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308B1 -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308B1
KR101240308B1 KR1020100091965A KR20100091965A KR101240308B1 KR 101240308 B1 KR101240308 B1 KR 101240308B1 KR 1020100091965 A KR1020100091965 A KR 1020100091965A KR 20100091965 A KR20100091965 A KR 20100091965A KR 101240308 B1 KR101240308 B1 KR 10124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panel
base frame
delete dele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866A (ko
Inventor
김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링크
Priority to KR102010009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3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모니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CD모니터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벽면 또는 고정장치본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프레임; LCD모니터가 고정되는 LCD고정패널;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LCD고정패널을 연결시키되, LCD고정패널의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을 지지하는 “X”자 형 링크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LCD고정패널을 연결시키되, LCD고정패널의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에 필요한 정역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동력제공부의 동력에 의해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하는 LCD고정패널이 일정 범위 내에서 수평이동 동작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링크부의 하단부분을 제한적으로 승강 유도하는 동작유도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은 LCD모니터를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및 착탈 과정에서 LCD모니터의 사방테두리(BEZEL)가 손상(특히, 멀티비전장치에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CD모니터의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과정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LCD MONITOR}
본 발명은 LCD모니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모니터(전광판)는 기존의 브라운관을 대체하는 획기적인 화면 표시 장치로서, 브라운관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그 두께가 얇고 고화질을 자랑하는 장점을 가진 장치이며, 최근에는 이와 같은 LCD모니터를 행렬로 배열시켜(멀티비전) 영상신호를 전체 또는 일부 또는 부분별로 출력하여 다양한 영상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상 표현을 위한 LCD모니터의 종래 고정장치는 벽면 또는 고정장치 본체에 마련되는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LCD모니터가 고정되는 LCD고정패널이 이탈 또는 근접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LCD고정패널의 이탈 또는 근접은 원터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LCD고정패널 전면에 고정된 LCD모니터의 사각 테두리 부분을 강하게 내측으로 밀면, 원터치인출수단(캠 또는 원터치 스위치 등)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LCD고정패널을 구속 상태를 해제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LCD모니터를 착탈(교체)하거나, 보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다시 한 번 더 LCD모니터의 사각 테두리 부분을 강하게 내측으로 밀면, LCD고정패널이 베이스프레임 측으로 접근하고 그 상태에서 원터치인출수단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LCD고정패널을 구속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 LCD모니터의 고정장치는 LCD모니터가 고정된 LCD고정패널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약간만 돌출되므로, 유지 보수(뒤 쪽 부분에 대한)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LCD모니터의 사방테두리(BEZEL) 폭이 좁아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테두리 부분을 밀어서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LCD모니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멀티비전의 경우 인접한 다른 LCD모니터와 간섭이 일어나 간섭된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LCD모니터 및 LCD모니터가 고정된 LCD고정패널의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을 수작업(강하게 미는 작업)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여러 번의 작업을 진행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LCD모니터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벽면 또는 고정장치본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프레임; LCD모니터가 고정되는 LCD고정패널;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LCD고정패널을 연결시키되, LCD고정패널의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을 지지하는 “X”자 형 링크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LCD고정패널을 연결시키되, LCD고정패널의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에 필요한 정역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상기 동력제공부의 동력에 의해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하는 LCD고정패널이 일정 범위 내에서 수평이동 동작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링크부의 하단부분을 제한적으로 승강 유도하는 동작유도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CD모니터를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및 착탈 과정에서 LCD모니터의 사방테두리(BEZEL)가 손상(특히, 멀티비전장치에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CD모니터의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과정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LCD모니터 고정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LCD고정패널(LCD모니터는 생략)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근접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LCD고정패널(LCD모니터는 생략)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이탈하여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LCD고정패널(LCD모니터는 생략)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이탈하여 인출된 후 90도 각도로 상향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술의 이해를 돕도록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LCD모니터 고정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LCD고정패널(LCD모니터는 생략)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근접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LCD고정패널(LCD모니터는 