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427B1 -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427B1
KR101241427B1 KR1020120127076A KR20120127076A KR101241427B1 KR 101241427 B1 KR101241427 B1 KR 101241427B1 KR 1020120127076 A KR1020120127076 A KR 1020120127076A KR 20120127076 A KR20120127076 A KR 20120127076A KR 101241427 B1 KR101241427 B1 KR 101241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sunroof
slide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철
Original Assignee
전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철 filed Critical 전대철
Priority to KR102012012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27B1/ko
Priority to TW102138624A priority patent/TWI503240B/zh
Priority to CN201310529279.8A priority patent/CN103643885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1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roller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61Tensioning systems for keeping the blind taut when in use, other than spr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내측에 포켓 그루브(110)와 레일 그루브(120)가 형성된 양쪽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는 복수의 레일 프레임(100R, 100L); 상기 포켓 그루브(11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측에 포켓 레일(210)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 레일(210)의 레일 개구부(216)이 폭이 포켓 레일(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200); 커튼(310)의 양측에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상기 레일 개구부(2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상기 포켓 레일(210)에 삽입되어 활주되는 커튼 유닛(300); 상기 레일 그루브(120)에 상기 슬라이드(410)가 삽입되어 활주되는 트랙션 슬라이더(400); 및 상기 트랙션 슬라이더(400)와 조립되고, 한쪽에 상기 커튼(310)의 제2 커튼 단부(314)가 설치되는 트랙션 바(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Maintenance device for tension of curtain of sunroof}
본 발명은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선루프가 설치되고, 그 선루프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커튼이 구비될 때에, 커튼이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지붕에는 선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선루프는 겉에 유리창이 구비되고, 유리창의 안쪽에 커튼이 구비된다. 커튼은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커튼은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공되어 미닫이문을 열고 닫는 것일 수 있고, 두루마리로 감기거나 풀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커튼이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커튼이 개방되었을 때에 최대 개방을 하더라도 개방된 폭이 크지 않다. 이는 플레이트가 수납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방 폭에 한계를 가지는 것이다.
커튼이 두루마리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커튼의 중간 부분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커튼에 장력이 개폐되는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을지라도 개폐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력이 유지되지 않아 중간 부분이 처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차량이 주행 중에 떨림이 발생하고, 이러한 떨림은 소음의 원인이 된다.
또한, 차량의 지붕 또는 차량의 천장은 중간부분이 상측으로 볼록한 곡률 형상을 이루지만, 종래의 선루프 커튼은 전후방향으로 팽팽한 장력만 유지되므로 커튼의 전반적인 형상은 평탄한 형상을 이루거나 중력에 의해 중간부분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커튼과 차량의 전체적인 디자인이 부조화를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7439호(2011.03.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058호(2011.07.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192호(2012.09.17.) 상기 특허문헌1, 2, 3에는 커튼에 장력을 작용하는 기술적 사항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커튼을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닫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커튼이 열릴 때에 커튼을 되감도록 하는 리와인딩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루프에서 커튼이 두루마리 형태로 되감기도록 하는 커튼에 있어서, 커튼이 개방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커튼의 전체적인 형상은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중간부분이 볼록한 곡률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차량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중간부분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내측에 포켓 그루브(110)와 레일 그루브(120)가 형성된 양쪽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는 복수의 레일 프레임(100R, 100L); 상기 포켓 그루브(11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측에 포켓 레일(210)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 레일(210)의 레일 개구부(216)이 폭이 포켓 