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949B1 -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 Google Patents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949B1
KR101240949B1 KR1020100125961A KR20100125961A KR101240949B1 KR 101240949 B1 KR101240949 B1 KR 101240949B1 KR 1020100125961 A KR1020100125961 A KR 1020100125961A KR 20100125961 A KR20100125961 A KR 20100125961A KR 101240949 B1 KR101240949 B1 KR 10124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dross
support
chai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776A (ko
Inventor
이웅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2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9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조 상에서 발생되는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를 포집 및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드로스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삽형태로 내부에 포집공간을 가지며, 미세홀이 다수 형성되고 하면 길이방향으로 보강대가 결합된 버킷부; 상기 버킷부를 지탱하여주기 위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일체 결합되는 상측 개방형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로서, 수용공간 내에 금속괴를 내재시켜 상부에 무게중심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상부 무게중심형성부; 상기 지지체의 상부 후측단에 결합되어 돌출 배치되는 편중구조체; 상기 지지체의 앞쪽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제1체인과 상기 편중구조체의 뒤쪽면을 지지하도록 편중구조체의 뒤쪽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제2체인으로 구성되며, 버킷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임 배치와 원상복귀를 지원하게 되는 결합체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DROSS BUCKET FOR GATHERING AND REMOVING DROSS IN HOT DIP ZINC PLATING BATH}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조 내에 발생되는 드로스를 포집 및 제거하기 위한 드로스 버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금대상물의 용융아연도금시 용융아연도금조 내에 발생되는 드로스를 보다 용이하게 긁어내거나 퍼올려서 포집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은 기계적 성질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고 열처리에 의해 적정한 강도 및 경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부식이 잘 되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철강의 부식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표면처리를 행하게 되는데, 전기도금, 화학도금, 용융아연도금 등 여러 가지 표면처리 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때 경제적이면서도 장기간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처리 방식으로 용융아연도금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용융아연도금은 고온의 용융아연이 담긴 용융아연도금조 내에 도금하고자 하는 도금대상물을 침지시킴으로써 도금대상물의 표면에 용융아연을 입히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용융아연도금 과정 중에는 용융아연도금조 상에서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dross)가 발생되는데, 이 드로스가 도금대상물에 묻을 경우 품질저하 등 제품불량을 초래하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드로스를 포집 및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해주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에 사용되는 드로스 버킷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1)은 지지몸체(10)를 갖되 이 지지몸체(10)의 하부에 용융아연도금조 상에 발생되어 가라앉거나 떠있는 상태의 드로스를 긁어내거나 퍼올려서 포집 및 제거하기 위한 삽형태의 버킷부(20)가 일체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10)의 전후측면부에 고정 결합된 결합체인(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버킷부(20) 상에는 미세홀(21)을 다수 형성시킴으로써 용융아연액은 이 미세홀(21)을 통해 빠져나가게 하고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만을 버킷부(20) 내에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드로스 버킷(1)은, 지지레일을 통해 위치 이동하고 승강 구동되는 걸고리(H)를 갖는 이동크레인을 이용하여 위치 이동 및 기울기 조정함으로써 드로스를 포집 및 제거하게 된다.
즉, 이동크레인에 구비된 걸고리(H)에 지지몸체(10)에 결합된 양측 결합체인(30)을 걸어 이동크레인의 후측 걸고리(H)를 상승시킴에 따라 버킷부(20)를 앞쪽으로 기울인 상태로 조정한 후 이동크레인을 움직여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삽형태의 버킷부(20)를 통해 용융아연도금조 상에서 발생되는 드로스를 긁어내거나 퍼올려서 포집 및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구성의 드로스 버킷(1)은 이동크레인을 이용하여 삽형태의 버킷부(20)를 앞쪽방향으로 기울여 조정하는데 구조적인 어려움 및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드로스 버킷(1)을 기울이는데 작업자가 참여하여 지지몸체(10)를 밀어주어야 하는 도움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구성의 드로스 버킷(1)은 단순히 삽형태의 버킷부(20)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몸체(10) 및 이동크레인을 이용하기 위한 결합체인(30)의 단순 구성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양측이 균등한 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드로스 버킷(1)의 기울임 조정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금대상물의 용융아연도금시 용융아연도금조 상에서 발생되는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를 보다 용이하게 긁어내거나 퍼올려서 