생략)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이탈하여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LCD고정패널(LCD모니터는 생략)이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이탈하여 인출된 후 90도 각도로 상향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이중 도면 부호 100은 본 발명인 LCD모니터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모니터의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벽면 또는 고정장치본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프레임(110); LCD모니터(1)가 고정되는 LCD고정패널(12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LCD고정패널(120)을 연결시키되, LCD고정패널(120)의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을 지지하는 “X”자 형 링크부(13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해 LCD고정패널(120)을 연결시키되,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LCD고정패널(120)의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에 필요한 정역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140); 상기 동력제공부(140)의 동력에 의해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동작하는 LCD고정패널(12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수평이동 동작만 이루어지도록 상기 링크부(130)의 하단부분을 제한적으로 승강 유도하며, 베이스프레임(110)과 “X”자 형 링크부(130)를 연결하고, LCD고정패널(120)과 X”자 형 링크부(130)를 연결하는 동작유도패널(150); 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LCD모니터(1)와 LCD고정패널(120)의 고정은 나사 결합일 수 도 있고, 고정 돌기와 고정 홈 또는 구멍의 상호 끼움 결합일 수 도 있으며, 스위치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한 고정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은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동력제공부(14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PC에 의한 소프트웨어로 PC의 RS232C통신포트에서 제어신호를 제어부(160)의 RS232C통신포트로 전달받아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전달 받은 신호를 다른 제어부(160)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PC와 제어부(160)의 통신포트는 LAN 포트일 수도 있고 RS485 통신일 수도 있고 무선 랜 통신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그 외의 통신수단으로 이루어 질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전원공급을 도통 차단시키는 온/오프 스위치 및 동작스위치가 조작되거나 PC에 의한 소프트웨어로 제어신호를 받으면 전원의 흐름을 정/역조절하여 상기 동력제공부(140)로 전달하고, 자동모드스위치가 조작되면 사전에 설정된 값에 따라 구동드라이버에 신호를 전달하고, 수동모드스위치가 조작되면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구동드라이버에 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LCD모니터 고정장치(100)의 본체에 탑재될 수 도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 상기 동력제공부(140)와 연결되는 휴대단말기일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사각형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일 수 도 있고, 그 밖의 다각형일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LCD고정패널(120)은 판체로서, 사방 모서리 부분에서 내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LCD모니터(1)와 결합시키는 고정수단(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22)은 LCD모니터(1)의 배면에 마련된 고정돌기를 구속 해제시키는 파지구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X”자형 링크부(130)는 중앙 축을 중심으로 가위 운동하는 제1링크부(131) 및 제2링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X”자형 링크부(130)의 제1링크부(131) 일측 단은 상기 LCD고정패널(120)의 상단부분의 연결힌지(121)와 제2동작유도패널(152)의 상단 부분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 단은 동작유도패널(150) 측에서 승강하는 제1동작유도패널(151)에 비 고정상태이며, 제2링크부(132)의 일측 단은 상기 제1동작유도패널(151)의 상단부분에 힌지 고정되고, 타측 단은 제2동작유도패널(152)의 양측에 하단 부분에 비 고정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X”자형 링크부(130)는 제1동작유도패널(151)과 제2동작유도패널(152)에 대해 좌우로 한 쌍이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동작유도패널(151)의 상단과 하단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일 수 도 있고, 고정 돌기와 고정 홈 또는 구멍의 상호 끼움 결합일 수 도 있으며, 스위치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한 고정일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동력제공부(140)는 상기 제1동작유도패널(151)의 상단 중간부분에 설치된 브래킷에 축설된 동력발생수단(141); 상기 동력발생수단(141)에 일측 단이 연결되고, 타측 단은 상기 “X”자형 링크부(130)의 제1링크부(131)의 가로로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고정된 동력전달수단(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발생수단(141)은 모터일 수 도 있고, 전동실린더일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142)은 모터에 연결된 장축의 너트봉과 일측단은 너트봉에 끼워지고 타측 단은 상기 X”자형 링크부(130)의 제1링크부(131)의 가로로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고정된 장볼트일 수 도 있으며, 실린더의 피스톤일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동작유도패널(150)의 제1동작유도패널(151)은 판체로서 상기 “X”자형 링크부(130)를 구성하는 제2링크부(132)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2동작유도패널(152)의 각각에 마주보고 형성된 캠홈(153)과 “X”자형 링크부(130)를 구성하는 제2링크부(132)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캠홈(153)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유도돌기(154); 와 끼워져 있으며 제2동작유도패널(151)도 판체로서 상기 “X”자형 링크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131)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1동작유도패널(152)의 각각에 마주보고 형성된 캠홈(153)과 “X”자형 링크부(130)를 구성하는 제1링크부(132)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캠홈(153)을 따라 이동하는 경로유도돌기(154);와 끼워져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홈(153)은 일측 단은 상기 제1동작유도패널(151)과 제2동작유도패널(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로유도돌기(154)는 상기 한 쌍의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132)의 하단부분을 관통하는 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의 돌출된 양단부가 캠홈(153)에 끼워져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LCD고정패널(120)이 근접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은 상기 동력제공부(140)의 동력발생수단(141)이 LCD고정패널(120)을 베이스프레임(110) 반대 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유동없이 고정된다.
