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264B1 -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264B1
KR101239264B1 KR1020110010548A KR20110010548A KR101239264B1 KR 101239264 B1 KR101239264 B1 KR 101239264B1 KR 1020110010548 A KR1020110010548 A KR 1020110010548A KR 20110010548 A KR20110010548 A KR 20110010548A KR 101239264 B1 KR101239264 B1 KR 10123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acuum pump
vehicle
motor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234A (ko
Inventor
임창식
박석률
장성동
심의수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2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0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5/00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 F04C25/02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for producing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속도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가 탄력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상기 속도센서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 가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 A control assembly including a vacuum pump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vacuum pump}
본 발명은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속도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가 탄력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에는 제동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마련된다.
통상의 진공펌프는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등과 연결되어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에 있는 공기를 빼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진공펌프의 구성은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고속 회전을 하여 그 주위를 저압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등으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로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내부 압력의 공기 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이 되는 경우, 모터가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진공 챔버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의 공기를 그 외부로 빼내어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에서 진공펌프는 차량의 속도와 무관하게 그 구동 시간이나 RPM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다만,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차량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차량 운행으로 인한 소음으로 인하여 진공펌프의 작동음이 잘 인식이 안되나, 차량 속도가 낮은 경우엔, 차량 운행으로 인한 소음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진공펌프의 작동음이 부각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이 상대적으로 저속인 상태에서 필요 이상 펌프가 구동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전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 차량 속도에 따라서 진공펌프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진공펌프의 동작에 따른 소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진공펌프의 동작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상기 속도센서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 가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제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차량의 속도를 일정기준과 비교하는 단계와; (c)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펌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차량 속도에 따라서 진공펌프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진공펌프의 동작에 따른 소음 발생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차량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인 경우에는 소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진공펌프에 사용되는 모터의 구동속도나 구동시간을 차량 속도가 고속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고속인 경우보다 저속인 경우, 진공펌프의 소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진공모터의 구동속도는 입력전압에 비례하는데, 낮은 구동속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입력전압을 낮추고, 높은 구동속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입력전압을 높여서 탄력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입력전력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포함하는 진공펌프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이 포함하는 진공펌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입력 전압과 소음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9은 본 발명에서 일정한 진공압에 도달하기 위한 입력전압 duty비와 도달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이 포함되는 차량 내부구조의 개략도이다.
차량에는 여러가지 구동요소들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구동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러 유닛(11)(MCU, 이하, '제어부'라 한다)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에는 배터리 형태로 마련되는 전원부(10)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10)로부터 각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에는 진공펌프(12)가 마련되는데, 상기 진공펌프(12)의 역할은 진공이 필요한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이러한 구성요소에서 필요로 하는 진공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브레이크 부스터(14)의 하우징 이나 진공챔버(13)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의 압력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4)의 기능은 브레이크 페달(18)에 전해지는 가압력을 배가시켜 마스터 실린더(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진공챔버(13)는 오토미션이나, 배기가스 재순환 또는 에어컨에 용되는 진공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공펌프(12)는 모터(12a)와, 상기 모터(12a)와 모터축(12c)에 의하여 연결되는 로터(12b)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2a)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로터(12b)가 회전하여, 진공챔버나 브레이크 부스터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12a), 모터축(12c), 로터(12b)는 진공펌프 하우징(12d)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진공펌프 하우징(12d)은 진공챔버(13)나 또는 브레이크 부스터(14)에 배관(20)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진공챔버(13) 또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4)와 상기 진공펌프(12) 사이에는 공기가 일방향(상기 진공펌프(12) 방향)으로만 유입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5)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배관(20)에는 상기 진공챔버(13)나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4)의 진공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30)가 마련된다.
설명되지 않은 35번은 차량의 엔진이며, 상기 엔진(35)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작동을 한다. 상기 엔진(35)에도 엔진에서 형성되는 부압을 전달하는 배관(21)이 연결된다.
