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516B1 - 무빙 스테이지 - Google Patents

무빙 스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516B1
KR101240516B1 KR1020120078650A KR20120078650A KR101240516B1 KR 101240516 B1 KR101240516 B1 KR 101240516B1 KR 1020120078650 A KR1020120078650 A KR 1020120078650A KR 20120078650 A KR20120078650 A KR 20120078650A KR 101240516 B1 KR101240516 B1 KR 10124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driving
unit
fram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근
Original Assignee
유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근 filed Critical 유대근
Priority to KR102012007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12Apparatus for raising or lowering person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레일부 위를 복수의 구동륜으로 주행하는 주행 대차부 한 쌍을 대향 설치하고, 상기 주행 대차부 사이에 스테이지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테이지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이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최소화되며, 스테이지의 승하강 작동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정밀 조작함으로써, 무대 위 공연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얻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도중에도 스테이지의 높낮이를 실시간 조절할 수 있고, 공연장 또는 관객석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레일경로를 따라 무대 전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역동적인 무대를 제공할 수 있고, 좌석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고, 무대를 직접 객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관객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소통할 수 있고, 관객에게 공연무대의 생동감을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빙 스테이지{Moving Stage}
본 발명은 무빙 스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 설치되는 가설무대로서, 공연도중에도 스테이지의 높낮이를 실시간 조절할 수 있고, 공연장 또는 객석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레일경로를 따라 무대 전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연이나 강연, 전시 등을 위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무대 구조물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6165호의 무대구조물이 개시된다.
도 10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무대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무대 구조물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무대 구조물(10)은 지지 골조(12)와 지지골조 위에 얹어지는 다수의 바닥 부재(14)를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부재(14)는 투명하다. 지지 골조(12)는 다수의 지주(16)와 지주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18,20,22)를 구비한다. 지지 골조(12)는 다수의 지주(16)가 행과 열을 지어 배열되고, 그 사이를 연결부재(18,20,22)로 연결한 형태이다.
이때, 제1 연결부재(18)는 이웃하는 두 지주(16)의 받침틀에 용접의 방법(다른 실시예에서는 볼트너트결합, 리벳팅이나 다른 연결방법에 따라 연결될 수 있음)으로 고정된다.
제1 연결부재(18)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들과 이웃하는 다른 쌍의 지주들 사이는 제2 연결부재(20)와 제3 연결부재(22)에 의해 연결된다. 제3 연결부재(22) 위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24)가 설치된다. 이렇게 형성된 지지 골조(12) 위에는 바닥 부재(14)들이 위로부터 얹어져 무대 구조물(10)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무대 구조물은 설치장소 및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서, 무대와 관객 사이의 거리가 제한되어 있어 관객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갖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레일부 위를 복수의 구동륜으로 주행하는 주행 대차부 한 쌍을 대향 설치하고, 상기 주행 대차부 사이에 스테이지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테이지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이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테이지의 승하강 작동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정밀 조작함으로써, 무대 위 공연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얻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연도중에도 스테이지의 높낮이를 실시간 조절할 수 있고, 공연장 또는 객석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레일경로를 따라 무대 전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연장 좌석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고, 무대를 직접 객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관객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소통할 수 있고, 관객에게 공연무대의 생동감을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연을 위한 무대가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 양측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이지를 승하강 작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프트부; 상기 스테이지 양측단 하부에서 2대가 각각 리프트부를 탑재한 상태로 주행하는 주행 대차부; 상기 주행 대차부의 주행경로 상에 설치되어 주행 대차부의 경로이탈을 방지하며 안정된 주행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상기 주행 대차부에 탑재되며, 스테이지의 무대장치 및 리프트부, 주행 대차부를 제어하도록 된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무빙 스테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는, 조립식 앵글골조로 이루어진 스테이지 프레임; 및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무대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대바닥 중앙에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 둘레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 하부에 무대조명을 설치하여 무대바닥을 상향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X"자 형태의 링크 연결구조를 갖는 접이식 링크부재; 상기 접이식 링크부재의 상부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하는 링크고정 프레임; 임의의 접이식 링크부재 양단에 또 다른 접이식 링크부재가 관절피봇으로 각각 연결될 때, 연결되는 접이식 링크부재 사이를 링크 연결시켜 확장 및 수축이 이루어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대차부는, 복수의 리프트부가 동시 탑재되는 리프트 수납부; 및 상기 리프트 수납부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공연도중에도 스테이지의 높낮이를 실시간 조절할 수 있고, 공연장 또는 관객석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레일경로를 따라 무대 전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빙 스테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역동적인 무대를 제공할 수 있고, 좌석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고, 무대를 직접 객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관객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소통할 수 있고, 관객에게 공연무대의 생동감을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레일부 위를 복수의 구동륜으로 주행하는 주행 대차부 한 쌍을 대향 설치하고, 상기 주행 대차부 사이에 스테이지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스테이지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이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지의 승하강 작동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정밀 조작함으로써, 무대 위 공연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얻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스테이지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스테이지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스테이지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입체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스테이지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입체이미지.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스테이지의 턴테이블이 설치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지의 턴테이블이 설치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지의 턴테이블이 설치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지의 무대조명 및 디스플레이화면이 설치된 예시도.
