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116B1 -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116B1
KR101241116B1 KR1020120125155A KR20120125155A KR101241116B1 KR 101241116 B1 KR101241116 B1 KR 101241116B1 KR 1020120125155 A KR1020120125155 A KR 1020120125155A KR 20120125155 A KR20120125155 A KR 20120125155A KR 101241116 B1 KR101241116 B1 KR 10124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bridge
joint
plate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섭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아이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100'), 상기 조인트판에 나사 결합되며 머리부에 링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200'),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220')을 통과하여 걸림되며 상기 슬라브(10)(20)의 앵커매립부를 이루는 구조물에 정착되는 고정체(300)를 포함하여서 된다.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아이볼트의 링이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브의 앵커 매립부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조인트판을 앵커 매립부의 구조물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an expansion joint on bridge using eyebol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유격공간에 설치되는 조인트판을 교량 상판의 슬라브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교량 구조물은 다수의 상판이 슬라브를 이루며 등간격 설치되고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는 신축성 확보를 위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는, 하루의 일교차 또는 동절기 및 하절기의 온도차에 따른 도로 또는 교량 상판의 슬라브에서 발생되는 팽창 또는 수축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즉, 교량은 온도변화에 의한 온도차이에서 발생되는 신축, 콘크리트 특성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이프, 차량 통행시 활하중에 따른 상부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교량 상판이 서로 신축이음되어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신축이음장치는, 유격공간에 설치되는 조인트판을 말하는 것이며 이는 레일형 조인트판, 모노셀조인트, 핑거형 조인트판 등의 구조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레일형 조인트판의 경우,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대응된 상측 부분에 형성된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조인트판이 결합되는 것으로 레일이 교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고 레일과 레일 사이에 배수판이 설치되어 우수를 교축의 직각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핑거형 조인트판의 경우,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대응된 상측 부분에 형성된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조인트판이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요철형상의 핑거를 갖는 핑거편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위치되어 각각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결합되며 핑거편과 핑거편 사이의 저면에 배수판이 설치되어 우수를 교축의 직각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조인트판을 이루는 레일, 모노셀, 핑거편 등을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결합시 슬라브에 형성되는 앵커매립부 측의 철근과 결속을 위해 보강철근을 적용하여 연결 고정하게 되며 이후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보강철근의 유동 및 이탈 현상이 발생되어 콘크리트의 부착력의 저하 및 일정하지 않는 배열로 인해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특허등록 10-0808444 교량 상판 신축 이음장치 및 방법 공고일 2008년 2월 29일 특허공개 10-2008-0108705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볼트풀림 방지구조 2008년 12월 16일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머리부에 링을 갖는 아이볼트를 적용시켜 링이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체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슬라브의 앵커매립부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하고 아이볼트의 나사부가 조인트판에 조임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아이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링의 원형홀이 교축 방향, 교축의 직각 방향, 교량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되어 고정체를 통해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 상기 조인트판에 나사 결합되며 머리부에 링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링을 통과하여 걸림되며 상기 슬라브에 정착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서 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판은 상기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간격을 두고 교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형 또는 모노셀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 상기 슬라브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판을 고정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링이 각각 걸림되면서 나사부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조인트판을 상향 통과하여 각각 너트 조임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링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브의 앵커매립부에 정착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서 된다.