레일(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200); 커튼(310)의 양측에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상기 레일 개구부(2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상기 포켓 레일(210)에 삽입되어 활주되는 커튼 유닛(300); 상기 레일 그루브(120)에 상기 슬라이드(410)가 삽입되어 활주되는 트랙션 슬라이더(400); 및 상기 트랙션 슬라이더(400)와 조립되고, 한쪽에 상기 커튼(310)의 제2 커튼 단부(314)가 설치되는 트랙션 바(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상기 포켓 그루브(110)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은, 선루프의 내측을 향하는 쪽이 좁고, 외측을 향하는 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루프의 내측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될 때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이 상기 복수의 레일 프레임(100R, 100L)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상기 레일 그루브(120)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드(4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410)와 상기 레일 그루브(120)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의 상기 커튼 유닛(300)은, 상기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형성된 서포트(322); 및 상기 서포트(322)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부착된 접착층(324);을 포함하여, 상기 접착층(324)이 상기 커튼(310)의 커튼 사이드(316)에 접착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커튼 유닛의 양측에 투스 유닛이 구비되고, 투스 유닛은 슬라이드 레일에서 계속하여 물려 있도록 함으로써, 커튼이 펼쳐진 어느 위치에서든지 장력이 유지되고, 이로써 커튼의 중간부분에서 처짐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커튼의 전체적인 형상이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중간부분이 볼록한 곡률 형상을 유지하고, 차량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중간부분이 처지지 않고 팽팽하게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커튼의 형상은 차량의 천장 디자인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장력 유지 장치가 선루프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서 레일 프레임과, 슬라이드 레일과, 커튼 유닛과 트랙션 슬라이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서 커튼 유닛과, 트랙션 슬라이더와 트랙션 와이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서 커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장력 유지 장치가 선루프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루프는 좌우 양측에 선루프 사이드 프레임(10R, 10L)이 배치되고, 전후방에 선루프 프레임(20F, 20B)이 배치된다.
상술한 선루프 사이드 프레임(10R, 10L)은 차량의 천장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다. 즉, 선루프 사이드 프레임(10R, 10L)은 중앙 부분이 상측으로 볼록한 곡률 형상을 이룬다.
상술한 선루프 사이드 프레임(10R, 10L)과 선루프 프레임(20F, 20B)의 하측에는 커튼 유닛(300)을 지지하도록 하는 레일 프레임(100R, 100L)이 좌우 양쪽에 한 쌍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또한, 선루프의 후방에는 커튼 유닛(300)의 커튼(310)을 되감도록 하는 리와인딩 유닛(30)이 구비된다. 리와인딩 유닛(30)의 겉에는 커버(34)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커버(34)는 리와인딩 유닛(30)과 되감기는 커튼(310)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선루프의 전방에는 구동유닛(40)이 구비된다. 구동 유닛(40)에는 좌우 한 쌍의 트랙션 와이어(50R, 50L)가 설치된다. 구동 유닛(40)이 구동되면 트랙션 와이어(50R, 50L)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구동유닛(40)이 순방향으로 구동될 때에 어느 하나의 트랙션 와이어(50R)가 왼쪽으로 이동될 때에 다른 하나의 트랙션 와이어(50L)는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구동유닛(40)이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에는 어느 하나의 트랙션 와이어(50R)가 오른쪽으로 이동될 때에 다른 하나의 트랙션 와이어(50L)는 왼쪽으로 이동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술한 구동 유닛(40)의 내부구성은 웜기어와 휠의 기어 구성에서 휠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고, 모터에 의해 휠이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트랙션 와이어(50R, 50L)는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재질이고, 표면에는 웜기어의 기어처럼 돌출선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허문헌1, 2의 종래기술 설명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알려진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상술한 리와인딩 유닛(30)은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커튼을 되감는 기술로서 이는 특허문헌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알려진 기술 사상을 이용한 것이다.
브래킷(60)은 레일 프레임(100R, 100L)에서 상술한 리와인딩 유닛(30)을 설치하기 위하여 부가하여 배치한 것이다. 즉 레일 프레임(100R, 100L)의 단부에 리와인딩 유닛(30)이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조립의 편의성과 동작의 원활함을 위하여 적정한 위치에 리와인딩 유닛(30)을 배치하도록 브래킷(60)이 더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선루프의 선루프 사이드 프레임(10R, 10L)과 선루프 프레임(20F, 20B)과 구동 유닛(40)을 소거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프레임(100R, 100L)은 중간부분이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률 형태를 띤다.