상기 배관(21)이 상기 진공챔버(13) 또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진공펌프(12)에 연결된 배관(20)과 함께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21)에도 진공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31)와 공기의 흐름이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체크밸브(26)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에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40)가 연결되는데, 상기 속도센서(40)는 차량속도 신호선(50)에 의하여 차량의 바퀴(45) 및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3은 진공펌프(12)의 구체적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진공펌프(12)는 펌프유닛(100)과, 상기 펌프유닛(100) 상부에 마련되는 챔버부(200)와, 상기 펌프유닛(100)의 하측에 연결되는 모터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유닛(100)은 로터(12b)와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상부 플레이트(130)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12b)는 캠링(102) 내부에 설치된다. 로터(12b)는 로터(12b-1)와, 상기 로터(12b-1)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되는 베인(12b-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링(102)에는 상기 로터(12b) 회전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돌기(102a)가 구비된다.
상기 캠링(102) 하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상에는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기 위한 흡입구(122)와 배출구(124)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캠링(102) 상측에는 상부 플레이트(130)가 구비된다.
상기 챔버부(200)는 인너캡(210)과 아웃터캡(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너캡(210)은 상부 플레이트(130)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아웃터캡(220)은 인너캡(210)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모터유닛(300)에 고정된다.
상기 인너캡(210)과 상기 아웃터캡(220)은 상기 모터유닛(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인너캡(210)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아웃터캡(300)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인너캡(210)과 상기 아웃터캡(220)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인너캡(210)과 상기 아웃터캡(220)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인너캡(210) 또는 상기 아웃터캡(220)의 재질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너캡(21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터캡(220)은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소음 감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유리하다.
왜냐하면, 상기 인너캡(210)은 고주파의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압력 변동에 따른 떨림이 적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저주파의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아웃터캡(220)이 딱딱한 특성을 갖는 경질의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인너캡(210)에는 중앙에 개구부(212)가 구비되어 배출구(124)에서 배출된 배출공기가 아웃터캡(220)으로 이동된다.
상기 개구부(212)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212)의 상부 직경을 d1이라 하고, 하부 직경을 d2라고 할 때, d2보다 d1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너캡(210)에는 상기 모터유닛(300)의 상면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인너캡(210)의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플랜지(216)에 통공(214)이 구비된다.
상기 통공(214)은 모터유닛(300)에 구비된 배기홀(미도시)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너캡(210)은 상부 플레이트(1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이격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인너캡(210)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30)의 상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30)의 상면과 상기 인너캡(210)의 내측 사이에 생성된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격거리에 대해 특별히 수치 한정은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아웃터캡(220)은 인너캡(210)의 외측으로부터 이격된 이격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유닛(100)의 하면에는 상기 펌프유닛(100)이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고압의 배출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400)가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400)는 상기 로터(12b)가 상기 모터유닛(300)에 설치될 때,상기 로터(12b)와 상기 펌프유닛(300)에 의하여 눌려서 최초 두께보다 30% 이상 압축되면서, 상기 로터(12b)와 모터유닛(300)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패킹부재(400)는 펌프유닛(100)의 하측면에서 댐핑의 역활과, 씰링의 역활을 동시에 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400)에는 상기 흡입구(122)와 연통된 패킹홀(41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유닛(100)의 내부에는 모터(12a)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2a)는 하측에 구비된 고정캡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
도4는 상기 제어부(11)을 중심으로 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제어블록도이다.
상기 제어부(11)에는 상기 전원부(10)와, 진공압 및 그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30)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상기 속도센서(4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에는 상기 진공펌프(12)가 연결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모터(12a)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 명령을 받아 구동하면, 상기 모터(12a)와 연결된 상기 로터(12b)가 회전운동을 하여 공기 흡입작용을 한다.
이러한 로터(12b)의 공기 흡입작용에 의하여 상기 진공챔버(도1참조, 13)나 브레이크 부스터(도1참조, 14) 내부에 진공 상태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어 흐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우선, 차량속도에 따라 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흐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펌프에 대하여 에러가 있는 여부를 체크하고(S501), 이후,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값을 인식하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
여기서 기준 압력 이하라면 진공상태가 훼손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할 필요가 없지만, 기준 압력 이상이라면, 진공상태가 훼손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진공펌프가 동작되어야 한다.
S502 단계에서 진공펌프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차량의 속도가 기준 속도(예, 15KPH)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3).
판단 결과, 차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모터가 제1설정시간동안 동작을 하고(S504), 차량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모터가 제2설정시간동안 동작을 한다(S505).