포집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무게중심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크레인의 움직임만으로도 버킷부를 앞쪽방향으로 간단히 기울여 배치할 수 있도록 구조설계 및 개선함으로써 드로스의 포집 및 제거작업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삽형태로 내부에 포집공간을 가지며, 미세홀이 다수 형성되고 하면 길이방향으로 보강대가 결합된 버킷부; 상기 버킷부를 지탱하여주기 위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일체 결합되는 상측 개방형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로서, 수용공간 내에 금속괴를 내재시켜 상부에 무게중심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상부 무게중심형성부; 상기 지지체의 앞쪽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제1체인과 상기 편중구조체의 뒤쪽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되어 배치되는 제2체인으로 구성되며, 버킷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임 배치와 원상복귀를 지원하게 되는 결합체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비해 상부에 무게중심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편중구조체를 부가적으로 배치하는 등 효율적인 구조배치설계 및 구조 개선으로 작업자의 도움없이 이동크레인의 운전만으로도 버킷을 앞쪽방향으로 간단히 기울여 작업상태를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킷부로 드로스를 용이하게 긁어내거나 퍼올려서 포집 및 제거할 수 있는 등 드로스 포집 및 제거에 따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로스의 포집 및 제거를 위한 버킷의 기울임 배치와 원상복귀에 대해 보다 수월하게 실시할 수 있는 원활함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의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100)은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부(110), 지지체(120), 상부 무게중심형성부(130), 편중구조체(140) 및, 결합체인(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킷부(110)는 삽형태로 내부에 포집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를 직접적으로 긁어 내거나 포집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버킷부(110) 상에 미세홀(111)이 다수 형성되어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dross)만을 포집 및 용융아연액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킷부(110)의 바닥 상면에는 후방(後方)에서 선단(先端)에 이르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보강대(112)를 결합하여 버킷부(110)의 하부측 강도를 높여줌으로써 드로스를 긁어내거나 퍼올려서 포집 및 제거시 보다 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지지체(120)는 버킷부(110)와 결합을 이루며 버킷부(110)의 상측방향에서 버킷부를 지탱하여줄 수 있도록 수직하게 세워 설치한 구조체로서, 프레임구조가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상부 무게중심형성부(130)는 지지체(120)의 상단(上端)에 일체 결합되는 상측 개방형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含體)의 구성으로서, 수용공간 내에 아연괴 등의 금속괴(A)를 투입하여 내재시킴으로써 버킷(100)의 상부에 무게중심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이를 통해 하측보다 상측에 무게를 더 형성시켜줌으로써 버킷(100)의 앞쪽방향 기울임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때, 상부 무게중심형성부(130)에는 버킷(100)의 기울임 조정시 수용공간 내에 내재되는 금속괴가 외부로 낙하됨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공간을 폐쇄 및 잠금 처리되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편중구조체(140)는 상기 지지체(120)의 후단면(後端面) 상부(上部)에 결합되어 후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구성으로, 버킷(100)의 기울기 배치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부가 설계된 것이며, 프레임구조가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결합체인(150)은 제1체인(151)과 제2체인(152)으로 구성되는데, 제1체인(151)은 지지체(120)의 앞쪽 양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구비되고, 제2체인(152)은 편중구조체(140)의 뒤쪽 양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때, 제1체인(151)과 제2체인(152)은 각각 이동크레인의 걸고리(H)에 중심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부연하면, 제1체인(151)은 지지체(120)의 앞쪽 좌우 양측부에 구비된 고정고리(131)측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고 이의 상부에 대응 위치된 하나의 걸고리측에 상단이 동시 연결되어 거치되도록 구성되며, 제2체인(152)은 편중구조체(140)의 뒤쪽 좌우 양측부에 구비된 고정고리(141)측에 하단이 각각 결합되고 이의 상부에 대응 위치된 다른 하나의 걸고리측에 동시 연결되어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제1체인(151)은 도 4의 예시에서와 같이, 버킷(100)의 사용을 위해 지지체(120)를 앞쪽방향으로 기울여 배치시 지지체(120)의 상단부 앞쪽을 지지하여 앞쪽으로 급격한 쏠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드로스의 포집 후 버킷(100)의 기울임 배치를 원상태로 복귀시 지지체(120)의 상단부를 뒤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여 버킷(100)에 대해 기울임 배치에 따른 안전성과 원상복귀의 원활함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와는 반대 기능으로 상기 제2체인(152)은 도 3의 예시에서와 같이, 편중구조체(140)의 뒤쪽면을 지지하도록 연결 구비함으로써 버킷(100)의 사용을 위한 앞쪽방향으로 기울임 배치시 편중구조체(140)의 뒤쪽면을 들어 올림과 동시에 앞쪽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으로 버킷(100)의 기울임 배치를 더욱 원활하게 하고 드로스의 포집 후 버킷(100)의 기울임 배치를 원상태로 복귀시 편중구조체(140)의 뒤쪽면을 지지하여 주므로 버킷(100)의 원상복귀에 따른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로스 버킷(100)을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작업에 사용하는 경우, 상부 무게중심형성부(130)의 수용공간 내에 아연괴 등의 금속괴(A)를 투입하여 내재시킴으로써 버킷(100)의 상부에 무게중심이 형성되게 한다.
