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44A -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Google Patents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9644A KR20110009644A KR1020100072830A KR20100072830A KR20110009644A KR 20110009644 A KR20110009644 A KR 20110009644A KR 1020100072830 A KR1020100072830 A KR 1020100072830A KR 20100072830 A KR20100072830 A KR 20100072830A KR 20110009644 A KR20110009644 A KR 201100096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ring portion
- bolt
- vertical
- exterior system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6327 polystyrene foa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물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트러스 구조물은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수직/수평으로 고정되며, 내측에 각각 단열재가 충진된 다수의 부재; 및 상기 다수의 부재 중 수직 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부재는 각각 버링부를 구비하고, 이 버링부를 통해 수직 부재가 상기 층별 슬라브 또는 상기 층간 옹벽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수평 부재가 상기 수직 부재에 볼트체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된 단열패널과 함께 단열을 행하여 트러스 구조물이 차지하는 영역에서의 비단열부분을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고, 동시에 구조를 강화할 수 있는 건축용 외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외장시스템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체결 또는 용접되는 다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수평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외장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건물의 벽체(W)에 인접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 부재(10a)가 판 형상의 석재(예를 들면,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외장재(11)를 지지한다. 이 경우 외장재(11)는 볼트(4)에 의해 수직 부재(10a)에 고정된 앵글(21)과, 또 다른 볼트(4)에 의해 앵글(21)에 체결된 조정판(23)에 의해 연속되는 외장재의 상/하단이 각각 고정 지지된다. 상기 외장재(11)의 상/하단은 조정판(23)을 관통하는 고정핀(25)에 고정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직 부재(10a)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부재(10b)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외장시스템은 수직 및 수평 방향 부재(10a,10b) 사이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각 공간부에 단열을 위해 주로 유리섬유 등으로 제작된 다수의 단열패널(30)을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의 외장시스템은 단열패널(30)이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수직 및 수평 부재(10a,10b)가 배치되는 부분은 비단열영역으로서 트러스구조물 전체면적에 대하여 대략 20-3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장시스템에 의한 단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부재는 통상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장시스템 시공 후 외장재에 강한 풍압이 작용하는 경우, 이 풍압이 다수의 부재로 전가되면서 다수의 부재가 풍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다수의 수직 부재(10a)를 주로 용접을 통해 상호 연결함에 따라, 시공 후 연결된 다수의 수직 부재는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외장재(11)를 직접 브라켓(21)에 직접 고정하지 못하고 상술한 조정판(23)을 추가로 구비하였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조정판(23)은 일직선으로 연결되지 못한 수직 부재(10a)의 불균일성을 상쇄하도록 소정 거리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브라켓(21)에 체결됨으로써 수직부재(10a)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외장재(11)가 외측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정판(23)의 추가로 인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은 물론 작업기간 또한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국내특허등록 제374995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38982호에 각각 개시된 종래의 외장시스템은 시공 시, 현장에서 수평 및 수직부재 간에 또는 파이프와 브라켓 간에 용접을 실시하여 상호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 부재 간에 용접을 통해 연결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 들이 있었다.
