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258B1 - 케이블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258B1
KR101241258B1 KR1020120123787A KR20120123787A KR101241258B1 KR 101241258 B1 KR101241258 B1 KR 101241258B1 KR 1020120123787 A KR1020120123787 A KR 1020120123787A KR 20120123787 A KR20120123787 A KR 20120123787A KR 101241258 B1 KR101241258 B1 KR 101241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tting
support
bent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무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12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하여 구조적 변형이나 체결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절개 절곡된 걸림단을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측벽판의 상하부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단을 마주보게 형성하되, 상기 걸림단과 인접한 결합단에 다수개의 볼트홀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걸림단에 삽입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대의 상부단 양 끝에 끼움단을 절곡 형성하며, 상기 끼움단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단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면단은 내측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단을 형성하며, 볼트체결방식은 상부단에 볼트홀과 볼트의 머리가 매립되도록 결합되는 볼트체결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로 구성하고, 용접방식은 한 쌍의 프레임과 다수개 지지대의 걸림단과 끼움단을 용접하여 고정 구성하여; 볼트체결방식이나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외력의 발생시 길이가 긴 특성으로 발생하는 길이방향 횡력 및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하여 트레이의 구조적 변형 방지 및 체결력의 소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 방향으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하여 구조적 변형이나 체결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의 천정에 장착되어 내측에 전선, 전화선 및 배선 등을 배설하고 정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는, 종래의 케이블트레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윙편과 수직대로 구성되는‘ㄷ’빔과 수평으로 굴대 설치되는 수평지지대를 각각 분할 형성하고, 수평지지대를‘ㄷ’빔의 윙편과 수직대에 연접되게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한 다음 수평지지대의 양 끝단을 용접하여‘ㄷ’빔과 수평지지대가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ㄷ’빔과 수평지지대를 용접해서 설치함으로 설치상태가 견고(견실)하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1-0045453호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제20-2010-0001815호에서는 지지대와 프레임 사이를 리벳팅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임은 방지할 수 있으나, 좌우로의 움직임을 잡을 수 없고 리벳팅으로 인한 정확한 직각을 이루지 못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2. 대한민국 등록 실용 제20-0441965호의 지지대와 프레임 사이를 볼트를 고정하는 방식은 상하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으나, 좌우로의 움직임을 잡을 수 없고 지지대에 볼트가 올라오는 방식으로는 전선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기에 문제가 있고, 프레임 하단 날개쪽도 너트가 뛰어올라 있어 케이블 설치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ㄷ’빔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평지지대를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설치함으로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용접과정으로 야기되는 고온에 의해‘ㄷ’빔과 수평지지대에 비틀림이 발생되어 제품에 품질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길이가 긴 특성으로 발생하는 길이방향 횡력 및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하여 트레이의 구조적 변형 방지 및 체결력의 소실을 예방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횡력 및 비틀림을 방지하고 볼트체결방식이나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지지대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체결방식이나 용접방식으로 조립을 완료한 후 도금, 도장을 시행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어 체결시 발생하는 도금, 도장의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아 내식성 증대 및 사용처에 따른 활용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인원 감소및 생산성 향상, 표준화 작업 및 가장 중요한 설비투자의 중복을 막음으로서 생산원가상승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선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측벽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절개 절곡된 걸림단을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측벽판의 상하부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단을 마주보게 형성하되, 상기 걸림단과 인접한 결합단에 다수개의 볼트홀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걸림단에 삽입되도록 디귿자 형태의 지지대의 상부단 양 끝에 끼움단을 절곡 형성하며, 상기 끼움단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단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면단은 내측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단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단에는 볼트홀과 체결을 위한 볼트의 머리가 매립되도록 결합되는 볼트체결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외력의 발생시 길이가 긴 특성으로 발생하는 길이방향 횡력 및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하여 트레이의 구조적 변형 방지 및 체결력의 소실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끼움방식을 이용하여 횡력 및 비틀림을 방지하고 볼트체결방식이나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지지대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볼트체결방식이나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조립을 완료한 후 도금, 도장을 시행하여 제품을 완성할 수 있어 체결시 발생하는 도금, 도장의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아 내식성 증대 및 사용처에 따른 활용도가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를 용접방식으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를 용접방식으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레이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는 전선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 끝단에 결합하는 다수개의 지지대(20)로 트레이(100)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디귿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측벽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절개 절곡된 걸림단(12)을 다수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단(12)은 측벽판(11)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하부는 절개시키는 동시에 프레싱 가공을 통해 내측으로 융기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부에서 투영시 디귿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판(11)의 상하부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단(13)을 마주보게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단(12)과 인접한 결합단(13)에 다수개의 볼트홀(1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12)과 볼트홀(14)은 지지대(20)가 설치될 간격에 맞게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지지대(20) 설치 간격을 예를 들면 케이블 길이(통상 3000mm)에 따라 간격을 두고 통상 150mm, 200mm, 300mm 간격으로 프레임(10)과 연결하여 케이블의 지지를 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20)는 프레임(10)의 걸림단(12)에 삽입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상부단(21) 양 끝에 끼움단(22)을 절곡 형성한다.
