어 루프 판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의 타단과 일체로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링크를 90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일형 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슬라이드 이동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레일 몸체와;
    상기 레일 몸체를 감싸며, 상기 링크의 타단 및 상기 구동 모터가 장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레일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일형 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프론트 루프 판넬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측면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절곡 부분에 보강 리브가 형성된 프론트 링크와;
    상기 프론트 링크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링크의 후방에 회전축과 결합된 리어 링크와;
    상기 프론트 링크 및 상기 리어 링크의 각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리어 루프 판넬과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 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일형 루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역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 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 브래킷이 장착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보강 브래킷 및 상기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프론트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동일형 루프.
KR1020100084855A 2010-08-31 2010-08-31 차량의 동일형 루프 KR10124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55A KR101241480B1 (ko) 2010-08-31 2010-08-31 차량의 동일형 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55A KR101241480B1 (ko) 2010-08-31 2010-08-31 차량의 동일형 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20A KR20120020920A (ko) 2012-03-08
KR101241480B1 true KR101241480B1 (ko) 2013-03-11

Family

ID=4612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55A KR101241480B1 (ko) 2010-08-31 2010-08-31 차량의 동일형 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6628A (ja) * 1990-06-27 1992-02-24 Nissan Shatai Co Ltd 自動車用ルーフ装置
KR20040049861A (ko) * 2001-10-09 2004-06-12 벤틀리 모토즈 리미티드 차량용 접이식 지붕
US20070024081A1 (en) 2003-06-17 2007-02-01 Societe Europeenne De Brevet Automobiles Vehicle comprising a vertically folding sun roof
KR20110022427A (ko) * 2009-08-27 2011-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버터블 차량의 슬라이딩 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6628A (ja) * 1990-06-27 1992-02-24 Nissan Shatai Co Ltd 自動車用ルーフ装置
KR20040049861A (ko) * 2001-10-09 2004-06-12 벤틀리 모토즈 리미티드 차량용 접이식 지붕
US20070024081A1 (en) 2003-06-17 2007-02-01 Societe Europeenne De Brevet Automobiles Vehicle comprising a vertically folding sun roof
KR20110022427A (ko) * 2009-08-27 2011-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컨버터블 차량의 슬라이딩 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20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597B2 (en) Vehicle roof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US6568750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t least one cover which can be moved above the fixed motor vehicle roof
US6669278B2 (en) Automotive vehicle roof system having multiple sunroofs
US7690716B2 (en) Convertible roof
EP2006139B1 (en) Retractable roof and vehicle with the same
CN101011950B (zh) 行李舱盖板装置
CN105339210A (zh) 有关机动车车顶行李箱系统和有关车顶行李箱系统的行李箱
GB2420530A (en) Retracting roof mechanism
US20050017548A1 (en) Motor vehicle which can be converted from a pick-up into a convertible
US7017972B2 (en) Motor vehicle which can be converted from a pick-up into a convertible
US6916061B2 (en) Closure device for a convertible top
EP1954514B1 (en) Convertible top having overcenter linkage
KR101241480B1 (ko) 차량의 동일형 루프
US7581777B2 (en) Header latch assembly for convertible tops
US9050877B2 (en) Motor vehicle having a roof opening
JP5494429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US7681938B2 (en) Convertible vehicle
US7798555B2 (en) Movable roof for a passenger vehicle
CN102933782A (zh) 汽车的车门装置
CN209111914U (zh) 全景天窗机械组
CN109334417B (zh) 全景天窗机械组
JP5423340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101232076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N218021389U (zh) 车灯透镜的遮挡装置、车灯和车辆
JP2013129418A (ja) コンバーチブル車両用折り畳み式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