이 경우, 제1설정시간은 제2설정시간보다 긴 시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경우 모두 모터의 회전속도는 동일한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제1설정시간이 5초라면, 제2설정시간은 3초로 될 수 있다.
차량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저속인 경우와 비교하여 진공압이 더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동시간이 길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 고속운행시 상기 모터가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구동되어도 상기 모터의 소음이 차량의 고속운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에 의하여 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이 고속인 경우에는 저속인 경우보다 동작시간이 늘어나도 무방하다.
한편, 차량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 모터의 구동시간이 짧아져서 사용자가 소음을 느끼는 시간도 종래에 비하여 짧아질 수 있다.
한편, 모터의 구동시간이 짧아지면, 그만큼 입력전압도 줄어들 수 있게되므로 전력사용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터가 상기 제1설정시간 또는 제2설정시간동안 동작을 한 이후에, 그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모터가 off가 되고, 소정의 설정 대기시간동안 대기한다(S506).
도6에서는 차량속도에 따라 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흐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진공펌프에 대하여 에러가 있는 여부를 체크하고(S601), 이후,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값을 인식하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2)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즉, 진공펌프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차량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3).
판단 결과, 차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모터가 제1설정속도로 동작을 하고(S604), 차량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모터가 제2설정속도로 동작을 한다(S605).
예를 들어서, 상기 제1설정속도가 4500rpm으로 설정되고, 제2설정속도는 4000rpm으로 설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설정속도만 다르고, 동일한 설정시간동안 모터가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606).
차량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저속인 경우와 비교하여 진공압이 더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펌프의 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따른 진공펌프의 탄력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의 속도가 작으면 그 만큼 소음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가 저속이라면 그에 따라 모터에 의한 소음도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모터의 구동속도가 낮아지면, 그만큼 입력전압도 줄어들 수 있게되므로 전력사용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모터가 상기 제1설정시간 또는 제2설정시간동안 동작을 한 이후에, 그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모터가 off가 되고, 소정의 설정 대기시간동안 대기한다(S607).
도8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duty비에 따른 소음의 변화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상에 기재된 PWM(Pulse Width Modulation)은 펄스폭 변조라고도 하며, 이는 on off의 비율을 변화시켜서 모터의 속도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duty 비는 on 와 off 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그 숫자가 높아질 수록 on상태가 많아지고 입력전압이 높아져 그 만큼 모터가 빨리 구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duty 비 60% 로 하여 일정한 펄스를 발생시키면 모터가 펄스의 on 시간의 평균치로 인식을 하여, 마치 전압을 60%로 인가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에 duty비가 70 %인 경우에는 60%보다 전압이 높아서 그 만큼 모터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인 경우에는 PWM duty비가 50~60%정도로 될 수 있고, 차량의 속도가 PWM duty 비가 80~90 %정도로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 차량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인 경우에는 소음이 66~78dB가 될 수 있고, 차량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고속인 경우에는 소음이 73~76dB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차량의 속도가 고속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dB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속도에 따라 모터의 구동속도는 동일하고, 그 구동시간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인 경우에는 고속인 경우보다 그 소음의 지속시간이 줄어들어서 소음에 의한 영향을 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7은 차량 속도에 따라서 모터의 구동속도와 그 구동시간을 조절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진공펌프에 대하여 에러가 있는 여부를 체크하고(S701), 이후,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한 압력값을 인식하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2)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즉, 진공펌프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 차량의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3).
판단 결과, 차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모터가 제1설정속도로 제제1설정시간동안 동작을 하고(S704, S705), 차량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모터가 제2설정속도로 제2설정시간동안 동작을 한다(S706,S707).
여기서, 상기 제1설정속도는 제2설정속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제1설정시간은 제2설정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상기 제1설정속도가 4500rpm으로 설정되고, 제2설정속도는 4000rpm으로 설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제1설정시간은 5초, 제2설정시간은 6초로 생각할 수 있다.
차량속도가 고속인 경우, 설정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설정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차량속도가 저속인 경우, 설정속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설정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이유는 필요한 진공도를 충족시키는데 조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차량 속도가 고속이나 저속인 경우에, 필요한 진공도가 동일하게 -500mbar 인 경우, 모터의 구동속도와 구동시간은 아래처럼 달라진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속도가 고속이어서, 모터의 최고속도(Duty비가 100%)가 필요한 경우에, -500mbar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4.56초이다.