이때, 만약, LCD고정패널(120)의 전면에 고정된 LCD모니터의 유지보수를 위해 제어부(160)를 조작하여 동력제공부(140)의 동력발생수단(141)으로 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즉, 상기 제어부(160)의 온/오프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 모드스위치를 조작하여 제어 방법을 선택하고, 동작스위치를 정회전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60)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력발생수단(141)인 모터로 정 회전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동력전달수단(142)을 회전시킨다.
그리되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142) 중 상기 제1동작유도패널(151)의 일측 단이 고정된 장볼트는 고정상태가 되고, 장볼트에 대응되는 장축 너트만 회전하게 되어, 상기 장축 너트가 장볼트를 끌어 당기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LCD고정패널(120)이 링크부(130)의 지지를 받으며 수평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 즉,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 이동은 상기 동작유도패널(150)에 의해 제한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동력제공부(140)에 의해 LCD고정패널(120)이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면, “X"자 형상으로 된 상기 링크부(130)의 좌우가 벌어지고 상하는 좁혀지게 되는데, 상하가 좁혀진다는 것은 상기 링크부(130)의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132)의 상단부분은 각각 제1동작유도패널(151)과 제2동작유도패널(1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단 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131)의 하단과 제2링크부(132)의 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유도패널(150)의 제1동작유도패널(151)과 제2동작유도패널(152)의 캠홈(153)에 끼워져 있다.
상기에서 링크부(130) 즉, 제1링크부(131)와 제2링크부(132)의 하단이 상승하는 한계는 상기 동력제공부(140)에 의해 제한된다. 위와 같은 상태 승강이 정지하는 시점부터 LCD고정패널(120)의 하단의 고정돌기(170)를 제2링크부(132) 하단의 고정홈(171)에서 분리하여 수동으로 올리면 제2동작유도패널(152)과 링크부(130)의 제1링크부(131) 상단을 중심으로 LCD고정패널(120)이 회전하면서 들리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한계는 승강제어수단(173)에 의해 제한되다.
상기 LCD고정패널(120)의 회전 각도는 자동일 경우 90도로 한정하나,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들리는 정도에 따라 승강제어수단(173) 조작을 통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만약, LCD고정패널(120)을 베이스프레임(110)으로 근접 고정시키려면, LCD고정패널(120)을 수동으로 내리고 LCD고정패널(120)의 하단의 고정돌기(170)를 제2링크부(132) 하단의 고정홈(171)에 고정하고 제어부(160)의 동작스위치를 역 동작으로 조작하여 동력발생수단(141)인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또 한편, LCD고정패널(120)의 하단의 고정돌기(170)를 제2링크부(132) 하단의 고정홈(17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LCD모니터(1)를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및 착탈 과정에서 LCD모니터(1)의 사방테두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LCD모니터(1)를 베이스프레임(110)에 대한 이탈개방과 근접고정 및 착탈 작업 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LCD모니터 고정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LCD고정패널 121 : 연결힌지
122 : 고정수단 130 : 링크부
131 : 제1링크부 132 : 제2링크부
140 : 동력제공부 141 : 동력발생수단
142 : 동력전달수단 150 : 동작유도패널
151 : 제1동작유도패널 152 : 제2동작유도패널
153 : 캠홈 154 : 경로유도돌기
160 : 제어부 171 : 고정돌기
172 : 고정홈 173 : 승강제어수단
1 : LCD모니터

Claims (18)

  1.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연결되되 상단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베이스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 일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레일 형태의 캠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동작유도패널,
    상단부가 상기 제1동작유도패널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로 갈수록 전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위치하고 있는 제2링크부,
    중간지점이 상기 제2링크부와 중첩되어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유도돌기가 상기 제1동작유도패널의 캠홈에 삽입되어 캠홈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부로 갈수록 전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제1링크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발생수단 및 상단부가 상기 동력발생수단과 연결되어 상하 직선이동 가능하며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부의 유도돌기에 연결되어 있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면과 마주본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상단부는 상기 제1링크부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레일형태의 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부의 유도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캠홈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동작유도패널,