도 10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구조물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무대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무대 구조물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스테이지는 크게, 스테이지(110), 리프트부(120), 주행 대차부(130), 레일부(140), 콘트롤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공연을 위한 무대가 설치되는 스테이지(110)가 개시된다.
상기 스테이지(110)는, 조립식 앵글골조로 이루어진 스테이지 프레임(111)의 상부에 무대바닥(113)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111)은 무게절감을 위해 알루미늄 재질의 앵글을 이용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이지 프레임(111)은 하중설계에 의한 트러스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대바닥(113)은 스테이지 프레임(111) 상부에 설치되며, 각종 무대장치와 공연자가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투명 강화유리나 투명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한 무대바닥(113)은 관객들로 하여금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공연무대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볼거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111) 하부에 무대조명(117)을 설치하여 무대바닥(113)을 상향 조명 하는 경우, 보다 환상적인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테이지(110)의 무대바닥(113) 중앙에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1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115)은 도 5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원형테이블 형태로 형성되며, 공연자나 무대장치가 올려진 상태에서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110) 둘레에는 디스플레이 화면(119)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119)은 무대효과를 위한 다양한 영상이나, 자막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LED 및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거나, 또는 프로젝터 등의 배경화면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스테이지(110) 양측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이지(110)를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부(120)가 개시된다.
상기 리프트부(120)는, 접이식 링크부재(121), 링크고정 프레임(123), 유압실린더(125), 유압모터(12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링크부재(121)는 "X"자 형태의 링크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접이식 링크부재(121)는 "X"자 형태로 교차되는 지점에 교차피봇(P1)을 형성하고, 상기 교차피봇(P1)을 갖는 복수의 "X"자형 접이식 링크부재(121)가 일방향으로 연속 반복되어 연결되며, 연결지점에 관절피봇(P2)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접이식 링크부재(121)는 임의의 교차피봇(P1)을 중심으로 링크부재(121)를 접거나 펼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다른 링크부재(121)들이 연동되어 동시에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일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도 1내지 도 9에서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동구조를 갖는 접이식 링크부재(121)의 상부 일단이 링크고정 프레임(123)에 고정피봇(P3)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고정 프레임(123) 상에 수평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피봇(P4) 결합된다.
상기 링크고정 프레임(123)은 스테이지(110)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리프트부(120)가 스테이지(1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접이식 링크부재(121)의 하부 일단이 주행 대차부(130)에 고정피봇(P3) 결합되고, 타단은 주행 대차부(130) 상에 수평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피봇(P4)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이식 링크부재(121)는 유압을 이용한 작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임의의 접이식 링크부재(121) 양단에 또 다른 접이식 링크부재(121)가 관절피봇(P2)으로 각각 연결될 때, 연결되는 접이식 링크부재(121) 사이를 유압실린더(125)로 링크 연결시켜 확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25)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피스톤로드(126)를 형성하는데, 상기 피스톤로드(126) 및 유압실린더(125) 본체의 양측 끝단이 각각 접이식 링크부재(121) 측에 링크 연결됨으로써, 이들 사이를 확장 및 수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25)의 설치를 위해 접이식 링크부재(121) 측에 별도의 횡간보강재(127)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25)의 본체 일측에 유압모터(129)를 설치함으로써, 압유를 제공하거나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리프트부(120)는 하나 이상 복수 개가 동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스테이지(110)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승하강 작동시 및 이동시에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무대 공연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주행 대차부(130)가 개시된다.