상기 고정체가, 중공 또는 중실의 바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판은, 한 쌍이 마주보며 상기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고정되는 핑거편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볼트의 링이 각각 원형홀을 가지며 상기 원형홀이 교축 방향, 교축의 직각 방향, 교량의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열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아이볼트의 링이 철근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브의 앵커 매립부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조인트판을 앵커 매립부의 구조물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링의 원형홀 방향이 교축 방향, 교축의 직각 방향, 교량의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위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철근 등의 고정체를 통해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의 원형홀 안쪽에 철근이 안착되게 되면 무수축 콘크리트 타설시에도 철근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어 철근 배치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설치 과정 및 설치후 외력 발생시에도 콘크리트 부착력 및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볼트의 체결만으로 제작이 간단하여 제조 공정이 단축되며,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아이볼트 크기가 작음에 따라 설치 면적의 최소화가 가능하고, 더불어 콘크리트 깨기 및 채움으로 인한 시공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가 레일형 신축이음장치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제1실시예,
도 2는 도 1의 다른 예로서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가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가 핑거형 신축이음장치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제2실시예,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설치 상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예,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예,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다른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신축이음구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인트판의 정착력 및 설치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은, 도 1 또는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신축부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100), 상기 조인트판(100)에 나사 결합되며 머리부에 링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200),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을 통과하여 걸림되며 상기 슬라브에 각각 정착되는 고정체(300)를 포함하여서 된다.
상기 조인트판(100)은, 상기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간격을 두고 교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10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지 기술과 같이 상기 레일(100a)이 신축이음을 위한 공간에 복수개 배열되고 이들 레일(100a)과 레일(100a) 사이에는 배수판(30)이 형성된다.
상기 아이볼트(200)는, 머리부와 나사부(240)로 이루어지며, 머리부에 원형의 링(22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체(300)는, 철근 등과 같은 중공 또는 중실의 바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220)을 통과하여 걸림되고, 상기 고정체(300)는 슬라브에 각각 일체로 고정 또는 슬라브에 형성되는 앵커매립부의 구조물에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며 고정된다.
상기한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치시에는,
교량의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형성된 유격공간에 조인트판(100)을 설치하고, 상기 조인트판(100)을 이루는 레일(100a)의 일측에 아이볼트(200)의 나사부를 나사결합시켜 아이볼트(200)가 복수개 배열되도록 한 다음, 상기 아이볼트(200)에 각각 형성된 링(220)에 고정체(300)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면 된다. 이후 상기 고정체(300)를 설치공간에 형성된 앵커매립부의 구조물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그런다음, 상기 고정체(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공간을 몰탈 등으로 채움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220)에 형성된 원형홀의 방향을 교축 방향, 교축과 직각 방향, 교량 상하 방향으로 위치시킨후 고정체(300)를 통해 연결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10)와 슬라브(20) 사이의 신축부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100'), 상기 슬라브(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판(100')을 고정하는 베이스판(400'), 상기 베이스판(300)의 저면에 링이 각각 걸림되면서 나사부가 상기 베이스판(400)과 상기 조인트판(100')을 상향 통과하여 각각 너트(500) 조임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200'),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브(10)(20)의 앵커매립부에 각각 정착되는 고정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3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철근 등의 중공 또는 중실의 바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인트판(100')은, 한 쌍이 마주보며 상기 슬라브(10)와 슬라브(20) 사이에 고정되는 핑거편(100a')(100b')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지 기술과 같이 상기 핑거편(100a')(100b')이 신축이음을 위한 공간에 복수개 배열되고 이들 핑거편(100a')과 핑거편(100b') 사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판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400')은, 판상의 부재로 상기 핑거편(100a')(100b')을 앵커매립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아이볼트(200')는, 머리부와 나사부(240')로 이루어지며, 머리부에 원형의 링(22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220')이 각각 원형홀을 가지며 상기 원형홀이 교축 방향, 교축의 직각 방향,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축방향,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축의 직각방향,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의 조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300')는, 중공 또는 중실의 바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220')을 통과하여 걸림되며 상기 고정체(300')는 슬라브(10)(20)에 각각 일체로 고정 또는 슬라브에 형성되는 앵커매립부에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며 고정된다.
