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052B1 -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052B1
KR101240052B1 KR1020100140488A KR20100140488A KR101240052B1 KR 101240052 B1 KR101240052 B1 KR 101240052B1 KR 1020100140488 A KR1020100140488 A KR 1020100140488A KR 20100140488 A KR20100140488 A KR 20100140488A KR 101240052 B1 KR101240052 B1 KR 10124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horizontal
support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069A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한국경공매교육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경공매교육협회 filed Critical (주)한국경공매교육협회
Priority to KR102010014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glas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장치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화물차를 원판유리의 운반용이 아닌 일반 화물용으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물차용 유리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적재함의 바닥에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하단이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프레임과, 하단이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제 2지지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사이에서 프렘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지지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화물적재함의 공간을 원래그대로 복원할 수 있으므로 화물적재함의 사용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Apparatus for holding glass in plate vehicle}
본 발명은 원판유리의 운반에 사용되는 적재장치에 관 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장치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화물차를 원판유리의 운반용이 아닌 일반 화물용으로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물차용 유리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원판상태로 유통을 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판상태로 작업현장으로 이동되어 현장에서 적절한 절단과정을 거쳐 실제 사용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는 통상 원판상태로 화물차에 적재되는데 화물차에는 유리의 적재를 위한 전용의 적재장치가 설치되어진다.
유리 적재장치는 통상 나무막대 또는 금속각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지며 화물적재함의 중앙을 전후로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삼각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리 적재장치는 화물적재함에 고정되어있어 화물차에 장착되는 경우 화물차의 적재함의 사용효율이 제한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유리적재장치는 화물적재함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이는 유리적재장치가 유동되므로인해 적재된 유리에 충격을 주어 고가의 유리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삭제
따라서 기존의 유리적재장치는 반영구적인 고정상태로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물적재함에 유리적재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적재장치가 화물적재함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배치되므로 화물적재함을 더 이상 일반적인 화물을 수송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유리적재장치를 화물적재함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고정한 경우에도 그 위에서 언급한 이유로 인해 고정형태가 매우 견고하여 유리적재장치의 탈거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유리적재장치가 부피가 큰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있으므로 화물적재함으로부터의 분리작업은 그리 간단하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일례로 일본특허공개평07-018975호에는 판 형상의 화물을 좌우측에 적재하기 위해 지지프레임, 기초프레임 및 본체프레임이 서로 연결 구성되고 본체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락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화물 운반용 하역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화물의 하역에 있어서는 동력을 이용하고 있어 다소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프레임구조가 적재부에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 즉,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화물 적재함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그대로 갖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22117호에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 적재함 위로 장착되며,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수단과 결합된 나사봉체를 가지는 이송장치와, 상기 나사봉체와 체결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양측으로 이동하며, 상부가 점차 협소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양측의 측판이 있는 하우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 또한 이송장치에 의해 적재장치를 화물차의 측단으로 이동하여 적재의 용이함은 제공하게 되나, 유리적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물차의 적재함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그대로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적재장치를 절첩식으로구성하여 화물적재함의 사용범위를 크게할 수 있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적재함의 바닥에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하단이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프레임과, 하단이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제 2지지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사이에서 프렘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든 프레임에는 보호용 고무밴드가 전면에 걸쳐 고정된다. 고무밴드는 유리제품 및 일반 화물제품의 충격완화용으로 매우 효과적인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 하부프레임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수평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 하부프레임에는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상부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연장프레임과 상부연장프레임은 점차확대되는 유리원판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해 출몰하며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제어하는 유압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수동이 아닌 기계적 힘을 이용하여 적재장치의 전개 및 수축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화물적재함의 공간을 원래그대로 복원할 수 있으므로 화물적재함의 사용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작동상태로서 수평상태로 전환하기위해 체결수단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작동상태로서 수평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작동상태로서 수평전환 완료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적재장치의 연장프레임을 확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유리적재장치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물적재함의 바닥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격자형의 수평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10)에 대해 수평상태 및 수직에 가까운 사용상태사이를 절접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0)은 하단이 수평프레임(10)에 힌지(22a)결합되는 하부프레임(22)과 하부프레임(22)의 상단에 힌지(24a)결합되는 상부프레임(24)으로 구성되고, 제 2지지프레임(30)은 하단이 수평프레임(10)에 힌지(32a)결합되는 하부프레임(32)과 하부프레임(32)의 상단에 힌지(34a)결합되는 상부프레임(34)으로 구성된다.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은 수평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대칭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은 양단이 각각 상부프레임(24)(34) 상단에 힌지(62)결합되는 연결링크(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의 하부프레임(22)(32)사이에서 수평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40)이 힌지(42)결합되어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40)에는 상기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의 하부프레임(22)(32)과 고정프레임(40)을 상호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체결수단(50)은 하부프레임(22)(32)가 고정프레임(40)을 상호체결하는 고정클립(52)과 고정클립(52)의 상부를 덮어 고정클립(52)의 풀림을 제한하는 풀림방지커버(54)로 구성된다. 체결수단은 여기에 제시된 구성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보호용 고무밴드(도시되지 않음)가 전면에 걸쳐 고정된다. 고무밴드는 유리가 접하게 되는 모든부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의 하부프레임(22)(32)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수평연장프레임(26)(3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의 하부프레임(22)(32)에는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상부연장프레임(28)(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72)와, 실린더의해 출몰하며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74)가 설치된다. 본 상기 실린더(72)로 유압을 공급제어하는 유압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는 도 7과 같이 화물차에 적재된 상태에서 한쌍의 지지프레임(20)(30)을 이용하여 원판유리를 운송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은 화물적재함에 용접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물적재함을 일반화물을 운반하기위해서는 유리적재장치를 절첩을 가능하게 된다. 먼저 도 4와 같이 풀림방지커버(54)를 올리고, 고정클립(52)을 풀면, 제 1지지프레임(20)과 제 2지지프레임(30)은 각각 힌지(22a)(32a)(24a)(34a)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도 5와 같은 상태로 벌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40)은 힌지(42)(도2참조)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적재함의 바닥에 재치시킨다. 도 5와 같은 진행이 계속되면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2)(32)은 수평프레임(10)에 상부프레임(24)(34)은 하부프레임(22)(32)에 접하며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적재장치는 자중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물적재함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장애물이 없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일반화물의 적재가 가능하게된다.
한편, 다시 유리적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역순으로 하여 지지프레임(20)(30)을 다시 사용위치로 전환하게 된다. 즉, 상부프레임(24)(34)의 상부를 잡아올리면 지지프레임(20)(30)은 기립하게되고, 고정프레임(40)을 세워 체결수단(50)을 통해 체결하는 것에 의해 유리적재장치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유리적재장치를 인력으로 펴고 접는 형태의 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언급되어 있는 실린더(72)와 피스톤로드(74) 및 유압공급장치를 통하여 기계적인 구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은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동력은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수평프레임 20: 제 1지지프레임
30: 제 2지지프레임 22,32: 하부프레임
24,34: 상부프레임 26,36: 하부연장프레임
28,38: 상부연장프레임 40: 고정프레임
50: 체결수단 60: 연결링크
72: 실린더 74: 피스톤로드