즉, 용접 시 트러스용 파이프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가 급격히 식으면서 용접부분에 용접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휨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정밀한 시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용접부위에 코팅된 부식방지용 도금재가 타거나 녹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페인트로 마감하여도 파이프 내부에는 페인팅처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었다. 아울러 고층건물의 외벽시공 시 통상 작업자가 곤돌라를 타고 용접을 행하여야 하므로 용접 시 발생하는 불똥이 낙하하여 아래에 적재된 자재등에 옮겨 붙을 경우 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트러스 구조물 시공 시 용접작업을 행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량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전력사용량이 크게 늘어 전체적인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국내특허등록 제415374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410714호에 각각 개시된 외장시스템은 용접을 피하고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시공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종래기술은 창호 설치를 위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평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용접을 통해 각 부재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용접작업을 생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부재 간의 연결과 각 부재에 브라켓을 연결할 때 일일이 너트 및 와셔 등을 함께 사용해야 하므로 조립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여전히 작업성을 개선하기에는 충분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볼트는 부재 즉, 파이프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로 고정되기 때문에 볼트를 과도하게 조일 경우 각 부재는 볼트 헤드와 너트 사이에서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73284호에는 수평 및 수직부재의 일측을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된 채널형상의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홈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너트 없이 볼트만으로 수평/수직 부재 및 브라켓을 체결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평/수직 부재 조립체에 지속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반복하여 가해지는 경우, 나사가 원 체결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나사홈을 따라 소정구간 슬라이딩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단열패널과 함께 다수의 수직 및 수평 부재가 단열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시공영역에서의 비단열부분을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부재가 탄력성을 구비함으로써 구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 체결만을 이용하여 각 부재 들 및 브라켓과의 조립을 행할 수 있고, 미세진동에 의한 각 부재들 간의 체결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라켓과 외장재 사이에 설치되는 조정판을 생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수직/수평으로 고정되며, 내측에 각각 단열재가 충진된 다수의 부재; 및 상기 다수의 부재 중 수직 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부재는 각각 버링부를 구비하고, 이 버링부를 통해 수직 부재가 상기 층별 슬라브 또는 상기 층간 옹벽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수평 부재가 상기 수직 부재에 볼트체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단열재는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틸렌 폼 및 우레아 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유닛은 상기 수직 부재에 볼트 체결되는 앵글; 및 상기 앵글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조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은 상기 조정판이 체결되는 부분에 버링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링부는 그 주변부가 상기 버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링부에 볼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버링부의 주변부가 상기 볼트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볼트가 상기 버링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링부는 천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1차 열처리되고, 나사 탭 가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2차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버링부는 내주면에 전조 탭핑에 의해 나사 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유닛은 일측이 상기 수직 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절곡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열재가 충진된 다수의 수직 및 수평 부재는 수직 및 수평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단열패널과 함께 외장시스템의 전체면적에 대한 단열영역을 형성함에 따라 종래에 비해 건물의 단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부재가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를 폴리우레탄 폼으로 채택하는 경우, 단열과 함께 자체 탄성력 및 강성을 구비함으로써 외장시스템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각 부재에 버링부를 형성함에 따라 너트의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용접을 생략함으로써 작업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볼트를 버링부에 탄력적으로 체결함으로써 미세한 진동에 의해 각 부재들 간의 체결력 감소를 방지하여 우수한 조립성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수의 수직 부재 연결 시 용접을 생략하고 볼트에 의한 연결을 통해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됨에 따라 조정판을 생략하고 다수의 외장재를 수직 부재에 체결되는 브라켓에 의해 직접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 및 작업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외장시스템에 단열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의 단열재가 충진된 수직 부재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Ⅵ 부분에 대한 버링(burring)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직 및 수평 부재에 체결볼트를 통해 앵글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4에 표시된 Ⅷ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9는 도 3에 표시된 Ⅸ-Ⅸ선을 따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3에 표시된 Ⅹ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11은 수직 부재에 체결되는 다른 실시예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브라켓을 통해 외장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외장시스템에 단열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의 단열재가 충진된 수직 부재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Ⅵ 부분에 대한 버링(burring)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수직 및 수평 부재에 체결볼트를 통해 앵글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4에 표시된 Ⅷ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9는 도 3에 표시된 Ⅸ-Ⅸ선을 따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3에 표시된 Ⅹ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11은 수직 부재에 체결되는 다른 실시예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브라켓을 통해 외장재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은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수직/수평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부재(100)와, 외장재(11)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부재에 설치되는 브라켓유닛(200, 도 8 참고)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장재(11)를 지지하는 외장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건물 내부에서 내장재를 지지하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수의 부재(1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부재(100a)와 수직 부재(100a)에 직각으로 고정되는 수평 부재(100b)를 포함한다.