이때, 상기 끼움단(22)은 외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23)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단(21)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면단(24)은 내측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단(25)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단(24)은 상부 방향으로 약 45°정도 경사지게 절곡되는데 그 이유는 트레이(100)의 조립을 완성한 후 도금을 하기위해 도금액에 담궈진 후 어느 한 방향으로 트레이(100)가 건져져 올라올 때 도금액이 배수되지 못하고 측면단(24)과 하단의 인접한 결합단(13) 사이에서 잔존한 상태로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어느 한쪽 방향은 상기 측면단(24)과 하단의 인접한 결합단(13)의 사이에서 도금액이 배수되지 못하고 맺혀진 상태가 되어 부식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상부단(21)에는 볼트(30)의 볼트머리(31)가 매립되도록 결합되는 볼트체결홀(26)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대(2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30)는 하부에는 수나선단(32)이 형성되고 상부로는 볼트머리(3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머리(31)는 상부면을 기준으로 수나선단(32)과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태로 테이퍼면(3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체결홀(26)은 입구측이 볼트머리(31)의 테이퍼면(33)과 대응되도록 결합경사면(26a)을 형성한다.
즉, 상기 볼트(30)는 볼트체결홀(26)에 체결될 경우 볼트머리(31)가 볼트체결홀(26)의 결합경사면(26a)에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면서 테이퍼면(33)과 결합경사면(26a)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잦은 진동에도 쉽게 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00)의 다른 결합방식은 상기 프레임(10)의 걸림단(12)에 삽입되도록 지지대(20)의 끼움단(22)을 삽입하고, 상기 걸림단(12)과 끼움단(22)을 용접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00)의 프레임(10)과 지지대(2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3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과 용접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우선적으로, 상기 프레임(10)과 지지대(2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사용 용도에 맞게 제작된 한 쌍의 프레임(10)의 결합단(13)이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10)의 걸림단(12)에 다수개 지지대(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끼움단(22)을 각각 삽입하여 끼움한다.
이때, 상기 끼움단(2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23)가 걸림단(12)이 형성된 프레임(10)이 접촉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프레임(10)과 걸림단(12)이 이격된 이격공간(S)의 공간폭이 끼움단(22)과 지지돌기(23)의 전체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끼움단(22)이 걸림단(12)에 걸림되기 위해 이격공간(S)의 내부로 삽입될 때 끼움단(22)과 걸림단(12)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S)에 끼움단(22)과 걸림단(12)이 억지 끼움 결합으로 인해 트레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횡력이 작용하더라도 비틀림 작용력에 대한 대응력으로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프레임(10)과 지지대(20)가 결합한 다음 볼트(3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상기 볼트(30)의 수나선단(32)을 볼트체결홀(26)과 나선체결하면 볼트머리(31)가 볼트체결홀(26)의 결합경사면(26a)에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되면서 테이퍼면(33)과 결합경사면(26a)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접촉면적이 확대됨으로써 잦은 진동에도 쉽게 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부연설명 하자면, 상기 볼트(30)를 이용한 결합은 끼움 맞춤으로 인해 이미 견고하게 밀착이 된후 프레임(10)과 지지대(20)들과의 완벽한 직각을 유지시킨 후 가결 합상태에서 어떤 이동이나 움직임이 없이 최종체결을 위한 볼트(30) 체결 작업을 함으로써, 기존에 가 결합상태에서 어떤 이동이나 움직임이 없이 걸림단(12)과 끼움단(22)이 끼움 결합된 상부측에서 수직 하향 방향으로 최종체결을 위하여 볼트(30)의 체결 작업을 통해 기존 가 결합 상태 후, 측면에서 볼트(30)로 체결 작업을 위하여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뒤틀림 현상이나 볼트체결시 직각유지가 힘들어 볼트(30) 체결이 완벽하게 되지 못한 것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작업자도 한 명이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 효율 및 인건비절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과 지지대(20)가 결합한 다음 용접방식을 이용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걸림단(12)에 삽입되도록 지지대(20)의 끼움단(22)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12)과 끼움단(22)을 용접으로 고정시켜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과 지지대(20)가 결합한 다음 볼트(30) 결합방식이나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트레이(100)의 결합을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상기 트레이(100)는 도금작업시 도금액에 담궈진 후 꺼내게 되면 어느 한 방향으로 측면단(24)이 경사지게 형성되기에 지지대(20)에 닿는 면적의 최소화로 어떤 방향으로든 도금액이 정체되지 않고 부식을 일으킬 수 있는 이물질과 함께 배수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측벽판
12 : 걸림단 13 : 결합단
14 : 볼트홀 20 : 지지대
21 : 상부단 22 : 끼움단
23 : 지지돌기 24 : 측면단
25: 절곡단 26 : 볼트체결홀
26a : 결합경사면 30 : 볼트
31 : 볼트머리 32 : 수나선단
33 : 테이퍼면 100 : 트레이

Claims (2)

  1. 전선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측벽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으로 걸림되도록 절개 절곡된 걸림단(12)을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측벽판(11)의 상하부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단(13)을 마주보게 형성하되, 상기 걸림단(12)과 인접한 결합단(13)에 다수개의 볼트홀(14)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0)의 걸림단(12)에 삽입되도록 상부단(21) 양 끝에 끼움단(22)을 절곡 형성하며, 상기 끼움단(22)의 외측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2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단(21)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면단(24)은 내측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단(25)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단(21)에는 볼트(30)의 볼트머리(31)가 매립되도록 결합되는 볼트체결홀(26)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디귿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걸림단(12)에 삽입되도록 지지대(20)의 끼움단(22)을 삽입하고, 상기 걸림단(12)과 끼움단(22)을 용접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트레이.
