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930B1 - 자동차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930B1
KR101240930B1 KR1020060057187A KR20060057187A KR101240930B1 KR 101240930 B1 KR101240930 B1 KR 101240930B1 KR 1020060057187 A KR1020060057187 A KR 1020060057187A KR 20060057187 A KR20060057187 A KR 20060057187A KR 101240930 B1 KR101240930 B1 KR 10124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guide member
stabilizer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05A (ko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9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가에서 양동이로 물을 길어 나를때 물이 출렁거려 넘치지 않게 벼짚으로 만든 뜨개를 띄우는 것에 착안하여 연료탱크 내부에 유면안정용 뜨개를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의해 연료탱크 내벽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장공과; 전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해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유면안정용 뜨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를 제공한다.
연료탱크, 유면안정용 뜨개, 가이드 부재, 연료펌프, 링크, 핀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Fuel tank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면안정용 뜨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면안정용 뜨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연료탱크 내에 장착된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12 : 연료펌프
13 : 가이드부재 13a : 장공
14 : 유면안정용 뜨개 14a :직사각체
14b : 수평안정판 15 : 브라켓
16 : 유량측정용 뜨개 17 : 결합핀
18 : 제1링크부재 19 : 제2링크부재
20 : 힌지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가에서 양동이로 물을 길어 나를때 물이 출렁거려 넘치지 않게 벼짚으로 만든 뜨개를 띄우는 것에 착안하여 연료탱크 내부에 유면안정용 뜨개를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의해 연료탱크 내벽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장착되어 있고, 연료탱크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소정의 용적을 갖는 통형상이기 때문에 자동차가 급제동되거나 급출발할 때 연료탱크내의 연료는 쏠림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쏠림현상으로 연료탱크의 외측 벽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연료탱크의 변형, 소음, 진동 등이 일어나기 때문에 통상,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료탱크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배플이 설치된다.
첨부한 도 4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에 장착된 배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플(101)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통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연료탱크(100) 내측에서 용접되어 수직으로 고정된 채 연료탱크(100)내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배플(101)은 자동차가 급제동 또는 급출발할 때 연료탱크(100)내에서 한쪽으로 일시에 쏠리려는 연료를 차단하게 되는데, 통공(102)을 통하여 서서히 통과시킴으로써 배플(101)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연료의 일시적인 쏠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연료의 유동음은 연료탱크의 재질 및 내부 배플구조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며, 연료 탱크는 재질에 따라 스틸 탱크와 플라스틱 탱크로 구분할 수 있다.
스틸탱크의 경우 상하판을 프레스로 제작하여 내부 배플 구조를 구성하고, 상하판을 용접함으로써, 원하는 배플 형상 가짐으로써 소음 저감이 가능하나, 중량 및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중량 절감을 위해 플라스틱 탱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플라스틱 탱크는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되므로 내부 배플구조를 형성하기가 어려워 연료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 내부에 삽입된 연료펌프에 유면안정용 뜨개를 부착하고, 연료가 유동할 때 일차적으로 유면위의 수평안정판이 안정시키고, 이차적으로 수평안정판 사이에 직사각체 부분에 연료가 부딪혀 그 에너지가 감소하므로, 연료탱크 내벽에 부딪힐 때에는 절반이하의 힘으로 감소하여 연료 유동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연료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장공과; 전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해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유면안정용 뜨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는 연료펌프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연료펌프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 부재 및 유면안정용 뜨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체와, 상기 직사각체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운데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수평안정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와 유면안정용 뜨개 사이에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의 양단에 결합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는 링크부재에 핀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 및 유면안정용 뜨개 사이에는 힌지핀에 의해 결합된 링크부재를 하나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면안정용 뜨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부에 설치된 유면안정용 뜨개(14)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부에 유면안정용 뜨개를 둠으로써, 연료의 유동을 안정시켜 소음을 감쇠하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현재 플라스틱재질의 연료탱크(10)는 블로우(blow) 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내부에 연료펌프(12)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이러한 연료 탱크 구조로 유동을 차단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음에 취약한 부분에 고무패드를 부착하고 있으나 원가 및 중량 증가 대비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강가에서 양동이로 물을 길어 나를때 물이 출렁거려 넘치지 않게 벼짚으로 만든 뜨개를 띄우고 나르곤 한다.