수직 부재(100a)는, 도 4와 같이, 앵글브라켓(270)에 의해 층별 슬라브(1,3)에 고정되고, 연결로드(300)를 통해 각 슬라브(1,3)를 지지하는 H빔(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수직 부재(100a)는, 도 5와 같이, 강성을 고려하여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단열재(130)가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는 파이프의 단면이 직사각형상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시공 상황에 따라 단면이 삼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단열재(130)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틸렌 폼 및 우레아 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압출방식을 통해 수직 부재(100a)의 내측 중공부(111)에 충진된다. 이때 수직 부재(100a)에 상술한 탄력성과 함께 강성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단열재(130) 중에서 폴리우레탄 폼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부재(100a)는 브라켓유닛(200)의 앵글(210), 앵글브라켓(270), 연결로드(300), 수평 부재(100b) 및 지지프레임(100c, 도 9 참고)과 각각 체결되는 부분에, 도 6과 같이, 버링부(16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버링부(162)는 건물의 디자인 또는 지지하기 위한 외장재의 크기나 모양을 고려하여 수직부재(100a)의 각면 중 일부분에만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브라켓(210,270), 연결로드(300), 수평 부재(100b) 및 지지프레임(100c) 등이 체결될 각 위치에 1개의 버링부(162)를 형성하고, 현장 시공 시 버링부(162)의 설계상 가공위치에 대한 오차범위를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버링부(162)의 주변에 적어도 1개의 여유 버링부(16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링부(162)는 천공단계 및 나사탭가공단계의 2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1단계로, 버링부 가공단계에서는 소정의 가공툴(미도시)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의 소정 위치를 가압하면서 관통구멍(161)을 천공하는데 이때 관통구멍(161)의 형성과 동시에 버링부(16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버링부(162) 가공 시 관통구멍(161) 주변과 버링부(162)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급냉시키기 위해, 오일을 섞은 강한 압축공기를 관통구멍(161)과 그 주변에 지속적으로 분사한다. 이때 버링부(162)에는 1차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버링부(162)는 관통구멍(161)의 주변부에 버링부(162)를 향해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64)를 가공한다. 이러한 경사부(164)는 상기 버링부 가공단계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으며 또는 버링부(162) 가공 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통구멍(161) 주변에는 경사부(164)로 인해 수직 부재(100a)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갭(G)이 형성된다. 이 갭(G)은, 도 7과 같이, 버링부(162)에 볼트(165)를 체결할 때 버링부(162)가 브라켓유닛(200)의 앵글(210) 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앵글(210)이 수직 부재(100a)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이때 경사부(164)가 앵글(210)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버링부(162)는 볼트(165)의 나사부 측으로 밀착함으로써 볼트(165)와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룬다.
이와 같이 볼트(165)가 버링부(162)에 탄력적이고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더라고 버링부(162)와 볼트(165) 간의 풀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우수한 조립성을 구현할 수 있다.
2단계로, 나사탭가공단계는 버링부(162) 내주면에 나사 탭(163)을 형성하는 단계로, 버링부(162)의 단면적이 손실됨이 없도록 전조 탭가공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소정의 탭핑툴(미도시)을 통해 탭핑을 실시할 때 탭핑 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가열되는 버링부(162)를 급냉시키기 위해 탭핑 가공을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강한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버링부(162)에 2차 열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2차에 걸친 열처리를 통해 버링부(162)와 버링부(162)에 형성된 나사 탭(163)은 소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버링부(162)는, 도 7을 참고하면, 체결된 볼트(16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 길이(L)를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의 각각의 두께(t)에 대하여 대략 1∼2배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볼트(165)는 건물에 가해지는 미세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볼트 풀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장재(11)를 설치하기 위한 외장시스템의 연결에 사용되는 보통 나선이 형성된 볼트보다 가는 나선을 갖는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볼트(165)는 헤드(166)에 와셔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167)가 형성되고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미늘(168)이 형성된다. 이러한 풀림방지미늘(168)을 통해 볼트 풀림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버링부(162)를 통해서, 외장시스템을 이루는 각 부품 들 간의 결합 및 연결작업 시 별도의 용접을 행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대부분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체결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속한 건축용 외장시스템의 조립작업이 가능하여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브라켓유닛(200)은, 앵글(210)과, 외장재(11)의 선단을 지지하는 조정판(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유닛(200)이 외장재(11)를 지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장재의 경우에도 외장재(11)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앵글(210)은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며 수직 부재(100a)에 체결되는 부분에는 장공(211)이 형성되고, 조정판(230)이 체결되는 부분에는 상술한 버링부(162)와 동일한 버링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앵글(210)에 형성된 버링부(212)는 수직 부재(100a)에 형성된 상술한 버링부(162)와 구조 및 기능면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정판(230)은 대략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볼트(165)가 관통하는 장공(23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도 8과 같이, 외장재(11)로 삽입되는 삽입봉(233)이 관통 형성된다. 이 경우, 앵글(210)과 조정판(230)을 상호 연결 시 별도의 너트를 구비하지 않고 앵글(210)에 형성된 버링부(212)를 이용하여 볼트(165)를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을 참고하면, 앵글(210)을 수직 부재(100a)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 볼트(165)와 조정판(230)을 앵글(210)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 볼트(165)는 볼트(165)의 헤드(166)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달리 2개의 볼트(165) 사이에는 볼트(165)를 조이기 위한 전동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에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스패너와 렌치 등을 사용하면서 체결작업을 행하지 않고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수직 부재(100a)는 수직 부재(100a) 끼리 상하로 연결되는 경우, 상하로 배치된 수직부재(100a)의 인접한 각 일측단부가 연결편(40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하로 연결되는 수직 부재(100a)는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간격(D)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수직 부재(10)가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길이를 고려한 것이다.