KR1020120123787A 2012-11-02 2012-11-02 케이블트레이 KR101241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87A KR101241258B1 (ko) 2012-11-02 2012-11-02 케이블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87A KR101241258B1 (ko) 2012-11-02 2012-11-02 케이블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258B1 true KR101241258B1 (ko) 2013-03-15

Family

ID=4818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87A KR101241258B1 (ko) 2012-11-02 2012-11-02 케이블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25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42B1 (ko) * 2018-02-26 2019-05-22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KR101993454B1 (ko) 2019-02-26 2019-06-26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US10367340B2 (en) 2013-07-02 2019-07-30 Polisys Co., Ltd. Assembly cable tray using retardant plastics and joint device thereof
KR102112932B1 (ko) * 2018-11-26 2020-05-19 권정호 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KR20200075262A (ko) * 2018-12-18 2020-06-26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지지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215560B1 (ko) 2020-06-12 2021-02-15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자바라식 광케이블 트레이
KR102215097B1 (ko) 2020-06-18 2021-02-15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접이식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20210132820A (ko) * 2020-04-28 2021-11-05 박인철 2면삽입마개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546265B1 (ko) * 2022-08-20 2023-06-23 김명수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케이블 트레이 제조용 레이저 용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077U (ko) * 1998-01-14 1999-08-16 임용선 케이블 트레이
KR100740900B1 (ko) 2007-03-05 2007-07-19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0436286Y1 (ko) 2007-04-10 2007-07-20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100005039U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077U (ko) * 1998-01-14 1999-08-16 임용선 케이블 트레이
KR100740900B1 (ko) 2007-03-05 2007-07-19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0436286Y1 (ko) 2007-04-10 2007-07-20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KR20100005039U (ko) * 2008-11-06 2010-05-14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7340B2 (en) 2013-07-02 2019-07-30 Polisys Co., Ltd. Assembly cable tray using retardant plastics and joint device thereof
KR101980742B1 (ko) * 2018-02-26 2019-05-22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KR102112932B1 (ko) * 2018-11-26 2020-05-19 권정호 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KR20200075262A (ko) * 2018-12-18 2020-06-26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지지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158416B1 (ko) * 2018-12-18 2020-09-21 윤용호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지지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993454B1 (ko) 2019-02-26 2019-06-26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210132820A (ko) * 2020-04-28 2021-11-05 박인철 2면삽입마개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478466B1 (ko) 2020-04-28 2022-12-15 박인철 2면삽입마개를 이용한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215560B1 (ko) 2020-06-12 2021-02-15 (주)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자바라식 광케이블 트레이
KR102215097B1 (ko) 2020-06-18 2021-02-15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접이식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2546265B1 (ko) * 2022-08-20 2023-06-23 김명수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케이블 트레이 제조용 레이저 용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258B1 (ko) 케이블트레이
KR102202424B1 (ko) 플랜지 어댑터
CN201062389Y (zh) 一种挂钩式幕墙立柱安装调节结构
KR101414792B1 (ko) 착탈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1323638B1 (ko) 조적식 외부벽돌벽
KR200471987Y1 (ko) 강성이 보강된 커튼월
US7967272B2 (en) Industrial hangers for fram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2065446A1 (zh) 固定线卡
CN206336913U (zh) 托架式墙板吊装组件
KR101371732B1 (ko)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9644A (ko)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CN203977847U (zh) 一种脚手架连接件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JP6044988B2 (ja) 後付け断熱天井板の取付工法、及び天井構造
CN104466827A (zh) 一种适用于电缆桥架的电缆定位装置
KR20100112418A (ko) 오픈 조인트를 갖는 건축물에서 스터드 볼트를 이용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CN204733500U (zh) 高强度c形型材组合式控制柜
KR10121632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KR10118263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접속장치
KR102393422B1 (ko)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6016296U (zh) 一种水平挑网锚环
CN205935196U (zh) 一种具有调节支撑功能的h型钢结构
CN219431106U (zh) 一种幕墙檐口吊板防坠落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