버킷(100)의 제1체인(151)과 제2체인(152)을 각각 이동크레인의 걸고리(H)에 거치시킴으로써 위치 이동 및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이동크레인의 운전을 통해 버킷부(110)를 갖는 드로스 버킷(100)을 들어 용융아연도금조측으로 위치 이동 및 하강시켜 용융아연도금조(200) 내에 디핑시킨 후, 편중구조체(140)에 고정 결합된 즉, 버킷(100)의 후측방향에 위치된 제2체인(152)을 들어 올려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버킷(100)이 앞쪽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이때, 버킷(100)은 상부 무게중심형성부(130)를 통해 버킷(100)의 상부에 무게중심이 하부에 비해 더 무겁게 형성된 상태이고 지지체(120)의 상부 후측에 결합된 편중구조체(140)를 들어 올리게 됨에 따라 지렛대작용에 의해 버킷(100)을 간단히 앞쪽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조정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제1체인(151)은 지지체(120)의 상단부를 받쳐 지지함에 따라 급격한 쏠림을 방지하면서 버킷(100)의 안전한 기울임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버킷부(110)가 용융아연도금조(200) 내에 발생되어 가라앉은 상태의 드로스(dross)를 긁어내거나 용융아연도금조(200) 상에 떠있는 드로스를 보다 용이하게 퍼 올릴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버킷(100)의 효과적인 구조설계 및 개선에 의해 이동크레인의 운전만으로도 용이하게 버킷(100)의 기울임을 조정함은 물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버킷부(110)를 기울인 상태로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드로스를 긁어내는 작업을 실시한 후에는 제1체인(151)과 제2체인(152)을 적절히 상승시키되 버킷부(110)의 앞쪽을 먼저 들어 올려 드로스를 떠내는 동작으로 이동크레인을 운전함으로써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버킷부(110) 내에 드로스(D)를 포집하게 된다.
이때, 버킷부(110) 내로 유입된 드로스(D)를 포함하는 용융아연액에서 용융아연액(L)은 다수의 미세홀(111)을 통해 빠져나가 용융아연도금조(200)로 떨어지고 미세홀(111)을 빠져나가지 못하는 산화아연 찌꺼기인 드로스(D)만이 버킷부(110) 상에 남게 되어 포집된다.
여기서, 제1체인(151)과 제2체인(152)의 제어를 통한 버킷(100)의 기울임 배치의 원상복귀시 제1체인(151)은 지지체(12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태로 지지체(120)를 뒤쪽 방향으로 밀어 올려주는 작용으로 버킷(100)의 원상복귀에 따른 용이함을 제공하며, 이때 제2체인(152)은 편중구조체(140)의 뒤쪽면을 지지하여 줌에 따라 버킷(100)의 더욱 안전한 원상복귀를 가능하게 한다.
이후, 이동크레인의 운전을 통해 드로스(D)를 포집한 상태인 버킷(100)을 드로스 회수조(미 도시됨)로 위치 이동시켜 포집한 드로스를 드로스 회수조에 저장되게 하며,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용융아연도금조에서 발생되는 드로스를 용이하게 포집 및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서는 버킷(100)의 기울임 배치와 원상복귀에 따른 원활함과 안전성을 제공하므로 드로스의 포집 및 제거작업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드로스 버킷 110: 버킷부
111: 미세홀 112: 보강대
120: 지지체 130: 상부 무게중심형성부
140: 편중구조체 150: 결합체인
151: 제1체인 152: 제2체인

Claims (2)

  1. 용융아연도금조 상에서 발생되는 드로스를 포집 및 제거하기 위한 드로스 버킷에 있어서,
    삽형태로 내부에 포집공간을 가지며, 미세홀(111)이 다수 형성되고 바닥 상면에는 후방(後方)에서 선단(先端)에 이르는 길이방향으로 보강대(112)가 결합된 버킷부(110);
    상기 버킷부(110)를 지탱하여주기 위한 지지체(120);
    상기 지지체(120)의 상단(上端)에 일체 결합되는 상측 개방형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로서, 수용공간 내에 금속괴를 내재시켜 상부에 무게중심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상부 무게중심형성부(130);
    상기 지지체(120)의 후단면(後端面) 상부(上部)에 결합되어 후측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편중구조체(140);
    상기 지지체(120)의 앞쪽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이동크레인의 하나의 걸고리에 중심부가 거치되는 제1체인(151)과 상기 편중구조체(140)의 뒤쪽면을 지지하도록 편중구조체(140)의 뒤쪽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이동크레인의 다른 걸고리에 중심부가 거치되는 제2체인(152)으로 구성되며, 이동크레인의 운전에 따라 버킷의 앞쪽 방향으로 기울임 배치와 원상복귀를 지원하게 되는 결합체인(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151)은 이동크레인의 운전에 따라 지지체(120)의 앞쪽에서 버킷을 앞쪽방향으로 기울여 배치시 지지체(120)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앞쪽으로 급격한 쏠림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버킷의 원상복귀시 지지체(120)의 상단부를 들어 올리면서 뒤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도록 지지체(120)의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2체인(152)은 이동크레인의 운전에 