한편, 양측의 레일 프레임(100R, 100L)에는 각각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활주되고, 양측의 트랙션 슬라이더(400)에는 트랙션 바(500)가 설치된다.
트랙션 바(500)에는 커튼 유닛(300)의 커튼(310)이 설치되고, 커튼(310)의 다른 한쪽은 상술한 리와인딩 유닛(30)에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의 주요 구성을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서 레일 프레임과, 슬라이드 레일과, 커튼 유닛과 트랙션 슬라이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서 커튼 유닛과, 트랙션 슬라이더와 트랙션 와이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면이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에서 커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레일 프레임(110R, 110L)에 슬라이드 레일(200)이 수납되고, 레일 프레임(110R, 100L)에는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활주되며, 커튼 유닛(300)의 투스 유닛(320)은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200)에서 활주된다.
상술한 레일 프레임(100R, 100L)은 내측에 포켓 그루브(110)와 레일 그루브(120)가 형성되고, 외측에 리턴 슬롯(130)이 형성된다.
포켓 그루브(110)에는 입구에 제1, 제2 스토퍼(112, 11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제2 스토퍼(112, 114)의 사이에 제1 개구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포켓 그루브(110)의 형상은 제1 개구부(116)쪽이 좁고 제1 개구부(116)와 반대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일 그루브(120)는 단면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측이 개방된 제2 개구부(124)가 형성되며, 제2 개구부(124)에는 스토퍼(122)가 형성된다.
상술한 레일 그루브(120)에는 트랙션 슬라이더(400)의 슬라이드(410)가 삽입되어 활주되는데, 슬라이드(410)의 외형은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다. 이로서 사각형 형상의 레일 그루브(120)에 원통형사의 슬라이드(410)가 삽입됨으로써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써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어,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좀 더 원활하게 활주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레일 그루브(120)와 대향하는 반대쪽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26)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가이드(126)는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레일 프레임(100R, 100L)에 설치된 상태에서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편으로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다른 구성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트랙션 슬라이더(400)의 활주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슬라이드 레일(200)은 선루프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포켓 레일(210)이 형성되고, 측면의 상하 측에는 각각 제1, 제2 레일 스토퍼(212, 21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 제2 레일 스토퍼(212, 214)의 사이에 레일 개구부(216)가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드 레일(200)은 마찰계수가 낮은 미끄러운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200)의 길이는 상술한 레일 프레임(100R, 100L)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레일(200)의 외형 형상은 레일 개구부(216)쪽이 좁고 레일 개구부(216)와 반대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포켓 그루브(110)에 슬라이드 레일(200)이 수납되고, 커튼 유닛(300)에 선루프의 내측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될 때에 슬라이드 레일(200)과 포켓 그루브(110)의 사이에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하여 슬라이드 레일(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커튼 유닛(3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튼(310)의 전후 및 좌우에 각각 제1 커튼 단부(312)와 제2 커튼 단부(314)와 커튼 사이드(316)가 형성된다. 제1 커튼 단부(312)는 리와인딩 유닛(30)의 와인딩 드럼(32)에 설치된다. 제2 커튼 단부(314)는 트랙션 바(500)에 설치된다. 커튼 사이드(316)는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200)에서 활주된다.
커튼 사이드(316)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튼 사이드(316)에는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형성되고, 투스 유닛(320)은 두께를 가지고 강성을 가지는 딱딱한 재질일 수 있다. 투스 유닛(320)은 예를 들면, 지퍼와 유사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투스 유닛(320)은 낱개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조각일 수 있고, 합성수지 와이어가 감겨진 형태일 수도 있다.