차량 속도가 저속이어서, 모터의 최고 속도보다 낮은 속도(Duty비가 70%)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시간은 6.32초이다.
즉, 차량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 모터의 속도가 낮아지고, 모터의 속도가 낮아진 만큼 소음이 줄어들 수 있는 반면에, 필요한 진공도를 충족하기 위해서 고속인 경우보다 시간이 좀더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S704~S707 단계를 거친 후, 해당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터는 정지하고, 설정된 대기시간동안 대기 상태가 된다(S708).
10: 전원부 11: 제어부
12: 진공펌프 12a: 모터
12b: 로터 12c: 회전축
13: 진공챔버 14: 브레이크 부스터
30: 압력센서 40: 속도 센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상기 속도센서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 가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압 생성을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 시간이 제1설정시간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짧은 제2설정시간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제어 어셈블리.
  4.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상기 속도센서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 가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압 생성을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속도가 제1 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속도가 상기 제1설정속도보다 낮은 제2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제어 어셈블리.
  5.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펌프와;
    상기 속도센서 및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 가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압 생성을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 시간과 속도가 각각 제1설정시간과 제1 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과 속도가 각각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긴 제2설정시간과 상기 제1속도보다 낮은 제2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제어 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8. (a)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차량의 속도를 일정기준과 비교하는 단계와;
    (c) 비교 결과에 따라서,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압 생성을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 시간이 제1설정시간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기준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이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짧은 제2설정시간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인 것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9. (a)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차량의 속도를 일정기준과 비교하는 단계와;
    (c) 비교 결과에 따라서,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압 생성을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속도가 제1 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속도가 상기 제1설정속도보다 낮은 제2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10. (a)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차량의 속도를 일정기준과 비교하는 단계와;
    (c) 비교 결과에 따라서, 진공펌프의 동작상태가 변화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는 진공압 생성을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 시간과 속도가 각각 제1설정시간과 제1 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과 속도가 각각 상기 제1설정시간보다 긴 제2설정시간과 상기 제1설정속도보다 낮은 제2설정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KR1020110010548A 2011-02-07 2011-02-07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KR10123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548A KR101239264B1 (ko) 2011-02-07 2011-02-07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548A KR101239264B1 (ko) 2011-02-07 2011-02-07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234A KR20120090234A (ko) 2012-08-17
KR101239264B1 true KR101239264B1 (ko) 2013-03-06

Family

ID=4688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548A KR101239264B1 (ko) 2011-02-07 2011-02-07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2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586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 압력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586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 압력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234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278B2 (ja) 車両用真空ポンプ
JP2011149334A (ja) 車両の油圧制御装置
JP2014084837A (ja) 電動バキュームポンプ
KR101239265B1 (ko)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JP6608394B2 (ja) 真空ポンプシステムの圧送方法および真空ポンプシステム
JP2012087688A (ja) ポンプ制御装置およびポンプ装置
KR101239264B1 (ko)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제어 어셈블리와 진공펌프의 제어방법.
KR20080068918A (ko) 펌프에 있어서 기계식 피스톤의 위치 제어를 위한 시스템및 방법
JP2015073375A (ja) 電動バキュームポンプ
JP2009243482A (ja) 車両の駆動装置用油圧ポンプ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の駆動装置用油圧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JP2016003596A (ja) オイルポンプおよび車両用油圧回路
JP5253770B2 (ja) 自動車用負圧源装置
KR102453438B1 (ko) 리저버 일체형 진공 펌프
JP6276648B2 (ja) 電動ポンプおよび車両用油圧回路
KR101671004B1 (ko) 과급방식을 이용한 유체식 리타더
JPH0872700A (ja) 負圧発生装置
CN110319013A (zh) 真空泵及具有该真空泵的车辆
KR20170024978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1201A (ko) 전기식 차량용 진공펌프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907867B1 (ko) 브레이크시스템의 모터 실링장치
JPS6361508B2 (ko)
CN111829032B (zh) 降噪装置、应用有该降噪装置的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JP3533428B2 (ja)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の制御装置
CN110014399B (zh) 可调整扭力的气动工具
CN205714630U (zh) 脚踏式叶片泵钕铁硼叶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