따라 편중구조체(140)의 뒤쪽에서 버킷을 앞쪽방향으로 기울여 배치시 편중구조체(152)의 뒤쪽면을 들어 올리면서 앞으로 밀어주는 작용과 더불어 버킷의 원상복귀시 편중구조체(152)의 뒤쪽면을 지지하여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편중구조체(140)의 뒤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KR1020100125961A 2010-12-10 2010-12-10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KR101240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61A KR101240949B1 (ko) 2010-12-10 2010-12-10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61A KR101240949B1 (ko) 2010-12-10 2010-12-10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776A KR20120064776A (ko) 2012-06-20
KR101240949B1 true KR101240949B1 (ko) 2013-03-11

Family

ID=4668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961A KR101240949B1 (ko) 2010-12-10 2010-12-10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613A1 (zh) * 2020-07-24 2022-01-27 惠博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热镀锌生产线的锌锅捞渣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579A (ko) 2014-12-08 2016-06-17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KR101633023B1 (ko) 2014-12-08 2016-06-24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탑 드로스 포집 및 제거장치
KR101696642B1 (ko) 2016-01-21 2017-01-18 (주)엠솔루션 도금욕조의 부유물질 부착방지부재
CN109513913A (zh) * 2018-11-27 2019-03-26 湖南省金润碲业有限公司 一种金属冶炼用浮渣捞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216A (ja) 1996-10-21 1998-05-12 Nkk Corp 溶融亜鉛めっき設備におけるドロス回収装置
KR20040099192A (ko) * 2004-10-08 2004-11-26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제철소에 구비되는 아연도금욕조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
JP2008223079A (ja) 2007-03-12 2008-09-25 Jfe Steel Kk ボトムドロス汲み上げ装置およびボトムドロス汲み上げ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216A (ja) 1996-10-21 1998-05-12 Nkk Corp 溶融亜鉛めっき設備におけるドロス回収装置
KR20040099192A (ko) * 2004-10-08 2004-11-26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제철소에 구비되는 아연도금욕조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
JP2008223079A (ja) 2007-03-12 2008-09-25 Jfe Steel Kk ボトムドロス汲み上げ装置およびボトムドロス汲み上げ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613A1 (zh) * 2020-07-24 2022-01-27 惠博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热镀锌生产线的锌锅捞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776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949B1 (ko) 용융아연도금조의 드로스 포집 및 제거용 드로스 버킷
KR101842968B1 (ko) 용융아연 도금욕조의 드로스 덤핑장치
CN108856696B (zh) 一种铝加工熔炼清渣生产线及其生产加工方法
KR101921229B1 (ko) 슬래그 급속 배제 시스템
CN210151201U (zh) 一种锌渣打捞设备
CN104697349B (zh) 一种液体表层漂浮粉体物的捞取装置和捞取方法
CN210394533U (zh) 一种清洗装置
CN102666933B (zh) 用于收集在生产铝的电解槽中的固体碎片的装置
CN110726310A (zh) 一种扒渣装置
JP4604349B2 (ja) 溶融亜鉛めっきにおけるボトムドロス回収方法
CN210367857U (zh) 一种冶金加工用残渣回收装置
WO2010130892A1 (fr) Dispositif pour collecter les debris solides presents dans le bain et le metal liquide d'une cuve dεlectrolyse destinee a la production d'aluminium, par raclage du fond de ladite cuve
JPH0813180A (ja) 電極板搬送設備
JP4973250B2 (ja) ボトムドロス汲み上げ装置およびボトムドロス汲み上げ具
JP4280905B2 (ja) スラグ搬出コンベヤ
JPS5813828B2 (ja) 炉作業方法
CN220393864U (zh) 一种锌渣去除装置
CN218002177U (zh) 球形加料装置
JP2018192523A (ja) 除滓装置
CN104959593A (zh) 一种应用于铝棒深井铸造系统的铝渣收集装置
JP5801223B2 (ja) 電極板の液受装置ならびに液受容器の液体及び固形物の排出方法
CN205032728U (zh) 一种应用于铝棒深井铸造系统的铝渣收集装置
CN219884049U (zh) 铲斗式水上垃圾回收船
CN210945745U (zh) 一种易于调节的镀锡挂梁装置
CN218167864U (zh) 一种铲刮倾翻清理工位及双阳极电解质清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