투스 유닛(320)은 서포트(322)에 형성될 수 있고, 서포트(322)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접착층(32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층(324)은 상술한 커튼 사이드(316)에 접착될 수 있다. 이로써 투스 유닛(320)의 제조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제조의 편의성에 대하여 부연설명하면, 커튼(310)은 면적이 넓어서 제조과정에 취급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서포트(322)에 투스 유닛(32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의 편의성이 있고, 서포터(322)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커튼 사이드(316)에 접착하는 것으로 쉽게 제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술한 투스 유닛(320)은 상술한 슬라이드 레일(200)에서 포켓 레일(210)에 삽입되어 활주되고, 서포트(322)는 상술한 제1 개구부(116)와 레일 개구부(216)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커튼 유닛(300)이 개방될 때에 커튼(310)은 와인딩 드럼(32)에 감기게 되는데, 투스 유닛(320)은 작은 조각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투스 유닛(320)과 인접한 다른 투스 유닛(320)의 사이 공간에서 꺾이어 와인딩 드럼(32)에 감기는 것이다.
트랙션 슬라이더(400)는 하측에 넥(412)을 매개로 원통형상의 슬라이드(410)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활주면(416)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인서트(4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넥(412)은 슬라이드(410)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넥(412)은 레일 프레임(100R, 100L)의 제2 개구부(124)를 통과한다. 즉 슬라이드(410)가 레일 그루브(120)에 삽입되어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활주될 때에 트랙션 슬라이더(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410)의 한쪽에는 상술한 트랙션 와이어(50R, 50L)이 연결된다. 즉 트랙션 와이어(50R, 50L)의 이동에 의해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이끌려 이동되는 것이다. 상술한 트랙션 와이어(50R, 50L)는 레일 프레임(100R, 100L)의 레일 그루브(120)에서 주행된다.
또한, 활주면(416)은 상술한 슬라이드가이드(126)와 대향되게 위치되어 활주된다.
인서트(414)는 트랙션 바(500)에 삽입되는 것이다.
트랙션 바(500)는 개방된 형상의 커튼 설치구(510)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슬라이드 설치구(520)가 형성된다. 커튼 설치구(510)에는 커튼(310)의 제2 커튼 단부(314)가 설치되는 것이다. 슬라이드 설치구(520)에는 트랙션 슬라이더(400)의 인서트(414)가 삽입되는 것이다.
즉, 트랙션 슬라이더(400)가 트랙션 와이어(50R, 50L)에 의해 이끌려 이동될 때에 트랙션 바(500)가 이동되는 것이고, 이로써 트랙션 바(500)는 커튼 유닛(300)을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커튼 유닛(300)의 커튼(31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트랙션 바(500)가 이동될 때에 리와인딩 유닛(30)에 의해 커튼(310)이 와인딩 드럼(32)에 되감기는 것이다. 반대로 커튼 유닛(300)의 커튼(31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트랙션 바(500)가 이동될 때에 리와인딩 유닛(30)의 와인딩 드럼(32)이 역회전되면서 커튼(310)이 풀리게 된다.
이하, 커튼(310)에 장력이 유지되는 작용을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 상태의 단면도이다.
선루프는 양쪽에 레일 프레임(100R, 100L)이 고정되어 서로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레일 프레임(100R, 100L)에는 슬라이드 레일(200)이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양쪽의 슬라이드 레일(200)은 위치가 고정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선루프의 내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커튼 유닛(300)은 커튼(310)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것이고, 커튼(310)의 폭은 양쪽의 슬라이드 레일(200)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투스 유닛(320)이 포켓 레일(210)에 삽입되면 커튼(310)에는 장력이 조성되는 것이다.
특히, 커튼(310)이 개폐될 때에 트랙션 바(500)의 위치가 어느 위치이든지, 양쪽의 슬라이드 레일(200)간의 간격은 동일하므로 커튼(310)에 작용되는 장력은 지속되는 것이다.