Claims (6)

  1. 화물적재함의 바닥에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하단이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사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지지프레임과,
    하단이 수평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대칭형태로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사이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제 2지지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링크와,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사이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보호용 고무밴드가 전면에 걸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 하부프레임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수평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프레임과 제 2지지프레임 하부프레임에는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상부연장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의해 출몰하며 상단이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제어하는 유압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화물차의 유리적재장치.
KR1020100140488A 2010-12-31 2010-12-31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KR10124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488A KR101240052B1 (ko) 2010-12-31 2010-12-31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488A KR101240052B1 (ko) 2010-12-31 2010-12-31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69A KR20110009069A (ko) 2011-01-27
KR101240052B1 true KR101240052B1 (ko) 2013-03-06

Family

ID=436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488A KR101240052B1 (ko) 2010-12-31 2010-12-31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806A (ko) * 2016-12-15 2017-02-2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수송용 가대 및 수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86Y1 (ko) 2015-03-12 2016-12-13 이승대 화물차용 유리 적재 및 절단장치
KR200490391Y1 (ko) * 2019-02-28 2019-11-06 김동현 유리 운반대
IT201900003539A1 (it) * 2019-03-12 2020-09-12 Metalaser Srl Attrezzatura per la movimentazione e lo stoccaggio di manufatti lastriformi.
CN110450886A (zh) * 2019-08-13 2019-11-15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方便使用的物资转运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75U (ja) * 1993-09-07 1995-04-04 株式会社シー・コーレンス 荷役装置
KR20070122117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경부건업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75U (ja) * 1993-09-07 1995-04-04 株式会社シー・コーレンス 荷役装置
KR20070122117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경부건업 화물차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리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806A (ko) * 2016-12-15 2017-02-28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수송용 가대 및 수송 방법
KR101903877B1 (ko) 2016-12-15 2018-10-02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수송용 가대 및 수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69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017A (en) Trailer structure for transporting sheet glass and frangible material
KR101240052B1 (ko) 화물차용 유리적재장치
NL1028100C2 (nl) Transport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transporteren van stukgoed en vloeistof.
US4092039A (en) Expandable trailer van
US10532687B2 (en) Quick-mounting accessory for a truck
JP2010235205A (ja) 液体輸送用伸縮コンテナー。
US6527336B2 (en) Pop-up trailer
US6877794B2 (en) Trailer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US11208026B2 (en) Convertible vehicle for goods transportation
CN207890397U (zh) 集装箱
US20040201249A1 (en) Trailer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JP5348609B2 (ja) 板状体の積載装置及び運搬車両
SK500182009U1 (en) Transport means superstructure for transporting flat large-size objects
US20040161327A1 (en) Forklift with impact cushion
CA2636445A1 (en) Retractable monorail tarpaulin system
WO2008136672A1 (en) Lift construction, method for transpor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collapsing a lift construction
CA3083353A1 (en) Transport shipping container for personal watercraft
ES2314472T3 (es) Puerta levadiza unitaria.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ES2804714T3 (es) Vehículo de transporte multifunción con bastidor para transporte abatible
ES2574839T3 (es) Aparato para remover material de un contenedor y el contenedor del mismo
KR20210048284A (ko) 코일 운반용 저상형 트레일러 및 이를 이용한 코일 상·하차 방법
US20190047804A1 (en) Truck well barrier system
WO2004067316A2 (en) Trailers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