수평 부재(100b)는 주로 건물의 창호(5, 도 3 참고)가 시공될 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다수의 수직 부재(100a) 간의 측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수직 부재(100a)에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부재(100b)는 상술한 수직 부재(100a)와 마찬가지로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측에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틸렌 폼 및 우레아 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단열재(130)가 충진된다.
또한, 수평 부재(110b)는, 도 10과 같이, L자형 브라켓(240) 통해 수직부재(100a)에 직각방향으로 볼트 체결된다. 도 10에서 미설명부호 162는 버링부를 각각 나타낸다.
지지프레임(100c)은, 도 9와 같이, 다수의 수직 부재(100a)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다수의 수직 부재(100a)를 연결한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100c)은 L자형 브라켓(250)을 통해 볼트(165)로 체결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0c)은 트러스 구조물이 풍압에 견디도록 일조를 하는 것과 동시에 수직 부재(100a) 간의 연결 구조를 더욱 강화한다. 더욱이 지지프레임(100a)은 단면이 사각형상, L자 형상, ㄷ자 형상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을 통하지 않고 볼트 체결방식으로 다수의 수직 부재(100a)와 체결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00c)은 상술한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와 마찬가지로, 도 9와 같이, 내측에 단열재(130)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 및 지지프레임(100c)는, 트러스 구조물 시공 시 단열을 위해 종래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패널(30, 도 2참고)을 설치하게 되면,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 내에 충진된 단열재(130)에 의해 트러스 구조물의 전체면적에 대하여 비단열영역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건물의 단열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는 내부에 충진하는 단열재(130)를 폴리우레탄 폼으로 채택하는 경우, 단열은 물론 자체 탄성력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물 시공 후, 바람에 의해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을 향하여 발생하는 풍압이 가해지면, 수직 및 수평 부재(100a,100b)의 내부에 충진된 단열재(130)로부터 제공받는 탄력성에 의해 건물 벽체(1, 도 1 참고) 측으로 완만하게 휘어졌다가 풍압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트러스 구조물은 풍압에 의해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시스템은 브라켓유닛(200)을 설치할 때 종래와 같이 스패너와 각종 렌치 등을 함께 사용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지양할 수 있다.
즉, 브라켓유닛(200)의 앵글(210)은 너트 없이 볼트(162)를 통해 수직 부재(100a)에 체결하고, 조정판(230)도 앵글(210)에 볼트(162)를 통해 체결하며, 이때 종래기술과 달리 복스를 구비한 전동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볼트(162) 체결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글(310)을 사용하는 경우, 외장재(11)를 지지하는 상술한 조정판(230) 및 고정핀(233)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앵글(310)은 수직 부재(100a)에 체결되는 부분(310a)은 상술한 앵글(210)과 마찬가지로 장공(311)이 형성된다. 하지만 조정판(230)이 체결되었던 부분(310b)에는 관통구멍(311) 및 버링부(312)가 생략되고 고정핀(233)을 대신하는 한쌍의 절곡부(313,315)가 형성된다.