또한, 커튼(310)이 닫혔을 때에 커튼(3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레일 프레임(100R, 100L)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률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는 슬라이드 레일(200)이 레일 프레임(100R, 100L)과 닮은꼴로 곡률이루고, 투스 유닛(320)은 슬라이드 레일(200)에 물려져 있기 때문이다.
한편, 트랙션 와이어(50R, 50L)는 구동유닛(40)을 통과하여 상대측의 레일 프레임(100R, 100L)에 형성된 리턴 슬롯(130)에 수용된다. 이에 부연설명하면, 트랙션 와이어(50R, 50L)는 좌우 양측에 2개가 구비되는 데, 예를 들면 왼쪽에 배치된 트랙션 와이어(50R)의 단부는 오른쪽에 배치된 레일 프레임(100L)의 리턴 슬롯(130)에 수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커튼 유닛(300)의 양측에 투스 유닛(320)이 구비되고, 투스 유닛(320)은 슬라이드 레일(200)에서 계속하여 맞물려 있도록 함으로써, 커튼(310)이 펼쳐진 어느 위치에서든지 장력이 유지되고, 이로써 커튼(310)의 중간부분에서 처짐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커튼(3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중간부분이 볼록한 곡률 형상을 유지하고, 차량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에 중간부분이 처지지 않고 팽팽하게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커튼(310)의 형상은 차량의 천장 디자인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는 두루마리 형태로 되감기거나 펼쳐지는 커튼에 있어서, 커튼에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커튼이 닫혔을 때에 커튼의 전체적인 형상이 차량의 천장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0R, 10L: 선루프 사이드 프레임 20F, 20B: 선루프 프레임
30: 리와인딩 유닛 32: 와인딩 드럼
34: 커버 40: 구동 유닛
50R, 50L: 트랙션 와이어 60: 브래킷
100R, 100L: 레일 프레임 110: 포켓 그루브
112, 114: 제1, 제2 스토퍼 116: 제1 개구부
120: 레일 그루브 122: 스토퍼
124: 제2 개구부 126: 슬라이드 가이드
130: 리턴 슬롯 200: 슬라이드 레일
210: 포켓 레일 212, 214: 제1, 제2 레일 스토퍼
216: 레일 개구부 300: 커튼 유닛
310: 커튼 312, 314: 제1, 제2 커튼 단부
316: 커튼 사이드 320: 투스 유닛
322: 서포트 324: 접착층
400: 트랙션 슬라이더 410: 슬라이드
412: 넥 414: 인서트
416: 활주면 500: 트랙션 바
510: 커튼 설치구 520: 슬라이드 설치구

Claims (4)

  1. 내측에 포켓 그루브(110)와 레일 그루브(120)가 형성된 양쪽에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는 복수의 레일 프레임(100R, 100L);
    상기 포켓 그루브(110)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측에 포켓 레일(210)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 레일(210)의 레일 개구부(216)이 폭이 포켓 레일(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200);
    커튼(310)의 양측에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상기 레일 개구부(2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상기 포켓 레일(210)에 삽입되어 활주되는 커튼 유닛(300);
    상기 복수의 투스 유닛(320)이 형성된 서포트(322);
    상기 서포트(322)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부착된 접착층(324);
    상기 레일 그루브(120)에 슬라이드(410)가 삽입되어 활주되는 트랙션 슬라이더(400); 및
    상기 트랙션 슬라이더(400)와 조립되고 한쪽에 상기 커튼(310)의 제2 커튼 단부(314)가 설치되는 트랙션 바(500);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324)이 상기 커튼(310)의 커튼 사이드(316)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그루브(110)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은,
    선루프의 내측을 향하는 쪽이 좁고, 외측을 향하는 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루프의 내측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될 때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200)이 상기 복수의 레일 프레임(100R, 100L)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그루브(120)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드(4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410)와 상기 레일 그루브(120)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4. 삭제
KR1020120127076A 2012-11-12 2012-11-12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KR10124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076A KR101241427B1 (ko) 2012-11-12 2012-11-12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TW102138624A TWI503240B (zh) 2012-11-12 2013-10-25 天窗窗簾拉力維持装置