상기 주행 대차부(130)는 스테이지(110) 양측단 하부에서 2대가 각각 리프트부(120)를 탑재한 상태로 주행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주행 대차부(130)는, 복수의 리프트부(120)가 동시 탑재되는 리프트 수납부(131)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 수납부(131) 하부에 복수의 구동륜(133)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구동륜(133)은 모터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주행을 부드럽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륜(133)은 주행 대차부(130)의 주행경로 상에 설치된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140)는 기차 선로와 같은 형태의 한 쌍의 레일(141)이 지지대(143)에 의해 평행하게 연장된 상태로서, 이와 같은 레일(141) 위를 주행 대차부(130)의 구동륜(133)이 주행함으로써, 주행 대차부(130)의 경로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주행 대차부(130) 및 스테이지(110)의 안정된 주행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주행 대차부(130)에 콘트롤부(150)가 탑재된다.
상기 콘트롤부(150)는 스테이지(110)의 무대장치 및 리프트부(120), 주행 대차부(1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공연도중에도 리프트부(120)의 유압실린더(125)를 작동시켜 스테이지(110)를 승하강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125)는 복수의 리프트부(120)에 한 개씩 독립 설치될 수 있는데, 콘트롤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시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압실린더(125)의 조작은 리프트부(120)의 작동을 부드럽고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120)의 조작과 별개로 주행 대차부(130)를 작동시켜 레일부(140)의 경로를 따라 스테이지(11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레일부(140)는 공연장 또는 관객석을 가로지르도록 레일경로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공연무대 전체가 객석을 향해 이동하거나, 심지어 객석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역동적인 무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무빙 스테이지는 좌석 가격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고, 공연무대를 직접 객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관객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소통할 수 있고, 관객에게 공연무대의 생동감을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레일부 위를 복수의 구동륜을 갖는 한 쌍의 주행 대차부가 스테이지의 양측단에 대향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주행 대차부 사이 공간에 객석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지의 승하강 작동 및 이동이 안정됨에 따라, 무대 위의 공연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고, 보는 관객 또한, 편안하게 공연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스테이지 111: 스테이지 프레임
113: 무대바닥 115: 턴테이블
117: 무대조명 119: 디스플레이화면
120: 리프트부 121: 접이식 링크부재
123: 링크고정 프레임 123a: 간격조절용 홀
125: 유압실린더 126: 피스톤로드
127: 횡간보강재 129: 유압모터
130: 주행 대차부 131: 리프트 수납부
133: 구동륜 140: 레일부
141: 레일 143: 지지대
150: 콘트롤부

Claims (7)

  1. 공연을 위한 무대가 설치되며, 조립식 앵글골조로 이루어진 스테이지 프레임(111) 상부에 투명재질의 무대바닥(113)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111) 하부에 무대바닥(113)을 상향 조명 하는 무대조명(117)을 설치하는 스테이지(110); 상기 스테이지(110) 양측단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이지(110)를 승하강 작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프트부(120); 상기 스테이지(110) 양측단 하부에서 2대가 각각 리프트부(120)를 탑재한 상태로 주행하는 주행 대차부(130); 상기 주행 대차부(130)의 주행경로 상에 설치되어 주행 대차부(130)의 경로이탈을 방지하며 안정된 주행을 가이드하는 레일부(140); 및 상기 주행 대차부(130)에 탑재되며, 스테이지(110)의 무대장치 및 리프트부(120), 주행 대차부(130)를 제어하도록 된 콘트롤부(150);를 포함하는 무빙 스테이지로서,
    상기 리프트부(120)는 "×"자 형태의 링크 연결구조를 갖는 접이식 링크부재(121)와, 상기 접이식 링크부재(121)의 상부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하는 링크고정 프레임(123)과, 임의의 접이식 링크부재(121) 양단에 또 다른 접이식 링크부재(121)가 관절피봇(P2)으로 각각 연결될 때, 연결되는 접이식 링크부재(121) 사이를 링크 연결시켜 확장 및 수축이 이루어는 유압실린더(125) 및 상기 유압실린더(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모터(129)의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 대차부(130)는 복수의 리프트부(120)가 동시 탑재되는 리프트 수납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리프트 수납부(131) 하부에 모터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륜(13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테이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바닥(113) 중앙에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115)이 설치되는 무빙 스테이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110) 둘레에 디스플레이 화면(11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스테이지.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78650A 2012-07-19 2012-07-19 무빙 스테이지 KR10124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50A KR101240516B1 (ko) 2012-07-19 2012-07-19 무빙 스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50A KR101240516B1 (ko) 2012-07-19 2012-07-19 무빙 스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516B1 true KR101240516B1 (ko) 2013-03-11