한쌍의 절곡부(313,315)는 각각 앵글(310)의 일부분(310b)으로부터 각각 상하로 절곡되며, 각 절곡부(313,315)의 끝단부에는 라운드부(313a,315a)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313a,315a)는, 도 12와 같이, 외장재(11)에 형성된 홈(11a)에 삽입되는데, 이 홈(11a)은 통상 그라인드(미도시)의 원형커터(미도시)를 통해 가공된다. 이 경우 라운드부(313a,315a)는 원형커터의 원주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라운드부(313a,315a)는 외장재(11)의 홈(11a)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100a,100b: 건축용 부재 100c: 지지프레임
130: 단열재 162,212: 버링부
165: 볼트 200: 브라켓유닛
130: 단열재 162,212: 버링부
165: 볼트 200: 브라켓유닛
Claims (7)
- 건물의 층별 슬라브 또는 층간 옹벽에 수직/수평으로 고정되며, 내측에 각각 단열재가 충진된 다수의 부재; 및
상기 다수의 부재 중 수직 부재에 볼트 체결되어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부재는 각각 버링부를 구비하고, 이 버링부를 통해 수직 부재가 상기 층별 슬라브 또는 상기 층간 옹벽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수평 부재가 상기 수직 부재에 볼트체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틸렌 폼 및 우레아 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유닛은 상기 수직 부재에 볼트 체결되는 앵글; 및
상기 앵글에 볼트 체결되어 상기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조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은 상기 조정판이 체결되는 부분에 버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그 주변부가 상기 버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링부에 볼트를 체결함에 따라 상기 버링부의 주변부가 상기 볼트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볼트가 상기 버링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천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1차 열처리되고, 나사 탭 가공 시 마찰열에 의해 가열될 때 압축공기에 오일을 섞어 분사함으로써 2차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는 내주면에 전조 탭핑에 의해 나사 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유닛은 일측이 상기 수직 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절곡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2830A KR20110009644A (ko) | 2010-07-28 | 2010-07-28 |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2830A KR20110009644A (ko) | 2010-07-28 | 2010-07-28 |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9644A true KR20110009644A (ko) | 2011-01-28 |
Family
ID=4361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2830A KR20110009644A (ko) | 2010-07-28 | 2010-07-28 |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9644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472B1 (ko) * | 2012-02-09 | 2013-07-01 | 박종철 | 건축물 벽체 및 지붕 하지마감용 단열바 |
KR101995382B1 (ko) * | 2018-09-27 | 2019-10-01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
KR20200035817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
KR20200035818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
KR20200035819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의 구조 |
KR20200035816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측부 결합구조 |
KR20200035815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
-
2010
- 2010-07-28 KR KR1020100072830A patent/KR2011000964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0472B1 (ko) * | 2012-02-09 | 2013-07-01 | 박종철 | 건축물 벽체 및 지붕 하지마감용 단열바 |
KR101995382B1 (ko) * | 2018-09-27 | 2019-10-01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
KR20200035817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하부 결합구조 |
KR20200035818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
KR20200035819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의 구조 |
KR20200035816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측부 결합구조 |
KR20200035815A (ko) * | 2019-02-18 | 2020-04-06 | 권혁준 |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09644A (ko) | 고 열효율을 가지는 건축용 외장시스템 | |
CN110593419B (zh) | 一种装配式穿心螺栓不等高梁-方钢管混凝土柱节点构造及作法 | |
KR101030320B1 (ko) |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 |
US4070847A (en) | Space frame structure | |
KR20150094366A (ko) |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 |
KR101002354B1 (ko) |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 |
CN110748076B (zh) | 预应力钢管桁架外挂墙板及使用该墙板制作安装的墙体 | |
KR100911172B1 (ko) | 건물 내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트러스 구조물 | |
WO2023178424A1 (en) | Cladding attachment devices,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 |
JP2008169606A (ja) | ブレース、ブレースの取付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 |
KR200450950Y1 (ko) | 건물 외벽 트러스 연결 구조물 | |
CN112814180A (zh) | 一种金属基层保温构造 | |
KR20160118420A (ko) | 무용접 하부 구조물 고정 장치 | |
KR200313103Y1 (ko) | 건축용 외벽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 | |
CN211973827U (zh) | 一种节能钢结构单元及钢结构 | |
JP2012097450A (ja) |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 |
KR20100043985A (ko) | 건물 내외장판넬을 지지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물 | |
JP4496395B2 (ja) | 折板屋根構造 | |
KR102175060B1 (ko) |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37236B1 (ko) | 내진 무용접 외장판넬 시스템 | |
JP6727090B2 (ja) |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 |
CN214497918U (zh) | 一种金属基层保温构造 | |
KR100373628B1 (ko) |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 |
KR102393422B1 (ko) | 변형 방지 h형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CN220365341U (zh) | 一种易周转屋面女儿墙临边防护架基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