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하여 유면안정용 뜨개(14)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연료탱크(10)의 유동음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10)는 내부에 설치된 연료펌프(12)와, 연료펌프(12) 측면에 부착된 가이드부재(13)와, 연료의 유면에 떠서 가이드부재(13)를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유면안정용 뜨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료펌프(12)는 연료탱크(10) 내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연료탱크(10)의 앞쪽에는 브라켓(15)에 의해 유량 측정용 뜨개(16)가 설치되고, 연료탱크(10) 내부의 연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연료펌프(1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부재(13)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13)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13a)이 관통형성되며, 장공(13a)을 통해 결합핀(17)이 관통하여 가이드부재(1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결합핀(17)의 양단에는 제1링크부재(18)가 평행하게 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고, 제1링크부재(18)에는 관통홀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18)의 끝단에는 제2링크부재(19)가 힌지핀(20)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결합핀(17)과 제1 및 제2링크부재(18,19)를 결합하는 힌지핀(20)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고, 가이드부재(13)의 일부가 틈을 관통하게되므로 제1링크부재(18)가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2링크부재(19)의 끝단에는 유면안정용 뜨개(14)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14)는 제2링크부재(19)의 끝단에 힌지결합된 직사각체(14a)와, 직사각체(14a)의 양측면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평안정판(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사각체(14a) 및 수평안정판(14b)은 유면측정용 뜨개(16)의 재질과 동일하여 유면 위에서 유량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기 직사각체(14a)의 폭방향 단면은 가로보다 세로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고, 수평안정판(14b) 사이에 직사각체(14a)가 턱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면안정용 뜨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량의 주행모드에 따라 연료의 유동이 달라지고, 급가속 및 급제동시 연료가 심하게 움직이게 되며,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14)는 연료의 유면에 떠서 연료의 유동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14)는 제1 및 제2링크부재(18,19)에 의해 가이드부재(13)를 따라 연료의 유량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때로는 제1링크부재(18)는 수평상태로 있고, 제2링크부재(19) 및 유면안정용 뜨개(1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연료의 유동에 의해 제1 및 제2링크부재(18,19), 유면안정용 뜨개(14)가 가이드부재(13) 따라 각각 별도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14)의 수평안정판(14b)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료의 유면을 일차적으로 안정시키고, 수평안정판(14b) 사이의 직사각체(14a) 부분은 연료가 유동할 때 이차적으로 부딪혀서 그 에너지가 감소하여 연료탱크(10) 내벽에 부딪힐 때 절반 이하의 힘으로 감소하므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에 의하면, 연료탱크 내부에 가이드부재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면안정용 뜨개를 설치하되, 연료가 유동할 때 수평안정판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연료의 유면을 일차적으로 안정시키고, 수평안정판 사이의 직사각체 부분에 이차적으로 부딪혀서 유체의 에너지를 감쇠시킴으로써, 연료탱크 내벽에 부딪힐 때 절반이하의 힘으로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자동차용 연료탱크(10)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13)와;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장공(13a)과;
    전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해 가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유면안정용 뜨개(14);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료탱크 내부에는 연료펌프(12)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연료펌프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 부재(13) 및 유면안정용 뜨개(1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체(14a)와, 상기 직사각체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운데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수평안정판(1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3)와 유면안정용 뜨개(14) 사이에는 상기 장공(13a)을 관통하는 결합핀(17)과, 상기 결합핀의 양단에 결합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면안정용 뜨개는 링크부재에 핀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 및 유면안정용 뜨개(14) 사이에는 힌지핀(20)에 의해 결합된 링크부재를 하나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안정판(14b)은 유면 위에 떠서 연료의 유동을 안정시키고, 상기 직사각체는 양측의 수평안정판 사이에 턱을 형성하여 연료가 직사각체(14a)에 부딪힐 때 에너지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20060057187A 2006-06-26 2006-06-26 자동차용 연료탱크 KR10124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187A KR101240930B1 (ko) 2006-06-26 2006-06-26 자동차용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187A KR101240930B1 (ko) 2006-06-26 2006-06-26 자동차용 연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05A KR20080000005A (ko) 2008-01-02
KR101240930B1 true KR101240930B1 (ko) 2013-03-08

Family

ID=3921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187A KR101240930B1 (ko) 2006-06-26 2006-06-26 자동차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9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663A (en) * 1984-12-13 1987-01-27 Firma Riesselmann & Sohn Level indicat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JPH0450519U (ko) * 1990-09-06 1992-04-28
JPH10221154A (ja) 1997-01-31 1998-08-21 Fujikontorooruzu Kk タンク内液体の残量検知装置
KR19990015147A (ko) * 1997-08-02 1999-03-05 정몽규 연료탱크내의 유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663A (en) * 1984-12-13 1987-01-27 Firma Riesselmann & Sohn Level indicat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JPH0450519U (ko) * 1990-09-06 1992-04-28
JPH10221154A (ja) 1997-01-31 1998-08-21 Fujikontorooruzu Kk タンク内液体の残量検知装置
KR19990015147A (ko) * 1997-08-02 1999-03-05 정몽규 연료탱크내의 유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05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1002B (zh) 用于副车架的辊杆的结构
JP3671790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支持装置
JP2013216225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CN111284319A (zh) 液压发动机支架
KR101240930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CN210390762U (zh) 燃油箱及具有其的车辆
JP5801122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100570007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CN207225483U (zh) 一种汽车橡胶挡泥板
JP5516886B2 (ja) 車両搭載タンク
JP2008018901A (ja) 車両前部構造
JP4438460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KR20040014780A (ko) 자동차의 에어 댐 장치
KR100508185B1 (ko)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의 구조
KR20050117969A (ko) 슬러싱 소음 저감을 위한 자동차용 연료탱크 구조
KR100508175B1 (ko) 연료 탱크의 배플 플레이트 구조
JP5242987B2 (ja) カウンタウェイト
CN213870881U (zh) 一种防泡沫缓冲结构
JP2006088877A (ja) タンクローリ
KR20100010339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5980605B2 (ja) 車載用水槽及び車載用水槽を備えた消防車輌
CN204664282U (zh) 减震器
CN212499774U (zh) 一种铝合金避震塔
WO2020250744A1 (ja) 防振装置
JP2009101825A (ja) 車体下部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