Family

ID=4818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650A KR101240516B1 (ko) 2012-07-19 2012-07-19 무빙 스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5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231A (ko) *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에이스텍 빔 프로젝터 리프트
WO2018056487A1 (ko) * 2016-09-23 2018-03-29 주식회사 홀로티브 홀로그램 공연과 라이브 공연이 가능한 가변형 무대장치
CN108837974A (zh) * 2018-09-03 2018-11-20 瑞德(新乡)路业有限公司 一种抑尘车用抑尘固化剂喷洒装置
CN109847389A (zh) * 2018-12-19 2019-06-07 上海灿星文化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摄像设备和立体屏幕的智能舞台
CN113274745A (zh) * 2021-04-22 2021-08-20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投影式升降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046A (ja) * 1995-03-07 1996-09-1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運搬台車
KR200295160Y1 (ko) 2002-08-28 2002-11-18 곽노근 무대장치
KR200320597Y1 (ko) 2003-04-22 2003-07-23 문종국 디스플레이 리프팅 장치
KR101049768B1 (ko) * 2010-10-11 2011-07-19 (주)원산정공 이동식 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9046A (ja) * 1995-03-07 1996-09-17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運搬台車
KR200295160Y1 (ko) 2002-08-28 2002-11-18 곽노근 무대장치
KR200320597Y1 (ko) 2003-04-22 2003-07-23 문종국 디스플레이 리프팅 장치
KR101049768B1 (ko) * 2010-10-11 2011-07-19 (주)원산정공 이동식 무대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231A (ko) *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에이스텍 빔 프로젝터 리프트
KR101644398B1 (ko) * 2014-12-02 2016-08-01 주식회사 에이스텍 빔 프로젝터 리프트
WO2018056487A1 (ko) * 2016-09-23 2018-03-29 주식회사 홀로티브 홀로그램 공연과 라이브 공연이 가능한 가변형 무대장치
KR101858248B1 (ko) * 2016-09-23 2018-05-15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홀로그램 공연과 라이브 공연이 가능한 가변형 무대장치
CN108837974A (zh) * 2018-09-03 2018-11-20 瑞德(新乡)路业有限公司 一种抑尘车用抑尘固化剂喷洒装置
CN109847389A (zh) * 2018-12-19 2019-06-07 上海灿星文化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摄像设备和立体屏幕的智能舞台
CN109847389B (zh) * 2018-12-19 2023-12-22 上海灿星文化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移动摄像设备和立体屏幕的智能舞台
CN113274745A (zh) * 2021-04-22 2021-08-20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投影式升降柱
CN113274745B (zh) * 2021-04-22 2022-04-08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投影式升降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516B1 (ko) 무빙 스테이지
RU2544809C2 (ru) Основанный на движении аттракцион с узлом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EP3453668B1 (en) Suspended theatre ride system
US4512117A (en) Modular proscenium theatre
KR102100314B1 (ko) 현수식 좌석을 구비한 전환 모션베이스
US20160010350A1 (en) Articulated floor structure for a mobile stage framework
US5513990A (en) Realistic motion ride simulator
US8721464B2 (en) Biaxial suspension type dynamic simulator
CN103648711A (zh) 组装作业用输送装置
CN207345594U (zh) 扶手和车辆
CN101796254B (zh) 讲台及用于讲台的支撑结构
KR102071022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US4484421A (en) Traveling stage
US20080026858A1 (en) Fairground Attraction Having a People Carrier Suspended from Two Mutually Parallel Rotatable Arms
CN107017583B (zh) 电缆跨街敷设设备
CN103648729A (zh) 组装作业用输送装置
EP1642627B1 (en) Collapsible support for a fairground attraction
KR101328399B1 (ko) 승강 스테이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무대장치
US6016901A (en) Chained movable platforms for people and objects
KR101550380B1 (ko) 입체 모션베이스 장치
JPH01248919A (ja) 高架線移動装置
CN208176993U (zh) 动感体验平台以及动感体验舱
JP2556775B2 (ja) 床構造
CN108049662A (zh) 移动平台及舞台
CN216418285U (zh) 一种不同平面非规则的摩天轮轨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