상기한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치시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량의 슬라브(10)와 슬라브(20) 사이에 형성된 유격공간에 베이스판(400')을 위치시키고 상기 베이스판(400')의 상면에 조인트판(1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조인트판(100')을 이루는 핑거편과 핑거편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기 베이스판(400')의 저면에 형성된 홀에 아이볼트(200')의 나사부(240')를 위치시킨 다음 상향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그러면 아이볼트(200')의 나사부(240')가 조인트판(10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되고 이때 너트(500') 조임시키면 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아이볼트(200')가 복수개 배열되도록 한 다음, 상기 아이볼트(200')에 각각 형성된 링(220')에 고정체(300')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면 된다. 이후 상기 고정체(300)를 설치공간에 형성된 앵커매립부의 구조물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그런다음, 상기 고정체(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공간을 몰탈 등으로 채움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아이볼트(200)의 링(220)에 형성된 원형홀의 방향을 교축 방향, 교축과 직각 방향, 또는 이들이 혼용되어 배열된 형태로 위치시킨후 고정체(300)를 통해 앵커매립부의 구조물과 연결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볼트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로 조인트판을 레일형, 모노셀형, 핑거형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변형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10,20: 슬라브
100: 조인트판
200: 아이볼트 220: 링
300: 고정체
400: 베이스판

Claims (6)

  1.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
    상기 조인트판에 나사 결합되며 머리부에 링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링을 통과하여 걸림되며 상기 슬라브에 정착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판이,
    상기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간격을 두고 교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형 또는 모노셀형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3.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이루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의 유격공간에 위치되는 조인트판;
    상기 슬라브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판을 고정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링이 각각 걸림되면서 나사부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조인트판을 상향 통과하여 각각 너트 조임되는 복수개의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링을 통과하여 상기 슬라브의 앵커매립부에 정착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가,
    중공 또는 중실의 바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판이,
    한 쌍이 마주보며 상기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고정되는 핑거편임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볼트의 링이 각각 원형홀을 가지며 상기 원형홀이 교축 방향, 교축의 직각 방향, 교량의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열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0120125155A 2012-11-07 2012-11-07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24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55A KR101241116B1 (ko) 2012-11-07 2012-11-07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55A KR101241116B1 (ko) 2012-11-07 2012-11-07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116B1 true KR101241116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155A KR101241116B1 (ko) 2012-11-07 2012-11-07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1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14Y1 (ko) 2004-05-13 2004-08-06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용 핑거조인트
KR20080010974A (ko) * 2006-07-28 2008-01-31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90004478U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KR20120110279A (ko) * 2011-03-29 2012-10-10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14Y1 (ko) 2004-05-13 2004-08-06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용 핑거조인트
KR20080010974A (ko) * 2006-07-28 2008-01-31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90004478U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KR20120110279A (ko) * 2011-03-29 2012-10-10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206B1 (ko) 모멘트 재분배에 의하여 장경간 및 저형고를 가지는 강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US20130061406A1 (en) Modular Bridge
KR101353753B1 (ko)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JP4491820B2 (ja) プレキャスト橋梁
RU2725438C2 (ru) Переходная структура, перекры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стык
KR100860796B1 (ko) 상하 대칭 또는 비대칭 정착브라켓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연속화 방법
JP5388753B2 (ja) 鋼床版補強工法及びその工法に用いられる鋼コンクリート合成パネル
CN102587228B (zh) 一种防松强锚固大调高量扣件
KR101806009B1 (ko) 강거더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도로구조물
KR10058368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프리캐스트 보와의 접합방법
KR101241116B1 (ko) 아이볼트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JP2012202149A (ja) 合成桁の床版ずれ止め構造及び床版ずれ止め方法
KR101712430B1 (ko) 빔-슬래브패널 결합구조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100915590B1 (ko) 가설케이블에 의한 일반강재의 초기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1674725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JP20062833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を使用し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板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30111902A (ko) 연결부 정착단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보도교 시공방법
KR20130068384A (ko) 복합 긴장방식을 적용한 psc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RU25287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плош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лит
KR100808444B1 (ko) 교량 상판 신축 이음장치 및 방법
KR102586384B1 (ko) 데크연결 편심클립을 이용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간이 포함된 데크로드 시스템
JP2006118191A (ja) 合成床版橋の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