CN201310529279.8A CN103643885B (zh) 2012-11-12 2013-11-01 天窗窗帘拉力维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076A KR101241427B1 (ko) 2012-11-12 2012-11-12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427B1 true KR101241427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076A KR101241427B1 (ko) 2012-11-12 2012-11-12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41427B1 (ko)
CN (1) CN103643885B (ko)
TW (1) TWI5032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862B1 (ko) * 2016-11-17 2018-05-10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롤러 블라인드에 패브릭 샤프트 회전 모듈과 패브릭 블레이드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선 루프
KR102439481B1 (ko) 2022-04-20 2022-09-01 지용 차량의 선루프용 커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299B (zh) * 2014-12-26 2016-08-24 上海万超汽车天窗有限公司 遮阳帘导向限位支架
CN108843197B (zh) * 2018-06-27 2019-08-23 贵州大学 一种多功能铝合金门窗
CN110685548A (zh) * 2018-07-06 2020-01-14 林起溶 防风门窗
US10209036B1 (en) * 2018-08-06 2019-02-19 Burose, LLC Ballistic shade system
FR3096631B1 (fr) * 2019-05-31 2021-11-12 Inteva Products France Sas Cache-bagages motorisé pour vehicule
CN110219577A (zh) * 2019-06-10 2019-09-10 广东创明遮阳科技有限公司 一种窗帘牵引装置
CN110789316A (zh) * 2019-11-13 2020-02-14 长兴盛湖科技有限公司 一种车内天窗用节能遮阳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680A (ja) 2010-11-02 2012-05-24 Daikyonishikawa Corp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4657C5 (de) * 2004-11-19 2016-04-21 Webasto Ag Rolloanordnung für ein Fahrzeug
JP3146520U (ja) * 2008-09-08 2008-11-20 ホアン テイエン コン イエ グー フウン ユー シエン コン シー 車両用サンシェード部品
KR20110127130A (ko) * 2009-03-17 2011-11-24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선 셰이드 구조
KR101146281B1 (ko) * 2010-02-18 2012-05-16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TW201233884A (en) * 2011-02-01 2012-08-16 Macauto Ind Co Ltd Sunshade
TW201305425A (zh) * 2011-07-21 2013-02-01 Macauto Ind Co Ltd 天窗式遮陽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680A (ja) 2010-11-02 2012-05-24 Daikyonishikawa Corp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862B1 (ko) * 2016-11-17 2018-05-10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롤러 블라인드에 패브릭 샤프트 회전 모듈과 패브릭 블레이드 이동 모듈을 포함하는 선 루프
KR102439481B1 (ko) 2022-04-20 2022-09-01 지용 차량의 선루프용 커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3240B (zh) 2015-10-11
CN103643885A (zh) 2014-03-19
CN103643885B (zh) 2015-08-12
TW201418064A (zh)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427B1 (ko) 선루프의 커튼 장력 유지 장치
US8955575B2 (en) Roller blind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6169811B2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WO2011037096A1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JP201319359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511557B1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롤블라인드 구조
JP5571064B2 (ja) サンシェード構造
US20040128880A1 (en) Display device for shutter
KR20110046972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2007223402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EP2703595B1 (en) Tilting roller blind with guides for roof windows
KR100698757B1 (ko) 자동복구형 하이 스피드 도어장치
US20050211390A1 (en) 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US20150345212A1 (en) Apparatus for covering a view opening
CN115398075A (zh) 遮阳部引导构造
JP5591068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6306406B2 (ja) 高さ調整装置及び横型ブラインド
KR101438785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EP3463951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and rollo assembly for use therein
KR100997247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JP2015063839A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550331Y2 (ja) シヤツター用のスラツト保持装置
US875129A (en) Window-shade.
KR101509652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