    상기 제2동작유도패널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고 전면에는 LCD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는 LCD고정패널,
    을 포함하는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LCD고정패널은 상단부가 상기 제2동작유도패널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제2동작유도패널의 하단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으며,
    실린더 및 실린더로드로 이루어진 승강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가 상기 제2동작유도패널의 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상기 LCD고정패널에 연결되어 있는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간 결합체는 두개가 구비되어 각 결합체가 상호 마주본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1링크부의 유도돌기와 상기 제2링크부의 유도돌기는 봉형태이며 상기 마주보고 있는 제1, 2링크부간 결합체들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각 결합체의 제1, 2링크부에 관통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하단부는 상기 제1링크부의 유도돌기 중간지점에 연결되어 있는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091965A 2010-09-17 2010-09-17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KR10124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65A KR101240308B1 (ko) 2010-09-17 2010-09-17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65A KR101240308B1 (ko) 2010-09-17 2010-09-17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66A KR20120029866A (ko) 2012-03-27
KR101240308B1 true KR101240308B1 (ko) 2013-03-11

Family

ID=4613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65A KR101240308B1 (ko) 2010-09-17 2010-09-17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48B1 (ko) * 2012-11-07 2014-10-15 김규성 멀티 디스플레이어 장치용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786Y1 (ko) 2002-01-18 2002-04-27 민정 원통워엄기어를 이용한 텔레비전용 벽걸이 장치
KR20020071289A (ko) * 2001-03-06 2002-09-12 민정 텔레비젼용 벽걸이 장치
JP2009014047A (ja) * 2007-07-02 2009-01-22 Edison Hardware Kk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89A (ko) * 2001-03-06 2002-09-12 민정 텔레비젼용 벽걸이 장치
KR200273786Y1 (ko) 2002-01-18 2002-04-27 민정 원통워엄기어를 이용한 텔레비전용 벽걸이 장치
JP2009014047A (ja) * 2007-07-02 2009-01-22 Edison Hardware Kk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66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7605A (zh) 一种自动升降设备
CN105555083B (zh) 一种家用电器控制面板的伸出和复位机构
KR101240308B1 (ko) 엘시디 모니터의 고정장치
CN105849345A (zh) 窗或门的至少可提升的但是优选也可移动的翼扇的配件
CN202132678U (zh) 一种自动升降设备
US7789364B2 (en) Opening device for display monitor of projector system
CN107218581A (zh) 一种移动式舞台灯光设备箱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1564890B1 (ko)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CN103912776A (zh) 一种可滑动调节倾斜角度的支架
KR100872350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WO2008018809A1 (en) Furniture cabinet for flat object, especially displaying screen
JP2007261692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御盤用昇降装置
CN208935697U (zh) 一种显示屏自动隐藏升降一体机
JP2008099794A (ja) キッチン設備
CN210155047U (zh) 一种监理用裂缝观测仪
CN106985132A (zh) 一种翻页机械手
KR101716332B1 (ko) 바텀 샤시의 경사형 측면 탭핑장치
CN216383351U (zh) 一种手动、电动双控车载加固翻转机构
CN219119458U (zh) 一种便于拆装的永磁变频螺杆机
CN214094386U (zh) 一种具有蓝牙和led显示功能的镜灯控制器
CN214197966U (zh) 一种教学一体机设备
CN203911654U (zh) 一种带有手动控制装置的管状电机
CN217780020U (zh) 一种自动升降挡板及带自动升降挡板的振动放矿机
CN219337248U (zh) 开门机构及其打砂作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